Research Article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 April 2024. 171-202
https://doi.org/10.7732/kjpr.2024.37.2.171

ABSTRACT


MAIN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결 과

  •   북한식물 선정을 위한 종목록 검토

  •   북한식물 목록

  •   국내·외 수목원 북한식물 유전자원 보유 현황

  • 고 찰

  • 적 요

서 언

북한은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생물다양성 및 식물진화의 역사를 이해하기 위한 핵심적인 지역 중 하나로, 위도에 따른 다양한 기후대와 고산, 고원, 큰 수계, 긴 해안선 등이 어우러지는 복잡한 지형으로 인해 영토의 크기에 비해 식물의 다양성이 높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CBD, 2016; Chen et al., 2018; Kong, 2002a, 2002b; Sin et al., 2020). 특히, 백두산(2,744 m), 관모봉(2,540 m) 및 낭림산(2,186 m) 등과 같은 2,000 m 이상의 해발고도를 가진 50여 개의 산지들이 이어진 백두대간과 함께 북한에 분포하는 고산지대 일대에는 다양한 고산식물과 북방계식물이 격리되어 분포한다(Gantsetseg et al., 2020; Hong, 1989; Kong, 2002a, 2002b, 2005; Kong and Watts, 1999). 그러나 범세계적인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북한의 평균기온은 10년에 0.45℃씩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후변화에 취약한 고산식물의 생존이 위협받고 있다(Kim et al., 2016; Kong, 200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2). 또한, 북한은 경제난과 식량부족 같은 사회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과도한 수목 벌채 및 계단밭 개간 사업을 진행하고 있어 북한의 산림면적과 생태계서비스 가치(Ecosystem Service Values, ESVs)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Lee, 2020; Lim and Choi, 2021; Lim et al., 2019). 한편, 전 세계적으로 객관화된 자생식물 현황을 바탕으로 훼손된 생태계를 복원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는데(Choi et al., 2020; Kim et al., 2019), 향후 북한지역 생태계 훼손지의 남북 협력 생태복원사업을 대비하여 북한 내 자생식물의 체계적인 DB 구축과 이를 활용한 유전자원 확보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북한 자생식물에 대한 생물다양성 관련 연구가 요구된다(Kim and Lee, 2015).

북한지역의 관속식물 현황 연구는 1940년대부터 다수의 북한 연구자에 의해 수행되었다. Park (1942)에 의해 한반도의 고산식물을 중심으로 51과 175속 383분류군이 보고된 것을 시작으로, 1955년 양치식물을 포함한 167과 913속 2,689분류군이 조선식물명집을 통해 정리되었고(To et al., 1955), 1964년 조선고등식물분류명집이 출간되어 50,000여 점의 식물표본정보를 기반으로 한 3,009분류군의 식물목록이 보고되었다(Ri, 1964; Sin et al., 2020). 이후 Park (1999)에 의해 3,943종, CBD (2016)에 의해 3,623종의 관속식물이 보고된 바 있으며, Im et al. (1996a, 1996b, 1996c, 1998a, 1998b, 1999a, 1999b, 2000a, 2000b)은 9권의 조선식물지를 통해 재배식물을 포함한 북한 관속식물 3,585분류군의 정보(목록, 기재문, 검색표, 분포 범위 등)를 Engler 식물분류체계에 기초해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그러나, 북한이 국제사회에 공식적으로 발표한 자료가 극히 제한적이며, 조선식물지와 같이 북한 연구자에 의해 저술된 다수의 문헌은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학명이 아닌 비합법명 또는 이명을 받아들이고 있는 경우가 많아 최신 분류체계 및 범국가적 check list와 비교분석을 통한 학명의 정립이 요구된다(Heo and Yu, 2021; Kim et al., 2019).

수목원은 인류세(Anthropocene)에 접어들면서 전 세계적 문제로 대두되는 기후위기와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는 서식지 파괴 및 오염 등의 외부 위험으로부터 자생식물의 멸종률을 감소시키고, 현재와 미래에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식물의 다양성을 보전하는 핵심적인 기관이다(Breman et al., 2021; Brummitt et al., 2015; Hooke et al., 2012; Murphy and Romanuk, 2014; Venter et al., 2016).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의 식물 보전을 위한 전 세계적 전략(Global Strategy for Plant Conservation 2011-2020, GSPC)중 Target 1과 8은 각각 전 세계 모든 식물 종에 대한 Online Flora 구축과 수목원 중심의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식물 다양성 보전에 관한 이정표를 제시한다(CBD Global Strategy for Plant Conservation, 2023; FAO, 2020; Habibullah et al., 2022; Lee, 2020; Smith, 2016; Wood et al., 2018). 이러한 기조에 따라 수목원은 체계적으로 유전자원을 수집하고 전 세계 관속식물 목록(World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WCVP)에 기초한 자국의 자생식물 DB를 구축하고 있으며(BGCI, 2023a; Breman et al., 2021; Govaerts et al., 2021; Murguia-Romero et al., 2023; Smith, 2016), 1998년 설립된 국제 식물원 보존 연맹(Botanic Gardens Conservation International, BGCI)에는 2023년을 기준으로 전 세계 3,765개 수목원 및 식물표본 관리 기관이 등록되어 전 세계 식물 종의 약 30%에 해당하는 식물표본의 정보공유체계를 강화하고 있다(BGCI, 2023a, 2023b; Mounce et al., 2017; O’Donnell and Sharrock, 2017). 따라서 이와 같은 전 세계 수목원들의 DB를 활용한다면, 현재 물리적 접근이 불가능한 북한지역의 식물 다양성 현황 파악과 함께 한반도 생태계의 온전한 보전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증거표본과 문헌에서 확보한 북한 관속식물 목록에 대하여 1) 자생식물별 정·이명 및 분포 범위를 검토하여 북한에 자생하지만, 국내(남한)에는 자생하지 않는 북한식물 목록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 북한식물별 학명을 Plants of the World Online (POWO, 2023)가 인식하는 학명과 비교하였으며, 3) 국내·외 수목원의 북한식물별 유전자원 보유 현황을 파악하여 한반도 자생식물의 체계적인 수집과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북한 내 자생식물 목록을 광범위하게 다룬 식물지, 국내·외 논문, 단행본, 보고서 등의 문헌(Chang et al., 2019; Chung et al., 2023; Im et al., 1996a, 1996b, 1996c, 1998a, 1998b, 1999a, 1999b, 2000a, 2000b; Joo et al., 2016; Korean Plant Names Index Committee, 2023;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8)과 증거표본을 검토하여 북한식물 목록 작성을 위한 66목 185과 1,018속 3,623분류군을 선별하였다.

다음의 기준에 따라 북한식물 목록을 선정하였다. 첫째, 재배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16b;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8)이나 외래식물(Kang et al., 2020) 등 한반도로 도입된(introduced) 식물은 목록에서 제외하였다(POWO, 2023). 둘째, 분류군별 증거표본 및 문헌 기록을 검토하고 전문가 감수를 거쳐 국내(남한)에 분포하는 분류군은 목록에서 제외하였다(Chang et al., 2019;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a, 2021). 더 정확한 분류군별 자생 범위 확인을 위해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GBIF, 2023), POWO (2023)를 참고하였으며, 북한이나 북한과 인접한 국가(중국, 일본) 내 분포 가능성을 판단할 만한 표본 및 문헌 정보가 부족한 식물도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셋째, 조류, 균류와 식물에 대한 국제명명규약(ICN, Turland et al., 2018)을 따르지 않고, 비합법적으로 발표(invalidly publish)되었거나 서명(illegitimate name)인 식물의 경우 ‘비합법명’ 항목으로 분류한 후 북한식물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북한 관속식물 총목록(Chang et al., 2019)에서 제안하는 국명 및 학명에 따라 분류군별 학명의 이명 여부를 확인하였다. 정·이명 판단이 어려운 분류군은 원문 또는 국가 생물종 목록집(Im et al., 1996a, 1996b, 1996c, 1998a, 1998b, 1999a, 1999b, 2000a, 2000b;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8)의 학명을 따랐으며, 북한식물 목록의 학명 뒤에 별표(*)로 표시하였다. 이명으로 판단되는 분류군들에 대하여, 국내(남한)에 분포하는 분류군들을 북한식물 목록에서 제외하였으며, 국내(남한)에 분포하지 않는 분류군 중에서 분류군이 중복될 경우 ‘중복(duplicated)’ 항목으로 분류한 후 북한식물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북한식물 목록은 Engler의 분류체계(Melchior, 1964)를 따라 정리하였으며, 과 이하의 속명, 종소명 등은 알파벳 순으로 배열하였다. 양치식물은 Pteridophyte Phylogeny Group (2016), 겉씨식물은 Christenhusz et al. (2011)의 분류체계를 참고하였다. 북한식물의 현황 및 희귀식물(Joo et al., 2016; Korean Plant Names Index Committee, 2023), 특산식물(Chung et al., 2023; Joo et al., 2016; Korean Plant Names Index Committee, 2023), 북방계식물(Gantsetseg et al., 2020) 등의 여부를 파악하였다. 이와 함께, 해외 기관을 통한 신뢰도 있는 북한식물 유전자원 수집을 위해 북한식물별 정명을 POWO (2023)가 제안하는 학명과 비교하였고, 학명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병기하였다.

국제식물원보존연맹(Botanic Gardens Conservation International, BGCI)의 BGCI Plant Database (BGCI, 2023a, 2023b), Index Seminum (Table 1), 국내·외 수목원 등 연구기관의 웹사이트를 통해 북한식물 정명에 따른 전 세계 수목원의 북한식물 유전자원 보유 현황을 파악하였다(Table 2).

북한식물 유전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별 기관과 수, 보유 중인 북한식물 분류군 수를 Google Earth Pro 7.3.6 (Serea, 2023)과 QGIS v.3.32 (QGIS Development Team, 2023)를 이용하여 표와 그림으로 기술하였다.

Table 1.

The current status of the arboretum’s Index Seminum or website, where information regarding collections of North Korea plants was reviewed.

No. Name of institute Country Note
1 AG Evolution und Biodiversität der Pflanzen Germany Index Seminum
2 Amur branch of Botanical Garden-Institute of FEB RAS Russia Index Seminum
3 Botanical collections of Czech Czech Republic Website searching
4 Botanical Garden of Innsbruck Austria Index Seminum
5 Botanischer Garten Germany Index Seminum
6 Gradina Agro-Botanica din Cluj-Napoca Romania Index Seminum
7 Jardin des Plantes de Nantes France Index Seminum
8 Jardins botaniques du Grand Nancy et de l’Université de Lorraine France Index Seminum
9 Meise Botanic Garden Belgium Index Seminum
10 Millennium Seed Bank United Kingdom Website searching
11 Slezské zemské muzeum Czech Republic Index Seminum
12 South China Botanical Garden, CAS China Website searching
13 Vedoucí Botanické zahrady Czech Republic Index Seminum
14 Volgograd regional botanic garden Russia Index Seminum
Table 2.

The worldwide herbaria holding voucher specimens of North Korea plant.

No. Herbarium
Code
Institution Location Country
1 A Harvard University Massachusetts, Cambridge United States
2 B ZE Botanischer Garten und Botanisches Museum,
Freie Universität Berlin
Berlin Germany
3 E Royal Botanic Garden Edinburgh Scotland, Edinburgh United States
4 K Royal Botanic Gardens England, Kew United States
5 KH Korea National Arboretum Gyeonggi-do, Soheul-eup,
Pocheon-si
Republic of Korea
6 KYO Kyoto University Kyoto Japan
7 LE Komarov Botanical Institute of RAS Saint Petersburg Russia
8 TI University of Tokyo Tokyo Japan
9 TNS National Museum of Nature and Science Tsukuba Japan
10 WFRC Warm-Temperate and Subtropical Fores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eogwipo-si
Republic
of Korea

결 과

북한식물 선정을 위한 종목록 검토

재배·외래·분포 범위·비합법명 검토

문헌과 증거표본의 검토를 통해 확인된 3,623분류군의 북한식물 중 재배 및 외래식물, 분포 정보의 오류, 비합법명 등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는 Fig. 1과 같다. 대상화(Anemone rossii S. Moore), 갯잔디(Zoysia tenuifolia Thiele) 등 재배식물 413분류군과 수박풀(Hibiscus trionum L.), 분개구리밥[Wolffia arrhiza (L.) Horkel ex Wimm.] 등 외래식물 91분류군, 방패꽃[Veronica serpyllifolia subsp. humifusa (Dicks.) Syme ex Sowerby), 영하구기자(Lycium barbarum L.), 서양까막까치밥나무(Ribes pauciflorum Turcz. & Ledeb.) 등 도입종 16분류군을 포함한 총 520분류군을 북한식물 목록에서 제외하였다(Fig. 1). 또한, 국내(남한) 분포정보가 있거나 북한 또는 북한과 인접한 국가 내 분포정보가 부족한 총 2,520분류군의 식물을 북한식물 목록에서 제외하였는데 여기에는 정·이명 검토 후 국내(남한) 자생종으로 파악된 붉은병꽃나무[Weigela florida (Bunge) A.DC.]의 이명인 산소영도리나무[Weigela praecox var. pilosa (Nakai) Nakai], 빗살서덜취[Saussurea odontolepis (Herder) Sch.Bip. ex Maxim.]의 이명인 묘향분취(Saussurea myokoensis Kitam.), 개구릿대(Angelica anomala Avé-Lall.)의 이명인 삼수구릿대(Angelica jaluana Nakai) 등 335분류군과 북한이나 북한에 인접한 국가 내 분포 여부를 판단할 만한 표본 및 문헌 정보가 부족한 좀싱아[Aconogonon ocreatum (L.) H. Hara], 시베리아다닥냉이(Lepidium sibiricum Schweigg.), 녹빛털괭이눈풀(Chrysosplenium baicalense Maxim.), 민들송이풀(Pedicularis sudetica Willd.), 높은산꼬리풀(Veronica alpina L.), 참분취(Saussurea kitamurana Miyabe & Tatew.), 차일봉꿰미풀(Poa macrocalyx Trautv. & C. A. Mey.) 등 7분류군이 포함된다. 그리고 국제조류균류식물명명규약(ICN)에 따르지 않는 비합법명인 삼수개미자리[Minuartia verna var. coreana (Nakai) H. Hara], 민윤노리나무[Pourthiaea villosa var. laevis (Thunb.) Stapf], 석도벚나무(Prunus koraiensis Nakai ex Handb.), 연밥갈매나무(Rhamnus shozyoensis Nakai), 흰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mucronulatum f. albiflorum (Nakai) Okuyama], 호광대수염(Lamium cuspidatum Nakai), 풍도둥굴레[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Miq.) Ohwi] 7분류군을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4-037-02/N0820370208/images/kjpr_2024_372_171_F1.jpg
Fig. 1.

Selection of North Korea Plant species based on criteria.

북한 관속식물 총목록의 학명을 기준으로 조선식물지 등 원문에 기록된 북한식물 학명의 이명 여부를 확인하여 북한식물 후보 분류군 576분류군을 선정하였다. 이중 육지꽃버들(Salix schwerinii E.L.Wolf)의 이명인 좁은잎육지꽃버들(Salix viminalis var. linearifolia Wimm. & Grab.), 백두산떡쑥[Antennaria dioica (L.) Gaertn.]의 이명인 섬괴쑥(Antennaria insulensis H. S. Pak) 등 중복 분류군 90분류군을 목록에서 제외하여 북한식물 486분류군을 선정하였다(Fig. 1). 또한, 북한 관속식물 총목록과 원문 또는 국가 생물종 목록집의 학명이 일치하지 않아 이명으로 확인된 식물은 80분류군으로 확인되며(Table 3), 총목록 또는 원문 중 한 곳에서만 학명이 확인되어 비교가 어려운 식물은 7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명을 유형별로 분류하면, 속명이 변경되었을 때 백산차(Rhododendron tomentosum Harmaja), 나도여로[Anticlea sibirica (L.) Kunth] 등 9분류군(11.25%), 종소명이 변경되었을 때 까막까치밥나무(Ribes procumbens Pall.), 참골풀(Juncus brachyspathus Maxim.) 등 29분류군(36.25%), 변종명이 변경되었을 때 증산봄맞이[Androsace villosa L. var. incana (Lam.) Duby] 1분류군(1.25%), 분류학적 계급(아종, 변종, 품종 등)이 변경되었을 때 넓은잎초오(Aconitum sczukinii Turcz.), 구름사초(Carex subumbellata Meinsh.) 등 22분류군(27.5%), 명명자를 잘못 기재하였을 때 쌍동바람꽃(Anemone baicalensis Kom.) 등 6분류군(7.5%), 단순 오타일 때 13분류군(16.25%)으로 확인되었다.

Table 3.

List of synonyms between the correct names and scientific names in original text of North Korea Plants.

No. Family Correct namez Vernacular name of
Korea/Vernacular
name of North Korea
Scientific name in original texty
1 Ophioglossaceae Botrychium boreale J. Milde 메고사리삼 Botrychium boreale Milde
2 Pinaceae Pinus tabuliformis Carrière 만주곰솔 Pinus tabuliformis Carrière var. mukdensis
(Uyeki ex Nakai) Uyeki
3 Cupressaceae Juniperus communis L. subsp.
alpina (Suter) Celak.
곱향나무 Juniperus communis L. var. saxatilis Pall.
4 Salicaceae Salix glauca L. 큰산버들 Salix sericeo-cinerea Nakai
5 Salicaceae Salix pseudopentandra (Flod.) Flod. 반짝버들 Salix pseudopentandra Flod.
6 Santalaceae Thesium longifolium Turcz. 긴잎제비꿀 Thesium refractum C.A.Mey.
7 Polygonaceae Aconogonon brachytrichum (Ohwi) Soják 털싱아 Aconogonon brachytricum (Ohwi) Soják
8 Caryophyllaceae Cerastium furcatum Cham. & Schltdl. 북선점나도나물 Cerastium rubescens Mattf. var. koreanum
(Nakai) Miki
9 Caryophyllaceae Honckenya peploides (L.) Ehrh. subsp.
major (Hook.) Hultén
갯별꽃 Honckenya peploides (L.) Ehrh. var.
major (Hook.) Abrams
10 Ranunculaceae Aconitum ranunculoides Turcz. 선투구꽃 Aconitum umbrosum (Korsh.) Kom.
11 Ranunculaceae Aconitum sczukinii Turcz. 넓은잎초오 Aconitum fischeri Rchb. var. arcuatum
(Maxim.) Regel
12 Ranunculaceae Anemone baicalensis Kom. 쌍동바람꽃 Anemone baicalensis Turcz.
13 Ranunculaceae Anemone cathayensis Kitag. 북바람꽃 Anemone cathayensis Kitag. ex Tamura
14 Ranunculaceae Aquilegia flabellata Siebold & Zucc. 하늘매발톱 Aquilegia japonica Nakai & H.Hara
15 Ranunculaceae Halerpestes sarmentosa (Adams) Komarov 나도마름아재비 Halerpestes salsuginosa (Pall. ex Georgi) Greene
16 Ranunculaceae Ranunculus japonicus Thunb. var.
propinquus (C.A.Mey.) W.T.Wang
산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acris L. subsp. novus
(H.Lév. & Vaniot) Vorosch.
17 Ranunculaceae Ranunculus natans C.A.Mey. 북미나리아재비/북바구지 Ranunculus radicans C. A. Mey.
18 Ranunculaceae Trollius chinensis Bunge 큰금매화 Trollius macropetalus (Regel) F.Schmidt
19 Ranunculaceae Trollius japonicus Miq. 애기금매화 Trollius riederianus Fisch. & C.A.Mey.
20 Papaveraceae Corydalis × gigantea Trautv. & C.A.Mey. 큰괴불주머니 Corydalis gigantea Trautv. & C.A.Mey.
21 Papaveraceae Papaver nudicaule L. 흰양귀비 Papaver amurense (N.Busch) N.Busch ex Tolm.
22 Papaveraceae Papaver radicatum Rottb. 두메양귀비 Papaver coreanum Nakai
23 Brassicaceae Arabidopsis lyrata (L.) O’Kane &
Al-Shehbaz subsp. kamchatica
(Fisch. ex DC.) O’Kane & Al-Shehbaz
묏장대 Arabidopsis lyrata (L.) O’Kane & Al-Shehbaz
24 Brassicaceae Braya humilis (C.A.Mey.) B.L.Rob. 염주냉이 Torularia humilis (C. A. Mey.) O. E. Schulz
25 Brassicaceae Cardamine tenuifolia (Ledeb.) Turcz. 좁은잎미나리냉이
/덩이냉이
Dentaria tenuifolia Ldb.
26 Brassicaceae Draba mongolica Turcz. 구름꽃다지 Draba davurica var. ramosa Pohl.
27 Crassulaceae Orostachys fimbriata (Turcz.) A.Berger 가시바위솔/모란바위솔 Orostachys saxatilis (Nakai) Nakai
28 Crassulaceae Sedum roseum (L.) Scop. 바위돌꽃 Rhodiola rosea L.
29 Grossulariaceae Ribes procumbens Pall. 까막까치밥나무 Ribes ussuriense Jancz.
30 Rosaceae Potentilla bifurca L. 물싸리풀 Sibbaldianthe semiglabra (Soják) Mosyakin
& Shiyan
31 Rosaceae Potentilla fruticosa L. 물싸리 Dasiphora fruticosa (L.) Rydb.
32 Rosaceae Potentilla glabra Lodd. var.
mandshurica (Maxim.) Hand.-Mazz.
흰물싸리 Potentilla glabra G.Lodd. var.
mandshurica (Maxim.) Hand.-Mazz.
33 Rosaceae Potentilla tanacetifolia Willd. ex Schltdl. 가는잎푸른딱지꽃 Potentilla tanacetifolia Wild. ex D.F.K.Schltdl.
34 Rosaceae Sorbus sambucifolia (Cham. & Schltdl.)
M.Roem.
산마가목 Sorbus sambucifolia (Cham. & Schltdl.) M.Roem.
var. pseudogracilis C.K.Schneid.
35 Rosaceae Spiraea media F.Schmidt 긴잎조팝나무 Spiraea media Schmidt
36 Fabaceae Hedysarum vicioides Turcz. subsp. japonicum
(B.Fedtsch.) B.H.Choi & H.Ohashi
나도황기 Hedysarum vicioides Turcz. var. japonicum
(B.Fedtsch.) B.H.Choi & H.Ohashi
37 Geraniaceae Geranium platyanthum Duthie 털쥐손이/털손잎풀 Geranium eriostemon Fisch.
38 Violaceae Viola epipsiloides Á.Löve & D.Löve 누운제비꽃 Viola epipsiloides A.Löve & D.Löve
39 Ericaceae Rhododendron lapponicum (L.) Wahlenb. 황산차 Rhododendron lapponicum (L.) Wahlenb.
subsp. parvifolium (Adams) T.Yamaz.
40 Ericaceae Rhododendron tomentosum Harmaja 백산차 Ledum palustre L. var. diversipilosum Nakai
41 Primulaceae Androsace villosa L. var. incana (Lam.) Duby 증산봄맞이 Androsace villosa L. var. typica Trautv.
42 Primulaceae Primula matthioli (L.) V.A.Richt. 종다리꽃 Primula matthioli (L.) V.A.Richt. subsp.
pekinensis (V.A.Richt.) Kovt.
43 Apocynaceae Cynanchum thesioides (Freyn) K.Schum. 양반풀 Cynanchum sibiricum Willd.
44 Boraginaceae Lappula myosotis Wolf 들지치 Lappula squarrosa (Retz.) Dumort.
45 Scrophulariaceae Pedicularis palustris L. 부전송이풀 Pedicularis adunca M.Bieb. ex Steven
46 Scrophulariaceae Veronicastrum tubiflorum
(Fisch. & C.A.Mey.) H.Hara
버들잎꼬리풀 Veronica tubiflora Fisch. & C.A.Mey.
47 Asteraceae Artemisia bargusinensis Spreng. 증산쑥 Artemisia borealis Pall.
48 Asteraceae Artemisia leucophylla (Turcz. ex Besser)
Turcz. ex C.B.Clarke
명천쑥 Artemisia saitoana Kitam.
49 Asteraceae Artemisia palustris L. 금쑥 Artemisia aurata Kom.
50 Asteraceae Erigeron acris L. 민망초 Erigeron acer L.
51 Asteraceae Erigeron thunbergii A.Gray subsp.
glabratus (A.Gray) H.Hara
구름국화 Erigeron alpicola (Makino) Makino
52 Asteraceae Saussurea chinnampoensis H.Lév. & Vaniot 남포분취 Saussurea chinnampoensis H. Lév. & Vaniot
53 Asteraceae Saussurea recurvate (Maxim.) Lipsch. 긴분취 Saussurea recurvata (Maxim.) Lipsch.
54 Asteraceae Saussurea sinuata Kom. 물골취 Saussurea stenolepis Nakai
55 Liliaceae Allium splendens Willd. ex Schult. & Schult.f. 가는산부추 Allium splendens Willd. ex Schult. & Schult. f.
56 Liliaceae Anticlea sibirica (L.) Kunth 나도여로 Zygadenus sibiricus (L.) A. Gray
57 Liliaceae Veratrum dahuricum (Turcz.) Loes. 관모박새 Veratrum dahuricum (Turcz.) O.Loes.
58 Juncaceae Juncus brachyspathus Maxim. 참골풀 Juncus filiformis L.
59 Juncaceae Juncus stygius L. 대택비녀골풀 Juncus stygius L. subsp. americanus
(Buchenau) Hultén
60 Juncaceae Luzula wahlenbergii Rupr. 좀꿩의밥 Luzula arcuata (Wahlenb.) Sw. subsp.
unalaschkensis (Buchenau) Hultén
61 Poaceae Calamagrostis holmii Lange 붕겐새풀 Calamagrostis bungeana Petrov
62 Poaceae Calamagrostis stricta (Timm) Koeler 야지피 Calamagrostis neglecta (Ehrh.) P.Gaertn. & B.Mey.
& Schreb. var. aculeolata (Hack.) Miyabe & Kudô
63 Poaceae Glyceria spiculosa (J.A.Schmidt) Roshev.
ex B.Fedtsch.
대택광이 Glyceria spiculosa (F.Schmidt) Roshev.
ex B.Fedtsch.
64 Poaceae Poa arctica R.Br. 두메포아풀 Poa malacantha Kom. var. shinanoana
(Ohwi) Ohwi
65 Poaceae Poa pratensis L. var. hatusimae (Ohwi) Ohwi 북왕포아풀 Poa hatusimae Ohwi
66 Poaceae Poa urssulensis Trin. 관모포아풀 Poa urssulensis Trin. var. kanboensis
(Ohwi) Olonova & G.Zhu
67 Poaceae Puccinellia pumila (Vasey) Hitchc. 천도미꾸리광이 Puccinellia kurilensis (Takeda) Honda
68 Poaceae Stipa sibirica (L.) Lam. 가는나래새 Achnatherum sibiricum (L.) Keng ex Tzvelev
69 Cyperaceae Carex atherodes Spreng. 곧은이삭사초 Carex orthostachys C. A. Mey.
70 Cyperaceae Carex bigelowii Torr. ex Schwein. subsp.
rigida (Raf.) W.Schultze-Motel
갈미사초 Carex bigelowii Torr. ex Schwein.
71 Cyperaceae Carex rotundata Wahlenb. 물사초 Carex oligosperma Michx.
72 Cyperaceae Carex stenophylla V.I.Krecz. subsp.
stenophylloides (V.I.Krecz.) T.V.Egorova
짠돌사초/짠들사초 Carex stenophylla Wahlenb. subsp.
stenophylloides (V.I.Krecz.) T.V.Egorova
73 Cyperaceae Carex subumbellata Meinsh. 구름사초 Carex subumbellata Meinsh. var. koreana Ohwi
74 Cyperaceae Carex vaginata Tausch 집사초/낫사초 Carex vaginata var. petersii
(C. A. Mey. ex F. Schmidt) Akiyama
75 Cyperaceae Carex van-heurckii Müll.Arg. 망사초 Carex vanheurckii Müll.Arg.
76 Cyperaceae Eriophorum brachyantherum Trautv. & C.A.Mey. 설령황새풀 Eriophorum brachyantherum Trautv. & C. A. Mey.
77 Cyperaceae Pycreus diaphanus (Schrad. ex Roem.
& Schult.) S.S.Hooper & T.Koyama
껄끔방동사니/껄끔방동산이 Cyperus diaphanus Schrad. ex Roem. & Schult.
78 Cyperaceae Trichophorum alpinum (L.) Pers. 애기황새풀 Baeothryon alpinum (L.) Egor.
79 Orchidaceae Dactylorhiza viridis (L.) R.M.Bateman
& Pridgeon & M.W.Chase
포태제비난/포태제비란 Dactylorhiza viridis (L.) R.M.Bateman var.
coreana (Nakai) N.S.Lee
80 Orchidaceae Ponerorchis joo-iokiana (Makino) Nakai 너도제비란 Ponerorchis joo-iokiana (Makino) Soó

또한, 국내(남한) 자생식물의 정명 또는 북한식물의 중복 분류군으로 확인되어 북한식물 목록에서 제외되었을 뿐만 아니라 특산식물 지위의 재고가 필요한 분류군은 총 1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풍산가문비(Picea pungsanensis Uyeki)는 종비나무(Picea koraiensis Nakai)의 이명으로 확인되었으며, 둥근범꼬리(Bistorta globispica Nakai)는 호범꼬리[Bistorta ochotensis (Petrov ex Kom.) Kom.], 바위미나리아재비(Ranunculus crucilobus H.Lév.)는 미나리아재비(Ranunculus japonicus Thunb.), 모란바위솔[Orostachys saxatilis (Nakai) Nakai]은 가시바위솔[Orostachys fimbriata (Turcz.) A.Berger], 범의귀(Saxifraga furumii Nakai)는 구름범의귀(Saxifraga laciniata Nakai & Takeda), 구름오이풀(Sanguisorba argutidens Nakai)은 두메오이풀(Sanguisorba obtusa Maxim.), 장수만리화[Forsythia nakaii (Uyeki) T.B.Lee]는 만리화(Forsythia japonica Makino), 백두산구슬붕이(Gentiana takahashii T.Mori)는 구슬붕이(Gentiana squarrosa Ledeb.), 산좁쌀풀(Euphrasia mucronulata Nakai ex Kimura)은 애기좁쌀풀(Euphrasia coreanalpina Nakai ex Y.Kimura), 칼송이풀(Pedicularis lunaris Nakai)과 바위송이풀(Pedicularis nigrescens Nakai)은 만주송이풀(Pedicularis mandshurica Maxim.), 털분취(Saussurea rorinsanensis Nakai)는 금강분취(Saussurea diamantica Nakai), 묘향분취는 빗살서덜취, 백설취(Saussurea rectinervis Nakai)는 분취(Saussurea seoulensis Nakai), 긴산취(Saussurea umbrosa var. herbicola Nakai)는 산각시취(Saussurea umbrosa Kom.), 수염김의털(Festuca ovina L. var. chosenica Ohwi)은 김의털(Festuca ovina L.), 좀새포아풀(Poa deschampsioides Ohwi)은 두메포아풀(Poa arctica R.Br.), 금강포아풀(Poa kumgansanii Ohwi)은 선꿰미풀(Poa nemoralis L.)의 이명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북한식물 목록

북한식물 현황

북한식물 486분류군은 64과 236속 449종 13아종 21변종 1품종 2교잡종으로 구성되며(Table 4, Appendix 1), 이는 북한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관속식물 3,623분류군의 13.41%에 해당하고, 한반도 자생식물 3,939분류군의 12.34%에 해당한다(CBD, 2016; Korean Plant Names Index Committee, 2023). 486분류군 중 북한에서 채집되어 증거표본으로 기록된 분류군은 344분류군(70.78%), 증거표본 없이 문헌으로만 기록된 분류군은 142분류군(29.22%)으로 확인된다(Fig. 1). 양치식물은 7과 7속 14분류군(2.88%), 겉씨식물은 3과 3속 5분류군(1.03%), 속씨식물 중 쌍떡잎식물은 42과 169속 320분류군(65.84%), 외떡잎식물 12과 57속 147분류군(30.25%)으로 구성된다(Table 4). 북한식물을 과별로 분석한 결과, 사초과 67분류군(13.79%), 국화과 53분류군(10.91%), 미나리아재비과 40분류군(8.23%), 벼과 39분류군(8.02%), 장미과 27분류군(5.56%)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다(Fig. 2).

Table 4.

Summary statistics of the North Korea plants.

Family Genus Species Subspecies Variety Form Hybrid taxa Total Ratio (%)
Pteridophytes 7 7 14 0 0 0 0 14 2.88
Gymnosperm 3 3 3 1 1 0 0 5 1.03
Angiosperm 54 226 432 12 20 1 2 467 96.09
Dicotyledons 42 169 293 8 17 1 1 320 65.84
Monocotyledons 12 57 139 4 3 0 1 147 30.25
Total 64 236 449 13 21 1 2 486 100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4-037-02/N0820370208/images/kjpr_2024_372_171_F2.jpg
Fig. 2.

The number of North Korea plant taxa by family.

희귀식물 현황

세계자연보전연맹(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에서 지정한 희귀식물의 범주 및 기준에 따라 산림청에서 제시한 희귀식물 목록을 근거로 할 때, 약관심종(Least Concern, LC)을 제외한 희귀식물은 위급종(Critically Endangered, CR)은 나도여로 1분류군, 희귀식물로 판단하기에 근거가 부족한 정보 부족 종(Data Deficient, DD)은 산이스라지(Prunus japonica Thunb.), 물지채(Triglochin palustre L.), 구름제비란(Platanthera ophrydioides F.Schmidt) 등 총 1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Joo et al. (2016)에 의해 북한에서 출판된 ‘우리나라 희귀식물’에 따라 희귀식물을 파악한 결과 총 51분군이 확인되었으며, 위급종(CR)은 아물고사리[Dryopteris amurensis (Milde) Christ], 풀산딸나무(Cornus canadensis L.), 애기무엽란(Neottia acuminata Schltr.) 등 5분류군, 위기종(EN)은 선투구꽃(Aconitum ranunculoides Turcz.), 남포분취(Saussurea chinnampoensis H.Lév. & Vaniot), 유령란(Epipogium aphyllum Sw.) 등 11분류군, 취약종(Vulnerable, VU)은 흰물싸리[Potentilla glabra Lodd. var. mandshurica (Maxim.) Hand.-Mazz.], 오리나무더부살이[Boschniakia rossica (Cham. & Schltdl.) B.Fedtsch.], 노랑복주머니란(Cypripedium calceolus L.) 등 16분류군, 준위협종(NT)은 곱향나무[Juniperus communis L. subsp. alpina (Suter) Celak.], 금강인가목[Pentactina rupicola Nakai], 나도여로 등 11분류군, 정보 부족 종(DD)은 종비나무(Picea koraiensis Nakai), 쌍실버들(Salix divaricata Pall.), 긴잎끈끈이주걱(Drosera anglica Huds.) 등 8분류군으로 파악된다(Appendix 1).

특산식물 및 북방계식물 현황

북한식물의 특산식물 여부를 확인한 결과, 장군풀(Rheum coreanum Nakai), 낭림새풀(Calamagrostis subacrochaeta Nakai) 등 20분류군이 확인되며, 이 중 장군풀, 금강인가목, 설령황기(Astragalus setsureianus Nakai) 3분류군은 ‘우리나라 희귀식물’(Joo et al., 2016)에 따라 고유식물로 확인된다.

북한식물 중에서 북방계식물은 총 160분류군(32.92%)으로, 이는 북방계식물 616분류군의 25.65%에 해당한다(Gantsetseg et al., 2020). 물속새(Equisetum fluviatile L.), 바람고사리(Cystopteris sudetica A.Braun & Milde) 등 양치식물은 4과 4속 6분류군, 겉씨식물은 종비나무, 곱향나무 2과 2속 2분류군, 쌍떡잎식물은 가래바람꽃(Anemone dichotoma L.), 아광나무(Crataegus maximowiczii C.K.Schneid.) 등 25과 70속 107분류군, 외떡잎식물은 노랑부추(Allium condensatum Turcz.), 총전광이[Glyceria lithuanica (Gorski) Gorski] 등 8과 16속 4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유전자원 수집을 위한 WCVP와의 북한식물 학명 비교

POWO는 전 세계 식물자원에 대한 표본, 학명, 분포정보를 종합적으로 다루는 온라인 DB로 매주 엄선된 최신 분류학적 연구를 토대로 한 식물 종 정보가 꾸준히 갱신되며,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IPNI, 2023)에 기반한 WCVP를 분류학적 DB의 근간으로 한다(Govaerts et al., 2021; Murguia-Romero et al., 2023). POWO는 주로 넓은 종의 개념에 따라 이명 여부를 판단하며, BGCI에 속한 전 세계 수목원은 POWO가 제안한 식물의 정명을 바탕으로 유전자원을 공유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북한 관속식물 총목록(Chang et al., 2019)의 학명과 POWO에서 인정하는 북한식물 학명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였다(BGCI, 2023b; Govaerts et al., 2021; Park et al., 2013).

북한식물 486분류군 중 학명이 서로 일치하는 북한식물은 405분류군(83.33%)이었으며, 일치하지 않는 북한식물은 81분류군(16.67%)으로 확인되었다(Table 5). 불일치 하는 학명을 유형별로 분류하면, 속명이 변경되었을 때 긴개싱아[Aconogonon ajanense (Regel & Tiling) H.Hara] 등 27분류군(33.33%), 종소명이 변경되었을 때 흰양귀비(Papaver nudicaule L.) 등 18분류군(22.22%), 분류학적 계급이 변경되었을 때 북바람꽃(Anemone cathayensis Kitag.) 등 15분류군(18.52%), 명명자를 잘못 기재하였을 때 호범꼬리[Bistorta ochotensis (Petrov ex Kom.) Kom.] 등 15분류군(18.52%), 단순 오타일 때 긴수염잠자리피(Tripogon longearistatus Hack. ex Honda) 등 3분류군(3.70%), unplaced name일 때 털싱아[Aconogonon brachytrichum (Ohwi) Soják] 등 3분류군(3.70%)으로 확인되었다. POWO에서 정의하는 unplaced name은 정명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거나, 이명에 포함되어야 할 학명이다(POWO, 2023).

Table 5.

Comparison between correct names of North Korea plant and scientific names proposed by POWO.

No. Family Correct namez Vernacular name
of Korea/Vernacular
name of North
Korea
POWOy
1 Athyriaceae Athyrium alpestre (Hoppe) Clairv. 산고사리 Athyrium filix-femina (L.) Roth
2 Cupressaceae Juniperus davurica Pall. -/단천향나무 Juniperus sabina var. davurica (Pall.) Farjon
3 Cephalotaxaceae Cephalotaxus harringtonia var. nana
(Nakai) Rehder
-/눈비자나무 Cephalotaxus harringtonii var. nana (Nakai) Rehd.
4 Polygonaceae Aconogonon ajanense (Regel & Tiling) H.Hara 긴개싱아 Polygonum ajanense (Regel & Tiling) Grig.
5 Polygonaceae Aconogonon brachytrichum (Ohwi) Soják 털싱아 Polygonum brachytrichum Ohwi
6 Polygonaceae Aconogonon limosum (Kom.) H.Hara 산바위싱아 Koenigia limosa (Kom.) T.M.Schust. & Reveal
7 Polygonaceae Aconogonon mollifolium (Kitag.) H.Hara 얇은개싱아 Pleuropteropyrum mollifolium Kitag.
8 Polygonaceae Bistorta ochotensis (Petrov ex Kom.) Kom. 호범꼬리/되범꼬리 Bistorta ochotensis Kom.
9 Polygonaceae Polygonum taquetii H. Lév. -/겨이삭여뀌 Persicaria taquetii (H.Lév.) Koidz.
10 Polygonaceae Rumex gmelinii Turcz. ex Ledeb. 호대황 Rumex gmelinii Turcz.
11 Caryophyllaceae Lychnis fulgens Fisch. 털동자꽃 Silene banksia (Meerb.) Mabb.
12 Caryophyllaceae Minuartia arctica (Steven ex Ser.) Graebn. 나도개미자리 Cherleria arctica (Steven ex Ser.) A.J.Moore
& Dillenb.
13 Caryophyllaceae Minuartia macrocarpa (Pursh) Ostenf.
var. koreana (Nakai) H.Hara
차일봉개미자리/
참개미자리
Pseudocherleria macrocarpa (Pursh) Dillenb.
& Kadereit
14 Ranunculaceae Aconitum sczukinii Turcz. 넓은잎초오/
넓은잎오독도기
Aconitum fischeri Rchb.
15 Ranunculaceae Aconitum villosum Rchb. 참줄바꽃/가는돌쩌귀 Aconitum ochotense Rchb.
16 Ranunculaceae Anemone baicalensis Kom. 쌍동바람꽃 Anemonastrum baicalense (Turcz.) Mosyakin
17 Ranunculaceae Anemone baicalensis Turcz. var.
glabrata Maxim.
바이칼바람꽃 Anemonoides glabrata (Maxim.) Holub
18 Ranunculaceae Anemone cathayensis Kitag. 북바람꽃 Anemone cathayensis var. hispida Tamura
19 Ranunculaceae Anemone dichotoma L. 가래바람꽃 Anemonastrum dichotomum (L.) Mosyakin
20 Ranunculaceae Anemone narcissiflora var. crinita (Juz.) Tamura -/큰바람꽃 Anemonastrum crinitum (Juz.) Holub
21 Ranunculaceae Anemone pseudoaltaica H.Hara 국화바람꽃/
구와바람꽃
Anemonoides pseudoaltaica (H.Hara) Holub
22 Ranunculaceae Anemone umbrosa C.A.Mey. 숲바람꽃 Anemonoides umbrosa (C.A.Mey.) Holub
23 Ranunculaceae Delphinium naviculare W.T.Wang 배제비고깔 Delphinium iliense Huth
24 Ranunculaceae Ranunculus eradicatus (Laest.) F. Johansen -/좀물바구지 Ranunculus trichophyllus (Chaix) Bosch subsp.
eradicatus (Laest.) C.D.K.Cook
25 Ranunculaceae Ranunculus japonicus Thunb. var.
propinquus (C.A.Mey.) W.T.Wang
산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Thunb.
26 Papaveraceae Papaver nudicaule L. 흰양귀비 Papaver amurense (N.Busch) Karrer
27 Brassicaceae Cardamine tenuifolia (Ledeb.) Turcz. 좁은잎미나리냉이/
덩이냉이
Cardamine trifida (Lam. ex Poir.) B.M.G.Jones
28 Crassulaceae Orostachys fimbriata (Turcz.) A.Berger 가시바위솔/
모란바위솔
Orostachys malacophylla (Pall.) Fisch.
29 Saxifragaceae Saxifraga laciniata Nakai & Takeda 구름범의귀 Micranthes laciniata (Nakai & Takeda)
S.Akiyama & H.Ohba
30 Saxifragaceae Saxifraga manshuriensis (Engl.) Kom. 흰바위취 Micranthes manchuriensis (Engl.) Gornall
& H.Ohba
31 Grossulariaceae Ribes diacanthum Pall. 가시까치밥나무 Ribes diacantha Pall.
32 Rosaceae Dryas octopetala L. var. asiatica
(Nakai) Nakai
담자리꽃나무 Dryas ajanensis Juz.
33 Rosaceae Potentilla tanacetifolia Willd. ex Schltdl. 가는잎푸른딱지꽃 Potentilla tanacetifolia D.F.K.Schltdl.
34 Rosaceae Prinsepia sinensis (Oliv.) Oliv. ex Bean 빈추나무 Prinsepia sinensis (Oliv.) Hallier
35 Fabaceae Astragalus dahuricus (Pall.) DC. 자주황기 Oxytropis dissitiflora Ledeb.
36 Fabaceae Oxytropis anertii Nakai ex Kitag. 두메자운 Oxytropis anertii Nakai
37 Geraniaceae Geranium onaei var. glabrescens
(Nakai ex H. Hara) Yonek.
-/부전쥐손이 Geranium reinii Franch. & Sav.
38 Apiaceae Conioselinum kamtschaticum Rupr. 산천궁 Tilingia ajanensis Regel & Tiling
39 Apiaceae Peucedanum formosanum Hayata -/자주기름나물 Kitagawia formosana (Hayata) Pimenov
40 Apiaceae Peucedanum litorale Vorosch. & Gorovoj -/섬기름나물 Kitagawia litoralis (Vorosch. & Gorovoj)
Pimenov
41 Apiaceae Pimpinella calycina Maxim. -/큰산참나물 Spuriopimpinella calycina (Maxim.) Kitag.
42 Ericaceae Rhododendron lapponicum (L.) Wahlenb. 황산차 Rhododendron parvifolium Adams
43 Primulaceae Androsace villosa L. var. incana (Lam.) Duby 증산봄맞이 Androsace incana Lam.
44 Rubiaceae Galium trachyspermum f. hispidum
(Matsuda) Ohwi
-/참털네잎갈퀴 Galium bungei var. hispidum (Matsuda) Cufod.
45 Lamiaceae Phlomis koraiensis Nakai 산속단 Phlomoides koraiensis (Nakai) Kamelin & Makhm
46 Lamiaceae Stachys oblongifolia Benth. 우단석잠풀 Stachys oblongifolia Wall. ex Benth.
47 Scrophulariaceae Melampyrum laxum var. arcuatum
(Nakai) Soό
-/큰새애기풀 Melampyrum laxum Miq.
48 Scrophulariaceae Veronica stelleri Pall. ex Link var.
longistyla Kitag.
두메꼬리풀/
두메투구꽃
Veronica serpyllifolia var. humifusa (Dicks.) Sm.
49 Scrophulariaceae Veronicastrum tubiflorum
(Fisch. & C.A.Mey.) H.Hara
버들잎꼬리풀 Veronicastrum tubiflorum
(Fisch. & C.A.Mey.) Soják
50 Orobanchaceae Orobanche pycnostachya Hance var.
amurensis Beck
압록더부살이 Orobanche pycnostachya var.
amurensis (Beck) Beck
51 Asteraceae Achillea ptarmica L. var. acuminata
(Ledeb.) Heimerl
큰톱풀 Achillea acuminata (Ledeb.) Sch.Bip.
52 Asteraceae Artemisia bargusinensis Spreng. 증산쑥 Artemisia campestris subsp. borealis (Pall.)
H.M.Hall & Clem.
53 Asteraceae Artemisia gmelinii var.
messerschmidtiana (Besser) Poljakov
-/털산쑥 Artemisia gmelinii var. messerschmidiana
(Besser) Poljakov
54 Asteraceae Artemisia viridissima (Kom.) Pamp. 외잎쑥 Artemisia viridissima Pamp.
55 Asteraceae Hieracium coreanum Nakai 껄껄이풀 Crepis coreana (Nakai) Sennikov
56 Asteraceae Klasea centauroides (L.) Cass. subsp.
komarovii (Iljin) L.Martins
잔잎산비장이 Klasea centauroides (L.) Cass. ex Kitag.
57 Asteraceae Ligularia japonica (Thunb.) Less. 무산곰취 Ligularia japonica (L.f.) Less. ex DC.
58 Asteraceae Senecio ambraceus Turcz. ex DC. 큰쑥방망이 Jacobaea ambracea (Turcz. ex DC.) B.Nord.
59 Asteraceae Senecio cannabifolius Less. 삼잎방망이 Jacobaea cannabifolia (Less.) E.Wiebe
60 Asteraceae Senecio pseudoarnica Less. 웅기솜나물 Jacobaea pseudoarnica (Less.) Zuev
61 Liliaceae Lloydia serotina (L.) Rchb. 개감채/두메무릇 Gagea serotina (L.) Ker Gawl.
62 Eriocaulaceae Eriocaulon tenuissimum Nakai 가는개수염/
가는잎별수염풀
Eriocaulon miquelianum Körn.
63 Poaceae Anthoxanthum odoratum subsp.
nipponicum (Honda) Tzvelev
-/까락향기풀 Anthoxanthum nipponicum Honda
64 Poaceae Calamagrostis stricta (Timm) Koeler 야지피 Calamagrostis inexpansa A.Gray
65 Poaceae Crypsis aculeata (L.) Aiton 갯율무 Sporobolus aculeatus (L.) P.M.Peterson
66 Poaceae Festuca takedana Ohwi 개묵새 Festuca nuda (Hack. ex Takeda) Koba,
H.Ikeda & Yonek.
67 Poaceae Hierochloe alpina (Sw. ex Willd.) Roem.
& Schult.
산향모 Anthoxanthum monticola (Bigelow) Veldkamp
68 Poaceae Hystrix coreana (Honda) Ohwi 고려개보리 Elymus coreanus Honda
69 Poaceae Poa arctica R.Br. 두메포아풀 Poa lanata Scribn. & Merr.
70 Poaceae Poa pratensis L. var. hatusimae (Ohwi) Ohwi 북왕포아풀 Poa pratensis L.
71 Poaceae Puccinellia pumila (Vasey) Hitchc. 천도미꾸리광이 Puccinellia pumila (Macoun ex Vasey) Hitchc.
72 Poaceae Stipa mongholica Turcz. ex Trin. 수염풀 Ptilagrostis mongholica (Turcz. ex Trin.) Griseb.
73 Poaceae Tripogon longearistatus Hack. ex Honda -/긴수염잠자리피 Tripogon longe-aristatus Hack. ex Honda
74 Poaceae Trisetum spicatum (L.) K.Richt. 산잠자리피 Koeleria spicata (L.) Barberá, Quintanar,
Soreng & P.M.Peterson
75 Cyperaceae Carex misandra R.Br. 얼룩사초 Carex fuliginosa Schkuhr
76 Cyperaceae Carex pseudolongerostrata Y. L. Chang
& Y. L. Yang
-/백두피사초 Carex nodaeana A.I.Baranov & Skvortsov
77 Cyperaceae Carex rotundata Wahlenb. 물사초 Carex tsuishikarensis Koidz. & Ohwi
78 Cyperaceae Carex tarumensis Franch. 검은꼬리사초 Carex buxbaumii Wahlenb.
79 Cyperaceae Carex wahuensis var. robusta
(Franch. & Sav.) Franch. & Sav.
-/갯사초 Carex wahuensis subsp. robusta
(Franch. & Sav.) T.Koyama
80 Cyperaceae Kobresia myosuroides (Vill.) Fiori 좀바늘사초 Carex myosuroides Vill.
81 Cyperaceae Pycreus diaphanus (Schrad. ex Roem.
& Schult.) S.S.Hooper & T.Koyama
껄끔방동사니 Cyperus diaphanus Schrad.

zSourced from Chang et al. (2019).

ySourced from POWO (2023).

국내·외 수목원 북한식물 유전자원 보유 현황

전 세계 5개 대륙(아메리카, 아시아, 유럽, 오세아니아, 중동), 46개 국가의 수목원 및 식물 연구기관 333곳에서 53과 190속 384분류군의 북한식물 유전자원을 보유 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Fig. 3). 이는 BGCI에 등록된 전 세계 수목원 3,765곳 중 8.84%에 해당하며, 전체 북한식물 486분류군 중 79.01%에 해당한다(BGCI, 2023a). 대륙별 북한식물 유전자원 보유 수목원 수를 살펴보면, 유럽이 러시아(73곳), 영국(27곳) 등 29개 국가에서 총 183곳으로 가장 많았고, 아메리카 대륙은 미국(71곳), 캐나다(6곳) 등 4개 국가에서 총 82곳, 아시아 대륙은 한국(11곳), 중국(10곳) 등 9개 국가에서 총 33곳, 오세아니아는 호주(5곳), 뉴질랜드(4곳) 2개 국가에서 총 9곳, 중동은 이스라엘(1곳), 요르단(1곳) 2개 국가에서 총 2곳 순으로 파악되었다(Fig. 3A). 국가별 보유 중인 북한식물 분류군 수를 살펴보면, 일본이 252분류군으로 가장 다양한 북한식물 유전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이 164분류군, 러시아 157분류군, 영국 156분류군, 중국 155분류군, 한국 119분류군, 스위스 90분류군, 스웨덴 89분류군, 캐나다 85분류군, 독일 84분류군, 프랑스 82분류군 순으로 확인된다(Fig. 3B). 수목원별 보유 중인 북한식물 분류군 수를 살펴보면, 일본의 ‘University of Tokyo’에서 가장 많은 190분류군의 유전자원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중국의 ‘The Germplasm Bank of Wild Species’에서 119분류군, 영국의 ‘Millennium Seed Bank’에서 98분류군, 미국의 ‘National Plant Germplasm System (USDA-ARS-NGRL)’에서 97류군, 러시아의 ‘Main Botanic Garden of Russian Academy of Sciences’에서 75분류군, 에스토니아의 ‘Botanical Garden of Tartu University’에서 72분류군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다(Table 6).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4-037-02/N0820370208/images/kjpr_2024_372_171_F3.jpg
Fig. 3.

Distribution map and graph of countries holding North Korea plant genetic resources around the world. (A) The number of arboreta or herbaria with North Korea plant genetic resources by country, (B) The number of North Korea plant genetic resources taxa held by country.

Table 6.

List of the top 20 global arboreta or herbaria holding North Korea plant’s genetic resources.

No. Continent Country Arboretum Number of North
Korea plant taxa
1 Asia Japan University of Tokyo 190
2 Asia China The Germplasm Bank of Wild Species 119
3 Europe United Kingdom Millennium Seed Bank 98
4 America United States National Plant Germplasm System - USDA-ARS-NGRL 97
5 Europe Russia Main Botanic Garden of Russian Academy of Sciences 75
6 Europe Estonia Botanical Garden of Tartu University 72
7 Europe Sweden The Linnaean Gardens of Uppsala (Uppsala University) 65
8 Asia South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64
9 Europe Russia Central Siberian Botanical Garden, Siberian Branch of
Russian Academy of Sciences (CSBG SB RAN)
61
10 Asia Japan Kyoto University 57
11 Europe Switzerland Conservatoire et Jardin botaniques de la Ville de Genève 56
12 Europe United Kingdom Royal Botanic Garden Edinburgh 54
13 Asia South Korea Baekdudaegan National Arboretum 52
14 Europe Iceland Hortus Botanicus Reykjavikensis 51
15 Europe Finland Finnish Museum of Natural History/Helsinki University
Botanic Garden
49
16 Europe Norway University of Oslo Botanical Garden 49
17 America Canada Montreal Botanical Garden/Jardin botanique de Montréal 46
18 America United States Seeds of Success (SOS) 45
19 Europe Switzerland Botanical Garden of the University of Bern 44
20 Europe Germany Botanischer Garten der Johannes Gutenberg-Universität Mainz 43

고 찰

본 연구는 북한식물의 목록을 선정하고 북한식물 학명의 정·이명 관계를 문헌 및 국제적인 생물 종 DB를 기반으로 비교·분석하여 보전 우선순위에 따른 북한식물 유전자원 수집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반도 일원에 자생하는 식물 종의 국명 및 학명을 비교한 과거의 연구와 함께 구체적인 북한 자생식물 종 목록 구축 및 응용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Chang et al., 2019; Kim et al., 2019;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8).

남·북한의 분단이 장기화함에 따라 생물다양성 관련 정보교환의 부재, 학문의 이질성 등이 심화하면서 분류군 인식에 많은 차이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북한식물 486분류군 중 16.46%에 달하는 80분류군의 학명이 이명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76.25%는 분류학적 인식의 차이에 따른 분류학적 계급이나 종명 변경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이명으로 인식되어 북한식물 목록에서 제외되었을 뿐만 아니라, 특산식물 지위의 재검토가 필요한 18분류군 중 둥근범꼬리, 산좁쌀풀 등 일부 분류군은 분류학적 연구가 미미하거나 혹은 북한에 분포하여 특산식물 평가 시 미해결 후보 종(unresolved candidates)으로도 제안된 바 있다(Park et al., 2013). 따라서 북한의 대외관계에 따른 제한적인 정보공개 양상을 고려할 때, 향후 더 많은 분류군에서 학명의 불일치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며 북한식물과 관련한 기준표본 등 유전자원 및 문헌 수집을 통한 지속적인 checklist 갱신과 분류군별 명확한 실체 및 기원을 파악하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Cardoso et al., 2017; Kim et al., 2019; Park et al., 2013).

POWO, GBIF 등 국제적 협력을 바탕으로 한 범국가적 Checklist의 출현과 전 세계 국가들이 공유하는 수천만 건의 표본 및 유전자원 정보는 북한지역 생물다양성 이해의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한반도 내 일부 분류군의 도입 가능성을 평가하거나, 북한식물 분류군의 실체를 파악하고 분포 한계를 추정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OWO는 두메꼬리풀(Veronica stelleri Pall. ex Link var. longistyla Kitag.)을 방패꽃[V. serpyllifolia var. humifusa]의 이명으로 인식하며, 방패꽃은 유럽 및 북한 내로 도입된 종으로 판단되므로 유전자원 수집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Chang et al., 2019; POWO, 2023). 또한, POWO는 한반도 특산식물인 털싱아(A. brachytrichum)와 얇은개싱아[Aconogonon mollifolium (Kitag.) H.Hara]의 학명을 각각 Polygonum brachytrichum Ohwi와 Pleuropteropyrum mollifolium Kitag.의 이명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이 학명들 또한 unplaced name으로 처리되고 있어 특산식물 여부 및 분류학적 재검토가 요구된다. Veratrum maackii Regel 학명에 대해 POWO는 긴잎여로로 인식하나, 북한 관속식물 총목록(Chang et al., 2019)은 국내(남한) 자생식물인 여로로 인식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북한식물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POWO는 산미나리아재비[Ranunculus japonicus Thunb. var. propinquus (C.A.Mey.) W.T.Wang], 북왕포아풀[Poa pratensis L. var. hatusimae (Ohwi) Ohwi]을 각각 자동명인 Ranunculus japonicus Thunb. var. japonicus, Poa pratensis L. subsp. pratensis로 인식하고 있다. 이 경우, 산미나리아재비와 북왕포아풀은 각각 국내(남한) 자생식물인 미나리아재비와 왕포아풀로 인식되므로 북한식물 유전자원 수집에 참고할 필요가 있다. 또한, Carex tarumensis Franch. 학명에 대하여 북한 관속식물 총목록은 검은꼬리사초로, POWO 및 환경부(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8)는 Carex buxbaumii Wahlenb.의 이명으로 달리 인식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분류학적으로 논란이 있는 분류군들에 대하여 향후 면밀한 실체 및 기원 분석이 요구되며, 해외 기관을 통한 북한식물 유전자원 수집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Table 5).

북한식물은 중국, 러시아를 포함한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일부 식물들은 동유럽 및 북부 아메리카에 이르기까지 세계 각국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대륙별 수목원 및 북한식물 유전자원 보유 현황을 살펴보면, 아메리카 대륙은 미국(71곳)에서 164분류군, 아시아에서는 한국(11곳, 119분류군)을 제외하고 일본(3곳)에서 252분류군, 중국(10곳)에서 155분류군, 유럽은 러시아(73곳)와 영국(27곳)에서 각각 157, 156분류군으로, 이 국가들은 대륙 내 다른 국가에 비해 보유하고 있는 북한식물 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Fig. 3, Table 6). 이중 동북아시아 국가(한국, 일본, 러시아 등)들에서 보유 종 다양성이 높은 이유는 상대적으로 높은 북한지역과의 지리적 근접성뿐만 아니라 과거 한반도에서 채집활동을 수행했던 식물학자들의 표본들이 각 나라의 표본관에 나누어 보관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1897년에 압록강, 두만강 일대에서 러시아의 식물학자 Komarov 에 의해 채집되었던 표본은 러시아 Komarov 식물원 표본관(LE), 미국 하버드대학 표본관(A)에 나누어 보관된 것으로 추정된다(Chang and Chang, 2003). 일본의 경우,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북한식물 유전자원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는 1800년대 후반부터 1945년 이전 T. Nakai 등 다수의 일본 식물학자들이 축적한 고표본이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T. Nakai, T. Ishidoya 등이 수차례의 북한지역 내 식물채집을 통해 얻은 상당수의 표본을 주로 일본의 도쿄대학 표본관(TI)에 보관하였으며, U. Faurie, G. Koidzumi 등의 채집표본들은 교토대학 표본관(KYO)에, J. Ohwi 등의 채집표본들은 일본 국립과학박물관(TNS)에 주로 소장되어 있다(Chang and Chang, 2010; Chang et al., 2004, 2013, 2016; Kim et al., 2006, 2007). 특히, E. H. Wilson에게 전달된 T. Ishidoya의 표본들이 현재 미국의 하버드대학 표본관(A)에 보관되어져 있거나, U. Faurie의 표본들이 유럽의 전문가들에게 매각된 후, 현재 미국(A)이나 유럽 등지의 표본관(B, E, LE)에 분산되어 보관되는 등이 타 국가의 북한식물 유전자원 보유 비율이 높아진 요인 중 하나로 생각된다(Chang and Chang, 2010; Chang et al., 2004).

희귀식물 등급 자료 부족 종(DD)인 넓은잎초오, 함북사초(Carex echinata Murray) 등 14북한식물 분류군들의 유전자원 보유 현황이 확인되었다. 특산식물의 경우 장군풀, 금강인가목, 산이스라지 3분류군이 영국의 Royal Botanic Garden Edinburgh 및 국내 일부 수목원 내에서 현지 외 보전 중인 것으로 확인된다. 북방계식물의 경우 장백패랭이꽃(Dianthus repens Willd.), 아광나무 등 132분류군의 북방계식물이 현지 외 보전 중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에는 가솔송[Phyllodoce caerulea (L.) Bab.], 긴잎별꽃(Stellaria longifolia Muhl. ex Willd.), 긴잎끈끈이주걱(Drosera anglica Huds.), 장지채(Scheuchzeria palustris L.) 등 고산식물 19분류군도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Kong, 2002b). 산부채(Calla palustris L.), 하늘매발톱(Aquilegia flabellata Siebold & Zucc.) 등 관상가치가 있거나 황산차[Rhododendron lapponicum (L.) Wahlenb.], 아광나무 등 식용 또는 약용으로 쓰일 수 있어 경제작물로 잠재력이 있는 식물도 8분류군 확인되었다(Ahn et al., 2003). 이처럼 북한식물 중 경제적 및 보전 가치가 높은 식물 종들의 유전자원을 도입하여 한반도 생물다양성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한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북한식물 목록 중 북방계식물은 160분류군(32.92%)으로 비중이 높은데, 이는 과거 간빙기의 온난한 시기에 북쪽에서 다양한 온난대, 아한대 및 한대성 식물들이 한반도 및 백두대간 일대의 고지대로 이동하여 잔존하기 때문이다(Gantsetseg et al., 2020; Kong, 2002b, 2005). 북방계식물은 대부분 고산대에 고립되어 있어 기후변화에 취약한 분류군으로 알려져 있으며(Kim et al., 2011), 수목원은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희귀식물의 생존율을 증진하기 위하여 해외 기관으로부터의 metacollection 도입을 통해 보전체계를 강화하기도 한다(Breman et al., 2021; Havinga et al., 2016; Wood et al., 2020). 2곳 이상의 서로 다른 수목원에서 현지외 보전되는 같은 종의 식물 개체들은 오랜 기간 다양한 수목원 환경에 적응하면서 유전적 다양성을 획득하고, 유전적 부동에 의한 손실을 회피한다. 이러한 metacollection은 기후 및 환경적 요인에 따른 생리학적(Primack et al., 2004), 생태학적(Miller-Rushing and Primack, 2008), 계통분류학적(Willis et al., 2008) 연구에 좋은 모델로도 이용된다(Griffith et al., 2020). 이를 위해 유전자원 보유 강국과의 협력 체계 유지를 통한 지속적인 유전자원의 다양성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Index Seminum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해외 기관으로부터 수집된 북한식물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분류군별 최적의 생육조건 파악, 계통분석, 유용자원 발굴, 생태계 복원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한반도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과학적 기반 마련과 글로벌 거버넌스 구축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생각된다(An et al., 2016; Kim, 2021).

적 요

전 세계 수목원 및 표본관이 보유하고 있는 식물 유전자원 현황 및 정보 공유체계를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면, 현재 물리적으로 접근이 어려운 북한지역의 생물다양성 보전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북한에 자생하지만, 국내(남한)에는 자생하지 않는 식물들에 대한 학명을 검토하고 국내·외 수목원의 유전자원 보유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북한식물 목록 선정을 위해 한반도 관속식물과 관련한 문헌이나 온라인 식물 종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재배 및 외래식물 여부, 이명, 분포 범위 등을 검토하였으며, Botanic Gardens Conservation International Plant Database와 각 수목원의 Index Seminum을 활용하여 북한식물에 대한 전 세계 수목원의 유전자원 보유 현황을 파악하였다. 64과, 236속, 449종, 13아종, 21변종, 1품종, 2교잡종 등 486분류군에 대한 북한식물 목록을 선정하였으며 희귀식물, 특산식물, 북방계식물 등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전 세계 5개 대륙, 46개 국가, 333곳의 수목원 및 식물 연구기관에서 53과 190속 384분류군의 북한식물 유전자원을 보유 중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북한 지역과의 지리적 근접성, 과거 식물학자의 이동 등의 요인으로 한국, 일본, 러시아 등 동북아시아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북한식물 유전자원 종 다양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본 연구는 북한 자생식물 종 목록 구축 및 응용을 도모하여 한반도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한 과학적 기반 마련과 글로벌 거버넌스 구축에 이바지할 것으로 생각된다.

Supplementary Material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산림청 국립수목원 연구개발사업(과제번호: KNA1-2-42, 22-2)인 ‘북한식물자원 수집 및 보전 기반 구축 연구(A Study on Collections and Conservation of North Korea Plant Resources)’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므로 이에 감사드립니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y have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Ahn, Y.H., B.C. Kim, K.H. Kang, D.K. Cho and C.H. Lee. 2003.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around Tuman River in China. Korean J. Environ. Ecol. 17(3):187-200 (in Korean).
2
An, J.H., C.H. Lim, S.H. Jung, A.R. Kim and C.S. Lee. 2016.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biodiversity and measures for them. J. Wet. R. 18(4):474-480 (in Korean). 10.17663/JWR.2016.18.4.474
3
BGCI. 2023a. GardenSearch online database. Facilitated by the Botanic Gardens Conservation International, Richmond, U.K. Published on the Internet. Retrieved from https://tools.bgci.org/garden_search.php on Jul. 16, 2023.
4
BGCI. 2023b. PlantSearch online database. Facilitated by the Botanic Gardens Conservation International, Richmond, U.K. Published on the Internet. Retrieved from https://www.bgci.org/resources/bgci-databases/plantsearch on Jul. 16, 2023.
5
Breman E, D. Ballesteros, E. Castillo-Lorenzo, C. Cockel, J. Dickie, A. Faruk, K. O'Donnell, C.A. Offord, S. Pironon, S. Sharrock and T. Ulian. 2021. Plant diversity conservation challenges and prospects-the perspective of botanic gardens and the Millennium Seed Bank. Plants 10(11):2371. 10.3390/plants1011237134834734PMC8623176
6
Brummitt, N.A., S.P. Bachman, J. Griffiths-Lee, M. Lutz, J.F. Moat, A. Farjon, J.S. Donaldson, C. Hilton-Taylor, T.R. Meagher, S. Albuquerque, E. Aletrari, A.K. Andrews, G. Atchison, E. Baloch, B. Barlozzini, A. Brunazzi, J. Carretero, M. Celesti, H. Chadburn, E. Cianfoni, C. Cockel, V. Coldwell, B. Concetti, S. Contu, V. Crook, P. Dyson, L. Gardiner, N. Ghanim, H. Greene, A. Groom, R. Harker, D. Hopkins, S. Khela, P. Lakeman-Fraser, H. Lindon, H. Lockwood, C. Loftus, D. Lombrici, L. Lopez-Poveda, J. Lyon, P. Malcolm-Tompkins, K. McGregor, L. Moreno, L. Murray, K. Nazar, E. Power, M.Q. Tuijtelaars, R. Salter, R. Segrott, H. Thacker, L.J. Thomas, S. Tingvoll, G. Watkinson, K. Wojtaszekova and E.M.N. Lughadha. 2015. Green plants in the red: A baseline global assessment for the IUCN Sampled Red List Index for Plants. PLoS ONE 10(8):e0135152. 10.1371/journal.pone.013515226252495PMC4529080
7
Cardoso, D., T. Särkinen, S. Alexander, A.M. Amorim, V. Bittrich, M. Celis, D.C. Daly, P. Fiaschi, V.A. Funk, L.L. Giacomin, R. Goldenberg, G. Heiden, J. Iganci, C.L. Kelloff, S. Knapp, H. Cavalcante de Lima, A.F.P. Machado, R. Manoel dos Santos, R. Mello-Silva, F.A. Michelangeli, J. Mitchell, P. Moonlight, P.L. Rodrigues de Moraes, S.A. Mori, T. Sacramento Nunes, T.D. Pennington, J.R. Pirani, G.T. Prance, L. Paganucci de Queiroz, A. Rapini, R. Riina, C.A. Vargas Rincon, N. Roque, G. Shimizu, M. Sobral, J.R. Stehmann, W.D. Stevens, C.M. Taylor, M. Trovó, C. Van den Berg, H. Van der Werff, P. Lage Viana, C.E. Zartman and R.C. Forzza. 2017. Amazon plant diversity revealed by a taxonomically verified species list. Proc. Natl. Acad. Sci. U.S.A. 114:10695-10700. 10.1073/pnas.170675611428923966PMC5635885
8
CBD Global Strategy for Plant Conservation. 2023. Updated Global Strategy for Plant Conservation 2011-2020. Retrieved from https://www.cbd.int/gspc on Jul. 16, 2023.
9
CBD. 2016. The 5th National Report on Biodiversity of DPR Korea. Retrieved from https://www.cbd.int/doc/world/kp/kp-nr-05-en.pdf. on Jul. 16, 2023.
10
Chang, C.S. and K.S. Chang. 2003. Reexamination on V. L. Komarov's collection sites in North Korea - mainly based on Flora Manshuriae -. Korean J. Pl. Taxon. 34(2):203-218 (in Korean). 10.11110/kjpt.2003.33.2.203
11
Chang, C.S. and K.S. Chang. 2010. Reexamination on foreign collectors' sites and exploration routes in Korea (IV) - with respect to T. Ishidoya -. Korean J. Pl. Taxon. 40(2):90-104 (in Korean). 10.11110/kjpt.2010.40.2.090
12
Chang, C.S., B.H. Choi, H. Kim and J.Y. Lee. 2004. Reexamination on foreign collectors' sites and exploration routes in Korea - with respect to U. Faurie -. Korean J. Pl. Taxon. 34(2):87-96 (in Korean). 10.11110/kjpt.2004.34.2.087
13
Chang, C.S., H. Kim, H.T. Shin and C.H. Lee. 2019.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of North Korea. DESIGNPOST Publishing Co., Goyang, Republic of Korea. p. 697.
14
Chang, C.S., H.W. Kim and H. Kim. 2016. A bibliography of six foreign plant collectors (Imai, Mills, Furumi, Nomura, Saito, and Okuyama) in North Korea. Korean J. Pl. Taxon. 46(1):1-18 (in Korean). 10.11110/kjpt.2016.46.1.65
15
Chang, K.S., S.K. Park, H. Kim and C.S. Chang. 2013. A gazetteer of three Japanese plant taxonomists (Koidzumi, G., J. Ohwi and S. Kitamur) of Kyoto University in Korea during 1930s. Korean J. Pl. Taxon. 43(4):319-331 (in Korean). 10.11110/kjpt.2013.43.4.319
16
Chen, Y. S., T. Deng, Z. Zhou and H. Sun. 2018. Is the East Asian flora ancient or not? Natl. Sci. Rev. 5(6):920-932. 10.1093/nsr/nwx156
17
Choi, J., H.T. Shin, S.Y. Jung, S.J. Kim, J.B. An, A.Y. Lee and G.PP. Bak. 2020. Selecting native plants for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barren land of the Korean DMZ (Demilitarized Zone). KJMAS 76(2):367-389 (in Korean).
18
Christenhusz, M.J.M., J.L. Reveal, A. Farjon, M.F. Gardner, R.R. Mill and M.W. Chase. 2011. A new classification and linear sequence of extant gymnosperms. Phytotaxa 19:55-70. 10.11646/phytotaxa.19.1.3
19
Chung, G.Y., H.D. Jang, K.S. Chang, H.J. Choi, Y.S. Kim, H.J. Kim and D.C. Son. 2023.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II. Korean J. Pl. Taxon. 53(2):79-101. 10.11110/kjpt.2023.53.2.79
20
FAO. 2020. Incentives for Ecosystem Services. Retrieved from http://www.fao.org/in-action/incentives-for-ecosystem-services/policy/sdgs/en on Jul. 16, 2023.
21
Gantsetseg, A., S.Y. Jung, W.B. Cho, E.K. Han, S.K. So and J.H. Lee. 2020. Definition and species list of northern lineage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Herb. Med. Inf. 8(2):183-204.
22
GBIF. 2023.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Retrieved from https://www.gbif.org on Jul. 16, 2023.
23
Govaerts, R., E. Nic Lughadha, N. Black, R. Turner and A. Paton. 2021. The world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a continuously updated resource for exploring global plant diversity. Sci. Data 8(1):215. 10.1038/s41597-021-00997-634389730PMC8363670
24
Griffith, M.P., T. Clase, P. Toribio, Y.E. Piñeyro, F. Jimenez, X. Gratacos, V. Sanchez, A. Meerow, A. Meyer, A. Kramer, J. Fant, K. Havens, T.M. Magellan, M. Dosmann and S. Hoban. 2020. Can a botanic garden metacollection better conserve wild plant diversity? A case study comparing pooled collections with an ideal sampling model. Int. J. Plant. Sci. 81(5):485-496. 10.1086/707729
25
Habibullah, M.S., B.H. Din, S.H. Tan and H. Zahid. 2022. Impact of climate change on biodiversity loss: Global evidence. Environ. Sci. Pollut. R. 29(1):1073-1086. 10.1007/s11356-021-15702-834341937
26
Havinga, R., A. Kool, F. Achille, J. Bavcon, C. Berg, C. Bonomi, M. Burkart, D. De Meyere, J. Hart, M. Havström, P. Keßler, B. Knickmann, N. Köster, R. Martinez, H. Ostgaard, B. Ravnjak, A. Scheen, P. Smith, P. Smith, S.A. Socher and V. Vange. 2016. The Index Seminum: Seeds of change for seed exchange. Taxon 65:333-336. 10.12705/652.9
27
Heo, H.Y. and B.H. Yu. 2021. A review on the legal system for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protected areas status in DPRK. Korean J. Environ. Ecol. 35(1):81-91 (in Korean). 10.13047/KJEE.2021.35.1.81
28
Hong, S.I. 1989. Geography of Korea: For the Department of Geography. Kim Il Sung University.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p. 353 (in Korean).
29
Hooke, R.L.B., J.F. Martín-Duque and J. Pedraza. 2012. Land transformation by humans: a review. GSA Today 22:4-10. 10.1130/GSAT151A.1
30
Im, R.J. 1996a. Flora Coreana 1. Th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p. 359 (in Korean).
31
Im, R.J. 1996b. Flora Coreana 2. Th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p. 311 (in Korean).
32
Im, R.J. 1996c. Flora Coreana 3. Th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p. 383 (in Korean).
33
Im, R.J. 1998a. Flora Coreana 4. Th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p. 402 (in Korean).
34
Im, R.J. 1998b. Flora Coreana 5. Th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p. 367 (in Korean).
35
Im, R.J. 1999a. Flora Coreana 6. Th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p. 387 (in Korean).
36
Im, R.J. 1999b. Flora Coreana 7. Th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p. 403 (in Korean).
37
Im, R.J. 2000a. Flora Coreana 8. Th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p. 427 (in Korean).
38
Im, R.J. 2000b. Flora Coreana 9. Th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p. 378 (in Korean).
39
IPNI. 2023.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Retrieved from https://www.ipni.org on Jul. 16, 2023.
40
Joo, I.Y., S.C. Choi, C.G. Kang, H.S. Park, Y.J. Lee, M.H. Shin, M.S. Jo and S.J. Jang. 2016. Rare plants in Korea. Science and Encyclopedia Publishing House, Pyongyang,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p. 159 (in Korean).
41
Kang, E.S., S. Lee, S.H. Oh, D. Kim, S. Jung and D.C. Son. 2020. Comprehensive review about alien plants in Korea. Korean J. Pl. Taxon. 50(2):89-119 (in Korean). 10.11110/kjpt.2020.50.2.89
42
Kim, D., C.H. Lim, C. Song, W.K. Lee, D. Piao, S. Heo and S.W. Jeon. 2016. Estimation of future carbon budget with climate change and reforestation scenario in North Korea. Adv. Space. Res. 58:1002-1016. 10.1016/j.asr.2016.05.049
43
Kim, H., B.H. Choi, C.S. Chang and K.S. Chang. 2007. Reexamination on foreign collectors' sites and exploration routes in Korea (III) - with respect to T. Uchiyama -. Korean J. Pl. Taxon. 37(2):203-215 (in Korean). 10.11110/kjpt.2007.37.2.203
44
Kim, H., G.S. Chang, C.S. Chang and B.H. Choi. 2006. Reexamination on foreign collectors' sites and exploration routes in Korea (II): Takenoshin Nakai (中井猛之進). Korean J. Pl. Taxon. 36(3):227-255 (in Korean). 10.11110/kjpt.2006.36.3.227
45
Kim, H.J., J.K. Hong, S.C. Kim, S.H. Oh and J.H. Kim. 2011. Plant phenology of threatened species for climate change in sub-alpine zone of Korea - Especially on the summit area of Mt. Deogyusan -. Korean J. Plant Res. 24(5):549-556 (in Korean). 10.7732/kjpr.2011.24.5.549
46
Kim, J.W. and H.J. Lee. 2015. Limitations on South and North Korea in creating a DMZ ecological preservation zone including method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JNKS 1(2):119-143 (in Korean).
47
Kim, M.S. 2021. A study on the policy trends of internationally designated areas in North Korea. Rev. North Korean St. 24(3):7-41 (in Korean).
48
Kim, N.S., S.Z. Jin, Y.H. Jin and S.H. Jung. 2019. A comparative study on zoology & botany name of South and North Korea building bio-information database of North Korea. J. Korean Soc. Environ. Restor. Technol. 22(6):27-39 (in Korean).
49
Kong, W.S. 2002a. Biogeographic feature of North Korean ecosystem. J. EIA 11(3):157-172 (in Korean).
50
Kong, W.S. 2002b.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Korean alpine plants. J. Korean Geogr. Soc. 37(4):357-370 (in Korean).
51
Kong, W.S. 2005. Selection of vulnerable indicator plants by global warming. Asia-Pac. J. Atmos. Sci. 41(2-1):263-273 (in Korean).
52
Kong, W.S. and D. Watts. 1999 Distribution of arboreal arctic-alpine plants and environments in NE Asia and Korea. Geogr. Rev. Jpn. 72(2):122-134. 10.4157/grj1984b.72.122
53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2. Report on the Projections of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p. 151 (in Korean). Published on the Internet. Retrieved from http://www.climate.go.kr/home/cc_data/2013/korea_climate/13-0311_korea_climate.pdf on Feb. 27, 2024.
54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a.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Republic of Korea. p. 809 (in Korean).
55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b. Standard Checklist of Cultivated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Republic of Korea. p. 510 (in Korean).
56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DMZ: Indigenous Plants of DMZ and Adjacent Areas.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Republic of Korea. p. 1276 (in Korean).
57
Korean Plant Names Index Committee. 2023.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Retrieved from http://www.nature.go.kr/kpni/index.do. on Mar. 22, 2023.
58
Lee, H.J. 2020. Impacts of land change on ecosystem service values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North Kore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rough the 2030s. J. Korean Geogr. Soc. 55(2):97-121 (in Korean).
59
Lim, C.H. and H.A. Choi. 2021. Ecosystem service-based economic valuation of forest restoration in North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9(2):225-235 (in Korean). 10.11626/KJEB.2021.39.2.225
60
Lim, C.H., C. Song, Y. Choi, S.W. Jeon and W.K. Lee. 2019. Decoupling of forest water supply and agricultural water demand attributable to deforestation in North Korea. J. Environ. Manage. 248:109256. 10.1016/j.jenvman.2019.07.02731336341
61
Melchior, H. 1964.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Gerbruder Borntraeger Berlin, Germany.
62
Miller-Rushing, A.J. and R.B. Primack. 2008. Effects of winter temperatures on two birch (Betula) species. Tree Physiol. 28:659-664. 10.1093/treephys/28.4.65918244951
63
Mounce, R., P. Smith and S. Brockington. 2017. Ex situ conservation of plant diversity in the world's botanic gardens. Nat. Plants 3(10):795-802. 10.1038/s41477-017-0019-328947807
64
Murguia-Romero, M., E. Ortiz, B. Serrano-Estrada and V. Jose Luis. 2023. The Kew's "World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and its relevance to the knowledge of the flora of Mexico. Bot. Sci. 101(2):632-653. 10.17129/botsci.3223
65
Murphy, G.E.P. and T.N.A. Romanuk. 2014. Meta-analysis of declines in local species richness from human disturbances. Ecol. Evol. 4:91-103. 10.1002/ece3.90924455164PMC3894891
66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8.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Vascular Plants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IBR, Incheon, Republic of Korea. p. 343 (in Korean).
67
O'Donnell, K. and S. Sharrock. 2017. The contribution of botanic gardens to Ex Situ conservation through seed banking. Plant Divers. 39:373-378. 10.1016/j.pld.2017.11.00530159531PMC6112331
68
Park, M.K. 1942. List of Korean alpine plants. Journal of Korean Nat. His. 9(33):1-12.
69
Park, S.G., C.S. Chang, H.Y. Gill and H. Kim. 2013. A reconsideration of the list of national endemic plants under the creation and furtherance of arboretums act proposed by Korea Forest Service. J. Korean Soc. For. Sci. 102(1):38-58 (in Korean). 10.14578/jkfs.2013.102.1.038
70
Park, W.I. 1999. Diversity of Biological Species in Korea. Science and Encyclopedia Publishing House, Pyongyang,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p. 207 (in Korean).
71
POWO. 2023. Plants of the World Online. Facilitated by the Royal Botanic Gardens, Kew. Published on the Internet. Retrieved from https://powo.science.kew.org on Jul. 16, 2023.
72
Primack, D., C. Imbres, R.B. Primack, A.J. Miller-Rushing and P. Del Tredici. 2004. Herbarium specimens demonstrate earlier flowering times in response to warming in Boston. Am. J. Bot. 91:1260-1264. 10.3732/ajb.91.8.126021653483
73
Pteridophyte Phylogeny Group. 2016. A community-derived classification for extant lycophytes and ferns. J. Syst. Evol. 54(6):563-603. 10.1111/jse.12229
74
QGIS Development Team. 2023. Q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Retrieved from http://www.qgis.org on Jul. 16, 2023.
75
Ri, J.O. 1964. Collection of Korean Higher-Plant Classification. Academy of Scienes, Pyongyang,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p. 297 (in Korean).
76
Serea, R. 2023. Google Earth Pro 7.3.6. Retrieved from https://earth.google.com/web on Jul. 16, 2023.
77
Sin, M.H., C.S. O., M.H. Pak, I.B. Ri, S.J. Ri. and I.Y. Ju. 2020. eFLORA project in the DPR Korea: Current situation and prospect. Taxon 69(4):842-844. 10.1002/tax.12286
78
Smith, P. 2016. Guest essay: Building a global system for the conservation of all plant diversity: A vision for botanic gardens and Botanic Gardens Conservation International. Sibbaldia 14:5-13. 10.24823/Sibbaldia.2016.208
79
To, P.S., H.J. Sim and R.J. Im. 1955. Collection of Korean Plant Names. Academy of Sciences, Pyongyang,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n Korean).
80
Turland, N.J., J.H. Wiersema, F.R. Barrie, W. Greuter, D.L. Hawksworth, P.S. Herendeen, S. Knapp, W.H. Kusber, D.Z. Li, K. Marhold, T.W. May, J. McNeill, A.M. Monro, J. Prado, M.J. Price and G.F. Smith. 2018.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Algae, Fungi, and Plants (Shenzhen Code) Adopted by the Nineteenth International Botanical Congress Shenzhen, China, July 2017 [Regnum Vegetabile 159]. Koeltz Botanical Books, Glashütten, Germany. p. 254. 10.12705/Code.2018
81
Venter, O., E.W. Sanderson, A. Magrach, J.R. Allan, J. Beher, K.R. Jones, H.P. Possingham, W.F. Laurance, P. Wood, B.M. Fekete, M.A. Levy and J.E.M. Watson. 2016. Sixteen years of change in the global terrestrial human footprint and implications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Nat. Commun. 7(1):12558. 10.1038/ncomms1255827552116PMC4996975
82
Willis, C.G., B. Ruhfel, R.B. Primack, A.J. Miller-Rushing and C.C. Davis. 2008. Phylogenetic patterns of species loss in Thoreau's woods are driven by climate change. Proc. Natl. Acad. Sci. U.S.A. 105:17029-17033. 10.1073/pnas.080644610518955707PMC2573948
83
Wood, J., J.D. Ballou, T. Callicrate, J.B. Fant, M.P. Griffith, A.T. Kramer, R.C. Lacy, A. Meyer, S. Sullivan and K. Traylor-Holzer. 2020. Applying the zoo model to conservation of threatened exceptional plant species. Conserv. Biol. 34(6):1416-1425. 10.1111/cobi.1350332233087PMC7754355
84
Wood, S.L.R., S.K. Jones, J.A. Johnson, K.A. Brauman, R. Chaplin-Kramer, A. Fremier, E. Girvetz, L.J. Gordon, C.V. Kappel, L. Mandle, M. Mulligan, P. O'Farrell, W.K. Smith, L. Willemen, W. Zhang and F.A. DeClerck. 2018. Distilling the role of Ecosystem Services i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Ecosyst. Serv. 29:70-82. 10.1016/j.ecoser.2017.10.010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