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 August 2022. 541-563
https://doi.org/10.7732/kjpr.2022.35.4.541

ABSTRACT


MAIN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관속식물 현황

  •   한반도 고유식물

  •   멸종위기 II급 및 지역적색목록

  •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   북방계 식물

  •   외래식물

  •   선행연구와 비교

  • 적 요

서 언

남한산성은 경기도의 대표적인 공원으로 1971년에 도립공원 제2호로 지정되었다(Cha et al., 2021; Lee, 2012). 그 후에는 산성도시, 축성술, 민속 문화의 전승, 원형 보전 및 복원 등 문화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4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Bin, 2019; Cha et al., 2021). 남한산성도립공원의 전체 면적은 36.44 ㎢로, 행정구역상 경기도의 광주시, 성남시, 하남시에 걸쳐있다. 지리적으로 북위 37°28ˊ~동경 127°11ˊ에 위치한다. 남한산성은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에 위치한 산성으로 내성의 둘레는 7.5 ㎞이고, 내부의 면적은 212만 6637 ㎡, 외성을 포함한 산성의 총 둘레는 12.4 ㎞에 달한다(Kwon, 2021). 국가지정 사적 제57호인 남한산성과 제480호인 행궁을 비롯한 수어장대, 개원사, 망월사, 장경사, 현절사, 숭렬전 등 다수의 문화재가 보전되고 있다(Kim, 2011).

조사지역은 광주산맥계의 끝자락에 해당되며, 주봉인 청량산(497 m)을 중심으로 연주봉(467 m), 망월봉(502 m), 벌봉(515 m)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성곽 내 평균고도는 350 m로 성곽외부의 가파른 경사와는 대조적으로 넓은 구릉성 분지를 이루고 있다. 광주산맥은 금강산 부근에서 갈라진 줄기가 남서방향으로 서울 부근까지 이르는 산맥으로 북서쪽은 추가령구조곡, 남동쪽은 북한강과 경계를 이룬다(Kwon, 2000). 광주산맥의 북동부에는 백산(1,267 m), 대성산(1,175 m), 광덕산(1,046 m), 국사봉(1,189 m), 화악산(1,468 m), 명지산(1,267 m), 현등산(936 m) 등 1,000 m 이상의 산들이 솟아 있고 서남쪽으로 올수록 점점 낮아져 서울 부근에서는 북한산(837 m), 도봉산(710 m), 인왕산(338 m), 관악산(629 m) 등 500 m 전후의 구릉성 산지로 변하며, 한강을 건너 검단산(685 m), 청량산, 문형산(497 m) 등으로 이어진다(Kwon, 2000). 산맥의 대부분은 경기변성암복합체의 변성암이며, 지질은 주로 선캄브리아기의 편마암으로 구성되고 토양은 편마암계나 화강암을 모암으로 하는 사질양토 또는 양토로 이루어져 있다(Lee, 2013). 최근 10년간 연평균 기온은 11.5℃, 연평균 최고기온과 최저기온은 각각 17.2℃와 6.6℃, 연평균 강수량은 1,373 mm이다(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0). 식물구계 구분으로 중일구계 한국구에 속하고, 한반도 8개의 식물구계 가운데 중부아구에 해당하며(Lee and Yim, 2002), 한반도 기후를 바탕으로 구분한 삼림식물대 가운데 온대남부에 위치한다(Lim and Lee, 1999).

남한산성 일대에 대한 선행연구는 Kim et al. (1996)이 449분류군을 기록한 것을 시작으로 Cha et al. (2021)이 249분류군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기존 문헌에서 자료를 취하고 이를 재검토 없이 목록에 반영했으며, 식물분포를 밝힐 수 있는 직접적인 증거표본의 자료가 명시되지 않아 그 지역의 특성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본 지역이 속한 광주산맥은 수도권 권역에서 식물 다양성이 풍부하고 산줄기를 따라 북방계 식물이 남하하는 통로로도 알려져 있다(Kang and Paik, 2007). 따라서 본 연구는 현지조사를 통해 수집된 증거표본에 기초하여 광주산맥계의 한줄기에 속하는 남한산성의 관속식물 목록을 작성하고 식물지리학적 분포 특성과 주요 식물의 분포정보, 기존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향후 남한산성 식물자원의 보전과 관리 및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재료 및 방법

조사지역은 남한산성의 내성과 외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9년 6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총 30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Table 1, Fig. 1). 조사지역 내에 생육하는 모든 관속식물을 채집하고 건조표본으로 제작하여 국립생물자원관 표본수장고(KB)에 보관하였다. 식물의 동정은 Cho et al. (2016), Kim and Kim (2018), Kim et al. (2018), Lee (1980), Lee (1996), Lee and Lee (2018), Park (2009) 등의 식물도감을 이용하였다. 관속식물의 목록은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작성하고 속 이하의 계급은 알파벳순으로 정리하였다(Appendix 1). 목록 간소화를 위해 중복 채집품은 대표의 확증번호 하나만을 부여하였다. 식물의 학명, 국명, 배열은 국가생물종목록(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9)을 따랐으며, 주요 식물의 선별은 한반도 고유식물(Chung et al., 2017), 멸종위기야생식물(Ministry of Environment, 2017), 지역적색목록(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1),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북방계 식물(Amarsanaa et al., 2020), 외래식물(Kang et al., 2020)을 참조하여 제시하였다. 일부 자료가 부족하거나 최근 보고되어 누락된 종은 논문과 문헌을 참고하여 추가하였다.

Table 1.

The investigated dates and routes in Namhansanseong

No. Dates Routes
1 3 Jun 2019 Nammun gate → 1st south outwork → 2nd south outwork
2 5 Jun 2019 1st south outwork → 2nd south outwork → 3rd south outwork → Dongmun gate
3 12 Jun 2019 Sanseong rotary → Hyeonjeolsa temple → Beolbong peak → Janggyeongsa temple → Dongmun gate
4 17 Jun 2019 Sanseong rotary → Hyeonjeolsa temple → Bukmun gate
5 19 Jun 2019 Hyeonjeolsa temple → 4th auxiliary gate → Bukmun gate → Seomun gate → 6th auxiliary gate → Nammun gate
6 20 Jun 2019 6th auxiliary gate → Seomun gate → Bukmun gate → Sanseong rotary → Janggyeongsa temple → Dongmun gate
7 22 Jun 2019 Nammun gate → 6th auxiliary gate → Seomun gate → Bukmun gate → Janggyeongsa temple → Dongmun gate
→ Nammun gate
8 24 Jun 2019 Nammun gate → 6th auxiliary gate → Seomun gate → Gukcheongsa temple → Nammun gate
9 25 Jun 2019 Gaewonsa temple → 10th auxiliary gate → Dongmun gate
10 3 Jul 2019 1st south outwork → 2nd south outwork → Dongmun gate → Hyeonjeolsa temple → 4th auxiliary gate
11 8 Jul 2019 Gaewonsa temple → 2nd south outwork → Dongmun gate → 1st south outwork → Dongmun gate
→ Bukmun gate
12 10 Jul 2019 Nammun gate → 6th auxiliary gate → Seomun gate → Bukmun gate → Hyeonjeolsa temple
→ Janggyeongsa temple → Dongmun gate
13 12 Jul 2019 Hanbong peak → Mt. Namhan → Beolbong peak → Hyeonjeolsa temle → Bukmun gate → Yeonjubong outwork
14 23 Jul 2019 Dongmun gate → 3rd south outwork → 2nd south outwork → 8th auxiliary gate → Sanseong rotary
15 29 Jul 2019 Nammun gate → Seomun gate → Bukmun gate → Mt. Namhan → Hanbong peak → Janggyeongsa temple
→ Dongmun gate → Sanseong rotary
16 9 Aug 2019 Hyeonjeolsa temple → Bukmun gate → Seomun gate → Nammun gate → 1st south outwork
→ 2nd south outwork → 3rd south outwork → Dongmun gate
17 30 Aug 2019 Nammun gate → Seomun gate → Bukmun gate → Hyeonjeolsa temple → Dongmun gate → 2nd south outwork
18 3 Sep 2019 6th auxiliary gate → Seomun gate → Bukmun gate → Janggyeongsa temple → Mt. Namhan
→ Janggyeongsa temple → Dongmun gate
19 6 Sep 2019 Gaewonsa temple → 1st south outwork → 2nd south outwork → Dongmun gate → Mt. Namhan
→ Hyeonjeolsa temple → Nammun gate
20 4 Oct 2019 Nammun gate → Seomun gate → Bukmun gate → Hyeonjeolsa temple → Gaewonsa temple → 3rd south outwork
→ 2nd south outwork
21 21 Oct 2019 Nammun gate → 2nd south outwork → 3rd south outwork → Dongmun gate → Janggyeongsa temple
→ Mt. Namhan → Hyeonjeolsa temple → Sanseong rotary
22 26 Mar 2020 Nammun gate → Dongmun gate → Beolbong peak → Bukmun gate → Yeonjubong peak → Seomun gate
→ Nammun gate
23 6 Apr 2020 Seomun gate → Bukmun gate → Dongmun gate → Nammun gate
24 16 Apr 2020 Sueojangdae post → Seomun gate → Bukmun gate → Dongmun gate → Nammun gate → Namhansanseong entry
25 27 Apr 2020 1st south outwork → 2nd south outwork → Dongmun gate → Sanseong rotary → Nammun gate
26 7 May 2020 Nammun gate → Seomun gate → Bukmun gate → Mt. Namhan → Janggyeongsa temple → Dongmun gate
→ Nammun gate
27 18 May 2020 Nammun gate → 1st south outwork → Dongmun gate → Janggyeongsa temple → Beolbong peak
→ Bukmun gate → Seomun gate → Nammun gate
28 28 May 2020 Nammun gate → 1st south outwork → Dongmun gate → Hyeonjeolsa temple → Beolbong peak
→ Bukmun gate → Sanseong rotary → Nammun gate
29 2 Jun 2020 Nammun gate → 2nd south outwork → Dongmun gate → Sanseong rotary
30 8 Jun 2020 Nammun gate → Gukcheongsa temple → Bukmun gate → Dongmun gate → Sanseong rotary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2-035-04/N0820350412/images/kjpr_35_04_12_F1.jpg
Fig. 1.

The investigated areas in Namhansanseong.

결과 및 고찰

관속식물 현황

남한산성의 관속식물은 107과 335속 513종 10아종 40변종 3품종 2교잡종의 568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증거표본 974점을 확보하였다. 양치식물은 10과 14속 19종 1교잡종의 20분류군, 나자식물은 2과 2속 4종의 4분류군, 피자식물 가운데 쌍자엽식물은 85과 255속 386종 10아종 34변종 2품종 1교잡종의 433분류군, 단자엽식물은 10과 64속 104종 6변종 1품종의 111분류군으로 구성되었다(Table 2, Appendix 1). 이는 한반도 관속식물 4,552분류군(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9)의 12.5%, 경기도 관속식물 1,257분류군(Oh et al., 2008)의 45.1%에 해당하였다. 증거표본에 의한 식물목록을 바탕으로 종 다양성이 높은 상위 과는 국화과(72분류군), 벼과(56분류군), 장미과(30분류군), 콩과(25분류군), 미나리아재비과(22분류군), 마디풀과(21분류군), 꿀풀과(21분류군), 백합과(20분류군), 제비꽃과(15분류군), 사초과(14분류군)의 순으로 전체 관속식물 568분류군의 52.1%에 해당된다.

Table 2.

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investigated in Namhansanseong

Taxa Fam. Gen. Sp. Subsp. Var. For. Hybr. Total Ratio (%)
Pteridophyta 10 14 19 - - - 1 20 3.5
Gymnospermae 2 2 4 - - - - 4 0.7
Angiospermae 95 319 490 10 40 3 1 544 95.8
Dicotyledoneae 85 255 386 10 34 2 1 433 76.2
Monocotyledoneae 10 64 104 - 6 1 - 111 19.6
Total 107 335 513 10 40 3 2 568 100

한반도 고유식물

한반도 고유식물은 외대으아리(Clematis brachyura Maxim.), 키버들(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자란초(Ajuga spectabilis Nakai), 처녀치마(Heloniopsis koreana S. Fuse, N. S. Lee & M. N. Tamura) 등 17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3). 이는 Chung et al. (2017)의 한반도 고유식물 360분류군의 4.7%에 해당된다. 한편 기존 자주사위질빵(Clematis takedana Makino)과 앉은부채(Symplocarpus renifolius Schott ex Tzvelev)로 알려져 왔던 분류군은 각각 덩굴조희풀(Clematis pseudotubulosa B. K. Park) (Park et al., 2022), 한국앉은부채(Symplocarpus koreanus J. S. Lee, S. H. Kim & S. C. Kim) (Lee et al., 2021)로 최근 신종으로 발표되어 목록에 추가하였다. 덩굴조희풀은 경기도(광주시 남한산성과 화성시 문호리)에서 처음 발견되어 신종으로 보고된 분류군이다. 남한산성의 개체는 생육환경이 불량하고 지속적인 교란에 의한 피해가 나타나고 있어 보전대책이 시급하다. 한국앉은부채(Fig. 2E)는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개체군도 많은 편이나 결실률은 매우 낮다. 남한산성의 숲 속 그늘진 곳에서도 많이 관찰되지만, 개화하는 개체는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할미밀망(Clematis trichotoma Nakai), 광릉골무꽃(Scutellaria insignis Nakai) (Fig. 2D),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Dunn) Nakai), 백운산원추리(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등 다수의 식물들이 봉암성 주변에서 관찰되었으며, 생육도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외 은사시나무(Populus × tomentiglandulosa T. B. Lee), 개나리(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는 식재한 개체로 확인되었다.

Table 3.

The list of the Korean endemic plants investigated in Namhansanseong

No. Family name Scientific name
1 Ranunculaceae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세잎승마
2 Ranunculaceae Clematis brachyura Maxim. 외대으아리
3 Ranunculaceae Clematis pseudotubulosa B. K. Park 덩굴조희풀
4 Ranunculaceae Clematis trichotoma Nakai 할미밀망
5 Ranunculaceae Thalictrum actaefolium var. brevistylum Nakai 은꿩의다리
6 Violaceae Viola seoulensis Nakai 서울제비꽃
7 Salicaceae Populus × tomentiglandulosa T. B. Lee 은사시나무(식재)
8 Salicaceae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키버들
9 Saxifragaceae Chrysosplenium barbatum Nakai 흰털괭이눈
10 Lamiaceae Ajuga spectabilis Nakai 자란초
11 Lamiaceae Scutellaria insignis Nakai 광릉골무꽃
12 Oleaceae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개나리(식재)
13 Diervillaceae Weigela subsessilis (Nakai) L. H. Bailey 병꽃나무
14 Asteraceae Cirsium setidens (Dunn) Nakai 고려엉겅퀴
15 Araceae Symplocarpus koreanus J. S. Lee, S. H. Kim & S. C. Kim 한국앉은부채
16 Liliaceae Heloniopsis koreana S. Fuse, N. S. Lee & M. N. Tamura 처녀치마
17 Liliaceae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백운산원추리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2-035-04/N0820350412/images/kjpr_35_04_12_F2.jpg
Fig. 2.

Remarkable taxa in Namhansanseong. A. Aconitum coreanum (H. Lév.) Rapaics. B. Polygala tatarinowii Regel. C. Bothriospermum secundum Maxim. D. Scutellaria insignis Nakai. E. Symplocarpus koreanus J. S. Lee, S. H. Kim & S. C. Kim. F. Epipactis papillosa Franch. & Sav.

멸종위기 II급 및 지역적색목록

남한산성에서 생육이 확인된 관속식물 가운데 멸종우려 범주(threatened categories)에 속하고, 취약종(vulnerable, VU)으로 평가된 분류군으로 백부자(Aconitum coreanum (H. Lév.) Rapaics)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백부자는 멸종위기 II급에도 해당하는 식물이다. 준위협종(near threatened, NT)으로는 애기물꽈리아재비(Mimulus tenellus Bunge), 청닭의난초(Epipactis papillosa Franch. & Sav.)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4). 멸종위기 II급 및 취약종의 백부자(Fig. 2A)는 국내 석회암지대에 집중적으로 자생하고 세계적으로는 중국, 러시아 등지에도 분포한다. 강원도 일대의 석회암지대에서 많은 개체가 확인되지만 다른 곳에서는 매우 드물다. 남한산성 내 봉암성 성곽 주변으로 20여 개체가 산발적으로 생육하고 있었다. 준위협종의 애기물꽈리아재비는 중부 이북의 일부 지역에서 드물게 분포하며, 주로 습한 곳에 생육한다. 본 조사에서는 동암문 주변 습한 곳에 수십 개체가 확인되었다. 청닭의난초(Fig. 2F)는 주로 중부 이북에 분포하며, 봉암성 방향의 사면을 따라 산발적으로 생육하였다. 준위협종 이상의 범주에 속하는 식물들은 개체수가 적고 탐방로 주변에 분포하고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Table 4.

The list of the endangered plant (grade II) and red list plants investigated in Namhansanseong

No. Family name Scientific name Grade Criteria
1 Ranunculaceae Aconitum coreanum (H. Lév.) Rapaics 백부자 II VUz
2 Scrophulariaceae Mimulus tenellus Bunge 애기물꽈리아재비 NTy
3 Orchidaceae Epipactis papillosa Franch. & Sav. 청닭의난초 NT

zVU: vulnerable, yNT: near threatened.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국내 일부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특성으로 식물지리학적 가치가 높은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V등급과 IV등급은 8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Table 5). V등급은 백부자 1분류군, IV등급은 세잎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병아리풀(Polygala tatarinowii Regel), 참꽃받이(Bothriospermum secundum Maxim.), 왕김의털(Festuca rubra L.) 등 7분류군이다. 그 외 III등급은 만주족도리풀(Asarum mandshuricum (Maxim.) M. Kim & S. So ), 종덩굴(Clematis fusca var. violacea Maxim.), 개박달나무(Betula chinensis Maxim.), 큰꿩의비름(Hylotelephium spectabile (Boreau) H. Ohba) 등 12분류군, II등급은 고비고사리(Coniogramme intermedia Hieron.), 함박꽃나무(Magnolia sieboldii K. Koch), 피나물(Hylomecon vernalis Maxim.), 둥근이질풀(Geranium koreanum Kom.) 등 14분류군, I등급은 부싯깃고사리(Cheilanthes argentea (S. G. Gmel.) Kunze), 흰진범(Aconitum longecassidatum Nakai),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Maxim.), 쇠털이슬(Circaea cordata Royle) 등 29분류군이다. 결과적으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63분류군으로 한반도 전체 특정식물 1,476분류군의 4.3%, 남한산성 출현식물의 11.1%에 해당된다. 세잎승마는 중부 이북의 산기슭에서 드물게 관찰되나 자생지와 개체군은 풍부한 편이다. 남한산성의 제3옹성 주변에서 확인되었으나 성곽 복원과정에서 일부가 훼손되었다. 병아리풀(Fig. 2B)는 석회암지대의 양지바른 곳에서 드물게 관찰되나 자생지와 개체군은 역시 풍부한 편이다. 남한산성의 북문 주변에서 소군락을 형성하고 있었다. 참꽃받이(Fig. 2C)는 제주도와 단양에 분포하며, 세계적으로는 중국에도 분포한다(Lee, 1980). 남한산성 내 서문과 북문사이의 성곽에서 10여 개체가 생육하고 있었다. 왕김의털은 중부 이북과 울릉도에 분포하며, 최근 도로변에 사방용으로 식재된 것이 관찰되나 대부분은 해외에서 수입하여 파종한 것이다(Cho et al., 2016). 울릉도에서 자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자생식물인지 여부가 불명확하다. 남한산성 내 도로변에서 관찰되어 사방녹화용으로 유입된 종자가 정착한 것으로 추정된다.

Table 5.

The list of the floristic target plants (grade V-IV) investigated in Namhansanseong

No. Family name Scientific name Grade
1 Ranunculaceae Aconitum coreanum (H. Lév.) Rapaics 백부자 V
2 Ranunculaceae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세잎승마 IV
3 Ranunculaceae Delphinium maackianum Regel 큰제비고깔 IV
4 Polygalaceae Polygala tatarinowii Regel 병아리풀 IV
5 Boraginaceae Bothriospermum secundum Maxim. 참꽃받이 IV
6 Scrophulariaceae Mimulus tenellus Bunge 애기물꽈리아재비 IV
7 Poaceae Festuca rubra L. 왕김의털 IV
8 Orchidaceae Epipactis papillosa Franch. & Sav. 청닭의난초 IV

북방계 식물

기후변화에 취약한 북방계 식물(Amarsanaa et al., 2020)은 홀아비꽃대(Chloranthus japonicus Siebold), 덩굴개별꽃(Pseudostellaria davidii (Franch.) Pax), 피나무(Tilia amurensis Rupr.), 물양지꽃(Potentilla cryptotaeniae Maxim.), 개살구나무(Prunus mandshurica (Maxim.) Koehne) 등 66분류군이 조사되었다(Table 6). 이는 한반도 북방계 식물 616분류군의 10.7%, 남한산성 출현식물의 11.6%에 해당된다. 남한산성에 분포하는 북방계 식물에는 만주족도리풀, 큰제비고깔, 개살구나무, 참갈매나무(Rhamnus ussuriensis J.-J. Vassal), 황벽나무(Phellodendron amurense Rupr.), 광릉용수염(Diarrhena fauriei (Hack.) Ohwi ) 등 분포역이 협소한 종들도 있지만, 거미고사리(Asplenium ruprechtii Sa. Kurata),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물오리나무(Alnus hirsuta Turcz. ex Rupr.), 제비꽃(Viola mandshurica W. Becker),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산딸기(Rubus crataegifolius Bunge), 기름나물(Peucedanum terebinthaceum (Fisch. ex Trevir.) Ledeb.), 큰구슬붕이(Gentiana zollingeri Fawc.), 딱총나무(Sambucus williamsii Hance) 등 전역에 분포하는 식물들도 다수 생육하고 있었다.

Table 6.

The list of the northern lineage plants investigated in Namhansanseong

No. Family name Scientific name
1 Aspleniaceae Asplenium ruprechtii Sa. Kurata 거미고사리
2 Pinaceae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소나무
3 Pinaceae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잣나무(식재)
4 Chloranthaceae Chloranthus japonicus Siebold 홀아비꽃대
5 Aristolochiaceae Asarum mandshuricum (Maxim.) M. Kim & S. So 만주족도리풀
6 Ranunculaceae Delphinium maackianum Regel 큰제비고깔
7 Ranunculaceae Ranunculus chinensis Bunge 젓가락나물
8 Menispermaceae Menispermum dauricum DC. 새모래덩굴
9 Fumariaceae Corydalis speciosa Maxim. 산괴불주머니
10 Betulaceae Alnus hirsuta Turcz. ex Rupr. 물오리나무
11 Betulaceae Betula dahurica Pall. 물박달나무
12 Caryophyllaceae Pseudostellaria davidii (Franch.) Pax 덩굴개별꽃
13 Clusiaceae Hypericum ascyron L. 물레나물
14 Tiliaceae Tilia amurensis Rupr. 피나무
15 Tiliaceae Tilia mandshurica Rupr. & Maxim. 찰피나무
16 Violaceae Viola acuminata Ledeb. 졸방제비꽃
17 Violaceae Viola mandshurica W. Becker 제비꽃
18 Violaceae Viola variegata Fisch. ex Link 알록제비꽃
19 Ericaceae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진달래
20 Pyrolaceae Pyrola japonica Klenze ex Alef. 노루발
21 Primulaceae Lysimachia barystachys Bunge 까치수염
22 Hydrangeaceae Deutzia parviflora Bunge 말발도리
23 Hydrangeaceae Philadelphus tenuifolius Rupr. 엷은잎고광나무
24 Rosaceae Malus baccata (L.) Borkh. 야광나무
25 Rosaceae Potentilla cryptotaeniae Maxim. 물양지꽃
26 Rosaceae Potentilla fragarioides L. 양지꽃
27 Rosaceae Prunus mandshurica (Maxim.) Koehne 개살구나무
28 Rosaceae Pyrus ussuriensis Maxim. 산돌배나무
29 Rosaceae Rubus crataegifolius Bunge 산딸기
30 Fabaceae Vicia amoena Fisch. ex Ser. 갈퀴나물
31 Fabaceae Vicia unijuga A. Braun 나비나물
32 Rhamnaceae Rhamnus ussuriensis J.-J. Vassal 참갈매나무
33 Vitaceae Vitis amurensis Rupr. 왕머루
34 Rutaceae Dictamnus dasycarpus Turcz. 백선
35 Rutaceae Phellodendron amurense Rupr. 황벽나무
36 Apiaceae Peucedanum terebinthaceum (Fisch. ex Trevir.) Ledeb. 기름나물
37 Gentianaceae Gentiana zollingeri Fawc. 큰구슬붕이
38 Boraginaceae 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old & Zucc. 지치
39 Lamiaceae Leonurus macranthus Maxim. 송장풀
40 Scrophulariaceae Melampyrum roseum Maxim. 꽃며느리밥풀
41 Scrophulariaceae Phtheirospermum japonicum (Thunb.) Kanitz 나도송이풀
42 Campanulaceae Asyneuma japonicum (Miq.) Briq. 영아자
43 Campanulaceae Campanula punctata Lam. 초롱꽃
44 Caprifoliaceae Lonicera maackii (Rupr.) Maxim. 괴불나무
45 Caprifoliaceae Lonicera praeflorens Batal 올괴불나무
46 Adoxaceae Sambucus williamsii Hance 딱총나무
47 Asteraceae Dendranthema zawadskii (Herbich) Tzvelev 산구절초
48 Asteraceae Inula salicina L. 버들금불초
49 Asteraceae Saussurea grandifolia Maxim. 서덜취
50 Asteraceae Scorzonera albicaulis Bunge 쇠채
51 Asteraceae Sonchus brachyotus DC. 사데풀
52 Asteraceae Taraxacum coreanum Nakai 흰민들레
53 Araceae Symplocarpus koreanus J. S. Lee, S. H. Kim & S. C. Kim 한국앉은부채
54 Cyperaceae Carex leiorhyncha C. A. Mey. 산괭이사초
55 Cyperaceae Carex maackii Maxim. 타래사초
56 Poaceae Diarrhena fauriei (Hack.) Ohwi 광릉용수염
57 Poaceae Diarrhena mandshurica Maxim. 껍질용수염
58 Poaceae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물억새
59 Poaceae Spodipogon sibiricus Trin. 큰기름새
60 Liliaceae Allium monanthum Maxim. 달래
61 Liliaceae Disporum smilacinum A. Gray 애기나리
62 Liliaceae Disporum viridescens (Maxim.) Nakai 큰애기나리
63 Liliaceae Erythronium japonicum Decne. 얼레지
64 Liliaceae Polygonatum involucratum (Franch. & Sav.) Maxim. 용둥굴레
65 Iridaceae Iris sanguinea Donn ex Hornem. 붓꽃
66 Orchidaceae Epipactis papillosa Franch. & Sav. 청닭의난초

외래식물

본 연구에서 밝혀진 외래식물은 애기수영(Rumex acetosella L.), 서양등골나물(Ageratina altissima (L.) R. M. King & H. Rob.),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L.),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 미국쑥부쟁이(Aster pilosus Willd.) 등 생태계교란식물을 포함하여 총 6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Table 7). 본 조사지역의 귀화율(NI: Naturalized Index, 외래식물의 분류군 수/관속식물의 총 분류군수 × 100)은 10.7%, 도시화지수(UI: Urbanization Index, 외래식물의 분류군 수/한반도 외래식물의 총 분류군 수 × 100)는 9.8%로 나타났다.

Table 7.

The list of the alien plants investigated in Namhansanseong

No. Family name Scientific name
1 Pinaceae Pinus rigida Mill. 리기다소나무(식재)
2 Phytolaccaceae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3 Chenopodiaceae Chenopodium album L. 명아주
4 Chenopodiaceae Chenopodium ficifolium Sm. 좀명아주
5 Amaranthaceae Amaranthus hybridus L. 긴털비름
6 Amaranthaceae Amaranthus lividus L. 개비름
7 Caryophyllaceae Cerastium glomeratum Thuill. 유럽점나도나물
8 Caryophyllaceae Silene armeria L. 끈끈이대나물
9 Caryophyllaceae Stellaria media (L.) Vill. 별꽃
10 Polygonaceae Rumex acetosella L. 애기수영
11 Polygonaceae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12 Polygonaceae Rumex obtusifolius L. 돌소리쟁이
13 Violaceae Viola sororia Willd. 종지나물(식재)
14 Brassicaceae Barbarea vulgaris R. Br. 유럽나도냉이
15 Brassicaceae Lepidium densiflorum Schrad. 길다닥냉이
16 Brassicaceae Rorippa sylvestris (L.) Besser 가새잎개갓냉이
17 Brassicaceae Thlaspi arvense L. 말냉이
18 Rosaceae Potentilla supina L. 개소시랑개비
19 Rosaceae Prunus persica (L.) Batsch 복사나무
20 Rosaceae Prunus tomentosa Thunb. 앵도나무(식재)
21 Fabaceae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식재)
22 Fabaceae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23 Onagraceae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24 Euphorbiaceae Euphorbia maculata L. 애기땅빈대
25 Simaroubaceae 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가중나무(식재)
26 Solanaceae Physalis alkekengi L. 꽈리(식재)
27 Solanaceae Solanum nigrum L. 까마중
28 Convolvulaceae Ipomoea hederacea Jacq. 미국나팔꽃
29 Convolvulaceae Ipomoea purpurea (L.) Roth 둥근잎나팔꽃
30 Convolvulaceae Ipomoea rubriflora O'Donell 둥근잎유홍초
31 Scrophulariaceae Veronica arvensis L. 선개불알풀
32 Scrophulariaceae Veronica persica Poir. 큰개불알풀
33 Rubiaceae Diodia teres Walter 백령풀
34 Asteraceae Ageratina altissima (L.) R. M. King & H. Rob. 서양등골나물
35 Asteraceae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36 Asteraceae Ambrosia trifida L. 단풍잎돼지풀
37 Asteraceae Aster pilosus Willd. 미국쑥부쟁이
38 Asteraceae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39 Asteraceae Carduus crispus L. 지느러미엉겅퀴
40 Asteraceae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41 Asteraceae Coreopsis lanceolata L. 큰금계국(식재)
42 Asteraceae Cosmos bipinnatus Cav. 코스모스(식재)
43 Asteraceae Cosmos sulphureus Cav. 노랑코스모스(식재)
44 Asteraceae Erechtites hieracifolia (L.) Raf. ex DC. 붉은서나물
45 Asteraceae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46 Asteraceae Erigeron philadelphicus L. 봄망초
47 Asteraceae Erigeron strigosus (A. Gray) Muhl. ex Willd. 주걱개망초
48 Asteraceae Galinsoga quadriradiata Ruiz & Pav. 털별꽃아재비
49 Asteraceae Helianthus tuberosus L. 뚱딴지(식재)
50 Asteraceae Senecio vulgaris L. 개쑥갓
51 Asteraceae Sonchus asper (L.) Hill 큰방가지똥
52 Asteraceae Taraxacum laevigatum (Willd.) DC. 붉은씨서양민들레
53 Asteraceae Taraxacum officinale F. H. Wigg. 서양민들레
54 Asteraceae Xanthium orientale L. 큰도꼬마리
55 Poaceae Elymus repens (L.) Gould 구주개밀
56 Poaceae Eragrostis curvula (Schrad.) Nees 능수참새그령
57 Poaceae Festuca heterophylla Lam. 사방김의털
58 Poaceae Festuca pratensis Huds. 넓은김의털
59 Poaceae Lolium multiflorum Lam. 쥐보리
60 Poaceae Phleum pratense L. 큰조아재비
61 Poaceae Poa compressa L. 좀포아풀

외래식물은 남한산성 내의 저지대, 탐방로 주변, 도로변에서 높은 밀도로 분포하고 있었다. 특히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L.), 망초(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개망초(Erigeron annuus (L.) Pers.),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F. H. Wigg.)는 남한산성 전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었다. 한편 생태계교란식물 가운데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는 장경사의 주차장 주변에서 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다른 지역에서도 불연속적으로 나타났다. 애기수영은 동문과 남문 사이의 묘지에서 소규모 군락을 형성하고, 서양등골나물은 동문과 산성 로터리 사이의 도로변에서 많은 개체가 산발적으로 분포하였다. 외래식물은 지속적인 방제와 관리가 필요하지만, 다른 일각에서는 이미 침입한 상태의 외래식물은 높은 확산력을 통해 각기 다른 생태적 지위를 가지고 종마다 그 역할에 따른 생태계 순환의 일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따라서 무분별한 제거는 생태계 순환에 다른 변화를 가져와 잠재적인 2차 피해가 나타날 수 있어 이를 고려한 방식이 요구된다(Han et al., 2022;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Lee et al., 2022). 이러한 접근방식으로 남한산성의 외래식물 관리계획을 세우고 생태계의 영향을 미치는 교란식물을 우선적으로 제거하되, 일반 외래식물로 확대 적용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분포 면적과 범위에 대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선행연구와 비교

본 연구 결과와 남한산성 일대의 선행연구(Cha et al., 2021; Kim et al., 1996) 결과를 취합하여 재검토하였다. 취합된 식물목록을 국가생물종목록(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9)에 준하여 정리한 결과, 111과 377속 664종 10아종 52변종 5품종 3교잡종의 총 734분류군으로 집계되었다. 본 조사를 통해 66과 161속 187종 3아종 19변종 1품종 2교잡종의 총 213분류군이 처음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은 식물목록 일련번호 앞에 ★로 표시하였다(Appendix 1). 새로이 확인된 식물 가운데 한반도 고유식물은 은꿩의다리(Thalictrum actaefolium var. brevistylum Nakai), 흰털괭이눈(Chrysosplenium barbatum Nakai),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Dunn) Nakai), 백운산원추리 등 11분류군, 멸종위기 II급이면서 지역적색목록 취약종에 해당하는 백부자 1분류군, 준위협종에 청닭의난초 1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만주족도리풀, 참꽃받이, 왕김의털 등 36분류군, 북방계 식물은 덩굴개별꽃, 물양지꽃 등 31분류군, 외래식물은 애기수영, 단풍잎돼지풀 등 31분류군이 추가되었다. 한편 기존 문헌에 기록되어 있지만, 본 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은 식물은 52과 121속 151종 9변종 2품종 1교잡종의 총 163분류군으로 집계되었다. 미확인된 식물 가운데 채송화(Portulaca grandiflora Hook.), 댑싸리(Kochia scoparia (L.) Schrad.), 황기(Astragalus penduliflorus var. dahuricus (DC.) X. Y. Zhu), 콩(Glycine max (L.) Merr.), 나팔꽃(Ipomoea nil (L.) Roth), 풀협죽도(Phlox paniculata L.), 무궁화(Hibiscus syriacus L.), 배롱나무(Lagerstroemia indica L.),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깨꽃(Salvia splendens Sellow ex Wied-Neuw.),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 Mill.) 등은 원예 또는 재배종이며, 왜현호색(Corydalis ambigua Cham. & Schltdl.), 눈괴불주머니(Corydalis ochotensis Turcz.), 다닥냉이(Lepidium apetalum Willd.), 산개벚지나무(Prunus maximowiczii Rupr.), 잔대(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Regel) H. Hara), 산쑥(Artemisia montana (Nakai) Pamp.), 개쑥부쟁이(Aster meyendorffii (Regel & Maack) Voss), 담상이삭풀(Brachyelytrum japonicum (Hack.) Matsum. ex Honda) 등은 남한산성 내 분포가 의심스러운 식물들이다. 관중(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뽕모시풀(Fatoua villosa (Thunb.) Nakai), 애기쐐기풀(Urtica laetevirens Maxim.), 술패랭이꽃(Dianthus longicalyx Miq.), 자귀풀(Aeschynomene indica L.), 활나물(Crotalaria sessiliflora L.), 꼭두선이(Rubia argyi (H. Lév. & Vaniot) H. Hara ex Lauener & D. K. Ferguson), 덩굴곽향(Teucrium viscidum var. miquelianum (Maxim.) H. Hara), 뺑쑥(Artemisia lancea Vaniot), 괭이사초(Carex neurocarpa Maxim.) 등은 한반도 내 분포를 고려할 때, 남한산성에서도 확인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추후 시기와 경로를 달리한 보완조사가 이루어지면 남한산성에 분포하는 식물들의 수는 다소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적 요

본 연구는 남한산성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파악하였다. 2019년 6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총 30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107과 335속 513종 10아종 40변종 3품종 2교잡종으로 총 56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반도 고유식물은 17분류군, 멸종위기식물은 백부자 1분류군, 지역적색목록은 3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63분류군으로 V등급에 1분류군, IV등급에 7분류군, III등급에 12분류군, II등급에 14분류군, I등급에 29분류군이 포함되었다. 북방계 식물은 66분류군, 외래식물은 총 61분류군으로 귀화율은 10.7%, 도시화지수는 9.8%로 산출되었다. 기존 선행연구와 비교를 통해 66과 161속 187종 3아종 19변종 1품종 2교잡종의 총 213분류군이 본 조사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y have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Amarsanaa, G., S.Y. Jung, W.B. Cho, E.K. Han, S.K. So and J.H. Lee. 2020. Definition and species list of northern lineage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Herb. Med. Inf. 8(2):183-204.
2
Bin, K.M. 2019. A study on history and feng shui of the Joseon palace. -Focusing on the Namhansansung palace-. Department of Oriental Studies, MS Thesis, Seokyeong Univ., Korea. p. 113 (in Korean).
3
Cha, D.W., D.S. Choi and J.S. Kim. 202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the wall of Namhan mountain fortress. J. Kor. Ins. Tra. Lan. Arc. 39(1):20-30 (in Korean).
4
Cho, Y.H., J.H. Kim and S.H. Park 2016.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Geobook, Seoul, Korea. p. 527 (in Korean).
5
Chung, G.Y., K.S. Chang, J.M. Chung, H.J. Choi, W.K. Paik and J.O. Hyun.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7(3):264-288 (in Korean). 10.11110/kjpt.2017.47.3.264
6
Han, S.H., H.S. Leem, H.D. Jang, Y.Y. Kim and S.K. So. 2022. Floristic study of Gayasan national park in Korea. Korean J. Plant Res. 35(2):248-288 (in Korean).
7
Kang, D.S. and W.K. Paik. 2007.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plant in northern region on Gyeonggi-province. Korean J. Pl. Taxon. 37(1):41-59 (in Korean). 10.11110/kjpt.2007.37.1.041
8
Kang, E.S., S.R. Lee, S.H. Oh, D.K. Kim, S.Y. Jung and D.C. Son. 2020. Comprehensive review about alien plants in Korea. Korean J. Pl. Taxon. 50(2):89-119 (in Korean). 10.11110/kjpt.2020.50.2.89
9
Kim, B.K. 2011. A study on the historical value and utilizing plan of Namhansansung. Department of Public Policy, MS Thesis, Kyungwon Univ., Korea. p. 76 (in Korean).
10
Kim, J.S., J.H. Kim and J.H. Kim. 2018. Herbaceous Plants of Korean Peninsula. I. Plants Living in Seasides, Rivers, Wetlands and Cities. Dolbegae, Paju, Korea. p. 657 (in Korean).
11
Kim, T.Y. and J.S. Kim. 2018.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Paju, Korea. p. 715 (in Korean).
12
Kim, Y.S., H.W. Lee, J.H. Kim and C.Y. Yoon. 1996. A study on the flora of Mt. Chongyang (Kwangju-gun, Kyonggi-do). J. Kor. Biota 1:101-126 (in Korean).
13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ct. (accessed 30 December 2020). https://www.weather.go.kr.
14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265 (in Korean).
15
Kwon, H.J. 2000. Mountain ranges of Korea. J. Korean Geogr. Soc. 35(3):389-400 (in Korean).
16
Kwon, S.W. 2021. Floristic study of Namhansansung in Gwangju・Gyeonggi, Korea.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MS Thesis, Korea National Open Univ., Korea. p. 53 (in Korean).
17
Lee, C.S. and K.H. Lee. 2018. Pteridophytes of Korea: Lycophytes & Ferns. 2nd ed. Geobook, Seoul, Korea. p. 491 (in Korean).
18
Lee, H.G. 2012. Management planning and change in vegetation structure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Namhan mountain fortress.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p. 167 (in Korean).
19
Lee, J.H. 2013. The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mountain river landforms due to human impact focusing on Beoncheon valley in Namhansansung, central west Korea.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p. 96 (in Korean).
20
Lee, J.S., S.H. Kim, Y.S. Kim, Y. Kwon, J.Y. Yang, M.S. Cho, H.B. Kim, S.R. Lee, M. Maki and S.C. Kim. 2021. Symplocarpus koreanus (Araceae; Orontioideae), a new species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Korean J. Pl. Taxon. 51(1):1-9. 10.11110/kjpt.2021.51.1.1
21
Lee, J.W., J.D. Lee, W.K. Paik and H.G. Yun. 2022.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round Haemyeong Mt. (Seokmodo, Incheon) and the comparison of invasive alien plants in surrounding forests. Korean J. Plant Res. 35(2):201-241 (in Korean).
22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p. 990 (in Korean).
23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 624 (in Korean).
24
Lee, W.T. and Y.J. Yim. 2002. Plant Geography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Korea. p. 412 (in Korean).
25
Lim, K.B. and K.J. Lee. 1999. An Introduction to Forestry. Hyangmunsa, Seoul, Korea. p. 393 (in Korean).
26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Wildlife Protection and Management Act. (accessed on 21 December 2017). https://www.me.go.kr.
27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9. National Species List of Korea. I. Plants, Fungi, Algae, Prokaryote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p. 51-206 (in Korean).
28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1. Red Data Book of Republic of Korea. 2nd ed. Vol. 5. Vascular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 523 (in Korean).
29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Floristic Target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p. 728 (in Korean).
30
Oh, B.U., K.S. Kim, S.C. Ko, B.H. Choi, H.T Im, W.K. Paik, G.Y. Chung, C.Y. Yoon, C.G. Jang, S.H. Kang and C.H. Lee. 2008.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V. Central Province (Gyeonggi-do).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 761 (in Korean).
31
Park, B.K., J.S. Kim, G.Y. Chung, J.H. Kim, D.C. Son and C.G. Jang. 2022. Clematis pseudotubulosa (Ranunculaceae), a new species from Korea. Korean J. Pl. Taxon. 52(1):35-44. 10.11110/kjpt.2022.52.1.35
32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p. 575 (in Korean).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