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31 August 2019. 355-378
https://doi.org/10.7732/kjpr.2019.32.4.355

ABSTRACT


MAIN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관속식물 현황

  •   특산식물

  •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과 적색식물종

  •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및 기후변화 적응대상식물

  •   식물 유용성

  •   귀화식물

  • 적 요

서언

한반도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는 군사적 직접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협정이나 조약에 의해 설정된 완충지대로서 분쟁을 종식시키거나 휴전 후 전쟁 재발을 막기 위해 설정된 지역이다. 이 지역은 군사분계선(MDL, Military Demarcation Line), 남방한계선, 민통선 이북지역, 민통선(CCL, Civilian Access Control Line), 접경지역을 포함한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6). DMZ는 60여 년간 인간의 간섭을 받지 않아 세계적으로 우수한 생태계를 보이며, 남방계와 북방계 식물이 다양하게 공존하는 지역으로 한반도 3대 핵심생태축의 하나이다(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DMZ와 민통선지역을 포함하는 행정구역은 인천광역시(강화군), 경기도(김포시, 파주시, 연천군), 강원도(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의 9개 시·군이며 서부, 중부, 동부 권역으로 각각 구분한다. 서부권역은 경기도 파주시·연천군·김포시·강화군·옹진군을 포함하며, 해발 500 m 이하의 저지대와 크기와 면적이 다양한 습지들이 많이 분포한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6). 서부권역에 위치한 파주시의 동부지역은 500 m 내외의 산들이 솟아 있고, 서부지역은 낮은 구릉지와 평야지대로 형성되어있어 농경에 적합한 기후환경을 나타내고 있다(Ministry of Environment, 1999b). 파주시는 연평균 기온이 10.9℃이며, 강수량은 1,458.7 ㎜로 DMZ 서부권역 내에서 평균 기온과 높은 강수량을 가진다(Paju City, 2018). 또한 식물구계지리학상으로 볼 때 한반도 중부아구(Lee and Yim, 1978)에 속하며, 식생의 군계수준에서는 냉온대 중부(Yim and Kira, 1975)에 해당되고, 식생지리학적 분포는 대륙형으로서 한반도아형의 중부/산지형이다(Kim, 1992). 지질은 시생대에 속하는 운모편마암, 편마암 그리고 석회암이 분포하며, 토양은 임진강변을 중심으로 홍수퇴적물에 해당하는 미사식양질과 미사사양질의 토양이 하천의 공격사면과 활주사면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낮은 구릉성 산지에는 사양질과 식양질의 토양이 넓게 분포한다(Ministry of Environment, 1999b).

파평산(坡平山)은 해발 496 m로 북위 37° 56' ~ 37° 54', 동경 126° 51' ~ 126° 54' 사이에 위치하고, 행정구역상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파주읍, 법원읍, 문산읍 등에 걸쳐져 있다. 파평산의 동쪽으로는 감악산(675 m), 앵무봉(622 m), 남쪽으로는 광평산(262 m), 사방산(228 m), 명학산(220 m), 북쪽으로는 국사봉(150 m)과 같은 경기도 서북부 지역 내 여러 봉우리들이 산재한다. 산의 북동쪽으로는 골프장과 공원묘지가 위치해있고, 논·밭이 파평산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북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임진강은 한강하류와 합류하여 상대적으로 수분공급이 원활하고, 산 내부에는 여러 개의 깊은 계곡이 발달하여 하천작용과 관련된 침식과 퇴적의 흔적이 여러 곳에서 발견되며, 홍수 피해를 막기 위한 댐이 설치되어 있다. 파평산은 동봉(457 m)과 서봉(496 m)의 두 봉우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상인 서봉에는 군사적으로 중요한 헬기장과 레이더기지가 있어 일반인은 출입이 제한되어 있다. 한편 동봉은 일반인들의 접근성이 좋으며 남쪽은 암반으로 형성된 바위절벽으로 이어져 있고, 정상은 바위언덕으로 이루어져있다.

경기도 파주시의 식생에 대한 연구는 주로 자연환경조사와 DMZ 일대 조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1999년도에 실시된 2차 자연환경조사에서 파주시에 위치한 감악산과 인근산지가 조사되었으며(Ministry of Environment, 1999a), 이후 3차, 4차 자연환경평가에서 파주시에 위치한 기간봉, 파평산, 도락산, 노고산, 오학산 등의 식생 조사가 이루어졌다(Ministry of Environment, 2006,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그러나 자연환경평가연구는 산림식생의 군락 조사와 식생보전등급을 판정하였을 뿐, 구체적인 식물상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최근 미조사 산지를 대상으로 한 식물상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Lee et al., 2016), 이 중 DMZ 서부권역 식물상에 대한 연구는 고령·개명산(Kim et al.,2016), 문수산(Kim et al., 2010) 등이 수행된 바 있으나 파평산을 중심으로 수행된 식물상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조사에서는 서부 DMZ 인근 접경지역에 위치한 파평산 일대의 식물분포 및 분류군 현황을 파악하고, 증거표본 제작 및 영상자료를 기초로 소산식물 목록을 작성하였다. 또한 조사된 식물 중 특산식물 및 희귀·멸종위기종을 파악하여 보전가치가 있는 식물과 귀화식물 목록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재료 및 방법

파평산의 식물상 및 식물 군집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6년 4월부터 10월까지 10회의 현지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채집된 식물에 대한 종동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2017년과 2019년에 각각 2회, 1회에 걸쳐 추가적인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Fig. 1, Table 1). 조사지역 내에 생육하는 모든 관속식물을 대상으로 화상자료를 확보하거나 채집하여 건조표본을 제작한 후 가천대학교 식물표본관(GCU)과 국립수목원 DMZ 자생식물원에 보관하였다. 조사경로는 등산로 및 임도 주변의 5~20 m를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식물의 동정은 Chang et al. (2011), Lee (1980); Lee (2003a), Lee (2003b), Lee (1996), Lee (2006a), Lee (2006b), Lee et al. (2011), Lee and Lee (2015), Korea Fern Society (2005), Korea National Arboretum (2004),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Korea National Arboretum (2011), Park (2009), Park et al. (2011) 등의 식물도감과 문헌에 따라 실시하였다. 조사된 식물목록의 배열은 양치식물은 Smith et al. (2006), 나자식물은 Melchior (1964), 피자식물은 APG Ⅳ system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2016)의 분류체계를 따랐다. 학명과 국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17)에 준하여 작성하였으며, 속 이하는 알파벳순으로 정리하였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19-032-04/N0820320414/images/kjpr_32_04_14_F1.jpg
Fig. 1.

The map of the surveyed area in Mt. Papyeong.

Table 1. The investigation dates and routes of Mt. Papyeong

No. Dates Investigation routes.
1 4 Apr. 2016 A: Deokcheon-ri → Pine shelter → Mineral spring → Pergola → Eastern Peak
2 9 Apr. 2016 A: Deokcheon-ri → Pine shelter → Mineral spring → Pergola → Eastern Peak
3 22 Apr. 2016 B: Papyeong Sports Park → Neulno-ri → Pergola → Eastern Peak
4 14 May. 2016 A: Deokcheon-ri → Pine shelter → Mineral spring → Pergola → Eastern Peak
5 28 May. 2016 B: Papyeong Sports Park → Neulno-ri → Pergola → Eastern Peak
6 25 Jun. 2016 C: Military unit entrance → Paved road → Western Peak
7 6 Aug. 2016 A: Deokcheon-ri → Pine shelter → Mineral spring → Pergola → Eastern Peak
8 20 Aug. 2016 B: Papyeong Sports Park → Neulno-ri → Pergola → Eastern Peak
9 24 Sep. 2016 C: Military unit entrance → Paved road → Western Peak
10 15 Oct. 2016 B: Papyeong Sports Park → Neulno-ri → Pergola → Eastern Peak
11 4 Apr. 2017 A: Deokcheon-ri → Pine shelter → Mineral spring → Pergola → Eastern Peak
12 20 Aug 2017 B: Papyeong Sports Park → Neulno-ri → Pergola → Eastern Peak
13 2 June 2019 B: Papyeong Sports Park → Neulno-ri → Pergola → Eastern Peak

또한 조사된 식물을 대상으로 특산식물(Chung et al., 2017;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4), 희귀식물(Chang et al., 2016), 멸종위기야생식물과 국가적색목록(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구계학적 특정식물종(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기후변화 적응대상식물(Oh et al., 2010), 식물유용성(Korea Forest Service 2014; Lee, 1976), 귀화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재배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Lee et al., 2016)을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관속식물 현황

파평산의 관속식물은 식재된 종을 포함하여 91과 257속 361종 9아종 36변종 4품종으로 총 41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양치식물은 7과 10속 13종 1변종으로 14분류군(3.41%), 나자식물은 3과 4속 6종 6분류군(1.46%), 피자식물은 81과 243속 342종 9아종 35변종 4품종으로 총 390분류군이다.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은 67과 197속 277종 9아종 30변종 3품종으로 총 319분류군(77.80%), 단자엽식물은 14과 46속 65종 5변종 1품종으로 총 71분류군(17.32%)이다(Table 2, Appendix 1). 이는 한반도 관속식물 4,364 분류군(Chung et al., 2017)의 9.39%이며, 경기도에 분포하는 관속식물(Oh et al., 2008) 1,257 분류군의 32.62%에 해당된다. 증거표본에 의한 식물목록을 바탕으로 종 다양성이 높은 과는 국화과(46분류군), 벼과(31분류군), 장미과(27분류군), 콩과(18분류군), 꿀풀과(18분류군), 제비꽃과(14분류군), 마디풀과(14분류군), 십자화과(13분류군), 미나리아재비과(9분류군), 인동과(9분류군) 순이며, 이는 본 조사에서 확인한 전체 관속식물 410분류군의 48.5%에 해당된다. 증거표본에 기준하였기 때문에 자생지를 확인하였어도 채집하지 못한 일부 식물 종은 식물 목록에서 제외하였으며, 이를 감안하면 보다 많은 분류군이 파평산에 생육할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2. 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Mt. Papyeong

Taxa Family Genus Species Subspecies Variety Forma Total
Pteridophyta 7 10 13 0 1 0 14
Gymnosperm 3 4 6 0 0 0 6
Angiosperm 81 243 342 9 35 4 390
Dicotyledoneae 14 46 65 0 5 1 71
Monocotyledoneae 67 197 277 9 30 3 319
Total 91 257 361 9 36 4 410

파평산과 그에 인접한 고령·개명산(450분류군), 문수산(511분류군)을 비교하였을 때, 파평산과 고령·개명산은 266분류군(파평산 분류군의 64.88%), 파평산과 문수산에서는 242분류군(59.02%)이 공통적으로 생육하며, 세 개의 산에서 176분류군(42.92%)이 공통적으로 확인된다. 특산식물 2분류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2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7분류군, 기후변화 적응대상식물 2분류군, 귀화식물 13분류군이 공통적으로 확인되었으며, 특산식물 4분류군, 멸종 및 위기식물 4분류군, 구계학적식물 16분류군, 기후변화 적응대상식물 1분류군, 귀화식물 4분류군이 파평산에서만 생육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Appendix 1).

과거 파평산은 자연식생이 교란된 후 식재된 침엽수를 바탕으로 한 식생이 정착하였으나 현재 조사된 지역에서 상수리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및 굴참나무군락이 우점하고 있어 2차적으로 안정화된 산림식생과 함께 혼생한 형태의 식림이 발달했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4). 하천의 흔적으로 보이는 지역에서는 갯버들, 키버들을 볼 수 있으며, 산 중턱으로 올라갈수록 생강나무, 쪽동백나무, 붉나무가 산생한다. 동봉 정상 부근에는 드물게 연복초와 금마타리가 부분적으로 군락을 이루고, 동봉으로 향하는 파평체육공원 등산로 초입부에서는 복사나무, 사방오리나무, 쪽동백나무, 병꽃나무, 쥐다래나무, 왕벚나무 등과 함께 초본층으로는 각시붓꽃, 금붓꽃이 산생하고 있었으며, 헬기장 근처에서 백령풀을 확인할 수 있다. 덕천리 주변에서는 참빗살나무, 산초, 개다래나무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초본층으로는 꽃며느리밥풀, 자주조희풀, 터리풀, 민백미꽃 등이, 약수터 부근의 습한 지역에 미치광이풀 군락을 확인 할 수 있다. 한편, 서봉으로 연결된 군부대 지역에서는 포장된 도로 주변으로 망초, 개망초, 미국자리공 등 귀화식물으로 교란된 식생을 초입부에서 중턱까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개암나무, 싸리, 고추나무, 층층나무 등의 목본식물과 메꽃, 물레나물 등의 초본식물도 산생한다. 향후 군시설로 일반인의 접근이 제한되어 식물상의 확인이 이루어지지 못한 서봉에 대한 조사를 추가 실시함으로써 파평산 전 지역의 소산식물을 확인하고, 군시설로 인한 식생의 교란 여부, 귀화식물의 침입 및 확산 여부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특산식물

특산식물(또는 고유식물; Endemic plant)은 국가 단위로 한정된 지역에서만 생육하는 식물을 말한다. 생물다양성 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과 ABS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 Sharing)등 생물자원의 확보를 위한 국제적 경향을 확인할 때 생물주권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Anderson, 1994; Chung et al., 2017). Chung 등의 특산식물목록(Chung et al., 2017)을 근거로 파평산에 생육하는 특산식물은 현호색(Corydalis remota Fisch.ex Maxim.), 점현호색(Corydalis maculata B.U. Oh & Y.S. Kim), 서울제비꽃(Viola seoulensis Nakai), 은사시나무(Populus tomentiglandulosa T.B.Lee), 키버들(Salix koriyanagi Kimura), 참개별꽃(Pseudostellaria coreana (Nakai) Ohwi), 개나리(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오동나무(Paulownia coreana Uyeki),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Nakai) L.H. Bailey) 등 총 9분류군이다(Table 3). 한편 환경부에서 제시한 한반도 고유종 목록(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4)에 따라 검토한 결과로는 털중나리(Lilium amabile Palib.), 점현호색, 서울제비꽃, 은사시나무, 오동나무, 병꽃나무의 6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3). 털중나리는 파평체육공원 인근에서 출발하는 등산로 초입부의 사방댐(Route B; Fig. 1)과 군부대 입구에서 출발하는 등산로의 정상 주변(Route C; Fig.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점현호색은 덕천리에서 출발하는 등산로의 초입부분(Route A; Fig. 1)에서 왜현호색, 댓잎현호색 등 현호색속의 다른 식물과 함께 산재한다. 개나리는 파평체육공원 근처(Route B; Fig. 1)에서 발견하였으나 이는 식재된 분류군으로 여겨진다.

Table 3. The list of Korea Endemic Species in Mt. Papyeong

Family Scientific name Korean name Chungz NIBRy
Liliaceae Lilium amabile Palib. 털중나리
Papaveraceae Corydalis remota Fisch.ex Maxim. 현호색
Papaveraceae Corydalis maculata B.U.Oh & Y.S.Kim 점현호색
Violaceae Viola seoulensis Nakai 서울제비꽃
Salicaceae Populustomentiglandulosa T.B.Lee 은사시나무X
Salicaceae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키버들
Caryophyllaceae Pseudostellaria coreana (Nakai) Ohwi 참개별꽃
Oleaceae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개나리X
Scrophulariaceae Paulownia coreana Uyeki 오동나무X
Caprifoliaceae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병꽃나무

zChung :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yNIBR : Inventory and management of Endemic Species of Korea.
XCultivated Plants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과 적색식물종

IUCN 범주와 기준은 전세계에 분포하는 분류군을 9개 범주로 지정하여 종의 보전 상태를 객관적이고 투명적인 평가를 위해 개발되었다. 9개 범주는 마지막 개체가 죽은 것이 확실한 절멸(Extinct, Ex), 자연 서식지에는 절멸하였으나 동물원이나 식물원 등지에서 생육 또는 재배하는 개체만 있는 야생절멸(Extinct in the wild, EW), 지난 10년 또는 3세대에 걸쳐 측정된 하락의 정도와 요인 등 여러 기준에 해당하는 수에 따라 위급(Critically Endanbered, CR), 위기(Endangered, EN), 취약(Vulnerable, VU), 가까운 장래에 멸종우려(위급, 위기, 취약) 범주에 평가될 수 있는 준위협(Near Threatened, NT),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으나 멸종우려에 포함되지 않은 상태로 널리 퍼져있고 개체수도 많은 관심대상(Least Concern, LC), 평가하기에 정보가 부족한 정보부족(Data Deficient, DD)과 적색목록집에 따라 아직 평가하지 않은 미평가(Not Evalutated, NE)로 나뉜다(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파평산에서 확인된 관속식물 중 IUCN 평가 기준에 따라서 국립수목원에서 제시한 희귀식물 목록을 근거로 할 때, 약관심종(LC)은 처녀고사리(Thelypteris palustris Schott),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노간주나무(Juniperus rigida Siebold & Zucc.), 함박꽃나무(Magnolia sieboldii K.Koch), 두루미천남성(Arisaema heterophyllum Blume), 골풀(Juncus effuusus var. decipiens Buchenau), 새포아풀(Poa annua L.), 갈퀴나물(Vicia amoena Fisch. ex DC.), 물오리나무(Alnus sibirica Fisch. ex Turcz.), 물박달나무(Betula davurica Pall.), 까치박달(Carpinus cordata Blume), 여뀌(Persicaria hydropiper (L.) Delarbre), 흰여뀌(Persicaria lapathifolia (L.) Delarbre)로 총 13분류군이다. 국립생물자원관의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적색자료집(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2012)에서 제시한 목록을 따랐을 때 관심대상(LC)에 금붓꽃(Iris minutioaurea Makino), 금강제비꽃(Viola diamantiaca Nakai)의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4).

Table 4. The list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in Mt. Papyeong

Family Scientific name Korean name KNAz NIBRy
Thelypteridaceae Thelypteris palustris (A. Gray) Schott 처녀고사리 LC
Pinaceae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소나무 LC
Cupressaceae Juniperus rigida Siebold & Zucc. 노간주나무 LC
Magnoliaceae Magnolia sieboldii K.Koch 함박꽃나무 LC
Araceae Arisaema heterophyllum Blume 두루미천남성 LC
Iridaceae Iris minutioaurea Makino 금붓꽃 LC
Juncaceae Juncus decipiens (Buchenau) Nakai. 골풀 LC
Poaceae Poa annua L. 새포아풀 LC
Fabaceae Vicia amoena Fisch. ex DC. 갈퀴나물 LC
Betulaceae Alnus incana subsp. Hirsuta (Turcz. Ex Spach) 물오리나무 LC
Betulaceae Betula davurica Pall. 물박달나무 LC
Betulaceae Carpinus cordata Blume 까치박달 LC
Violaceae Viola diamantiaca Nakai 금강제비꽃 LC
Polygonaceae Persicaria hydropiper (L.) Delarbre 여뀌 LC
Polygonaceae Persicaria lapathifolia (L.) Delarbre 흰여뀌 LC

zKNA : Korea National Arboretum.
yNIBR :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두루미천남성은 정상부근의 팔각 정자에서 약수터로 향하는 길목에서 소수 개체가 산재하였으며, 물오리나무는 300 m 이상의 고도의 서봉과 동봉의 등산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금강제비꽃은 정자 인근에서 일부 확인되었는데, 조사지역 내의 전반적인 분포 상황을 파악하여 자생지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및 기후변화 적응대상식물

식물구계(floristics)는 지역별로 식물상 고유성이 유사하면 같은 식물지리학적 범주로, 다르면 다른 식물지리학적 범주로 구분한 지역이다. 일반적으로 한반도의 식물구계는 총 8개의 아구로 분류하며, 식물의 분포 범위에 따라 5개의 등급으로 구분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46분류 군으로, Ⅳ등급에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Matsum.), 돌마타리(Patrinia rupestris (Pall.) Juss.) 2분류군, Ⅲ등급에 여로(Veratrum maackii var. japonicum (Baker) T.Schmizu), 눈개승마(Aruncus dioicus (Walter) Fernald), 물박달나무, 박달나무(Betula schmidtii Regel.), 단풍나무(Acer palmatum Thunb.), 미치광이풀(Scopolia japonica Maxim.) 등 총 13분류군, Ⅱ등급에 피나물(Hylomecon vernalis Maxim.), 돌양지꽃(Potentilla ancistrifolia var. dickinsii (Franch & Sav.) Koidz), 꼬리조팝나무(Spiraea salicifolia L.), 애기골무꽃(Scutellaria dependens Maxim.), 붉은병꽃나무(Weigela florida (Bunge) DC.) 등 총 11분류군과 Ⅰ등급의 두루미천남성, 큰꽃으아리(Clematis patens C.Morren & Decne.), 회양목(Buxus sinica var. koreana (Nakai ex Rehder) Q.L.Wang), 산괭이눈(Chrysosplenium japonicum (Maxim.) Makino),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Maxim.), 노랑물봉선(Impatiens noli-tangere L.), 들메나무(Fraxinus mandshurica Rupr.), 애기쉽싸리(Lycopus maackianus (Maxim. ex Herder) Makino), 큰엉겅퀴(Cirsium pendulum Fisch. ex DC.), 연복초(Adoxa moschatellina L.) 등 총 20분류군이다(Table 5). 산림청·국립수목원은 장기적으로 기후 온난화에 적응하여 생존하는 한반도 분포 관속식물 중 기후변화에 취약하여 우선관찰 대상이 되는 남방계 및 북방계, 특산식물 각각 100분류군 씩 기후변화 적응대상식물로 선정하였다(Oh et al., 2010). 기후변화 적응대상식물로는 피나물, 점현호색, 꼬리조팝나무, 금강제비꽃, 미치광이풀, 큰엉겅퀴, 돌마타리의 7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6). 돌마타리는 볕이 잘 드는 임도삼거리 부근에서 소수 개체가, 단풍나무는 계곡 주변에 많이 생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이는 식재된 분류군으로 판단된다. 미치광이풀은 약수터에서 정자 사이의 암벽 주변부에서 제한된 분포가 확인되었다. 한편 연복초는 동봉 정상 부근에서 소수의 개체를 확인할 수 있다.

Table 5. The list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in Mt. Papyeong

Family Scientific name Korean name Degree
Rosaceae Prunusyedoensis Matsum. 왕벚나무
Caprifoliaceae Patrinia rupestris (Pall.) Juss. 돌마타리
Melanthiaceae Veratrum maackii var. japonicum (Baker) T.Schmizu 여로
Asparagaceae Mianthemum bicolor (Nakai) Cubey. 자주솜대
Papaveraceae Corydalis maculata B.U.Oh & Y.S.Kim. 점현호색
Papaveraceae Dicentra spectabilis (L.) Lem. 금낭화
Ranunculaceae Clematis heracleifolia DC. 병조희풀
Vitaceae Vitis coignetiae Pulliat ex Planch. 머루
Rosaceae Aruncus dioicus (Walter) Fernald 눈개승마
Betulaceae Betula davurica Pall. 물박달나무
Betulaceae Betula schmidtii Regel 박달나무
Violaceae Viola diamantiaca Nakai 금강제비꽃
Sapindaceae Acer palmatum Thunb. 단풍나무Z
Actinidiaceae Actinidia kolomikta (Maxim. & Rupr.) Maxim. 쥐다래
Solanaceae Scopolia japonica Maxim. 미치광이풀
Osmundaceae Osmunda cinnamomea L 꿩고비
Magnoliaceae Magnolia sieboldii K.Koch 함박꽃나무
Papaveraceae Hylomecon vernalis Maxim. 피나물
Saxifragaceae Chrysosplenium pilosum var. sphaerospermum (A.Terracc.) H. Hara 금괭이눈
Rosaceae Potentilla ancistrifolia Bunge var. dickinsii (Franch & Sav.) Koidz 돌양지꽃
Rosaceae Spiraea salicifolia L. 꼬리조팝나무
Celastraceae Euonymus macropterus Rupr. 나래회나무
Celastraceae Tripterygium regelii Sprague & Takeda 미역줄나무
Rubiaceae Rubia chinensis Regel & Maack 큰꼭두서니
Lamiaceae Scutellaria dependens Maxim. 애기골무꽃
Caprifoliaceae Weigela florida (Bunge) A.DC. 붉은병꽃나무
Araceae Arisaema heterophyllum Blume 두루미천남성
Iridaceae Iris minutoaurea Makino 금붓꽃
Ranunculaceae Clematis patens C.Morren & Decne. 큰꽃으아리
Ranunculaceae Hepatica asiatica Nakai 노루귀
Buxaceae Buxus sinica (Rehder & E.H.Wilson) M.Cheng var. koreana Nakai ex Rehder) Q.L.Wang 회양목
Saxifragaceae Chrysosplenium japonicum (Maxim.) Makino 산괭이눈
Saxifragaceae Deutzia glabrata Kom. 물참대
Saxifragaceae Deutzia uniflora Shirai 매화말발도리
Saxifragaceae Deutzia parviflora Bunge 말발도리
Rosaceae Filipendula glaberrima Nakai 터리풀
Ulmaceae Ulmus davidiana Planch. Ex DC. var. japonica (Rehder) Nakai 느릅나무
Urticaceae Pilea japonica (Maxim.) Hand.-Mazz. 산물통이
Juglandaceae Juglans mandshurica Maxim. 가래나무
Balsaminaceae Impatiens noli-tangere L. 노랑물봉선
Apocynaceae Cynanchum ascyrifolium (Franch. & Sav.) Matsum. 민백미꽃
Oleaceae Fraxinus mandshurica Rupr. 들메나무
Lamiaceae Lycopus maackianus (Maxim. ex Herder) Makino 애기쉽싸리
Asteraceae Cirsium pendulum Fisch. ex DC. 큰엉겅퀴
Adoxaceae Adoxa moschatellina L. 연복초
Caprifoliaceae Viburnum opulus L. var. calvescens (Rehder) H. Hara 백당나무

ZCultivated Plants.

Table 6. The list of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Mt. Papyeong

Family Scientific name Korean name
Papaveraceae Corydalis maculata B.U. Oh & Y.S. Kim 점현호색
Papaveraceae Hylomecon vernalis Maxim. 피나물
Rosaceae Spiraea salicifolia L. 꼬리조팝나무
Violaceae Viola diamantiaca Nakai 금강제비꽃
Solanaceae Scopolia japonica Maxim. 미치광이풀
Asteraceae Cirsium pendulum Fisch. ex DC. 큰엉겅퀴
Caprifoliaceae Patrinia rupestris (Pall.) Juss. 돌마타리

식물 유용성

Lee (1976)를 기준으로 조사지 식물의 유용성을 조사한 결과, 식용 182분류군(44.39%), 목초용 166분류군(40.49%), 약용 138분류군(33.65%), 관상용 53분류군(12.93%), 목재용 22분류군(5.37%), 다용도 11분류군(2.68%), 섬유용 6분류군(1.46%), 산업용 1분류군(0.24%)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용도를 알지 못하는 식물은 64분류군(15.61%)이 확인되었다(Table 7, Appendix 1). 한편 산림청(2014)에서는 과학적 기능과 분포의 희소성 및 고유성 등에 따라 자원식물의 평가 및 용도의 재분류를 실시하였는데, 이 중 과학적 기능에 따른 식물의 유용성 구분을 참고로 하여 자원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특별한 구분이 없는 종의 경우는 알 수 없음(U)으로 분류하였다. 이 결과, 식용 293분류군(71.46%), 산업용 186분류군(45.37%), 다용도 173분류군(42.20%), 의약용 125분류군(30.48%), 유해성 식물 84분류군(20.49%), 향료 16분류군(3.9%)순으로 분류되었으며, 용도를 알지 못하는 식물은 40분류군(9.76%)이다(Table 8, Appendix 1).

Table 7. The list of usage of vascular plants in Mt. Papyeong (Lee, 1974)

UseZ E P M O T S F I U
No. of Taxa 182 166 138 53 22 11 6 1 65
Ratio (%) 44.39 40.49 33.65 12.93 5.37 2.68 1.46 0.24 15.61

ZE : Edible source, P : Forage, M : Medicinal, O : Ornamental, T : Timber, S : Miscellaneous. F : Fiber, I : Industrial, U : Unknown.

Table 8. The list of usage of vascular plants in Mt. Papyeong (Korea Forest Service, 2014)

 UseZ E I S M P F U
No of Taxa 293 186 173 125 84 16 40
Ratio (%) 71.46 45.37 42.20 30.48 20.49 3.90 9.76

ZE : Edible source, I : Industrial, S : Miscellaneous (Landscape, ground cover, etc.), M : Medicinal, P : Poison, F : Flavor, U : Unknown.

귀화식물

국립수목원(2016)은 기관 및 연구자에 따라 용어가 다양하게 사용됨에 따라 귀화식물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수행하여 6가지 용어를 제안하였다. 국내에 의도 또는 비의도적으로 유입되어 야생화 된 외래식물을 “침입외래식물”로 정의하였으며 이 중 자연생태계에 적응하여 지속적으로 개체군을 형성하고, 10년 이상 생육, 번식, 확산을 통해 자생종과 구분 없이 융화되어 자라는 종을 “귀화식물”로 정의하였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국립수목원은 침입외래식물을 321분류군으로 정리하였는데, 파평산에 산재한 침입외래식물은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L.),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 망초(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등 2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9). 또한 파평산의 귀화율(NI: Naturalized Index, 침입외래식물의 분류군 수/관속식물의 총 분류군 수 × 100)은 6.58%, 도시화지수(UI: Urbanization Index, 침입외래식물의 분류군 수/한반도 침입외래식물의 총 분류군 수 × 100)는 8.43%로 나타났다.

Table 9.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in Mt. Papyeong

Family Scientific name Korean name
Poaceae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Poaceae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Poaceae Lolium multiflorum Lam. 쥐보리
Poaceae Poa pratensis L. 왕포아풀
Fabaceae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Oxalidaceae Oxalis dillenii Jacq. 들괭이밥
Euphorbiaceae Euphorbia supina Raf. 애기땅빈대
Onagraceae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Brassicaceae Lepidium virginicum L. 콩다닥냉이
Polygonaceae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Caryophyllaceae Silene armeria L. 끈끈이대나물
Amaranthaceae Chenopodium ficifolium Smith 좀명아주
Phytolaccaceae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Rubiaceae Diodia teres Walter. 백령풀
Asteraceae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Asteraceae Ambrosia trifida L. 단풍잎돼지풀
Asteraceae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Asteraceae Carduus crispus L. 지느러미엉겅퀴
Asteraceae Conyza bonariensis (L.) Cronquist 실망초
Asteraceae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Asteraceae Coreopsis lanceolata L. 큰금계국
Asteraceae Cosmos bipinnatus Cav. 코스모스Z
Asteraceae Erechtites hieracifolia Raf. 붉은서나물
Asteraceae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Asteraceae Galinsoga parviflora Cav. 별꽃아재비
Asteraceae Symphyotrichum pilosus (Willd.) G.L. Nesom 미국쑥부쟁이
Asteraceae Taraxacum officinale Weber. 서양민들레

ZCultivated Plants.

침입외래식물은 높은 종자 생산능력, 적응력, 확산속도를 가지며, 소수의 개체만으로도 서식지의 파괴 또는 훼손의 가능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침입외래식물은 파평산의 저지대 경작지, 등산로 초입 및 휴양시설 구간에 많이 분포한다. 특히 북동쪽에 건설된 골프장과 군부대가 이용하는 길에 단풍잎돼지풀 등 많은 수의 침입외래식물이 관찰되었다. 서봉의 경우 군부대가 위치하여 등산객의 유입이 차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종의 침입외래식물 군락이 확인되었으며, 동봉은 잦은 탐방객의 출입으로 자생종의 생육지가 많이 파괴되어 있었다. 침입외래식물은 주로 초본식물로, 등산로 초입부터 정상까지 넓은 범위에 걸쳐 생육한다. 일부 침입외래식물은 키가 작은 하층 식물들에 대한 배제 작용을 통해 생물다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 등 외래종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파평산의 귀화율은 산림지역의 평균 귀화율(4.72%)에 비해 높은 편이나 파주 동부에 위치한 고령산·개명산의 귀화율(7.7%)보다 낮다. 이는 방문객과 군부대로 인해 산림지역보다 다소 높은 귀화율을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화지수(8.43%)는 산림지역 평균 도시화지수(8.99%)와 고령산·개명산의 귀화율(10.3%)보다 낮은 수치가 확인되었는데, 이는 외래식물의 침입이 타 지역에 비하여 적은 결과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한반도 침입외래식물에 대하여 서로 다른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Yu, 2013). 향후 일반인의 통행이 제한된 서봉 일대와 일반 등산객이 왕래 가능한 동봉 일대를 조사하여 간섭의 차이에 따른 외래식물의 침입 정도를 간접적으로 비교해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적 요

본 연구는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파평산의 관속식물상 조사를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고유종, 희귀 및 멸종식물, 적색식물, 기후변화적응대상 식물, 귀화식물을 조사하였다. 2016년 4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총 13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91과 257속 361종 9아종 36변종 4품종으로 총 41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과별로 보면 국화과(46분류군), 벼과(31분류군), 장미과(27분류군), 콩과(18분류군) 순으로 높게 나타난다. 이 중 Chung 등이 지정한 특산식물은 9분류군, 환경부가 지정한 고유종은 6분류군이다.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IUCN 평가기준을 근거로 국립수목원이 지정한 멸종위기식물 13분류군이, 환경부가 지정한 적색자료집을 근거로 2분류군이 확인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Ⅳ등급 2분류군, Ⅲ등급 13분류군, Ⅱ등급 11분류군, Ⅰ등급 20분류군으로 총 46분류군이다. Lee (1976)에 따른 자원식물은 식용 182분류군(44.39%), 목초용 166분류군(40.49%), 약용 138분류군(33.65%), 관상용 53분류군(12.93%), 목재용 22분류군(5.37%), 다용도 11분류군(2.68%), 섬유용 6분류군(1.46%), 산업용 1분류군(0.24%) 순이며, 산림청 지정 자원식물은 식용 293분류군(71.46%), 산업용 186분류군(45.37%), 다용도 173분류군(42.20%), 의약용 125분류군(30.48%), 유해성 식물 84분류군(20.49%), 향료 16분류군(3.9%)순이다. 기후변화 적응대상식물은 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27분류군으로 귀화율 6.58%, 도시화지수 8.43%를 나타내었다. 본 파평산 일대의 조사로 본 결과는 파주 북부의 DMZ 접경지역의 자연환경 및 자연자원의 조사 및 보존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증거표본을 기준으로 하여 관속식물 목록을 작성하였기 때문에 조사과정에서 누락되었을 가능성을 고려하면 파평산의 관속식물의 다양성은 더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조사 연구를 통해 최근 높은 빈도로 발생하는 산불의 예방, 인위적 간섭에 의한 외래식물의 침입 및 산림훼손의 방지 등을 더 정확히 파악하고, 그를 활용할 더욱 적극적이고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Appendix 1. List of the vascular plants of Mt. Papyeong

No. Scientific Name Korean Name Voucher Specimen Use (Lee)z Use (KFS)y 1 2
Equisetaceae 속새과
1 Equisetum arvense L. 쇠뜨기 GCU16031 E,P E,P,M,I
Osmundaceae 고비과
2 Osmunda cinnamomea L 꿩고비 GCUP001 U E,P,S
3 Osmunda japonica Thunb. 고비 GCU16074 E,M E,P,S
Pteridaceae 고사리과
4 Dennstaedtia wilfordii (T.Moore) Christ 황고사리 GCUP002 U E,P ×
5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Desv.)
Underw. ex A.Heller
고사리 GCUP003 E,M E,P,I,S
Aspleniaceae 꼬리고사리과
6 Asplenium incisum Thunb. 꼬리고사리 GCUP004 U P
Thelypteridaceae 처녀고사리과
7 Parathelypteris japonica (Baker) Ching 지네고사리 GCU16222 U E,P
8 Thelypteris palustris (A.Gray) Schott 처녀고사리 GCU16168 U E,P ×
Woodsiaceae 우드풀과
9 Athyrium niponicum (Mett.) Hance 개고사리 GCUP005 E E,P
10 Athyrium yokoscense (Franch. & Sav.) Christ 뱀고사리 GCU16227 E E,P ×
Dryopteridaceae 면마과
11 Dryopteris chinensis (Baker) Koidz. 가는잎족제비고사리 GCU16203 U U ×
12 Dryopteris sacrosanta Koidz. 애기족제비고사리 GCU16253 U E,P
13 Dryopteris setosa (Thunb.) Akasawa 산족제비고사리 GCUP006 U U ×
14 Polystichum tripteron (Kunze) C.Presl 십자고사리 GCU16065 U E,P
Ginkgoaceae 은행나무과
15 Ginkgo biloba L.X 은행나무X GCUP007 E,M,O,T E,P,M,F,I,S × ×
Pinaceae 소나무과
16 Larix kaempferi (Lamb.) CarrièreX 일본잎갈나무X GCUP008 T I,S ×
17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소나무 GCU16011 E,M,O,T E,F,I,S
18 Pinus rigida Mill.X 리기다소나무X GCU16012 T I,S
19 Pinus strobus L.X 스트로브잣나무X Hyh89 T E,I,S × ×
Cupressaceae 측백나무과
20 Juniperus rigida Siebold & Zucc. 노간주나무 Hyh90 M,S E,M,I,S
Aristolochiaceae 쥐방울덩굴과
21 Asarum sieboldii Miq. 족도리풀 GCU16021 M E,P,I
Magnoliaceae 목련과
22 Magnolia sieboldii K.Koch 함박꽃나무 GCUP009 O,M M,I,S × ×
Lauraceae 녹나무과
23 Lindera obtusiloba Blume 생강나무 GCU16005 E,O,M E,F,I,S
Araceae 천남성과
24 Arisaema amurense Maxim. 둥근잎천남성 GCU16039 M,P E,P,M
25 Arisaema heterophyllum Blume 두루미천남성 GCU16103 M P,M ×
26 Pinellia ternata (Thunb.) Makino. 반하 GCU16056 M P,M × ×
Dioscoreaceae 마과
27 Dioscorea nipponica Makino 부채마 GCUP010 E,P E × ×
28 Dioscorea polystachya Turcz. GCU16078 E,M,P E
Melanthiaceae 멜란티움과
29 Veratrum maackii var. japonicum (Baker)
T.Schmizu
여로 GCUP011 M P,M ×
Colchicaceae 콜치쿰과
30 Disporum smilacinum A.Gray 애기나리 GCU16033 E,P E,P,S
31 Disporum viridescens (Maxim.) Nakai 큰애기나리 GCU16128 E,P E,P
Smilacaceae 청미래덩굴과
32 Smilax china L. 청미래덩굴 GCU16075 E,M,P E,M,I
33 Smilax nipponica Miq. 선밀나물 GCU16061 E,P E
34 Smilax riparia A.DC. 밀나물 GCU16115 E,P E,I ×
35 Smilax sieboldii Miq. 청가시덩굴 GCUP012 E,P E,I ×
36 Smilax sieboldii f.
intermis (Nakai ex T.Mori) H. Hara
민청가시덩굴 GCU16070 E,P E
Liliaceae 백합과
37 Lilium amabile Palib. 털중나리 GCU16118 M,E E,I
38 Lilium tsingtauense Gilg 하늘말나리 GCU16096 E,M,P,O E ×
Iridaceae 붓꽃과
39 Iris minutoaurea Makino 금붓꽃 GCU16025 O,P I × ×
40 Iris rossii Baker 각시붓꽃 GCU16034 O,P U
41 Iris sanguinea Donn ex Horn 붓꽃 GCU16102 M,O,P P,S ×
Asphodelaceae
42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백운원추리 GCU16213 M,O,E,P E × ×
43 Hemerocallis fulva (L.) L. 원추리 GCU16153 E,M,P,O E,P,M,F,I,S ×
Amaryllidaceae 수선화과
44 Allium thunbergii G.Don 산부추 GCU16268 E E,M,I,S ×
Asparagaceae 천문동과
45 Asparagus schoberioides Kunth 비짜루 GCU16087 E E,I,S ×
46 Barnardia japonica (Thunb.) Schult 무릇 GCU16201 E E,P,M,S ×
47 Convallaria keiskei Miq. 은방울꽃 GCU16122 M P,F,S ×
48 Hosta longipes (Franch. & Sav.) Matsum. 비비추 Hyh100 E,P E,S × ×
49 Maianthemum japonicum (A.Gary) LaFrankie. 풀솜대 GCUP013 E E ×
50 Maianthemum dahuricum (Turcz. ex Fisch. & C.A.Mey.)
LaFrankie
용둥굴레 GCU16044 E,P E ×
51 Polygonatum lasianthum Maxim. 죽대 GCU16198 M M,E × ×
52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Miq.) Ohwi
둥굴레 GCU16066 E,P E,I,S
Commelinaceae 닭의장풀과
53 Commelina communis L. 닭의장풀 GCU16176 E,M,P E
Juncaceae 골풀과
54 Juncus decipiens (Buchenau) Nakai. 골풀 GCU16166 M,P E,M,I,S ×
55 Juncus papillosus Franch. & Sav. 청비녀골풀 GCU16163 U U ×
Cyperaceae 사초과
56 Carex bostrychostigma Maxim. 길뚝사초 GCUP014 P S × ×
57 Carex dickinsii Franch. & Sav. 도깨비사초 GCU16193 P S × ×
58 Carex lanceolata Boott 그늘사초 GCU16002 P S ×
59 Carex leiorhyncha C.A.Mey. 산괭이사초 GCU16131 P U
60 Carex neurocarpa Maxim. 괭이사초 GCUP015 P U
61 Carex polyschoena H.Lév. & Vaniot 가지청사초 GCU16027 P U ×
62 Carex siderosticta Hance 대사초 GCU16246 P S
63 Cyperus amuricus Maxim. 방동사니 GCUP016 M U ×
Poaceae 벼과
64 Achnatherum pekinensis (Hance) Ohwi. 나래새 GCU16249 P U
65 Alopecurus aequalis Sobol. 뚝새풀 GCUP019 P E × ×
66 Arundinella hirta var. ciliata (Thunb.) Koidz. GCU16258 P S ×
67 Bromus remotiflorus (Steud.) Ohwi 꼬리새 Hyh84 P U ×
68 Calamagrostis arundinacea (L.) Roth 실새풀 GCU16256 P S ×
69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GCU16112 P U
70 Diarrhena japonica (Franch. & Sav.) Franch. & Sav. 용수염 GCUP020 P U ×
71 Diarrhena mandshurica Maxim. 껍질용수염 GCU16259 P U ×
72 Digitaria ciliaris (Retz.) Koel. 바랭이 GCU16165 P S ×
73 Elymus ciliare (Trin. ex Bunge) Tzvelev. 속털개밀 GCUP017 P I,S ×
74 Elymus tsukushiensis var. transiens (Hack.) Ohwi 개밀 GCUP018 P I,S ×
75 Eragrostis ferruginea (Thunb.) P.Beauv. 그령 GCU16223 P M,I,S
76 Eriochloa villosa (Thunb.) Kunth 나도개피 GCUP021 P S
77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Hyh105 P S
78 Hierochloe odorata (L.) P.Beauv. 향모 GCU16030 U E,F
79 Lolium multiflorum Lam. 쥐보리 Hyh81 S × ×
80 Melica onoei Franch. & Sav. 쌀새 GCUP022 P S ×
81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참억새 GCUP023 S,M I,S ×
82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ersson) Matsum
억새 GCU16173 P E,I,S
83 Muhlenbergia japonica Steud. 쥐꼬리새 GCUP024 P U × ×
84 Oplismenus undulatifolius (Ard.) P.Beauv. 주름조개풀 GCU16164 P U
85 Panicum bisulcatum Thunb. 개기장 GCU16162 E,P E,I
86 Paspalum thunbergii Kunth ex Steud. 참새피 GCU16200 M,P S ×
87 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수크령 GCU16169 P I,S
88 Poa pratensis L. 왕포아풀 Hyh86 P S ×
89 Poa annua L. 새포아풀 GCU16062 P S ×
90 Poa sphondylodes Trin. 포아풀 GCUP025 P S ×
91 Setaria pumila (Poir.) Roem. & Schult. 금강아지풀 GCUP026 P U ×
92 Spodiopogon cotulifer (Thunb.) Hack. 기름새 GCU16183 P I ×
93 Spodiopogon sibiricus Trin. 큰기름새 GCUP027 P U
94 Themeda triandra Themeda 솔새 GCU16240 P S
Papaveraceae 양귀비과
95 Chelidonium majus subsp. asiaticum (H. Hara) Ohwi 애기똥풀 GCU16029 M E,P,M,I
96 Corydalis remota Fisch. ex Maxim. 현호색 GCUP028 M P
97 Corydalis maculata B.U.Oh & Y.S.Kim. 점현호색 GCUP029 U U × ×
98 Corydalis heterocarpa Siebold & Zucc. 염주괴불주머니 GCU16008 P P × ×
99 Corydalis speciosa Maxim. 산괴불주머니 GCU16057 U E,P,M
100 Dicentra spectabilis (L.) Lem.X 금낭화X GCU16045 E,O E,P,S × ×
101 Hylomecon vernalis Maxim. 피나물 GCU16009 O,M E,P
Menispermaceae 방기과
102 Menispermum dauricum DC. 새모래덩굴 GCU16043 U P,M,I,S ×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103 Clematis apiifolia DC. 사위질빵 GCU16158 U E,P,I,S
104 Clematis heracleifolia DC. 병조희풀 GCUP030 M E,P ×
105 Clematis heracleifolia var. tubulosa (Turcz.) Kuntze. 자주조희풀 GCU16185 M U × ×
106 Clematis patens C.Morren & Decne. 큰꽃으아리 GCU16077 O E
107 Clematis terniflora var. mandshurica (Rupr.) Ohwi 으아리 GCU16108 M E,P,M,S
108 Hepatica asiatica Nakai 노루귀 GCU16199 O P,S
109 Ranunculus japonicus Thunb. 미나리아재비 GCU16090 M,P E,P,I ×
110 Thalictrum aquilegifolium var. sibiricum Regel & Tiling 꿩의다리 GCUP031 E,M,P E,P,S ×
111 Thalictrum tuberiferum Mazim 산꿩의다리 GCU16042 M E ×
Buxaceae 회양목과
112 Buxus sinica var. koreana (Nakai ex Rehder) Q.L.Wang 회양목 GCUP032 O,M F,S ×
Grossulariaceae 까치밥나무과
113 Ribes fasciculatum var. chinense Maxim. 까마귀밥나무 Hyh107 E,O,P E,S ×
Saxifragaceae 범의귀과
114 Astilbe chinensis (Maxim.) Franch. & Sav. 노루오줌 GCU16138 M,P E,M,S
115 Chrysosplenium barbatum Nakai 흰털괭이눈 GCUP033 U E,S × ×
116 Chrysosplenium japonicum (Maxim.) Makino 산괭이눈 GCUP034 U E × ×
117 Chrysosplenium pilosum var.
sphaerospermum (A.Terracc.) H. Hara
금괭이눈 GCU16017 U U × ×
118 Deutzia glabrata Kom. 물참대 GCU16059 O I ×
119 Deutzia uniflora Shirai 매화말발도리 GCU16020 O I
120 Deutzia parviflora Bunge 말발도리 GCU16126 O I,S ×
121 Hydrangea macrophylla subsp.
Serrata (Thunb.) MakinoX
산수국X GCUP035 O E,P,M,I,S ×
Crassulaceae 돌나물과
122 Sedum kamtschaticum Fisch. 기린초 GCU16060 E E,S
123 Sedum japonicum Siebold ex Miq. 채송화 GCU16143 U U × ×
124 Sedum sarmentosum Bunge 돌나물 GCUP036 M,E E,M,S ×
Vitaceae 포도과
125 Ampelopsis heterophylla (Thunb.) Siebold & Zucc. 개머루 GCU16189 U E,M ×
126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iebold & Zucc.)
Planch.
담쟁이덩굴 GCU16046 O,P E,P,I,S
127 Vitis coignetiae Pulliat ex Planch. 머루 GCU16084 E,P E,M,S × ×
Fabaceae 콩과
128 Amphicarpaea bracteata subsp.
edgeworthii (Benth.) H.Ohashi
새콩 GCU16235 E,P E
129 Chamaecrista nomame (Makino) H.Ohashi 차풀 GCU16220 E,M,P E,S
130 Glycine max subsp. Soja (Siebold & Zucc.)
H.Ohashi.
돌콩 GCU16238 E,P E
131 Hylodesmum podocarpum subsp.
oxyphyllum (DC.) H.Ohashi & R.R.Mill.
도둑놈의갈고리 GCUP037 U I × ×
132 Indigofera kirilowii Maxim. ex Palib. 땅비싸리 GCU16109 O E,M,I,S
133 Kummerowia striata (Thunb.) Schindl. 매듭풀 GCU16212 P S ×
134 Lespedeza bicolor Turcz. 싸리 GCU16177 O,P E,I,S
135 Lespedeza cyrtobotrya Miq. 참싸리 GCU16214 O,F E,I,S ×
136 Lespedeza maximowiczii C.K.Schneid. 조록싸리 GCU16110 O,P E,I,S ×
137 Maackia amurensis Rupr. 다릅나무 GCU16215 T I,S
138 Pueraria lobata (Willd.) Ohwi GCU16194 E,M,S,P E,P,M,I,S
139 Sophora flavescens Aiton 고삼 GCUP038 M E,P,M,I
140 Styphnolobium japonica (L.) Schott 회화나무 GCU16234 M M,I,S × ×
141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GCU16123 P E,I,S
142 Vicia amoena Fisch. ex DC. 갈퀴나물 GCUP039 E,P E,I ×
143 Vicia amurensis Oett. 벌완두 GCUP040 E,P E ×
144 Vicia unijuga A.Braun 나비나물 GCU16079 E,P E
145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Ohwi)
Ohwi & H.Ohashi
새팥 GCU16236 E E,I
Rosaceae 장미과
146 Agrimonia pilosa Ledeb. 짚신나물 GCU16191 E,M,P E,M,I
147 Aruncus dioicus (Walter) Fernald 눈개승마 GCU16157 U E × ×
148 Crataegus pinnatifida Bunge 산사나무 GCU16048 M,E E,P,I,S ×
149 Duchesnea indica (Andr.) Focke 뱀딸기 GCUP041 E,M,P E,P,M,S
150 Filipendula glaberrima Nakai 터리풀 GCU16053 O,P E,S ×
151 Geum aleppicum Jacq. 큰뱀무 GCU16136 E,P U × ×
152 Kerria japonica (L.) DC. 죽단화 GCU16219 O U ×
153 Malus toringo (Siebold) Siebold ex de Vriese 아그배나무 GCU16028 E,O E,I,S × ×
154 Potentilla ancistrifolia var. dickinsii (Franch & Sav.)
Koidz
돌양지꽃 GCUP043 U E ×
155 Potentilla fragarioides L. 양지꽃 GCU16015 M,E E,S
156 Potentilla freyniana Bornm. 세잎양지꽃 GCUP044 E,P E
157 Potentilla kleiniana Wight & Arn 가락지나물 GCUP042 E,O E,P × ×
158 Prunus japonica var. nakaii (H.Lév.) Rehder 이스라지 GCU16190 E,M,P E,S ×
159 Prunus padus L. 귀룽나무 GCUP045 M,E E,P,M,S
160 Prunus persica (L.) Batsch 복사나무 GCU16003 E,P E,P,M,I,S × ×
161 Prunus serrulata var. pubescens (Makino) Nakai 잔털벚나무 Hyh92 O,E U
162 Prunusyedoensis Matsum. 왕벚나무 Hyh82 O E,I,S ×
163 Rosa multiflora Thunb. 찔레꽃 GCUP046 E,M,P U ×
164 Rubus crataegifolius Bunge 산딸기 GCU16127 E,M,P E,I,S
165 Rubus parvifolius L. 멍석딸기 GCUP047 M,E E,M,I
166 Rubus phoenicolasius Maxim. 곰딸기 GCU16129 E E,I ×
167 Rubus pungens Cambess. 줄딸기 GCU16154 E E,I
168 Sanguisorba officinalis L. 오이풀 GCU16269 M,P E,M,I
169 Sorbus alnifolia (Siebold & Zucc.) K.Koch 팥배나무 GCU16101 E,P E,I,S
170 Spiraea prunifolia f. simpliciflora NakaiX 조팝나무X GCU16036 E,O,M E,M,I,S
171 Spiraea salicifolia L. 꼬리조팝나무 GCU16160 E,O,M E,I,S ×
172 Stephanandra incisa (Thunb.) Zabel 국수나무 GCUP048 S E,I,S
Elaeagnaceae 보리수나무과
173 Elaeagnus umbellata Thunb. 보리수나무 GCU16068 E,P E,M,F,I,S
Ulmaceae 느릅나무과
174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Rehder) Nakai 느릅나무 GCU16133 E,M,T,F E,P,M,I,S ×
175 Zelkova serrata (Thunb.) Makino 느티나무 Hyh108 E,T E,M,I,S ×
Cannabaceae 삼과
176 Humulus scandens (Loour.) Merr. 환삼덩굴 GCU16241 E,P,M E,M,I
Moraceae 뽕나무과
177 Morus australis Poir. 산뽕나무 GCU16097 E,M,P,S E,I,S ×
Urticaceae 쐐기풀과
178 Boehmeria spicata (Thunb.) Thunb. 좀깨잎나무 GCU16049 F E,I,S ×
179 Pilea japonica (Maxim.) Hand.-Mazz. 산물통이 GCU16224 U E × ×
Fagaceae 참나무과
180 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X 밤나무X GCU16137 E,M,T,S E,M,I,S ×
181 Quercus acutissima Carruth. 상수리나무 GCU16072 E,M,T,P E,M,I,S ×
182 Quercus aliena Blume 갈참나무 GCU16116 E,T,P E,M,I,S
183 Quercus dentata Thunb. 떡갈나무 GCU16063 E,M,T,S E,M,I,S
184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신갈나무 GCU16018 E,T,P E,I,S
185 Quercus serrata Murray 졸참나무 Hyh94 E,T,P,M E,I,S
186 Quercus variabilis Blume 굴참나무 GCUP049 E,T,I,M E,I,S
Juglandaceae 가래나무과
187 Juglans mandshurica Maxim. 가래나무 Hyh99 E,T,F E,M,P,I,S × ×
Betulaceae 자작나무과
188 Alnus firma Siebold & Zucc. 사방오리 GCU16019 S I,S × ×
189 Alnus incana subsp. hirsuta
(Turcz. ex Spach) Á.Löve & D.Löve,
물오리나무 GCU16134 S M,I,S
190 Betula davurica Pall. 물박달나무 GCU16107 M,F I ×
191 Betula pendula Roth. 자작나무 GCU16152 O E,M,I,S ×
192 Betula schmidtii Regel 박달나무 GCU16099 T I,S × ×
193 Carpinus cordata Blume 까치박달 GCUP050 T,P I,S ×
194 Corylus heterophylla Fisch. ex Trautv. 개암나무 GCU16142 E,M,P E,I,S
195 Corylus sieboldiana var. mandshurica (Maxim.)
C.K.Schneid.
물개암나무 GCU16135 M,E E ×
Celastraceae 노박덩굴과
196 Celastrus orbiculatus Thunb. 노박덩굴 GCU16073 E,O,R E,M,I,S
197 Euonymus alatus (Thunb.) Siebold 화살나무 GCUP051 E,M,P E,M,I,S
198 Euonymus alatus f. ciliatodentatus
(Franch. & Sav.) Hiyama
회잎나무 GCU16054 E,P E
199 Euonymus hamiltonianus Wall.. 참빗살나무 GCU16180 P I ×
200 Euonymus hamiltonianus var. maackii (Rupr.) Kom 좀참빗살나무 GCU16032 U U × ×
201 Euonymus oxyphyllus Miq. 참회나무 GCUP052 P I
202 Tripterygium regelii Sprague & Takeda 미역줄나무 GCUP053 U E,P,M,I,S × ×
Oxalidaceae 괭이밥과
203 Oxalis corniculata L. 괭이밥 GCU16147 M,E E,M,I
204 Oxalis obtriangulata Maxim. 큰괭이밥 GCUP054 E E,I ×
205 Oxalis dillenii Jacq. 들괭이밥 GCU16105 E U × ×
Hypericaceae 물레나물과
206 Hypericum ascyron L. 물레나물 GCU16150 E,O E,M,S ×
207 Hypericum erectum Thunb. 고추나물 GCU16188 M,P E,P
Violaceae 제비꽃과
208 Viola acuminata Ledeb. 졸방제비꽃 GCU16041 E E
209 Viola albida Palib. 태백제비꽃 GCUP055 U E ×
210 Viola albida var. chaerophylloides (Regel)
F.Maek. ex Hara
남산제비꽃 GCU16007 U E
211 Viola arcuata Blume 콩제비꽃 Hyh103 E,P E ×
212 Viola collina Besser 둥근털제비꽃 Hyh88 U E
213 Viola diamantiaca Nakai 금강제비꽃 GCU16250 U E × ×
214 Viola hirtipes S.Moore 흰털제비꽃 Hyh96 U E × ×
215 Viola keiskei Miq. 잔털제비꽃 GCUP056 U E × ×
216 Viola mandshurica W.Becker 제비꽃 GCU16082 E,M,P E,M,F,I,S ×
217 Viola phalacrocarpa Maxim. 털제비꽃 GCU16001 U E ×
218 Viola seoulensis Nakai 서울제비꽃 Hyh95 U E × ×
219 Viola rossii Hemsl. 고깔제비꽃 GCU16014 M E
220 Viola selkirkii Pursh ex Goldie 뫼제비꽃 GCUP057 U E ×
221 Viola variegata var. variegata Fisch. ex Link 알록제비꽃 GCUP058 E,O E,M,S ×
Salicaceae 버드나무과
222 Populustomentiglandulosa T.B.Lee.X 은사시나무X GCU16100 T I × ×
223 Salix caprea L. 호랑버들 GCU16037 P I,S
224 Salix gracilistyla Miq. 갯버들 GCU16016 P I,S ×
225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키버들 GCU16132 S I,S × ×
226 Salix pierotii Miq. 버드나무 Hyh83 P M,I,S ×
Euphorbiaceae 대극과
227 Acalypha australis L. 깨풀 GCU16248 E E,M
228 Euphorbia supina Raf. 애기땅빈대 GCU16218 U P,S
229 Securinega suffruticosa (Pall.) Rehder 광대싸리 GCU16151 M E,P,I
Geraniaceae 쥐손이풀과
230 Geranium sibiricum L. 쥐손이풀 GCU16232 M,P M
Onagraceae 바늘꽃과
231 Circaea mollis Slebold & Zucc. 털이슬 GCUP059 P U ×
232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GCU16140 O,P E,M,I,S
Staphyleaceae 고추나무과
233 Staphylea bumalda DC. 고추나무 GCU16052 E E,S ×
Anacardiaceae 옻나무과
234 Rhus chienesis Mill. 붉나무 GCU16211 E,M,R E,P,M,I,S
235 Toxicodendron trichocarpa (Miq.) Kuntze. 개옻나무 GCU16067 M E,P,M,I,S
Sapindaceae 무환자나무과
236 Acer palmatum Thunb.X 단풍나무X GCUP060 O,P I,S ×
237 Acer pictum var. mono (Maxim.) Ex Franch 고로쇠나무 GCU16086 M,O,P E,M,I,S
238 Acer pseudosieboldianum (Pax) Kom. 당단풍나무 GCU16050 O I,S
239 Acer tataricum subsp. ginnala (Maxim.) Wesm. 신나무 GCU16055 P E,M,I,S
Rutaceae 운향과
240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 Zucc. 산초나무 GCU16251 E E,M,I,S
241 Zanthoxylum schinifolium var. inermis (Nakai)
T.B.Lee
민산초나무 GCUP061 E E ×
Simaroubaceae 소태나무과
242 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가죽나무 Hyh106 M,S P,I,S ×
243 Picrasma quassioides (D.Don) Benn. 소태나무 GCU16071 M,F E,P,M,I
Malvaceae 아욱과
244 Corchoropsis tomentosa (Thunb.) Makino 수까치깨 GCU16217 U I ×
Brassicaceae 십자화과
245 Arabis glabra Bernh. 장대나물 GCU16098 E E ×
246 Arabis hirsuta (L.) Scop. 털장대 GCU16038 E E × ×
247 Barbarea orthoceras Ledeb. 나도냉이 GCUP062 M E ×
248 Capsella bursa-pastoris (L.) L.W.Medicus 냉이 GCUP063 M,E E,P,M ×
249 Cardamine fallax L. 좁쌀냉이 GCUP064 E E
250 Cardamine flexuosa With. 황새냉이 GCUP065 E E,M
251 Cardamine leucantha (Tausch) O.E.Schulz 미나리냉이 GCU16047 E E,S
252 Dontostemon dentatus (Bunge) C.A.Mey. ex Ledeb. 가는장대 GCU16228 E E × ×
253 Draba nemorosa L. 꽃다지 GCUP066 M,E E,M,S
254 Lepidium apetalum Willd. 다닥냉이 GCU16119 M,E E ×
255 Lepidium virginicum L. 콩다닥냉이 GCU16094 E E
256 Rorippa indica (L.) Hiern 개갓냉이 GCUP067 E E ×
257 Thlaspi arvense L. 말냉이 GCU16117 E E ×
Santalaceae 단향과
258 Thesium chinense Turcz. 제비꿀 Hyh85 M U
Polygonaceae 마디풀과
259 Persicaria filiformis (Thunb.) Nakai ex Mori 이삭여뀌 GCU16159 M E,I
260 Persicaria hydropiper (L.) Delarbre 여뀌 GCU16210 M,P E,M,I ×
261 Persicaria japonica (Meisn.) H.Gross ex Nakai 흰꽃여뀌 GCU16239 U I ×
262 Persicaria lapathifolia (L.) Delarbre 흰여뀌 GCU16186 U E,I × ×
263 Persicaria longiseta (Bruijn) Kitag. 개여뀌 GCU16244 M E,I
264 Persicaria perfoliata (L.) H.Gross 며느리배꼽 GCUP068 E E,I
265 Persicaria posumbu var. laxiflora (Meisn.) H. Hara 장대여뀌 GCUP069 U E,I
266 Persicaria sagittata (L.) H.Gross 미꾸리낚시 GCUP139 U U × ×
267 Persicaria senticosa (Meisn.) H.Gross ex Nakai 며느리밑씻개 GCU16120 E,P E,I
268 Persicaria thunbergii (Siebold & Zucc.) H.Gross 고마리 GCUP070 P E,M,I
269 Polygonum aviculare L. 마디풀 GCU16221 M,E E,M
270 Rumex acetosa L. 수영 GCU16035 M E,M,I ×
271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GCUP071 E,M,P E,P,M,I ×
Caryophyllaceae 석죽과
272 Pseudostellaria coreana (Nakai) Ohwi 참개별꽃 GCU16010 U U × ×
273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Miq.) Pax 개별꽃 GCU16023 M,E E
274 Pseudostellaria palibiniana (Takeda) Ohwi 큰개별꽃 GCU16092 E E
275 Silene armeria L. 끈끈이대나물 Hyh98 U E,S
276 Silene firma Siebold & Zucc. 장구채 GCU16266 E,P,M E
277 Silene seoulensis Nakai 가는장구채 GCU16178 P E
278 Stellaria aquatica (L.) Scop. 쇠별꽃 GCU16106 M,E E ×
Amaranthaceae 비름과
279 Achyranthes bidentata var. japonica (Miq.) 쇠무릎 GCUP072 E,M,P E,I
280 Amaranthus tricolor L. 비름 GCU16225 E,P E ×
281 Chenopodium ficifolium Smith 좀명아주 GCU16093 E,P E ×
Phytolaccaceae 자리공과
282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GCU16144 U E,P,M
Cornaceae 층층나무과
283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 (Miq.) Ohwi 박쥐나무 GCU16091 E E,P,S ×
284 Cornus controversa Hemsl. 층층나무 GCU16141 U E,I,S
285 Cornus kousa F.Buerger ex Hance 산딸나무 GCUP073 E E,I,S ×
286 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X 산수유X GCUP074 O,M E,P,M,I,S ×
Balsaminaceae 봉선화과
287 Impatiens noli-tangere L. 노랑물봉선 GCU16196 P P,I ×
288 Impatiens textori Miq. 물봉선 GCUP075 M P,I ×
Primulaceae 앵초과
289 Androsace umbellata (Lour.) Merr. 봄맞이 GCUP076 U E,M × ×
290 Lysimachia clethroides Duby 큰까치수염 GCUP077 E,P E,M
Symplocaceae 노린재나무과
291 Symplocos sawafutagi Nagam. 노린재나무 GCU16081 P E,P,I,S
Styracaceae 때죽나무과
292 Persicaria hydropiper Siebold & Zucc. 때죽나무 Hyh101 O,P M,I,S ×
293 Styrax obassia Siebold & Zucc. 쪽동백나무 GCU16051 O,P M,I,S
Actinidiaceae 다래나무과
294 Actinidia kolomikta (Maxim. & Rupr.) Maxim. 쥐다래 GCUP078 E E,I × ×
295 Actinidia polygama (Siebold & Zucc.)
Planch. ex Maxim.
개다래 GCUP079 M,E E,P,M,I,S ×
Ericaceae 진달래과
296 Pyrola japonica Klenze ex Alef. 노루발 Hyh97 M E,M
297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진달래 GCU16004 E,O E,M,I,S
298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철쭉 GCU16243 O E,P,I,S ×
299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H.Lév.)
M.Sugim. ex T.Yamaz.
산철쭉 GCUP080 O I,S × ×
Rubiaceae 꼭두서니과
300 Galium maximowiczii (Kom.) Pobed. 개갈퀴 GCUP081 U E
301 Diodia teres Walter 백령풀 GCU16237 U U × ×
302 Galium pogonanthum Franch. & Sav. 산갈퀴 GCU16095 U E,S ×
303 Galium spurium L. 갈퀴덩굴 GCU16064 M,E E,M,S ×
304 Rubia argyi (H.Lév. & Vaniot) H.Hara ex Lauener 꼭두서니 GCU16242 M,P E,P,M,I
305 Rubia chinensis Regel & Maack 큰꼭두서니 GCU16175 M I × ×
306 Rubia cordifolia L. 갈퀴꼭두서니 GCU16252 E,M,P E,I
Apocynaceae 협죽도과
307 Cynanchum ascyrifolium (Franch. & Sav.) Matsum. 민백미꽃 GCU16085 M U
308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박주가리 GCU16247 E,M,P E,P,I
Boraginaceae 지치과
309 Trigonotis peduncularis (Trevir.) Benth. ex Hemsl. 꽃마리 GCU16114 E E
310 Trigonotis radicans var. sericea (Maxim.) H. Hara 참꽃마리 GCU16069 E E ×
Convolvulaceae 메꽃과
311 Calystegia pubescens Lindl. 메꽃 GCU16139 E,P E,I ×
312 Cuscuta australis R.Br. 실새삼 GCU16260 U E ×
313 Cuscuta japonica Choisy 새삼 GCUP082 M E ×
314 Ipomoea nil (L.) Roth.X 미국나팔꽃X GCU16208 U U
Solanaceae 가지과
315 Scopolia japonica Maxim. 미치광이풀 GCU16006 M P × ×
316 Solanum nigrum L. 미국까마중 GCUP083 E,M,P E,P,M ×
Oleaceae 물푸레나무과
317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X 개나리X GCUP084 O,M E,M,I,S ×
318 Fraxinus mandshurica Rupr. 들메나무 Hyh93 T,P E,M,I,S × ×
319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물푸레나무 GCU16088 T E,M,I,S
320 Ligustrum obtusifolium Siebold & Zucc. 쥐똥나무 GCU16083 M E,I,S
Plantaginaceae 질경이과
321 Plantago asiatica L. 질경이 GCU16121 E,M,P E,M,I ×
Verbenaceae 마편초과
322 Callicarpa japonica Thunb. 작살나무 GCU16024 O I,S
323 Clerodendrum trichotomum Thunb. 누리장나무 GCUP086 E,M,P E,P,I,S
Lamiaceae 꿀풀과
324 Agastache rugosa (Fisch. & C.A.Mey.) Kuntze 배초향 Hyh102 E E,M,S ×
325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Kudo) H. Hara
층층이꽃 GCU16192 E E,M,F,I × ×
326 Elsholtzia angustifolia (Loes.) Kitag. 애기향유 GCU16264 M U × ×
327 Elsholtzia splendens Nakai ex F.Maek. 꽃향유 GCUP087 M E,M,F,I,S
328 Isodon excisus (Maxim.) Kudo 오리방풀 GCU16187 E E,I ×
329 Isodon inflexus (Thunb.) Kudo 산박하 GCU16174 E E,M,I
330 Isodon japonicus (Burm.) Hara 방아풀 GCU16206 E E,M,I ×
331 Leonurus japonicus Houtt. 익모초 GCU16233 M E,M,F,I
332 Lycopus charkeviczii Prob. 산쉽싸리 GCU16170 M U × ×
333 Lycopus maackianus (Maxim. ex Herder) Makino 애기쉽싸리 GCU16184 U E,I × ×
334 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 벌깨덩굴 GCU16076 E,P E,I,S ×
335 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 Malinv.
Ex Holmes.
박하 GCU16195 M E,P,F,I,S × ×
336 Mosla scabra (Thunb.) C.Y.Wu & H.W.Li. 들깨풀 GCU16209 M E
337 Phlomis umbrosa Turcz. 속단 GCU16161 M,E E,P ×
338 Prunella vulgaris subsp. asiatica (Nakai) H.Hara. 꿀풀 GCU16104 M,E E,M,I,S
339 Scutellaria dependens Maxim. 애기골무꽃 GCU16197 U E,I × ×
340 Scutellaria indica L. 골무꽃 GCUP088 M E,M,S × ×
341 Stachys riederi var. japonica (Miq.) H.Hara. 석잠풀 GCUP089 P E,M,I,S ×
Mazaceae 주름잎과
342 Mazus pumilus (Burm.f.) Steenis 주름잎 GCUP090 E E,I ×
Phrymaceae 파리풀과
343 Phryma leptostachya var.
oblongifolia (Koidz.) Honda.
파리풀 GCU16172 M P,M,I
Paulowniaceae 오동과
344 Paulownia coreana UyekiX 오동나무X GCU16130 T E,M,I,S × ×
Orobancgaceae 열당과
345 Melampyrum roseum Maxim. 꽃며느리밥풀 GCU16167 U I
346 Melampyrum roseum var. ovalifolium Nakai
ex Beauverd
알며느리밥풀 GCUP085 U I × ×
Campanulaceae 초롱꽃과
347 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 Zucc.) Miq. 모시대 GCUP091 M,E E ×
Asteraceae 국화과
348 Adenocaulon himalaicum Edgew. 멸가치 GCUP092 E E,I,S ×
349 Ainsliaea acerifolia Sch.Bip. 단풍취 GCU16181 E E
350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GCU16216 U U
351 Ambrosia trifida L. 단풍잎돼지풀 GCU16245 U U ×
352 Artemisia capillaris Thunb. 사철쑥 GCUP093 E,P E,P,M,S
353 Artemisia japonica Thunb. 제비쑥 GCU16171 E,P E,M,I,S ×
354 Artemisia keiskeana Miq. 맑은대쑥 GCU16229 E,M,P E,F,S
355 Artemisia montana (Nakai) Pamp. 산쑥 GCU16255 P E,S × ×
356 Artemisia sacrorum var. iwayomogi (Kitam.)
M.S.Park & G.Y.Chung.
더위지기 GCUP094 M,P E,P,M,F ×
357 Artemisia stolonifera (Maxim.) Kom. 넓은잎외잎쑥 GCU16204 E,P E ×
358 Aster ageratoides Turcz. 까실쑥부쟁이 GCUP095 U E,M ×
359 Aster incisus Fisch. 가새쑥부쟁이 GCU16263 U E ×
360 Aster yomena (Kitam.) Honda 쑥부쟁이 GCUP096 U E,M,S × ×
361 Atractylodes ovata (Thunb.) DC. 삽주 GCU16202 E,M,P E,M,I
362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GCUP097 P E,I ×
363 Carduus crispus L. 지느러미엉겅퀴 GCUP098 M,E E ×
364 Carpesium abrotanoides L. 담배풀 GCUP099 M E,P,M × ×
365 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Maxim.) Matsum. 엉겅퀴 GCU16111 E,M,P E,M,I,S
366 Cirsium pendulum Fisch. ex DC. 큰엉겅퀴 GCUP100 E E
367 Conyza bonariensis (L.) Cronquist 실망초 GCU16226 E E × ×
368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GCU16125 E E
369 Coreopsis lanceolata L. 큰금계국 GCU16146 O U ×
370 Cosmos bipinnatus Ca., Icon..X 코스모스X GCUP101 U S ×
371 Crepidiastrum denticulatum (Houtt.)
Pak & Kawano
이고들빼기 GCUP102 E,P E
372 Crepidiastrum sonchifolium (Maxim.)
Pak & Kawano
고들빼기 GCU16089 E,P E,M
373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Makino 산국 GCUP103 M E,I,S
374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구절초 GCU16262 M,P E,M,I,S ×
375 Erechtites hieracifolia Raf. 붉은서나물 GCU16254 E E,I × ×
376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GCU16149 E E,I
377 Eupatorium japonicum Thunb. 등골나물 GCU16155 E,P E,P,M,I
378 Galinsoga parviflora Cav. 별꽃아재비 GCU16148 U E × ×
379 Hemistepta lyrata Bunge 지칭개 GCU16113 E E,M,I
380 Ixeridium dentatum (Thunb.) Tzvelev 씀바귀 GCU16040 E,M,P E,M,I ×
381 Ixeris debilis (Thunb.) A.Gray 벋음씀바귀 GCUP104 E,P E × ×
382 Ixeris stolonifera A.Gray 좀씀바귀 Hyh91 P E,S × ×
383 Ixeris strigosa (H.Lév. & Vaniot) J.H.Pak & Kawano 선씀바귀 GCUP105 E,M,P E × ×
384 Lactuca indica L. 왕고들빼기 GCUP106 E,M,P E
385 Saussurea grandifolia Maxim. 서덜취 GCU16205 E,P E ×
386 Sigesbeckia glabrescens (Makino) Makino 진득찰 GCUP107 M,P E,P,M
387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Kitam. ex H. Hara 미역취 GCU16257 M,E E,P,M,I
388 Symphyotrichum pilosus (Willd.) G.L. Nesom 미국쑥부쟁이 GCU16231 U E
389 Syneilesis palmata (Thunb.) Maxim. 우산나물 GCU16080 E,P E,S
390 Taraxacum coreanum Nakai 흰민들레 GCU16124 E E,M,I ×
391 Taraxacum officinale Weber 서양민들레 GCUP108 E E,P,I
392 Taraxacum ohwianum Kitam. 산민들레 GCUP109 E E,M,I,S × ×
393 Youngia japonica (L.) DC. 뽀리뱅이 GCUP110 E E,M
Adoxaceae 연복초과
394 Adoxa moschatellina L. 연복초 GCU16013 U U ×
Caprifoliaceae 인동과
395 Lonicera japonica Thunb. 인동덩굴 GCUP102 M,P E,P,M,I,S ×
396 Patrinia rupestris (Pall.) Juss. 돌마타리 GCU16267 U E,M × ×
397 Patrinia scabiosaefolia Fisch. ex Trevir. 마타리 GCU16207 E,M,P E,M,S ×
398 Patrinia villosa (Thunb.) Juss. 뚝갈 GCU16230 E E,M,I,S
399 Sambucus williamsii Hance. 딱총나무 GCU16026 E,M,P E,I,S × ×
400 Valeriana fauriei Briq. 쥐오줌풀 GCUP111 E E,P,M,F,I,S × ×
401 Viburnum opulus var. calvescens (Rehder) H. Hara 백당나무 GCU16058 O I,S ×
402 Weigela florida (Bunge) A.DC. 붉은병꽃나무 GCU16022 O,P I ×
403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병꽃나무 GCU16145 O,P E,S ×
Araliaceae 두릅나무과
404 Aralia elata (Miq.) Seem. 두릅나무 GCU16179 M,E E,M,S ×
Apiaceae 산형과
405 Angelica dahurica (Fisch. ex Hoffm.)
Benth. & Hook.f. ex Franch. & Sav.
구릿대 GCUP103 E,P E,M × ×
406 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 어수리 GCUP104 E,P E,M
407 Ostericum grosseserratum (Maxim.) Kitag. 신감채 GCU16182 P U ×
408 Peucedanum terebinthaceum (Fisch.) Fisch. ex DC. 기름나물 GCU16261 E E,M
409 Pimpinella brachycarpa (Kom.) Nakai 참나물 GCUP105 E,P E ×
410 Sanicula chinensis Bunge 참반디 GCUP106 E,M,P E ×

zUse (Lee): E : Edible source, P : Forage, M : Medicinal, O : ornamental, T : Timber, S : Miscellaneous. F : Fiber, I : Industrial, U : Unknown.
yUse (Korea Forest Service): E : Edible source, I : Industrial, S : Miscellaneous. (Land Scape, Ground cover, etc.), M : Medicinal, P : Poison, F : Flaver, U : Unknown.
1: Mt. Goryeong and Gaemyeong.
2: Mt. Munsu.
XCultivated Plants.

References

1
Anderson, S. 1994. Area and endemism. The Quarterly Review of Biolog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L (USA). 69:451-471.
10.1086/418743
2
Chang, C.S., H. Kim and K.S. Chang. 2011.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43. Woody Plants.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DesignPost, Pajoo, Korea. pp. 8-477 (in Korean).
3
Chang, C.S., H. Kim, S. Son and Y.S. Kim. 2016. The Red List of Selected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Korean Plant Specialist Group, Pocheon, Korea. pp. 8-21.
4
Chung, G.Y., K.S. Chang, J.M. Chung, H.J. Choi, W.K. Paik and J.O. Hyun.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7(3):264-288 (in Korean).
10.11110/kjpt.2017.47.3.264
5
Kim, J.W. 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Department of Vegetation Science & Biological Conservation. Ph.D. Thesis, Wien University, Austria. pp. 1-314.
6
Kim, J.h., G.H. Nam, C.Y. Yoon and B.Y. Lee. 2010. The vascular plants in Mt. Munsu (Gyeonggi-do). J. Environ. Sci. Int 19(4):459-481 (in Korean).
10.5322/JES.2010.19.4.459
7
Kim, S.J., H.T. Shin, J.B. An, T.I. Heo, Y.H. Kwon and J.W. Yoon. 2016. Flora of Mt. Goryeong and Gaemyeong (Paju- si, Gyeonggi-do) in DMZ area of Korea. Korean J. Plant Res. 29(2):264-280 (in Korean).
10.7732/kjpr.2016.29.2.264
8
Korea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Korea. pp. 16-380 (in Korean).
9
Korea Forest Service. 2014. The assessment for vascular plant resources and the reclassification of their usefuless from Korea. Korea Forest Service. pp. 10-153 (in Korean).
10
Korea National Arboretum. 2004.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2-534 (in Korean).
11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Illustrated Pteridophyt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5-547 (in Korean).
12
Korea National Arboretum. 2011.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5-600 (in Korean).
13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Korea. p. 265 (in Korean).
14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3-735 (in Korean).
15
Lee, B.Y., G.H. Nam, J.Y. Lee, C.H. Park, C.E. Lim, M.H. Kim, S.J. Lee, T.K. Roh, J.A. Lim and J.E. Han. 2011.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Vascular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p. 3-630 (in Korean).
16
Lee, C.S. and G.H. Lee. 2015. Pteridophytes of Korea: Lycophytes & Ferns. Geobook, Seoul, Korea. pp. 3-471 (in Korean).
17
Lee, J.H., S.Y. Lee, G.C. Lee, H.J. Kim, H. Choi, H.J. Lee, K. Choi and K.S. Chang. 2016. Standard Checklist of Cultivated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2-510 (in Korean).
18
Lee, S.H., S.S. Choi, D.B. Lee, S.H. Hwang and J.K. Ahn. 2016.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the West Side of DMZ Area. Korean J. Environ. Ecol. 30(1):1-18 (in Korean).
10.13047/KJEE.2016.30.1.001
19
Lee, T.B. 1976.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Bull. Kwanak Arboretum 1:1-137.
20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pp. 1-990 (in Korean).
21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Hyangmunsa, Seoul, Korea. pp. 1-914 (in Korean).
22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 Hyangmunsa, Seoul, Korea. pp. 1-910 (in Korean).
23
Lee, W.C.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cation, Seoul, Korea. pp. 1-624 (in Korean).
24
Lee, W.C and Y.J. Yim.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8:1-33 (in Korean).
25
Lee, Y.N. 2006a. New Flora of Korea, Vol. I. Gyohaksa, Seoul, Korea. pp. 3-974 (in Korean).
26
Lee, Y.N. 2006b. New Flora of Korea, Vol. II. Gyohaksa, Seoul, Korea. pp. 8-885 (in Korean).
27
Melchior, H. 1964. An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Ⅱ. Gebruder Borntraeger, Berlin-Nikolasse.
28
Ministry of Environment. 1999a. The vegetation in area of Mt. Gamak (Paju, Yeongcheon, Gyeonggi-do Prov.).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of MOE. Ministry of Environment. pp. 1-45 (in Korean).
29
Ministry of Environment. 1999b. The Geomorphology and Landscape of Paju, Yeongcheon(MT. GaeAm, 386 highlands, Mt. Papyeong and Mt. Nogo) and surrounding environment.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of MOE. Ministry of Environment. pp. 1-22 (in Korean).
30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The vegetation in area of Paju, Yangju.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of MOE. Ministry of Environment. pp. 1-21 (in Korean).
31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The Guide to the Four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pp. 185-216 (in Korean).
32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The vegetation in area of Paju, Yangju. 4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of MOE. Ministry of Environment. pp. 2-18 (in Korean).
33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Comprehensive Report of Biological Diversity of the DMZ, Ministry of Environment. pp. 1-27 (in Korean).
34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p. 7-29 (in Korean).
35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4. Inventory and Management of Endemic Specie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p. 2-147 (in Korean).
36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Floristic Target Species (FT species) in Korea. GeoBook, Seoul, Korea. pp. 674-710 (in Korean).
37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Ecological Survey of Near DMZ-Ecological survey of civilian control line north central reg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p. 2 (in Korean).
38
Oh, B.U., D.G. Jo, S.C. Ko, B.H. Choi, W.K. Paik, G.Y. Chung, Y.M. Lee and C.G. Jang.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491 (in Korean).
39
Oh, B.U., K.S. Kim, S.C. Ko, B.H. Choi, H.T Im, W.K. Paik, G.Y. Chung, C.Y. Yoon, C.G. Jang, S.H. Kang and C.H. Lee. 2008.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V. Central Province (Gyeonggi-do).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p. 1-761 (in Korean).
40
Paju City. 2018. Paju City Hompage (http://www.weather. go.kr/weather/climate/average_regional.jsp#a7) (in Korean).
41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pp. 7-575 (in Korean).
42
Park, S.H., Y.M. Lee, S.Y. Chung, G.S. Chang and W.C. Kang. 2011. Illustrated Grasses of Korean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yonggido, Korea. pp. 448-457 (in Korean).
43
Smith, A.R., K.M. Pryer, E. Schuettpelz, P. Korall, H. Schneider and P.G. Wolf. 2006. A classification for extant ferns. Taxon 55(3):705-731.
10.2307/25065646
44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2016.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BOT J LINN SOC 181(1):1-20.
10.1111/boj.12385
45
Yim, Y.J. and T. Kira.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 J. Ecol. 25(2):77-88.
46
Yu, J. 2013. Cultural Exclusion and Negative Perception related to Naturalized Plants Derived from Academic Discussion. J Korea Soc Environ Restor Technol. 16(2):63-74.
10.13087/kosert.2013.16.2.063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