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 February 2024. 35-61
https://doi.org/10.7732/kjpr.2024.37.1.035

ABSTRACT


MAIN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관속식물상

  •   적색목록

  •   한반도 특산식물

  •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   외래식물 및 생태계교란종

  •   자원식물

  •   선행연구와 비교

  •   보래봉의 지역별 식물 분포

  • 적 요

서 언

보래봉(1,324 m)은 37°41'28.5"N, 128°23'9.3"E에 위치하며, 오대산(1,563 m)에서 뻗어내려 온 차령산맥의 봉우리이다(Kown, 2000). 식물구계지리학적으로는 일화식물구계(Sino-Japonica Region) 온대아구계의 한국구에 속하며 중부아구에 해당한다(Lee and Yim, 1978). 행정구역상으로는 평창군 봉평면에 속하며 동쪽에는 계방산(1,577 m), 서쪽에는 회령봉(1,309 m), 흥정산(1,277 m)이 인접해 있다. 계방산은 백두대간의 중간지점에 위치하여 지리적인 가치와 보전가치의 당위성이 제고되는 지역이며, 일부는 산림유전자원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Yang et al., 2014; Cheon et al., 2022). 그리고 모데미풀(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백작약 [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너도바람꽃(Eranthis stellata Maxim.) 등 희귀식물 보호를 목적으로 지정된 운두령 산림유전자원 보호구역이 보래봉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19a). 한편 봉평면은 이효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의 배경지로 해마다 메밀축체를 개최하고 다양한 관광시설과 흥정계곡 주변으로 펜션단지가 형성되어 관광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또한 해발 800 m에 위치한 보래령터널과 해발 1,000 m까지 접근가능한 임도가 있어 관리를 위한 벌목 및 제초, 간벌 등에 의해 식물 개체 수 감소와 생태계 교란이 지속적으로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 지역의 선행연구는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Lee and Paik, 1998)에서 80과 264속 371종 65변종 11품종 447분류군을 보고하였으나 조사된 종의 증거표본과 사진자료가 부족하다.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Hong and Hong, 2009)를 통해 회령봉, 흥정산을 거쳐 서쪽으로 이어지는 한강기맥을 조사한 바 있으나 식생의 일부만 조사되었다. Han et al. (2012)에서 78과 238속 343종 3아종 47변종 10품종 403분류군을 보고한 이후에는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Paik et al., 2013)에서 84과 222속 237종 3아종 61변종 11품종 312분류군이 보고되었으나 흥정산을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어 보래봉 일대의 특이적인 식물을 확인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Lee and Oh, 2017; Park and Hwang, 2016)를 통해 한강기맥을 구성하는 산지대 및 봉우리를 조사한 바 있으나 식생의 일부만 조사되어 세밀한 식물상 연구가 부족하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지구온난화의 가속화가 산림생태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식물종 감소와 단순화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이에 식물상 연구는 종 다양성 현황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변화를 평가 및 예측하고 한반도의 기후환경 및 생물다양성을 기록할 수 있어(Kang et al, 2022)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다. 보래봉은 등산로와 임도를 통한 접근이 용이하여 인위적인 간섭이 우려되는 지역으로 식물상을 파악하고 변화를 예측해야한다. 이 지역의 선행연구는 인근산지가 함께 조사되었고, 조사시점이 10년 이상 지난 점을 감안하면 출현하는 분류군 간의 차이를 확인하며 식물상 변화를 파악하고 보래봉 일대의 특이적인 식물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증거표본 및 사진자료에 기초하여 보래봉 일대의 관속식물을 보고하고 선행연구와 비교를 통해 식물자원 보존과 생태계교란종 추가 유입 방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보래봉 일대의 관속식물상 조사는 2022년 4월부터 9월까지 총 11회에 걸쳐서 수행되었다(Fig. 1, Table 1). 정확한 동정을 위해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만 수집하여 석엽표본으로 제작하였고,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KH)에 보관하였으며, 국가보호종인 경우에는 사진자료로 대체하였다. 식물동정은 도감(Lee, 1996; Lee, 2003b, 2003a)을 기본으로 사초과는 Cho et al. (2016),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b)를 벼과는 Korea National Arboretum (2011), Cho et al. (2016)를, 곡정초과 및 골풀과는 Korea National Arboretum (2019b)를 참고하였다. 제작된 표본과 사진을 바탕으로 식물목록을 작성하였고, 학명과 분류체계는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22a; 2022b)을 따랐으며. 과 내에서는 알파벳 순으로 정리하였다(Appendix 1). 작성된 목록에 대해서는 적색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특산식물(Chung et al., 2017), 식물구계학적 특정종(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외래식물(Kang et al., 2020; Korea National Arboretum, 2022a), 생태계교란종(Ministry of Environment, 2022), 자원식물(Korea Forest Service, 2014)을 확인하였고, 조사결과를 토대로 귀화율(Numata, 1975)과 도시화지수(Yim and Jeon, 1981)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와 비교를 위해 선행연구(Han et al., 2012; Lee and Paik, 1998; Paik et al., 2013)의 식물목록은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22a, 2022b)을 적용하였다.

귀화율(NI, Naturalized Index) = 조사지역의 외래식물의 분류군 수/조사지역의 관속식물의 총 분류군 수 X 100

도시화지수(UI, Urbanization index) = 조사지역의 외래식물 분류군 수/한반도 외래식물 분류군 수 X 100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4-037-01/N0820370104/images/kjpr_2024_371_35_F1.jpg
Fig. 1.

Map of investigated sites in Boraebong.

Table 1.

The investigation dates and routes of Boraebong.

No. Date Investigation routes
1 Apr 14, 2022 Boraelyeong tunnel
Deokgeo-ri
2 Apr 15, 2022 Nonsingung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3 May 10, 2022 Boraelyeong tunnel
Deokgeo-ri
Nonsingung
4 May 11, 2022 Boraelyeong tunnel → Forest road → Boraebong (1,324 m)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 Forest road → Direction of Unduryeong → Forest road
→ Direction of Heryeongbong (1,309m)
5 May 12, 2022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 Forest road → Direction of Heryeongbong (1,309m)
6 July 18, 2022 Deokgeo-ri
Nonsingung
7 July 19, 2022 Boraelyeong tunnel → Boraebong (1,324 m) → Heryeongbong (1,309 m) → Ssangmyo
→ Deokgesa-gyo bridge
8 July 20, 2022 Boraelyeong tunnel
9 Sep. 20, 2022 Boraelyeong tunnel → Forest road → Boraebong (1,324 m)
10 Sep. 21, 2022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 Forest road → Direction of Heryeongbong (1,309m)
Nonsingung
11 Sep. 22, 2022 Deokgeo-ri

결과 및 고찰

관속식물상

보래봉 일대의 관속식물은 양치식물이 9과 13속 17종 1변종 18분류군(4.0%), 나자식물이 1과 3속 6종 6분류군(1.3%),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이 68과 204속 297종 13아종 28변종 4품종 342분류군(75.2%), 단자엽식물이 9과 49속 81종 6변종 2품종 89분류군(19.6%)으로 총 87과 269속 401종 13아종 35변종 6품종 455분류군이 조사되었다(Table 2). 이는 한반도 관속식물 4,290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22a; 2022b)의 약 10.6%에 해당한다. 과별 종 다양성은 국화과가 56분류군으로 가장 많았으며, 벼과 29분류군, 사초과 26분류군, 백합과 23분류군, 장미과 21분류군 등의 순이었다.

Table 2.

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investigated in Boraebong.

Taxa Family Genus Species Sub-species Variety Forma Total Ratio (%)
Pteridophyte 9 13 17 0 1 0 18 4.0
Gymnospermae 1 3 6 0 0 0 6 1.3
Angiospermae 77 253 378 13 34 6 431 94.7
Dicotyledons 68 204 297 13 28 4 342 75.2
Monocotyledons 9 49 81 0 6 2 89 19.6
Total 87 269 401 13 35 6 455 100

적색목록

산림청에서는 국가 식물보전 및 관리에 관한 정책적 방향 결정에 기반을 제공하기 위해 세계자연보전연맹(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의 멸종위기식물 평가기준 및 범주에 따라 자생식물의 개체군 크기, 지리적 생육범위 등을 중점적으로 고려하여 국가적색목록(red list)을 평가하였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본 연구에서는 위기(Endangered, EN) 등급에 백작약, 노랑무늬붓꽃(Iris odaesanensis Y. N. Lee) 2분류군, 준위협(Near Threatened, NT) 등급에 긴개별꽃[Pseudostellaria japonica (Korsh.) Pax], 산작약(Paeonia obovata Maxim.) 2분류군으로 총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3).

위기(EN) 등급의 노랑무늬붓꽃은 임도에서 보래봉으로 이어지는 등산로에 분포하여 등산객이나 제초작업 등에 의한 서식지 훼손이 우려된다. 특히 강원도는 유전적다양성이 높은 집단이 분포하므로(Kim, 2006) 유전자원 보호를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전전략이 요구될 것이다. 준위협(NT) 등급의 긴개별꽃은 기후변화에 의해 개체군 감소가 우려되는 북방계식물로 강원도 일부(고성군, 인제군, 평창군, 횡성군)에만 분포(Korea National Arboretum, 2010)하고 있어 식물자원의 보전측면에서 보래봉 일대 지역은 지리적으로 중요한 위치인 것으로 생각된다. 산작약은 논신궁 근처 해발 700~800 m에서 소수의 개체가 확인되었다. 약용을 위한 무분별한 남획과 발아부터 종자생산이 가능한 성체로 성장하기까지 최소 7년 이상 소요되는 특성(Kim et al., 2016)을 고려해 보았을 때 절멸이 우려되는 분류군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Table 3.

List of the red list investigated in Boraebong.

Family name Scientific name and Korean name Criteriaz
Paeoniaceae 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백작약 EN
Iridaceae Iris odaesanensis Y. N. Lee 노랑무늬붓꽃
Caryophyllaceae Pseudostellaria japonica (Korsh.) Pax 긴개별꽃 NT
Paeoniaceae Paeonia obovata Maxim. 산작약

zEN: Endangered; NT: Near Threatened.

한반도 특산식물

한반도 특산식물(Korean endemic plants)은 한반도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하며, 고유한 환경특성에 적응 및 진화한 식물이다. 최근에는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과 나고야의정서의 발효에 의해 생물주권이 강화되는 국제적인 동향을 보이며, 종 다양성 보존과 식물자원으로서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 우선적인 관리가 필요하다(Paik, 1999; Oh et al., 2005; Kim et al., 2009; Chung et al., 2017). Chung et al. (2017)의 구분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키버들(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숲개별꽃(Pseudostellaria setulosa Ohwi) 무늬족도리풀[Asarum chungbuensis (C. S. Yook & J. G. Kim) B. U. Oh], 처녀치마(Heloniopsis koreana Fuse, N. S. Lee & M. N. Tamura) 등 총 18분류군의 한반도 특산식물이 확인되었다(Table 4).

Table 4.

List of the Korean endemic plants investigated in Boraebong.

Family name Scientific name and Korean name
Salicaceae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키버들
Caryophyllaceae Pseudostellaria setulosa Ohwi 숲개별꽃
Ranunculaceae Anemone koraiensis Nakai 홀아비바람꽃
Ranunculaceae Clematis trichotoma Nakai 할미밀망
Aristolochiaceae Asarum chungbuensis (C. S. Yook & J. G. Kim) B. U. Oh 무늬족도리풀
Aristolochiaceae Asarum mandshuricum (Maxim.) M. Kim & S. So var. seoulense (Nakai) M. Kim & S. So 서울족도리풀
Papaveraceae Corydalis maculata B. U. Oh & Y. S. Kim 점현호색
Papaveraceae Corydalis misandra B. U. Oh 각시현호색
Apiaceae Angelica amurensis Schischk. 지리강활
Caprifoliaceae Weigela subsessilis (Nakai) L. H. Bailey 병꽃나무
Valerianaceae Patrinia saniculifolia Hemsl. 금마타리
Asteraceae Cirsium setidens (Dunn) Nakai 고려엉겅퀴
Asteraceae Saussurea seoulensis Nakai 분취
Liliaceae Allium ulleungense H. J. Choi & N. Friesen 울릉산마늘Z
Liliaceae Heloniopsis koreana Fuse, N. S. Lee & M. N. Tamura 처녀치마
Liliaceae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백운산원추리
Iridaceae Iris odaesanensis Y. N. Lee 노랑무늬붓꽃
Cyperaceae Carex okamotoi Ohwi 지리대사초

ZCultivated plants.

키버들은 소수의 개체가 보래령터널 급경사면의 다소 생육이 불리한 입지여건에서 분포하는 것이 확인되어 적합한 지역에 이전하는 등의 대처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숲개별꽃과 무늬족도리풀은 각각 보래령터널에서 보래봉으로 이어지는 임도와 등산로 주변에 분포하며 등산객으로 인한 인위적인 피해가 우려된다. 처녀치마는 덕거리지역 고랭지 채소밭 진입로 북쪽 사면에 다수의 개체가 분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지역은 외부의 접근이 용이하고, 고랭지 밭 진입로 확보를 위한 제초작업이 다수 발생한 것이 확인되어 이를 통해 개체 수 감소와 자생지 훼손이 우려된다. 한편 논신궁 진입로 주변에 다수의 개체가 분포하는 울릉산마늘(Allium ulleungense H. J. Choi & N. Friesen)은 근처에 울릉산마늘 재배지가 확인되어 이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식물구계(floristics)는 지역별로 식물분포의 고유성이 유사하면 같은 식물지리학적 범주로 구분되고 고유성이 다르면 다른 식물지리학적 범주로 구분된다(Takhtadzhian, 1988). 한반도의 식물구계는 8개의 아구(Lee and Yim, 1978), 식물의 분포범위에 따라 5개의 등급(Kim, 2000)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식물구계학적 특정종(Korean floristic regional plants)은 자연환경 평가를 위한 식물군으로 종 보존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자연환경의 우수한 정도를 파악하는 것에 의미가 있다(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본 연구에서는 V등급에 산작약(Paeonia obovata Maxim.) 1분류군, IV등급에 비술나무(Ulmus pumila L.), 왕김의털(Festuca rubra L.) 등 16분류군, III등급에 노루삼(Actaea asiatica H. Hara), 청시닥나무(Acer barbinerve Maxim.) 등 31분류군, II등급에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피나물(Hylomecon vernalis Maxim) 등 31분류군, I등급에 노루귀(Hepatica asiatica Nakai), 연복초(Adoxa moschatellina L.) 등 23분류군으로 총 102분류군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이 확인되었다(Table 5).

논신궁 진입로 주변에 넓게 분포하고 있는 울릉산마늘은 근처 울릉산마늘 재배지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왕김의털은 대부분 해외에서 수입하여 도로변의 사방녹화용으로 이용되며, 국내에서는 울릉도를 제외하고는 자생의 여부가 불분명한 견해가 있다(Cho et al., 2016). 본 연구에서 왕김의털은 주로 임도 근처에서 확인되어 사방녹화용으로 유입된 개체가 정착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보래령터널 근처에서 다수의 개체가 분포하는 잣나무는 흥정산, 회령봉 주변에 조성된 조림지(Hong and Hong, 2009; Park and Hwang, 2016; Lee and Oh, 2017)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5.

List of the degree taxa of Korean floristic regional plants investigated in Boraebong.

Family name Scientific name and Korean name Degree
Paeoniaceae Paeonia obovata Maxim. 산작약 V
Ulmaceae Ulmus pumila L. 비술나무 IV
Urticaceae Laportea cuspidata (Wedd.) Friis 큰쐐기풀
Caryophyllaceae Pseudostellaria setulosa Ohwi 숲개별꽃
Ranunculaceae Anemone koraiensis Nakai 홀아비바람꽃
Ranunculaceae Anemone reflexa Steph. ex Willd. 회리바람꽃
Saxifragaceae Chrysosplenium ramosum Maxim. 가지괭이눈
Saxifragaceae Rodgersia podophylla A. Gray 도깨비부채
Aceraceae Acer tegmentosum Maxim. 산겨릅나무
Cucurbitaceae Schizopepon bryoniifolius Maxim. 산외
Caprifoliaceae Lonicera chrysantha Turcz. ex Ledeb. 각시괴불나무
Liliaceae Allium ulleungense H. J. Choi & N. Friesen 울릉산마늘z
Liliaceae Trillium camschatcense Ker Gawl. 연영초
Liliaceae Veratrum maackii Regel var. parviflorum (Maxim. ex Miq.) H. Hara 파란여로
Iridaceae Iris odaesanensis Y. N. Lee 노랑무늬붓꽃
Poaceae Festuca rubra L. 왕김의털y
Poaceae Poa nemoralis L. 선포아풀
Equisetaceae Equisetum hyemale L. 속새 III
Betulaceae Betula costata Trautv. 거제수나무
Ulmaceae Ulmus laciniata (Trautv.) Mayr 난티나무
Urticaceae Urtica angustifolia Fisch. ex Hornem. 가는잎쐐기풀
Ranunculaceae Actaea asiatica H. Hara 노루삼
Ranunculaceae Aquilegia buergeriana Siebold & Zucc. var. oxysepala (Trautv. & C. A. Mey.) Kitam. 매발톱
Ranunculaceae Eranthis stellata Maxim. 너도바람꽃
Papaveraceae Corydalis maculata B. U. Oh & Y. S. Kim 점현호색
Papaveraceae Dicentra spectabilis (L.) Lem. 금낭화
Brassicaceae Cardamine komarovii Nakai 는쟁이냉이
Brassicaceae Catolobus pendulus (L.) Al-Shehbaz 느러진장대
Grossulariaceae Ribes mandshuricum (Maxim.) Kom. 까치밥나무
Rosaceae Potentilla centigrana Maxim. 좀딸기
Rosaceae Potentilla cryptotaeniae Maxim. 물양지꽃
Rosaceae Prunus maackii Rupr. 개벚지나무
Rosaceae Prunus sargentii Rehder 산벚나무
Rosaceae Spiraea fritschiana C. K. Schneid. 참조팝나무
Aceraceae Acer barbinerve Maxim. 청시닥나무
Aceraceae Acer komarovii Pojark. 시닥나무
Aceraceae Acer mandshuricum Maxim. 복장나무
Aceraceae Acer triflorum Kom. 복자기
Violaceae Viola diamantiaca Nakai 금강제비꽃
Ericaceae Vaccinium hirtum Thunb. var. koreanum (Nakai) Kitam. 산앵도나무
Primulaceae Lysimachia vulgaris L. var. davurica (Ledeb.) R. Knuth 좁쌀풀
Boraginaceae Brachybotrys paridiformis Maxim. ex Oliv. 당개지치
Valerianaceae Patrinia saniculifolia Hemsl. 금마타리
Asteraceae Parasenecio auriculatus (DC.) J. R. Grant var. kamtschatica (Maxim.) H. Koyama 나래박쥐나물
Asteraceae Parasenecio hastatus (L.) H. Koyama var. orientalis (Kitam.) H. Koyama 민박쥐나물
Liliaceae Lilium distichum Nakai ex Kamib. 말나리
Liliaceae Veratrum maackii Regel var. japonicum (Baker) Shimizu 여로
Cyperaceae Carex pilosa Scop. 털사초
Osmundaceae Osmunda cinnamomea L. 꿩고비 II
Dryopteridaceae Dryopteris expansa (C. Presl) Fraser-Jenk. & Jermy 퍼진고사리
Pinaceae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잣나무y
Betulaceae Betula ermanii Cham. 사스래나무
Caryophyllaceae Lychnis cognata Maxim. 동자꽃
Magnoliaceae Magnolia sieboldii K. Koch 함박꽃나무
Schisandraceae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오미자
Ranunculaceae Caltha palustris L. 동의나물
Berberidaceae Caulophyllum robustum Maxim. 꿩의다리아재비
Aristolochiaceae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등칡
Paeoniaceae 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백작약
Papaveraceae Hylomecon vernalis Maxim. 피나물
Rosaceae Sorbus commixta Hedl. 마가목
Geraniaceae Geranium koreanum Kom. 둥근이질풀
Celastraceae Euonymus macropterus Rupr. 나래회나무
Celastraceae Tripterygium regelii Sprague & Takeda 미역줄나무
Tiliaceae Tilia amurensis Rupr. 피나무
Tiliaceae Tilia mandshurica Rupr. & Maxim. 찰피나무
Violaceae Viola orientalis (Maxim.) W. Becker 노랑제비꽃
Violaceae Viola tokubuchiana Makino var. takedana (Makino) F. Maek. 민둥뫼제비꽃
Apiaceae Angelica tenuissima Nakai 고본
Apiaceae Bupleurum longeradiatum Turcz. 개시호
Rubiaceae Rubia chinensis Regel & Maack 큰꼭두서니
Asteraceae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곰취
Liliaceae Heloniopsis koreana Fuse, N. S. Lee & M. N. Tamura 처녀치마
Liliaceae Lloydia triflora (Ledeb.) Baker 나도개감채
Poaceae Melica nutans L. 왕쌀새
Poaceae Poa matsumurae Hack. 가는포아풀
Cyperaceae Carex augustinowiczii Meinsh. ex Korsh. 북사초
Cyperaceae Carex jaluensis Kom. 참삿갓사초
Cyperaceae Carex onoei Franch. & Sav. 바늘사초
Juglandaceae Juglans mandshurica Maxim. 가래나무 I
Ulmaceae Ulmus davidiana Planch. ex DC. var. japonica (Rehder) Nakai 느릅나무
Urticaceae Pilea japonica (Maxim.) Hand.-Mazz. 산물통이
Ranunculaceae Aconitum jaluense Kom. 투구꽃
Ranunculaceae Actaea simplex (DC.) Wormsk. ex Prantl 촛대승마
Ranunculaceae Hepatica asiatica Nakai 노루귀
Chloranthaceae Chloranthus japonicus Siebold 홀아비꽃대
Saxifragaceae Chrysosplenium japonicum (Maxim.) Makino 산괭이눈
Saxifragaceae Chrysosplenium pseudofauriei H. Lév. 선괭이눈
Hydrangeaceae Deutzia glabrata Kom. 물참대
Hydrangeaceae Deutzia uniflora Shirai 매화말발도리
Rosaceae Filipendula glaberrima Nakai 터리풀
Balsaminaceae Impatiens noli-tangere L. 노랑물봉선
Celastraceae Euonymus sachalinensis (F. Schmidt) Maxim. 회나무
Onagraceae Circaea cordata Royle 쇠털이슬
Caprifoliaceae Lonicera maackii (Rupr.) Maxim. 괴불나무
Caprifoliaceae Viburnum opulus L. var. calvescens (Rehder) H. Hara 백당나무
Adoxaceae Adoxa moschatellina L. 연복초
Campanulaceae Campanula punctata Lam. 초롱꽃
Asteraceae Cirsium pendulum Fisch. ex DC. 큰엉겅퀴
Asteraceae Cirsium setidens (Dunn) Nakai 고려엉겅퀴
Liliaceae Veratrum oxysepalum Turcz. 박새
Cyperaceae Carex okamotoi Ohwi 지리대사초

zCultivated plants,

yPlanted plants.

외래식물 및 생태계교란종

외래식물(alien plants)은 외국에서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유입되어 자라는 식물로 최근에는 기후변화에 의한 분포확산의 가속화로 부정적인 인식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Kang et al., 2020). 일반적으로는 저지대를 중심으로 출현하지만 점차 산림지역으로 분포역을 넓혀가고 있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15). 따라서 조사결과를 토대로 보래봉 일대에 분포하는 외래식물을 파악하여 목록의 최신화를 통해 이에 맞는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럽나도냉이(Barbarea vulgaris W. T. Aiton), 미국쑥부쟁이[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 L. Nesom], 구주개밀(Elymus repens (L.) Gould), 큰새포아풀(Poa trivialis L.) 등 총 17분류군의 외래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22a)이 확인되었다(Table 6). 유입시기와 정착여부(Kang et al., 2020)에 따라 사전귀화식물(Archaeophyte, Arc.) 2분류군, 침입외래식물(Invasive alien plant, IAP) 15분류군으로 구분되었으며(Table 6), 각각의 공식을 이용하여 귀화율(Numata, 1975)은 3.7%, 도시화지수(Yim and Jeon, 1981)는 4.4%로 산출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분류군은 덕거리와 논신궁을 중심으로 조사되었고, 두 지역은 재배지와 채소밭 진입로를 통해 외부의 접근이 용이하여 다른 지역보다 외래식물이 빠르게 유입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따라서 해당 지역은 외래식물 목록의 최신화를 통해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Table 6.

List of the alien plants and invasive plants investigated in Boraebong.

Family name Scientific name and Korean name Type of
alien plantz
Invasive
species
Cannabaceae Humulus scandens (Lour.) Merr. 환삼덩굴 O
Caryophyllaceae Stellaria media (L.) Vill. 별꽃 IAP
Chenopodiaceae Chenopodium ficifolium Sm. 좀명아주 IAP
Brassicaceae Barbarea vulgaris W. T. Aiton 유럽나도냉이 IAP
Fabaceae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IAP
Oxalidaceae Oxalis corniculata L. 괭이밥 Arc.
Onagraceae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IAP
Solanaceae Solanum nigrum L. 까마중 Arc.
Asteraceae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IAP
Asteraceae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IAP
Asteraceae Galinsoga quadriradiata Ruiz & Pav. 털별꽃아재비 IAP
Asteraceae Senecio vulgaris L. 개쑥갓 IAP
Asteraceae Sonchus asper (L.) Hill 큰방가지똥 IAP
Asteraceae 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 L. Nesom 미국쑥부쟁이 IAP O
Asteraceae Taraxacum officinale F. H. Wigg. 서양민들레 IAP
Poaceae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IAP
Poaceae Elymus repens (L.) Gould 구주개밀 IAP
Poaceae Poa trivialis L. 큰새포아풀 IAP

zArc.: Archaeophyte; IAP: Invasive alien plant.

생태계교란종(invasive species)은 생태계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의 우려가 있는 생물종으로 분류군마다 과학적인 지식과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물리적, 화학적인 관리방안을 모색(Lee et al., 2022)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환삼덩굴[Humulus scandens (Lour.) Merr.]과 미국쑥부쟁이 2분류군의 생태계교란종이 조사되었다(Ministry of Environment, 2022)(Table 6). 환삼덩굴은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는 자생식물로 본 연구에서는 덕거리 고랭지 채소밭 진입로 근처에서 소수의 개체가 조사되었다. 빠른 생장률로 다른 식물을 피압하며 종 다양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뿌리 채 뽑는 방제법(Lee et al., 2021)이 필요할 것이다. 미국쑥부쟁이는 북아메리카에서 관상용으로 도입되어 경기도와 강원도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며(Kim et al., 2017), 본 연구에서는 임도와 보래령터널 근처에서 조사되었다. 성숙하면 옆으로 쓰러져 다른 식물의 생육을 저해하고(You, 2010), 바람을 이용해 원거리까지 종자를 퍼트려 빠르게 확산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Oh et al., 2011). 뿌리 채 뽑아 제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재발생의 우려가 높으므로(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6) 생육특성에 맞는 방제법을 강구해야 한다.

자원식물

산림청(Korea Forest Service, 2014)의 자원식물(usefulness plants) 구분에 따르면, 식용(Edible palts, E) 315분류군, 약용(Medicinal plants, M) 354분류군, 향료용(Fragrant plants, F) 12분류군, 산업용(Industrual plants, I) 160분류군, 관상용(Ornamental plants, O) 243분류군, 생태복원용(plants for Ecological Restoration, R) 162분류군, 사료 및 퇴비용(Forage/Compost, FC) 196분류군으로 총 439분류군이 집계되었다(Table 7).

Table 7.

List of the usefulness plants investigated in Boraebong.

Usez E M F I O R FC Total
Taxa 315 354 12 160 243 162 196 439
Ratio (%) 69.2 77.8 2.6 35.2 53.4 35.6 43.1 96.5

zE: Edible plants; M: Medicinal plants, F: Fragrant plants; I: Industrual plants; O: Ornamental platns; R: plants for Ecological Restoration; FC: Forage/Compost.

선행연구와 비교

본 연구와의 비교를 위해 선행연구의 식물목록(Lee and Paik, 1998; Han et al., 2012; Paik et al., 2013)을 취합하여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22a; 2022b)과 비교하였다. 이명 처리된 혹느릅나무, 난티잎개암나무, 붉은가시딸기, 청가시나무, 괭이신나무 등 총 28분류군을 정명으로 처리하여 정리한 결과, 총 94과 339속 534종 17아종 55변종 14품종 62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 적색목록은 위기(EN) 등급에 산작약, 큰연영초(Trillium tschonoskii Maxim.), 복주머니란(Cypripedium macranthos Sw.) 3분류군, 취약(Vulnerable, VU) 등급에 느리미고사리[Dryopteris tokyoensis (Matsum.) C.Chr.], 독미나리(Cicuta virosa L.) 2분류군, 준위협(NT) 등급에 긴개별꽃, 사창분취(Saussurea calcicola Nakai) 등 7분류군으로 총 1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키버들, 토현삼(Scrophularia koraiensis Nakai) 등 총 2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V등급에 산작약, 독미나리 등 5분류군, IV등급에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연영초 등 21분류군, III등급에 금마타리(Patrinia saniculifolia Hemsl.), 낚시사초(Carex filipes Franch. & Sav.) 등 48분류군, II등급에 잣나무, 큰앵초(Primula jesoana Miq.) 등 39분류군, I등급에 물참대(Deutzia glabrata Kom.), 박새(Veratrum oxysepalum Turcz.) 등 29분류군으로 총 14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외래식물은 애기수영(Rumex acetosella L.), 서양민들레 등 32분류군, 생태계 교란종은 환삼덩굴, 애기수영 등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선행연구 식물목록과 본 연구를 비교한 결과, 38과 76속 86종 1아종 8변종 3품종 98분류군이 새로 확인되었다(Appendix 1). 적색목록은 위기(EN) 등급에 울릉산마늘, 준위협(NT) 등급에 노랑무늬붓꽃 총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무늬족도리풀, 지리대사초(Carex okamotoi Ohwi) 등 총 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IV등급에 비술나무, 왕김의털 등 8분류군, III등급에 거제수나무(Betula costata Trautv.), 개벚지나무(Prunus maackii Rupr.) 등 6분류군, II등급에 등칡, 처녀치마 등 9분류군, I등급에 연복초(Adoxa moschatellina L.), 지리대사초 등 3분류군으로 총 2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외래식물은 유럽나도냉이, 구주개밀, 큰새포아풀 총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 울릉산마늘은 울릉도에 자생하는 특산식물이고, 왕김의털은 울릉도를 제외하고는 자생의 여부가 불분명한 견해가 있어 각각 울릉산마늘 재배지와 사방녹화용 개체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선행연구를 통해 조사되었지만 63과 196속 219종 5아종 28변종 11품종 263분류군이 본 연구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선행연구 결과는 인근산지가 포함되어 조사구역에 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보래봉의 산림지역은 해발 400~1,400 m 내외에 걸쳐졌지만(Park and Hwang, 2016; Lee and Oh, 2017) 본 연구는 해발 600 m 부터 조사되어 저지대에서 주로 출현하는 종이 미확인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은 분류군 중 독미나리, 복주머니란은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II급 식물로 절멸 위기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분류군이다. 독미나리는 주로 강원도 대관령 이북 일대에 분포하며, 국내에 매우 제한적인 서식지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습지 개발로 인한 서식지 감소 위협을 받고 있다(You et al., 2017). 복주머니란은 제주도와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꽃의 관상가치가 높아 무분별한 채취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Kim and Lee, 1998). 해당 분류군들이 본 조사에서 발견되지 않은 것은 조사 지역의 차이로 판단될 수도 있으나 서식지 파괴로 인한 개체 감소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개체 보전을 위한 후속 조사를 통해 추가 서식지 발견과 모니터링 및 보전계획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Lee and Paik (1998)가 보고한 가지가비고사리, 참개별꽃, 선주름잎, 낚시사초는 전라도 및 제주도에 분포하며, 왕매발톱나무, 큰연영초는 울릉도에 분포(Korea National Arboretum, 2016a)하고 있어 해당 분류군은 오동정인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세분화된 조사계획과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KH)에 보관중인 보래봉, 회령봉 지역의 증거표본을 분류학적으로 재검토한 후에 목록에 추가한다면 본 연구의 분류군 수는 다소 증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보래봉의 지역별 식물 분포

조사지 내에 지역별로 다양한 지형 및 환경이 나타났다. 덕거리 지역은 계곡에서 이어진 하천이 흐르는 지역으로 쇠뜨기(Equisetum arvense L.), 속새(E. hyemale L.), 골풀[Juncus decipiens (Buchenau) Nakai] 등이 우점하며, 특산식물인 처녀치마가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었으며, 동시에 다수의 관광객 및 농업 개발로 인한 인위적 교란이 빈번하여 털별꽃아재비(Galinsoga quadriradiata Ruiz & Pav.), 토끼풀(Trifolium repens L.), 괭이밥(Oxalis corniculata L.) 등 침입외래식물이 다수 분포하고 생태계 교란의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었다. 보래령터널은 물이 고이는 지형이 산발적으로 있으며, 습한 토양을 가지는 지역으로, 갯버들(Salix gracilistyla Miq.), 키버들, 호랑버들(S. caprea L.) 등이 서식하고, 바위떡풀(Saxifraga fortunei Hook. var. koraiensis Nakai), 큰까치수염(Lysimachia clethroides Duby) 등이 자생하고 있었으며, 계곡부로 이어지는 지역에 백작약이 소수 개체 자생하고 있었다. 회령봉에서 보래봉으로 향하는 정상부는 조릿대[Sasa borealis (Hack.) Makino & Shibata]가 우점하여 초본층의 종 다양성은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도라지모시대(Adenophora grandiflora Nakai), 금마타리 등이 소수 개체로 생육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보래봉에서 운두령까지 이어지는 임도를 따라 나래회나무(Euonymus macropterus Rupr.), 미역줄나무(Tripterygium regelii Sprague & Takeda), 함박꽃나무(Magnolia sieboldii K. Koch) 등이 생육하며, 유럽나도냉이(Barbarea vulgaris W. T. Aiton), 큰새포아풀, 미국쑥부쟁이 등의 침입외래식물이 분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덕거리 지역은 펜션 등 관광 시설과 고랭지 채소밭으로 이어지는 지역으로 다수의 방문객 및 농지 개발로 인해 인위적 교란이 우려된다. 실제 현지 조사 결과 대부분의 침입외래식물이 해당 지역에서 관찰되었으며, 지속적인 침임외래식물의 확산은 보래봉 지역의 생물다양성에 위협이 되는 요소로 여겨진다. 특히 해당 지역은 처녀치마, 각시현호색, 키버들 등 다수의 특산식물이 분포하는 지역으로, 생물주권 확보를 위해 우선적으로 보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침입외래식물의 확산 동향을 파악하고,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적 요

식물상 연구는 종 다양성 현황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변화를 평가 및 예측하고 한반도의 기후환경 및 생물다양성을 기록할 수 있다. 보래봉은 보존 가치가 있는 식물자원을 보유하나 등산로와 임도를 통한 인위적인 간섭이 우려되는 지역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증거표본 및 사진자료에 기초하여 보래봉 일대의 관속식물을 보고하고, 보래봉의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선행연구와 비교를 통해 추가적인 침입 외래식물 유입 방지에 활용하고자 한다. 2022년 4월부터 11월까지 총 11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조사한 결과, 87과 269속 401종 13아종 35변종 6품종으로 총 45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또한, 적색목록은 총 4분류군(EN 2분류군, NT 2분류군), 한반도 특산식물은 18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102분류군(V 등급 1분류군, IV 등급 16분류군, III 등급 31분류군, II 등급 31분류군, I등급 23분류군)이 나타났다. 게다가 보래봉에서 외래식물 17분류군, 생태계교란식물 2분류군, 자원식물은 43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선행 연구와의 비교 결과, 38과 76속 86종 1아종 8변종 3품종 총 98분류군이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국립수목원 ‘한반도 식물 종 다양성 이해 증진을 위한 온라인 식물상 기반 구축 연구(KNA1-1-23, 18-1)’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습니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y have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Cheon, K.i., J.-G. Byeon, J.-I. Kim and B.-J. Park. 2022. Community structure of Abies nephrolepis habitats and characteristics of understory vegetation in Mt. Gyebang and Mt. Odae. Korean Env. Res. Tech. 25(5):59-76 (in Korean).
2
Cho, Y.H., J.H. Kim and S.H. Park. 2016.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Geobook. Seoul, Korea. pp. 1-527 (in Korean).
3
Chung, G.Y., K.S. Chang, J.-M. Chung, H.J. Choi, W.-K. Paik and J.-O. Hyun.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7(3):264-288 (in Korean). 10.11110/kjpt.2017.47.3.264
4
Han, J.-S., K.-S. Cheon, K.-A. Kim and K.-O. Yoo. 2012.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plant resources in Mt. Heungjeong (Pyeongchang-gun, Gangwon-do). Korean J. Plant Res. 25(4):416-432 (in Korean). 10.7732/kjpr.2012.25.4.416
5
Hong, M.-P. and B.-R. Hong. 2009. Vegetation of Hoeryeong-bong (Hongcheon, Pyeongchang).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pp. 1-69 (in Korean).
6
Kang, E.S., S.-R. Lee, S.H. Oh, D.-K. Kim, S.-Y. Jung and D.C. Son. 2020. Comprehensive review about alien plants in Korea. Korean J. Pl. Taxon. 50(2):89-119 (in Korean). 10.11110/kjpt.2020.50.2.89
7
Kang, H., Y.-J. Park, S.-M. An, Y.-B. Lee, H.-R. Lee and K.-S. Cheon. 2022.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Jinjosan Mt. (Uljin-gun, Gyeongsangbuk-do). Korean J. Environ. Biol. 40(1):11-24 (in Korean). 10.11626/KJEB.2022.40.1.011
8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 I. Selection of plant taxa -. Korean J. Environ. Biol. 18(1):163-198 (in Korean).
9
Kim, E.J. 2006.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in Iris odaesanensis and Iris koreana. Department of Biotechnology and Genetic Engineering, Master Thesis, Korea University, Korea. pp. 1-51 (in Korean).
10
Kim, J.-W., I.-Y. Lee and J. Lee. 2017.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n croplands. Weed Turf. Sci. 6(2):117-123 (in Korean). 10.5660/WTS.2017.6.2.117
11
Kim, J.Y. and J.S. Lee. 1998. Growth environments of Cypripedium macranthum Sw. Habitats in Korea. Hortic. Sci. Technol. 16(1):30-32.
12
Kim, K.-O., S.-H. Hong, Y.-H. Lee, C.-S. Na, B.-H. Kang and Y.-W. Son. 2009. Taxonomic status of endemic plants in Korea. J. Ecol. Field Biol. 32(4):277-293. 10.5141/JEFB.2009.32.4.277
13
Kim, Y.C., H.H. Chae and K.S. Lee. 2016.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population dynamics of endangered plant, Paeonia obovata Maxim. Korean J. Environ. Ecol. 30(4):658-675 (in Korean). 10.13047/KJEE.2016.30.4.658
14
Korea Forest Service. 2014. The Assessment for Vascular Plant Resources and the Reclassification of their Usefulness from Korea.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p. 10-153 (in Korean).
15
Korea National Arboretum.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492 (in Korean).
16
Korea National Arboretum. 2011.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600 (in Korean).
17
Korea National Arboretum. 2015. Invasive Alien Plant Impact on Forest.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280 (in Korean).
18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a.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809 (in Korean).
19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b. Illustrated Cyoeraceae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609 (in Korean).
20
Korea National Arboretum. 2019a.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846 (in Korean).
21
Korea National Arboretum. 2019b. Illustrated Juncaceae, Eriocaulaceae, Typhaceae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255 (in Korean).
22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The National Red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336-374 (in Korean).
23
Korea National Arboretum. 2022a.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Alien Plants). Retrieved from http://www.nature.go.kr/ on Nov. 1, 2022.
24
Korea National Arboretum. 2022b.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ve Plants). Retrieved from http://www.nature.go.kr/ on Nov. 1, 2022.
25
Kown, H.J. 2000. Mountain ranges of Korea. J. Korean Geo. Soc. 35(3):389-400 (in Korean).
26
Lee, I.-Y., S.-H. Kim and S.-H. Hong. 2021.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invasive weeds, Ambrosia artemisiifolia, Ambrosia trifida and Humulus japonicus. Weed Turf. Sci. 10(3):227-242 (in Korean).
27
Lee, J.-W., J.D. Lee, W.K. Paik and H.G. Yun. 2022.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round Haemyeong Mt. (Seokmodo, Incheon) and the comparison of invasive alien plants in surrounding forests. Korean J. Plant Res. 35:201-241 (in Korean).
28
Lee, N.J. and S.H. Oh. 2017. 4th Natural Resource Survey Vegetation in Hongcheon, Pyeongchang.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ucheon, Korea. pp. 1-21 (in Korean).
29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Hayangmunsa. Seoul, Korea. pp. 1-914 (in Korean).
30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Hayangmunsa. Seoul, Korea. pp. 1-901 (in Korean).
31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Seoul, Korea. pp. 1-1688 (in Korean).
32
Lee, W.-T. and W.-K. Paik. 1998. Flora of Hoeryeong-bong (Hongcheon, Pyeongchang).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pp. 39-149 (in Korean).
33
Lee, W.-T. and Y.J. Yim.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8 (Appendix):1-33 (in Korean).
34
Ministry of Environment. 2022. Appoint notice of ecosystem disturbande wild plant. Retrieved from http://www.me.go.kr/ on Nov. 1, 2022.
35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6. Handbook for the Management of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ucheon, Korea. pp. 1-83 (in Korean).
36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Floristic target species (FT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pp. 1-728 (in Korean).
37
Numata, M. 1975. Naturalized Plants. Dai Nippon Printing. Tokyo, Japan. pp. 1-160 (in Japanese).
38
Oh, B.-U., D.-G. Jo, K.-S. Kim and C.-G. Jang. 2005. Endemic Vasular Plants in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205 (in Korean).
39
Oh, H.-K., J.-H. SaGong and J.-H. You. 2011. Analysis on environmental indices and naturalized plants distributed in Gyeryong-si,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5(4):479-489 (in Korean).
40
Paik, W.K. 1999. The status of endemic plants in Korea and our tasks in the 21st century. Korean J. Pl. Taxon. 29(3):263-274 (in Korean). 10.11110/kjpt.1999.29.3.263
41
Paik, W.-K., H.-J. Park and I.-K. Lee. 2013. Flora of Mt. Heungjeong.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pp. 1-6 (in Korean).
42
Park, S.-H. and Y.-S. Hwang. 2016. 4th Natural Resource Survey Vegetation in Hoengseong, Hongcheon, Pyeongchang.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ucheon, Korea. (in Korean).
43
Takhtadzhian, A.L. 1988. The Floristic Regions of the World. Nauka. Leningrad, Russia, pp. 1-248 (in Russian).
44
Yang, J.-C., H.-S. Hwang, H.-J. Lee, S.-Y. Jung, S.-J. Ji, S.-H. Oh and Y.-M. Lee. 2014.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long the altitudinal gradient of Gyebangsan (Mt.) in Korea. JAPB 7(1):e40-e71. 10.1016/j.japb.2014.03.008
45
Yim, Y.J. and E.S. Jeon. 1981.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 peninsula. J. Plant Biol. 23(3):69-83 (in Korean).
46
You, C.S., C.H. Kim, H.C. Lee, Y.E. Choi, N.S. Lee, H.E. Doo and Y.B. Park. 2017. A study on the vegetation of habitat for Cicuta virosa in Korea. Proc. Korean Soc. Environ. Ecol. Con. 27(1):14-15.
47
You, J.-H. 2010. Vascular plants and characteristics on downtown section distributed in Hyeongsan River, Gyeongju. J. Gyeongju Res. 19(2):79-93 (in Korean).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