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 October 2022. 614-640
https://doi.org/10.7732/kjpr.2022.35.5.614

ABSTRACT


MAIN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결 과

  •   관속식물상

  •   특산식물

  •   환경부에서 지정한 법정보호종

  •   IUCN Red List 위협범주에 속하는 식물

  •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   분포가 독특한 분류군

  •   외래식물

  •   과거 식물상과 비교

  • 고 찰

  • 적 요

서 언

비금도와 도초도는 북위 34° 40ˊ~34° 48ˊ, 동경 125° 53ˊ~ 126° 00ˊ에 위치하고 있으며, 행정구역상 전라남도 신안군에 속하는 섬이다. 목포에서 약 50 ㎞ 떨어진 서쪽 지점에 자리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암태도, 팔금도, 안좌도 그리고 서쪽으로는 흑산도와 마주하고, 남쪽에는 하의도, 북쪽으로는 자은도와 이웃하고 있다. 비금도와 도초도는 1996년에 두 섬이 이어지는 서남문대교가 완성되어 같은 생활권이 형성되었다.

비금도는 신안군 비금면에 속하는 면적 44.13 ㎢의 섬으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신장된 형태를 띠고 있으며, 남서부와 북부에 구릉성 산지가 발달되어 있고 섬의 중앙부에는 평지가 자리하고 있다. 섬의 서쪽에는 최고봉인 선왕산(255 m)과 그림산(226 m) 등이 비교적 경사가 급한 산세를 이루며 북서-남동 방향으로 뻗어 있고 섬의 동쪽에는 성치산(164 m)을 중심으로 100 m 이하의 낮은 구릉성 산지가 주로 분포하고 있다. 특히 동남쪽 해안에는 갯벌을 간척하여 형성된 농토와 염전이 넓게 분포하고 있다(Chung and Kim, 2017). 도초도는 신안군 도초면에 속하는 면적 41.94 ㎢의 섬으로, 금성산(219 m)과 함께 남쪽으로 산지가 형성되어 있고, 북쪽과 서쪽은 구릉지와 평야가 발달하였다. 중부지역 수항리 일대에 펼쳐진 고란평야는 신안군 도서 중에서 가장 넓은 들을 이루고 있다. 해안선은 비교적 복잡하며, 남서쪽 해안은 대부분 암석해안이다(Park et al., 2007). 비금도와 도초도의 지질은 셰일, 응회암, 장석반암, 충적층(모래, 이질퇴적물)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금도와 도초도의 수계는 비금도의 고막천과 수로로 이용되고 있는 일부 소하천만이 해안으로 유입하고 있다. 이들 하천은 유로가 극히 짧은 1차수 하천으로 퇴적물의 공급량이 많지 않지만, 비금・도초도 지구를 구성하고 있는 유문암질 응회암이 풍화과정에 많은 양의 석영질 모래를 해안에 공급하면서 모래해안을 형성하고 있다(Shin et al., 2018). 기후는 온난다습한 해양성 기후로, 연평균 기온 13.5℃, 최고기온 17.6℃, 최저기온 10.1℃으로, 우리나라 연평균 기온 13.2℃와 비교했을 때, 0.3℃ 높으며, 연중 가장 높은 8월의 경우 30.6℃, 최저기온은 1월에 -2.0℃이다. 연강수량은 1,232.4 ㎜로 우리나라 연 강수량(1,587.9 ㎜)에 비해 적다(Sinan Office, 2021).

비금・도초도 식물상에 관한 선행 연구로는 Lee et al. (1980)이 비금도, 도초도, 우이도, 칠발도를 조사하여 비금도는 148분류군, 도초도는 170분류군을 보고한 것을 시작으로, Park (2004)은 서남해안 도서지역의 식물상에서 비금도는 35과 64속 61종 10변종 1품종으로 총 72분류군, 도초도는 45과 84속 82종 13변종 1품종으로 총 96분류군을 보고하였으며, Jeong et al. (2011)은 신안군의 식물상을 조사하여, 비금도 252분류군, 도초도 156분류군을, Nam et al. (2012)은 압해도, 비금도, 도초도를 조사하여, 비금도 107과 459분류군, 도초도는 101과 382분류군을, Hwang et al. (2013)은 신안군의 15개 도서에 대한 식물상으로 비금도는 54과 127속 142종 160종 1아종 12변종 3품종으로 총 158분류군을, 도초도는 55과 129속 138종 1아종 17변종 1품종으로 총 157분류군을 보고하였다. 최근 조사로는 2018년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로 Kwon et al. (2018)이 비금도는 78과 179속 206종 5아종 14변종으로 총 225분류군, 도초도는 86과 194속 227종 4아종 20변종으로 총 251분류군을 보고한 바 있다.

비금・도초도는 식물구계학적으로 남해안아구에 속하며(Lee and Yim, 1978; 2002), 쿠로시오(Kuroshio) 난류의 영향을 받는 상록활엽수와 같은 남방계 식물의 분포에 중요한 지리학적 위치에 있다(Kim, 1996). 또한, 이를 포함하는 다도해지역은 제4 빙하기의 해수면이 약 80~140 m 정도가 하강함으로써 빙하기 동안 육지화하였다가 최후 간빙기인 7,000년 전에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현재의 모습을 형성하였는데(Hong and Yu, 1997), 이들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종들은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하다.

최근 다도해지역은 2013년 김대중대교, 2018년 새천년대교 등 도서 간을 연결하는 교량건설이 이어지고 있으며, 비금・도초도 지역도 1996년에 지어진 서남문대교 이외에도 비금도와 추포도, 안좌도와 도초도를 연결하는 대교가 건설될 예정이다. 그 외에도 자전거길, 생태공원 등 관광지 개발 계획이 수립되어 있다(Sinan Office, 2021). 도서지역은 생물의 서식지가 되는 공간 범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 변화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Kim et al., 2017). 이러한 점에서 본 지역의 특산식물, 법정보호종, IUCN Red List 위협범주에 속하는 식물 및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등 주요 식물의 분포와 외래식물의 종수 변화 등 면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29차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공동학술조사의 일환으로 비금도와 도초도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고, 식물종의 효율적인 관리와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2021년 6월과 9월 총 4회에 걸쳐 비금도와 도초도 일대의 산지와 해안가를 중심으로 관속식물 조사를 수행하였다(Fig. 1, Table 1). 결과의 정확성을 위해 현장에서 관찰한 모든 식물을 대상으로 검색형질에 유용한 꽃, 열매, 포자 등의 세부형질을 촬영하였으며, 증거표본을 제작하여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KH)에 보관하였다. 희귀식물의 경우는 사진을 찍어 확증표본으로 대신하였고, GPS정보를 기록하였다. 또한, 조사된 식물에 대한 목록 작성을 위해 학명 및 분류체계는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21a,b)에 따라 표기하였고, 과내에서는 알파벳 순서로 속명과 종명을 정리하였으며, 향후 보다 효율적인 산림식물종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 주요 식물들은 한국특산식물목록(Chung et al., 2017), 법정보호종(Ministry of Environment, 2021), IUCN Red List 위협범주에 속하는 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21c), 환경부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목록(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외래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21b)에 근거하여 표기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상과의 비교를 위해 Lee et al. (1980), Park (2004), Jeong et al. (2011), Nam et al. (2012), Hwang et al. (2013), Kwon et al. (2018)의 목록과 비교하였으며, 새로이 분포가 확인된 분류군은 관속식물목록의 국명 앞에 별표(★)로 표시하였다. 또한, 분포의 특이성을 보이는 분류군은 국가생물종지식 정보시스템(http://www.nature. go.kr), 한반도 관속식물 분포도(Oh et al., 2016)에서 분포 자료를 수집하였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2-035-05/N0820350506/images/kjpr_35_05_06_F1.jpg
Fig. 1.

Investigation routes in Bigeumdo and Dochodo Island.

Table 1.

Investigation dates and routes of the floristic study of Bigeumdo and Dochodo Island

No. Date Investigation routes Investigator
1 2021. 06. 01 A: Bigeumdo: Wonpyeong Beach Jung et al.
B: Dochodo: Mt. Keunsan → Simok Beach Jung et al.
2 2021. 06. 02 A: Bigeumdo: Mt. Deoksan Jung et al.
B: Dochodo: Mt. Geumseongsan → Mt. Hani → Mannyeon-ri Eco Marsh → Igok-ri Coast Son et al.
3 2021. 09. 08 A: Bigeumdo: Mt. Deoksan Jung et al.
B: Dochodo: Simok Beach → Igok-ri Coast → Suda-ri Paddy → Mt. Obong → Ganeunge Beach Jung et al.
4 2021. 09. 09 A: Bigeumdo: Yongso Reservoir → Myeongsasimni Beach → Temp. Seosansa (Mt. Seonwangsan) Son et al.

결 과

관속식물상

본 조사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은 총 113과 332속 452종 6아종 27변종 3품종의 490분류군이며(Table 2, Appendix 1), 이는 한반도 관속식물 4,247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21a,b)의 11.5%에 해당된다. 분류군별로는 양치식물이 26분류군, 나자식물이 6분류군, 피자식물이 458분류군이며, 이 중 쌍자엽식물은 344분류군, 단자엽식물은 114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각 조사지역별 관속식물은 비금도는 84과 189속 220종 4아종 8변종 4품종으로 총 23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도초도는 107과 305속 397종 5아종 23변종 3품종으로 총 428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3).

Table 2.

The summary of vascular plants in Bigeumdo and Dochodo Island

Fam. Gen. Sp. Subsp. Var. For. Taxa
Pteriodophyta 14 20 26 1 26
Gymnospermae 3 5 6 6
Angiospermae 96 307 420 6 26 3 458
Dicotyledonae 82 232 318 4 20 2 344
Monocotyledonae 14 75 102 2 6 1 114
Total 113 332 452 6 27 3 490
Table 3.

The summary of vascular plants in each survey sites

Site Fam. Gen. Sp. Subsp. Var. For. Taxa
Bigeumdo 84 189 220 4 8 4 232
Dochodo 107 305 397 5 23 3 428

조사지역의 산림지대는 대부분 암석산으로 소나무와 곰솔이 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며, 교목층으로는 노간주나무, 졸참나무, 동백나무, 구실잣밤나무, 후박나무 등이, 관목층에는 사방오리, 예덕나무, 사스레피나무, 쥐똥나무, 청미래덩굴 등이, 초본층에는 장딸기, 발풀고사리, 좀땅비싸리, 마삭줄 등이 관찰되었다. 초원지대는 띠가 우점하였으며, 상동나무, 사위질빵, 들하늘지기, 참방동사니, 도랭이피, 풀솜나물 등이 나타났다. 습지지대는 농경지 일대에 저수지와 웅덩이, 수로가 군데군데 있어, 가시연꽃, 마름, 연, 벗풀, 자라풀, 올방개, 개연꽃 등 여러 수생식물이 관찰되었다. 경작지대에서는 논뚝외풀, 나도겨풀, 참새피, 참방동사니, 흰꽃여뀌, 이삭여뀌, 청비름, 어저귀, 큰도꼬마리, 호밀풀, 큰이삭풀, 모시풀 등이 관찰되었다. 해안지대는 주로 모래해안으로 모래지치, 갯메꽃, 순비기나무, 갯그령, 갯쇠보리, 갯방풍, 왕잔디, 통보리사초 등 해안식물이 출현하였다.

특산식물

본 조사에서 특산식물은 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그중 개나리, 은사시나무는 식재종으로 확인되었다(Table 4, Appendix 1). 식재종을 제외한 5분류군은 한반도 특산식물 360분류군의 1.1%에 해당된다. 은꿩의다리(Fig. 2-A)는 이번 조사에서 새로이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비금도 선왕산의 덤불숲에서 검노린재나무, 정금나무, 사스레피나무, 삽주, 사다리고사리 등과 함께 생육하였다. 제주백서향(Fig. 2-B)은 기존 연구에서 백서향으로 보고되었으나 현지조사 결과 비금도산 개체는 타원상 피침형으로 잎 너비가 좁고 화탁통이 무모인 점에서 제주백서향으로 판단된다(Lee and Oh, 2017). 비금도 그림산의 능선부 사면과 산지 가장자리의 소나무림에서 사스레피나무, 광나무, 마삭줄, 송악, 발풀고사리와 함께 생육하였다. 그 외 기존 연구에서는 땅비싸리와 좀땅비싸리 두 종 모두 분포가 보고되었다. 그러나 한국의 남서부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는 땅비싸리와 달리, 좀땅비싸리는 충남의 해안지방으로부터 전북, 전남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특산종으로써(Cho et al., 1997), 지리적으로 조사지에는 좀땅비싸리가 분포할 가능성이 높다. 현지조사표본을 관찰한 결과, 소엽 하면에 털이 없고 꽃의 크기가 1.2 ㎝ 이하인 점에서 좀땅비싸리(Fig. 2-C)로 동정된다.

Table 4.

The list of the Korean endemic plants in survey sites

No. Family Scientific name Korean Name Site
Biz Doy
1 Fabaceae Indigofera koreana Ohwi 좀땅비싸리 O O
2 Oleaceae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개나리* O
3 Moraceae Broussonetia × hanjiana M.Kim 닥나무 O
4 Ranunculaceae Thalictrum actaeifolium var. brevistylum Nakai ★은꿩의다리 O
5 Salicaceae Populus × tomentiglandulosa T.B.Lee 은사시나무* O O
6 Thymelaeaceae Daphne jejudoensis M.Kim ★제주백서향 O
7 Liliaceae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백운산원추리 O

zBi: Bigeumdo (Is.); yDo: Dochodo (Is.); *Cultivated plants.

환경부에서 지정한 법정보호종

본 조사에서 멸종위기식물은 가시연꽃과 끈끈이귀개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5, Appendix 1). 멸종위기 II급에 해당하는 이들 분류군은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Ministry of Environment, 2021)에서 지정한 법정보호종 88분류군의 2.3%에 달한다. 가시연꽃(Fig. 2-D)은 비금도의 용소저수지 인근 웅덩이에서 연, 마름과 같은 수생식물과 함께 생육하였으며, 끈끈이귀개(Fig. 2-E)는 도초도 큰산 해안가 사면의 햇빛이 잘 드는 초지에서 여러 개체가 관찰되었다.

Table 5.

List of the protected specie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survey sites

No. Family Scientific name Korean Name Degree Site
Bi Do
1 Nymphaeaceae Euryale ferox Salisb. 가시연꽃 II O
2 Droseraceae Drosera peltata var. nipponica (Masam.) Ohwi ex E.Walker 끈끈이귀개 II O

IUCN Red List 위협범주에 속하는 식물

본 조사에서 IUCN Red List 위협범주에 속하는 식물은 제주백서향 등 5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6, Appendix 1). 이들 5분류군은 IUCN Red List 위협범주에 속하는 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21c) 275분류군의 1.8%에 해당된다. 이 중 위기종(Endangered Species, EN)은 제주백서향이, 취약종(Vulnerable Species, VU)은 가시연꽃 등 3분류군이, 준위협종(Near Threatened, NT)은 큰방울새란이 확인되었다(Table 6). 지네발란(Fig. 2-G)은 비금도 덕산의 절벽 바위에서 생육이 확인되었으며, 큰방울새란(Fig. 2-H)은 도초도 큰산의 해안가 인근 사면의 곰솔림에서 누리장나무, 층꽃나무, 댕댕이덩굴, 마삭줄, 띠, 긴잎제비꽃와 함께 소수 개체가 생육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취약종(VU)인 통발이 보고된 바 있으나 통발은 현재 국내에서는 동해안의 석호에서만 자생지가 관찰되고 있으며, 조사결과 화경의 폭이 줄기의 폭보다 큰 점에서 참통발(Fig. 2-F)로 확인된다(Na et al., 2008).

Table 6.

List of the threated plants according to the IUCN Red List Categoty in survey sites

No. Family Scientific name Korean Name Degree Site
Bi Do
1 Thymelaeaceae Daphne jejudoensis M.Kim ★제주백서향 ENz O
2 Nymphaeaceae Euryale ferox Salisb. 가시연꽃 VUy O
3 Droseraceae Drosera peltata var. nipponica (Masam.) Ohwi ex E.Walker 끈끈이귀개 VU O
4 Orchidaceae Pelatantheria scolopendrifolia (Makino) Aver. 지네발란 VU O
5 Orchidaceae Pogonia japonica Rchb.f. 큰방울새란 NTx O

zEN: endangered; yVU: vulnerable; xNT: near threatened.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2-035-05/N0820350506/images/kjpr_35_05_06_F2.jpg
Fig. 2.

Some remarkable taxa in Bigeumdo and Dochodo Island. A: Thalictrum actaeifolium var. brevistylum. B: Daphne jejudoensis. C: Indigofera koreana. D: Euryale ferox. E: Drosera peltata var. nipponica. F: Utricularia tenuicaulis. G: Pelatantheria scolopendrifolia. H: Pogonia japonica. I: Nuphar japonica. J: Syneilesis aconitifolia. K: Sageretia thea. L: Spirodela punctata. M: Oenothera laciniata. N: Nymphaea odorata. O: Myriophyllum aquaticum.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36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7, Appendix 1). V등급종은 끈끈이귀개 1분류군, IV등급종은 애기우산나물, 개연꽃(Fig. 2-I)을 포함한 5분류군, III등급종은 상동나무를 포함한 28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7). 애기우산나물(Fig. 2-J)은 도초도 큰산의 해안가 인근 사면의 곰솔림에서 소수 개체가 생육하였다. 좀굴거리는 이곡리 저수지 인근 산지 가장자리의 경작 지대에서 관찰되었으며, 인근 식생이 대부분 외래식물인 점과 민가 주변에 생육하는 점에서 식재로 판단된다.

Table 7.

List of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specially designated plants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in survey sites

Degree Family Scientific name Korean Name Site
Bi Do
V Droseraceae Drosera peltata var. nipponica (Masam.) Ohwi ex E.Walker 끈끈이귀개 O
IV Asteraceae Syneilesis aconitifolia (Bunge) Maxim. 애기우산나물 O
Daphniphyllaceae Daphniphyllum teijsmannii Zoll. ex Teijsm. & Binn. ★좀굴거리* O
Nymphaeaceae Nuphar japonica DC. ★개연꽃 O
Thymelaeaceae Daphne jejudoensis M.Kim ★제주백서향 O
Thelypteridaceae Parathelypteris angustifrons (Miq.) Ching 탐라사다리고사리 O
III Rhamnaceae Sageretia thea (Osbeck) M.C.Johnst. 상동나무 O O
Polypodiaceae Lepisorus onoei (Franch. & Sav.) Ching 애기일엽초 O
Dryopteridaceae Dryopteris hikonensis (H.Itô) Nakaike 큰족제비고사리 O O
Pittosporaceae Pittosporum tobira (Thunb.) W.T.Aiton 돈나무 O O
Araliaceae Fatsia japonica (Thunb.) Decne. & Planch. 팔손이 O
Verbenaceae Callicarpa mollis Siebold & Zucc. 새비나무 O O
Verbenaceae Verbena officinalis L. 마편초 O O
Meliaceae Melia azedarach L. 멀구슬나무 O
Chenopodiaceae Salsola collina Pall. ★솔장다리 O
Menispermaceae Stephania japonica (Thunb.) Miers ★함박이 O
Liliaceae Asparagus cochinchinensis (Lour.) Merr. 천문동 O O
Liliaceae Aletris spicata (Thunb.) Franch. 쥐꼬리풀 O O
Elaeagnaceae Elaeagnus glabra Thunb. 보리장나무 O
Selaginellaceae Selaginella tamariscina (P.Beauv.) Spring 바위손 O O
Lindsaeaceae Odontosoria chinensis (L.) J.Sm. 바위고사리 O
Apiaceae Centella asiatica (L.) Urb. 병풀 O
Caryophyllaceae Dianthus japonicus Thunb. 갯패랭이꽃 O
Dennstaedtiaceae Microlepia marginata (Panz.) C.Chr. 돌잔고사리 O
Rosaceae Rubus hirsutus Thunb. 장딸기 O O
Rosaceae Spiraea chinensis Maxim. 당조팝나무 O
Violaceae Viola ovato-oblonga (Miq.) Makino 긴잎제비꽃 O
Ericaceae Vaccinium bracteatum Thunb. 모새나무 O
Fagaceae Castanopsis sieboldii (Makino) Hatus. 구실잣밤나무 O
Thelypteridaceae Cyclosorus acuminatus (Houtt.) Nakai 별고사리 O
Campanulaceae Wahlenbergia marginata (Thunb.) A.DC. 애기도라지 O
Fabaceae Caesalpinia decapetala (Roth) Alston 실거리나무 O
Gleicheniaceae Dicranopteris linearis (Burm.f.) Underw. 발풀고사리 O O
Gleicheniaceae Diplopterygium glaucum (Thunb. ex Houtt.) Nakai 풀고사리 O
Lentibulariaceae Utricularia tenuicaulis Miki ★참통발 O

분포가 독특한 분류군

비금・도초도는 식물구계학적으로 남해안아구에 속하며(Lee and Yim, 1978; 2002), 남방계 식물이 식물상의 주를 이룬다. 비금・도초도는 다도해 도서 중 최외곽 도서인 홍도와 한반도 내륙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지리적 위치는 남방계 식물이 쿠로시오(Kuroshio) 난류를 따라 북상할 때 연륙교에 해당되는 지역으로서, 식물지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지네발란, 제주백서향, 상동나무(Fig. 2-K)는 남방계식물 중 비금・도초도가 한반도 내 북방한계를 보여 식물지리학적으로 특기할만한 분류군이다. 지네발란(Fig. 3-A)은 지리적으로 일본(혼슈 중부와 남부, 시코쿠, 큐슈), 한국에 분포한다(Inoue, 2016). 국내에서는 전남(나주, 동래도, 보길도, 유달산, 진도, 해남)과 제주에 분포가 알려져 있으며(Lee, 2018), 비금・도초도가 국내 분포의 최북단으로 판단된다. 제주백서향(Fig. 3-B)은 Lee et al. (2013)에 의해 기존 백서향 개체 중 제주도산 개체들이 장타원형 잎과 화탁통이 무모인 특징을 들어 백서향과 별개의 종으로 기재된 분류군으로, 제주에만 분포하는 특산식물로 알려져 있다. 상동나무(Fig. 3-C)는 지리적으로 인도, 파키스탄, 중국 남부, 대만, 일본, 한국 등지에 분포한다(Chang, 2018). 국내에서는 전남, 제주에 분포가 알려져 있으며, 비금・도초도가 국내 분포의 최북단으로 판단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2-035-05/N0820350506/images/kjpr_35_05_06_F3.jpg
Fig. 3.

Distribution maps of three Bigeumdo and Dochodo plants. A: Pelatantheria scolopendrifolia. B: Daphne jejudoensis. C: Sageretia thea. (Source: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in Korea (Oh et al., 2016), The Korea National Biospecies Information System [http://www.nature.go.kr]).

외래식물

본 연구에서 외래식물은 5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b)은 외래식물을 사전귀화식물, 잠재침입식물, 침입외래식물로 구분하였으며, 침입외래식물은 임시정착식물과 귀화식물로 세분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58분류군 중 임시정착식물 1분류군(점개구리밥)을 제외한 58분류군은 귀화식물로 확인되었다(Table 8). 이는 전체 외래식물 348분류군의 9.5%에 해당한다. 또한, 생태계교란생물지정고시(환경부고시 제 2021-176호)에 따른 생태계교란식물은 환삼덩굴을 포함하여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8). 이는 전체 생태계 교란식물 16분류군의 12.5%에 해당한다. 점개구리밥(Fig. 2-L)은 제주에 분포가 알려져 있으져 있으며, 인공 습지에 생육하는 점에서 관광객 또는 건축자재(돌담, 산책로 등)을 통해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제시된 바 있다(Lee et al., 2020). 본 조사에서도 도초도 생태습지에서 생육이 관찰되었으며, 일부 개체가 인근 습지에서도 생육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과거 식물상과 비교

이번 조사에서 새로이 분포가 확인된 분류군은 77분류군이며, 이들 중 애기달맞이꽃(Fig. 2-M), 점개구리밥 등 14분류군은 외래식물이고, 미국수련(Fig. 2-N), 앵무새깃물수세미(Fig. 2-O) 등 다수의 재배식물이 새로이 확인되었다. 이는 2020년도에 도초도에 조성된 생태습지와 더불어 외래식물이 유입되기 쉬운 지역인 해수욕장과 경작지, 저수지 일대를 중점적으로 조사한 결과로 판단된다. 그 외에 통발, 백서향, 땅비싸리 등이 참통발, 제주백서향, 좀땅비싸리로 재동정되어 목록에 새로이 추가되었다.

Nam et al. (2012)은 비금도 459분류군, 도초도 382분류군을 보고하여, 본 조사에서 확인한 비금도 232분류군, 도초도 428분류군과 차이를 보인다.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는 외래식물이 유입되기 쉬운 지역을 중점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증거표본이 제시되지 않은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목록이 작성하여 조사지역에서 생육하고 있을지라도 조사 당시 생식기관이 없어 동정이 어려운 분류군은 제외되었기에 분류군 수가 더 적게 확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조사경로와 시기를 달리한 보완조사와 더불어, 증거표본을 통한 분류학적 재검토를 수행한다면 분류군 수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8.

List of the alien plants in survey sites

No. Family Scientific name Korean Name Class Site
Bi Do
1 Solanaceae Solanum nigrum L. 까마중 Nz O
2 Lemnoideae Spirodela punctata (G.Mey.) C.H.Thomps. ★점개구리밥 Cy O
3 Oxalidaceae Oxalis corniculata L. 괭이밥 N O
4 Oxalidaceae Oxalis dillenii Jacq. 들괭이밥 N O
5 Asteraceae Sonchus asper (L.) Hill 큰방가지똥 N O O
6 Asteraceae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N O O
7 Asteraceae Erigeron floribundus (Kunth) Sch.Bip. 큰망초 N O O
8 Asteraceae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N O
9 Asteraceae Gamochaeta purpurea (L.) Cabrera 자주풀솜나물 N O
10 Asteraceae Hypochaeris radicata L. 서양금혼초 N,Dx O O
11 Asteraceae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N,D O O
12 Asteraceae Bidens pilosa L. 울산도깨비바늘 N O
13 Asteraceae Gamochaeta calviceps (Fernald) Cabrera ★선풀솜나물 N O
14 Asteraceae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N O O
15 Asteraceae Senecio vulgaris L. 개쑥갓 N O O
16 Asteraceae Taraxacum officinale F.H.Wigg. 서양민들레 N O
17 Asteraceae Eclipta prostrata (L.) L. 한련초 N O O
18 Asteraceae 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L.Nesom ★미국쑥부쟁이 N O
19 Asteraceae Symphyotrichum subulatum (Michx.) G.L.Nesom ★비짜루국화 N O
20 Asteraceae Carduus crispus L. ★지느러미엉겅퀴 N O
21 Asteraceae Xanthium orientale L. 큰도꼬마리 N O
22 Asteraceae Erechtites hieraciifolius (L.) Raf. ex DC. 붉은서나물 N O
23 Euphorbiaceae Euphorbia maculata L. 애기땅빈대 N O O
24 Polygonaceae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N O
25 Polygonaceae Rumex obtusifolius L. 돌소리쟁이 N O O
26 Polygonaceae Rumex dentatus L. 좀소리쟁이 N O
27 Convolvulaceae Cuscuta compestris Yunck. 미국실새삼 N O
28 Convolvulaceae Ipomoea nil (L.) Roth 나팔꽃 N O O
29 Convolvulaceae Ipomoea lacunosa L. ★애기나팔꽃 N O
30 Chenopodiaceae Chenopodium album L. 흰명아주 N O
31 Chenopodiaceae Chenopodium ficifolium Sm. 좀명아주 N O O
32 Chenopodiaceae Dysphania ambrosioides (L.) Mosyakin & Clemants ★양명아주 N O
33 Onagraceae Oenothera laciniata Hill ★애기달맞이꽃 N O
34 Onagraceae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N O
35 Brassicaceae Lepidium virginicum L. 콩다닥냉이 N O O
36 Poaceae Lolium multiflorum Lam. 쥐보리 N O
37 Poaceae Bromus secalinus L. ★큰참새귀리 N O
38 Poaceae Vulpia myuros (L.) C.C.Gmel. 들묵새 N O
39 Poaceae Eragrostis curvula (Schrad.) Nees 능수참새그령 N O
40 Poaceae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N O
41 Poaceae Bromus rigidus Roth ★긴까락빕새귀리 N O
42 Poaceae Bromus catharticus Vahl 큰이삭풀 N O
43 Poaceae Lolium perenne L. 호밀풀 N O
44 Poaceae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N O
45 Amaranthaceae Amaranthus viridis L. 청비름 N O O
46 Amaranthaceae Amaranthus hybridus L. ★긴털비름 N O
47 Apiaceae Daucus carota L. ★산당근 N O
48 Caryophyllaceae Cerastium glomeratum Thuill. 유럽점나도나물 N O
49 Caryophyllaceae Stellaria media (L.) Vill. 별꽃 N O
50 Malvaceae Abutilon theophrasti Medik. 어저귀 N O
51 Phytolaccaceae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N O O
52 Fabaceae Medicago polymorpha L. 개자리 N O
53 Fabaceae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N O
54 Fabaceae Vicia dasycarpa Ten. ★각시갈퀴나물 N O
55 Fabaceae Trifolium dubium Sibth. ★애기노랑토끼풀 N O
56 Fabaceae Medicago lupulina L. 잔개자리 N O
57 Scrophulariaceae Veronica arvensis L. 선개불알풀 N O
58 Scrophulariaceae Veronica persica Poir. 큰개불알풀 N O

zN: naturalized plant, yC: casual alien plant, xD: ecological disturbance causing plant.

고 찰

이번 조사를 통해 비금도에서 232분류군, 도초도에서 428분류군을 확인하여 총 490분류군의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기존 식물상 보고와 비교한 결과 새로이 77분류군의 분포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들 분류군 중 외래식물 및 재배식물이 다수 포함되었다. 외래식물은 해안가와 경작지 주변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들 분류군들은 인근 도서지역에서 분포가 확인된 점에서 바람과 해류에 의해 종자가 확산되었거나 비료를 통해 비의도적으로 유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외래식물과 재배식물 중 습지에서 생육하는 식물이 다수 확인되었는데, 이는 2020년에 도초도에 생태습지가 조성되면서 유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 분류군 중 점개구리밥과 앵무새깃물수세미는 조성된 생태습지에서 벗어나 인근의 저수지까지 생육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금・도초도 일대 습지는 가시연꽃, 자라풀, 개연꽃 등 희귀식물이 자생하는 점에서 이들 분류군에 대한 모니터링과 관리가 요구된다. 그 외에도 기존 보고된 특기할만한 식물 중 새끼노루귀, 병꽃나무 등 특산식물과 병아리다리, 나도고사리삼, 애기등, 야고, 땅귀개, 층층고랭이 등 희귀식물 및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이번 조사에서 확인하지 못하였다. 추가 조사에서는 이들 분류군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비금・도초도를 포함한 다도해 해상 국립공원은 국립공원내의 독특한 자연경관, 생물종, 식생경관,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Kim and Oh, 2010). 신안군 중장기 종합발전계획에 따르면(Sinan Office, 2021), 관광객 유치를 위해 자전거도로, 비금-추포 연도교, 도로 개량, 생태평화공원 등이 발전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결론적으로 비금・도초도 지역은 다리 건설 및 관광지 개발, 관광객의 증가로 인해 외래종의 유입은 날로 증가할 것으로 생각되어 지역민과 행정기관에서는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및 제도적인 방법 등 교란된 지역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Sung and Kang, 2020). 본 조사의 학술적 중요성은 비금・도초도 일대의 관속식물의 다양성 및 보존 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가진다.

적 요

전라남도 신안군에 위치한 비금도와 도초도의 관속식물상을 연구하였다. 2021년 6월과 9월 총 4회의 현지조사를 수행한 결과, 113과 332속 452종 6아종 27변종 3품종으로 총 490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비금도에서는 84과 189속 220종 4아종 8변종 4품종으로 총 232분류군이, 도초도에서는 107과 305속 397종 5아종 23변종 3품종으로 총 428분류군이 각각 관찰되었다. 이들 중 한반도 특산식물은 7분류군, 환경부에서 지정한 법정보호종은 II급 2분류군이, IUCN Red List 위협범주에 속하는 식물은 위기종(EN) 1분류군, 취약종(VU) 3분류군, 준위협종(NT) 1분류군으로 총 5분류군이,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 1분류군, IV등급 5분류군, III등급 28분류군으로 총 2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분포가 독특한 분류군으로 지네발란 등 3분류군은 비금도와 도초도가 국내에서 분포 북한계지임이 확인되었다. 외래식물은 58분류군이 보고되었다.

Acknowledgements

본 논문은 국립수목원 “한반도 식물 종 다양성 이해 증진을 위한 한반도 식물상 온라인 기반 구축 연구, KNA1-1-23, 18-1”과제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습니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y have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Chang, C.S. 2018. Rhamnaceae Juss. In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ed.),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Hongneung Science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899-907 (in Korean).
2
Cho, S.K., B.H. Choi and J.H. Kim, 1997. Morphological variations and taxonomy of Indigofera kirilowii and I. koreana (Leguminosae). Korean J. Pl. Taxon. 27(1):73-87 (in Korean). 10.11110/kjpt.1997.27.1.073
3
Chung, C.H. and C.B. Kim. 2017. Geomorphology and geology of Mt. Deok on Bigeum Island, Shinan, Korea. J. Korean Earth. Sci. Soc. 38(7):552-560 (in Korean). 10.5467/JKESS.2017.38.7.552
4
Chung, G.Y., K.S. Chang, J.-M. Chung, H.J. Choi, W.-K. Paik and J.-O. Hyun.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7(3):264-288 (in Korean). 10.11110/kjpt.2017.47.3.264
5
Hong, S.J. and H.S. Yu. 1997. Geomorphological landscape in Hongdo・Heuksando. In 2nd National Ecosystem Survey Hongdo・Heuksando Natural Environment. Ministry of Environment (ed.),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Korea. pp. 2-32 (in Korean).
6
Hwang, H.-S., J.-C. Yang, S.-H. Oh, Y.-M. Lee and K.-S. Chang. 2013. A study on the flora of 15 islands in the western sea of Jeollanamdo Province, Korea. J. Asia Pac. Biodivers. 6(2): 281-310. 10.7229/jkn.2013.6.2.281
7
Inoue, K. 2016. Cleisostoma Blume. In Iwatsuki, K., D. Boufford and H. Ohba (eds.), Flora of Japan 4b, Kodansha, Tokyo, Japan. p. 318.
8
Jeong, J.H., C.M. Jang, K.H. Hong, Y.J. Oh and W.K. Paik. 2011. Flora of Sinan-gun (Sinan, Jeollanam-do, Korea). Korean J. Nat. Conserv. 5(2):107-134 (in Korean).
9
Kim, H.-H., D.-B. Kim, C.-H. Jeon, C.-S. Kim and W.-S. Kong. 2017. Island-bio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 in Jeollanamdo islands. J. Environ. Impact Assess. 26 (4):273-290 (in Korean).
10
Kim, H.S. 1996. On the natural ecology and conservation counterplan in the Kagŏ-do. J. Korean Isl. 7:173-185 (in Korean).
11
Kim, H.S. and J.G. Oh. 201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Korean J. Plant Res. 23(2): 187-196 (in Korean).
12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a.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ve Plants). Retrieved from http://www.nature.go.kr/kpni/index.do on Mar. 30, 2022.
13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b.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Alien Plants). Retrieved from http://www.nature.go.kr/kpni/index.do on Mar. 30, 2022.
14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c. The National Red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Designpost, Goyang, Korea (in Korean).
15
Kwon, J.H., J.G. An, Y.H. Cho, S.S. Kim, M.O. Moon and S.H. Hwang. 2018. Vscular plant. In Korea National Park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ed.),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Nature Resource Survey: Land, Korea National Park Service, Wonju, Korea. pp. 259-448 (in Korean).
16
Lee, J.J. and S.H. Oh. 2017. A comparative morphological study of Thymelaeaceae in Korea. Korean J. Pl. Taxon. 47(3):207-221 (in Korean). 10.11110/kjpt.2017.47.3.207
17
Lee, J.S., K.H. Lee, S.K. So, C.H. Choi and M.Y. Kim. 2013. A new species of Daphne (Thymelaeaceae): D. jejudoensis M. Kim. Korean J. Pl. Taxon. 43(2):94-98 (in Korean). 10.11110/kjpt.2013.43.2.94
18
Lee, N.S. 2018. Cleisostoma Blume. In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ed.),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Hongneung Science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830- 1831 (in Korean).
19
Lee, T.B., Y.B. Lee and C.H. Lee. 1980. Vegetation of the islands in the Sinan county, near Mokpo. The Report of the KACN 16:31-54 (in Korean).
20
Lee, W.T. and Y.J. Yim.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8:1-33 (Appendix 1) (in Korean).
21
Lee, W.T. and Y.J. Yim. 2002. Plant Geography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Korea. pp. 1-412 (in Korean).
22
Lee, Y.R., H.J. Choi and T. Shiga. 2020. Taxonomic identity of Landoltia punctata (Araceae, Lemnoideae) in Korea. Korea. J. Asia Pac. Biodivers. 13(3):494-498. 10.1016/j.japb.2020.04.003
23
Ministry of Environment. 2021. Wildlife protection and management. Retrieved from http://www.me.go.kr.do on Mar. 30, 2022.
24
Na, S.T., H.K. Choi, Y.D. Kim and H.C. Shin. 2008. Taxonomic identities and distribution of Utricularia japonica and U. tenuicaulis in Korea. Korean J. Pl. Taxon. 38(2):111-120 (in Korean). 10.11110/kjpt.2008.38.2.111
25
Nam, C.-H., S.-H. Park, S.-Y. Jung, S.H. Oh, J.-O. Hyun, H.J. Kwon and K.S. Chang. 2012. The vascular plants of Sinan- gun Jellanam-do Korea: Aphae-do (Is.), Bigeum-do (Is.) and Dochodo Island. J. Korea Nature 5(1):65-87. 10.7229/jkn.2012.5.1.065
26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Floristic Target Species (FT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in Korean).
27
Oh, B.U. S.C. Ko, S.H. Kang, Baik, W.K. Yoo, K.O. Im, H.T. Jang, C.G. Chung, G.Y. Choi, B.H. Choi, H.J. Lee, Y.M. Shin, C.H. Choi, K. Han, J.H. Park, S.H. Kim, H.J. Chang, G.S. Yang, J.C. Jeong, S.Y. Lee, C.H. Oh, S.H and D.G. Jo. 2016.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28
Park, Y.C., S.M. Kang, J.C. Jeong and J.P. Kim. 2007. Spider fauna of two Korean Islands (Bigeum-do and Docho-do). Korea Arachnol. 23(1):41-56 (in Korean).
29
Park, Y.K. 2004. Flora of islands in west and south regions of Korea. Department of Biology, MS Thesis, Honam Univ., Korea (in Korean).
30
Shin, J.R., K.H. Kwon, M.K. Park and Y.M. Hong. 2018. TopographyㆍGeography. In Korea National Park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ed.),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Nature Resource Survey: Land, Korea National Park Service, Wonju, Korea. pp. 25-102 (in Korean).
31
Sinan Office. 2021. 2020 Sinan-gun Statistical Yearbook. Retrieved from https://www.shinan.go.kr/home/www/openinfo/openinfo_11/openinfo_11_17/page.wscms. on Mar. 30, 2022.
32
Sung, J.W. and S.G. Kang. 2020. Vascular plant species in the Southern Sejong. Korean J. Plant Res. 33(4):311-336 (in Korean).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