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 April 2022. 201-241
https://doi.org/10.7732/kjpr.2022.35.2.201

ABSTRACT


MAIN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결 과

  •   관속식물상

  •   한반도 북방계 식물(Northern lineage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   한반도 특산식물(Korea endemic plants)

  •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Rare plants)

  •   식물구계학적 특정종(Floristic target species)

  •   염생식물(Halophyte)

  •   침입외래식물(Invasive alien plants)

  •   석모도의 침입외래식물 현황 비교

  •   석모도 및 주변 산림의 침입외래식물 분포

  • 고 찰

  • 적 요

서 언

본 연구 대상지인 석모도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에 소재하고 있고, 강화군은 경기만에 위치하고 있다. 본 섬인 강화도는 강화도, 석모도, 교동도를 비롯하여 크고 작은 섬 17개로 구성되어 있다. 강화군에서는 강화도와 교동도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석모도는 면적이 41.9 ㎢로 전국에서는 20번째로 크다(Ganghwa County, 202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석모도는 4개 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북쪽은 강화군 교동면의 교동도, 동쪽과 남쪽은 강화군 본섬인 강화도와 황해, 서쪽은 불음도와 주문도를 마주하고 있다. 석모도는 농업과 어업이 주업이고 다양한 관광자원을 가지고 있어 수도권 휴양지로서 매년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고 있다. 특히 2017년 6월 28일 개통한 석모대교는 관광객의 수가 2배 증가하게 하였고, 차량 통행량은 개통전과 비교해 약 6.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침입외래식물 등의 유입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Incheon Institute, 2017).

본 연구 대상지인 해명산(327 m), 낙가산(235 m) 및 상봉산(316 m) 일대는 하나의 능선으로 이어진 곳으로서 석모도의 절반 이상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해명산은 강화군의 6대 산지 중 하나로 꼽히고 있고, 석모도의 주봉이다. 그리고 서쪽에는 상봉산(316 m)과 북쪽에는 상주산(264 m)이 있고, 이 3개의 산이 있어 붙여진 삼산면이다. 석모도를 중심으로 산지가 동서로 나뉜 것이 특징인데, 동쪽은 넓은 갯벌 전체가 논이고, 서쪽은 염전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Ganghwa County, 2021). 해명산은 지리적으로는 북위 37° 39ˊ~37° 41ˊ, 동경 126° 18ˊ~126° 22ˊ 사이에 자리하고 있고, 강화군 지역은 한반도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대륙성 기후에 속하지만, 서해안의 섬 지역이라는 지리적인 특성 때문에 해양성기후가 나타난다(Lee et al., 2005). 석모도가 속한 강화군의 30년간(1991~2020년)의 기상 데이터에 따르면, 평균기온 11.3℃, 평균 최고기온 16.3℃, 평균 최저기온 6.6℃, 평균 강수량 1,265 ㎜, 그리고 평균 상대습도는 69.3%로 산출되었다(Table 1). 하지만 최근 10년간 2011년부터 2020년 사이에는 평균 강수량이 약 1,144 ㎜로 과거보다 감소하는 추세로 분석되었다(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1).

Table 1.

The climatic factors of the survey area in Ganghwa-gun, Incheon

Cli. factor
Decennary
Ave.Tem.P.
(℃)
Max.Tem.p.
(℃)
Min.Tem.p.
(℃)
Ave. Per
(㎜)
Ave. Moi
(%)
Dur Time
(hr.)
1991~2000 11.2 16.3 6.4 1,308 71.6 2,275
2001~2010 11.2 16.2 6.6 1,345 67.5 2,429
2011~2020 11.5 16.5 6.7 1,144 68.8 2,303

Cho (1998)는 강화도 및 주변의 산지는 소나무 및 상수리나무 등 참나무류가 군집을 이루며, 생태적으로 인위적인 교란으로 산림이 황폐화된 이후 2차 천이가 진행 중인 지역이라 보고하였다. 또한, 남부지방에 주로 자생하는 동백나무, 붉가시나무 등 12종의 상록활엽식물이 연구 대상지 인근 지역인 인천광역시 웅진군의 덕적도에서도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하였고, 주된 이유는 서해 난류의 영향인 것으로 보고하였다(Lee and Choi, 2008). 따라서 기후온난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점을 고려해 보았을 때 석모도에서도 상록활엽식물이 출현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석모도를 대상으로 한 식생 및 식물상에 관한 선행연구는 Lee and Kim (2003)은 석모도를 비롯하여 강화도와 교동도를 조사하여 330분류군, 342분류군 및 263분류군을 각각 조사하였다. Woo et al.(2007)는 인천광역시 강화 지역 식물상의 연구에서 해당 연구지역인 석모도 해명산을 2007년 3번에 걸쳐 조사하였다. 해명산의 임연부는 리기다소나무, 아까시나무, 밤나무가 우점하고 정상으로 향하는 방향의 임도 주변은 갈참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가 우점하고 물푸레나무, 피나무, 소사나무, 소태나무, 참빗살나무 등이 상층목으로 출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소사나무는 참나무류를 제외하고 가장 우점하는 종으로 보고하였다. 그리고 해명산 주변인 낙가산 등 도서지역 연구에서 소사나무림은 소사나무-졸참나무 군락 등 6가지로 분류되었다. 이 중에서 소사나무-팥배나무 군락, 소나무 군락 그리고 소사나무-굴참나무 3가지의 군락이 출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Kim et al., 2021). 한편 석모도 주변 지역인 강화도의 서쪽 지역의 선행연구는 Kim et al.(2015)은 강화도 별립산(416 m)의 관속식물상 연구에서 116과 355속 505종 8아종 52변종 7품종 2교잡종 총 574분류군이 확인되고, 붉은조개나물 등의 주요한 식물을 확인하였다. Kim et al. (2016, 2018)에는 각각 진강산(441 m)과 덕정산(320 m)의 연구에서 114과 336속 495종 7아종 53변종 4품종 1교잡종 총 560분류군과 서울제비꽃과 큰제비고깔 등 희귀·특산식물을 파악하였고, 107과 305속 423종 8아종 48변종 4품종 1교잡종 총 484분군과 좀목포사초 및 쑥방망이 등의 희귀·특산식물을 확인하였다. Kim et al. (2016)은 강화도 국수산, 별립산과 봉천산 3개 산지를 대상으로 총 93과 280속 392종 4아종 53변종 6품종 총 455분류군의 관속식물상을 파악하였다.

석모도는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위치한 도서·연안 지역일 뿐만 아니라 DMZ 접경지역에 포함되어 국가 핵심 생태축 2개의 교차점 위치에 포함된다. 특히 면적이 약 41.9 ㎢로 우리나라의 3,677개 도서 중에서 20번째로 넓은 면적의 도서임(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에도 불구하고, 그 연구성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DMZ 접경지역은 백두대간, 수생태축과 도서지역과 함께 국가 4대 핵심생태축 중 동서간의 핵심 생태축으로 포함된 지역으로 자연·생태적으로 매우 가치있는 공간으로 전해지고 있다(Son et al., 2016). 하지만 석모도가 위치한 서부 DMZ지역은 미조사된 산지가 다수가 분포하고 있다. 본 연구 대상지인 해명산도 2003년과 2007년 일부 조사가 진행되었지만, 해명산과 하나의 산줄기로 이어진 낙가산과 상봉산 등을 포함한 전방위적인 조사는 진행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해명산의 식물자원조사를 수행하는 것은 해양생태계와 육상생태계가 만나는 전이지역으로서, 다른 지역과는 다른 차별된 생물상이 보이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의미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미조사된 서부 DMZ 식물분포 및 분포변화 양상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국가 2대 생태축이 연결되는 지역으로 국가 광역생태네트워크를 구현될 수 있는 중심으로 자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서해안의 해양성기후의 영향으로 도깨비쇠고비 등 상록활엽식물 분포변화 양상을 파악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2012년 영국갯끈풀 등 새로운 외래식물의 출현(Kim et al., 2015)을 확인하여, 광범위적 확산에 대비하여 석모도의 생태적인 가치를 제고 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다된다. 끝으로 2017년 이후 석모대교의 준공으로 석모도의 전역에 퍼진 침입외래식물 현황을 파악하여 해명산을 비롯한 석모도에 분포하는 침입외래식물의 관리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인천광역시 강화군 석모도 해명산 일대의 관속식물 분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19년 4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총 19회에 걸쳐 계절별로 조사를 수행하였다(Table 2, Fig. 1). 현지 조사는 전득이고개, 석모도자연휴양림, 방개고개, 새가지고개, 상봉산 정상, 낙가산 정상 및 해명산 정상 등을 중심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현지 조사에서 동정이 불가능한 식물들은 동정을 위해 화서, 종자, 포자 등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를 채집하여 확증표본을 수집하였다. 식물의 동정은 Korea National Arboretum의 한국식물 도해도감 Ⅰ~Ⅴ(2008a, 2011, 2012, 2016, 2019b), Korea National Arboretum의 국가표준식물목록 자생식물(2021)과 국가외래식물목록(2019a), Lee (1996)의 원색 한국 기준 식물도감, Lee (2006)의 새로운 한국식물도감 및 Lee (2014a, 2014b) 원색 대한식물도감 등의 문헌을 활용하였으며, 채집한 식물표본은 표본목록을 작성하고, 산림청 국립수목원 DMZ 자생식물원 표본실에 보관하였다. 식물목록은 증거표본과 화상자료 등 동정된 식물만을 대상으로 작성하였으며, 분류군의 배열은 Engler의 분류체계(Melchior, 1964)에 따라 작성하였다. 학명 및 국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등 최신 게재된 연구문헌을 참고하였으며, 각 과내의 속 이하 계급은 알파벳순으로 배열하였다. 한반도 북방계식물은 Amarsanaa et al. (2020)에 따라 작성하였고, 북한식물은 Chang et al. (2019), 희귀식물은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b), 한반도 특산식물은 Chung et al., 2017)과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을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염생식물은 Kim (2013), Lee (2014), Lee et al. (2019), Shim et al. (2009)Shim et al. (2017), 외래식물은 Korea National Arboretum (2019a), 침입외래식물은 Jung et al. (2017)Kang et al. (2020)에 따라 작성하였다.

Table 2.

The list of investigated routes in Haemyeong (Mt.) area, Ganghwa-gun, Incheon

No. Date Investigated routes
1 2019.04.12. Seokmodo National Recreation Forest→Sangbong (Mt.) top→Bomunsa temple
2 2019.04.13. Jeondeugi-gogae→Haemyeong (Mt.) top→Pamgae-gogae→Sekpo-ri public cemetery
3 2019.04.14. Bomunsa temple→Nakga (Mt.) top→Saegari-gogae→Pamgae-gogae→Maeeum-2ri town hall
4 2019.07.20. Seokmodo National Recreation Forest→Sangbong (Mt.) top→Bomunsa temple
5 2019.07.21. Jeondeugi-gogae→Haemyeong (Mt.) top→Pamgae-gogae→Sekpo-ri public cemetery
6 2019.07.22. Bomunsa temple→Nakga (Mt.) top→Sageari-gogae→Pamgae-gogae→Maeeum-2ri town hall
7 2019.10.04. Jeondeugi-gogae→Haemyeong (Mt.) top→Pamgae-gogae→Sekpo-ri public cemetery
8 2019.10.05. Bomunsa temple→Nakga (Mt.) top→Sageari-gogae→Pamgae-gogae→Maeeum-2ri town hall
9 2019.10.06. Seokmodo National Recreation Forest→Sangbong (Mt.) top→Bomunsa temple
10 2020.04.08. Sekpo-ri rice mill→Sekpo-ri public cemetery→Sekpo-ri around town
11 2020.04.21. Jeondeugi-gogae→Haemyeong (Mt.) top→Pamgae-gogae→Maeeum-2ri town hall
12 2020.05.12. Pamgae village→Pamgae-gogae→Sekpo-ri public cemetery
13 2020.05.21. Sekpo-ri village→Valley→Non-mountain trail slope→Haemyeong (Mt.) top→Sekpo-ri public cemetery
14 2020.06.10. Maeeum-ri Wonscamp→Pamgae-gogae→Maeeum-2ri town hall
15 2020.07.07. Jeondeugi-gogae→mountain trail slope→Maeeum-1ri town hall→Maeeum-ri marina
16 2020.08.26. Sekpo-ri public cemetery→mountain trail slope→Jeondeugi-gogae
17 2020.09.15. Sekpo-ri public cemetery→Non-mountain trail slope→Valley→Maeeum-ri Wonscamp
18 2020.10.06. Jeondeugi-gogae→Haemyeong (Mt.) top→Non-mountain trail slope→Valley→Sekpo-ri public cemetery
19 2020.10.13. Sekpo-ri public cemetery→Valley→Pamgae-gogae→Pamgae village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2-035-02/N0820350204/images/kjpr_35_02_04_F1.jpg
Fig. 1.

The investigated area in Haemyeong areas of Seokmo-do, Incheon.

결 과

관속식물상

석모도 해명산 일대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은 총 107과 382속 616종 15아종 55변종 8품종 694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Table 3). 양치식물은 11과 17속 20종 2변종 22분류군(3.2%), 나자식물은 2과 3속 7종 7분류군(1.0%),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은 83과 281속 449종 13아종 38변종 7품종 507분류군(73.1%), 단자엽식물은 11과 81속 140종 2아종 15변종 1품종 158분류군(22.8%)이 확인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총 4,641분류군의 약 14.95%에 해당한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해명산 일대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상에서 과(family)별로 분포 현황을 파악해보았다. 국화과(Asteraceae)는 80분류군(11.5%)으로 가장 많은 분류군이 분포하였고, 벼과(Poaceae) 70분류군(10.1%), 장미과(Rosaceae) 38분류군(5.5%), 사초과(Cyperaceae) 37분류군(5.3%), 콩과(Fabaceae) 34분류군(4.9%), 백합과(Liliaceae) 29분류군(4.2%), 마디풀과(Polygonaceae) 26분류군(3.8%), 꿀풀과(Lamiaceae) 22분류군(3.2%), 제비꽃과(Violaceae) 19분류군(2.7%), 석죽과(Caryophyllaceae) 19분류군(2.5%),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와 배추과(Brassicaceae)가 각각 14분류군(2.0%)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3.

The flora of Haemyeong (Mt.) area in Ganghwa-gun, Incheon, Korea

Taxa Fam. Gen. Sp. Subsp. Var. For. Total Ratio (%)
Pteridophyta 11 17 20 0 2 0 22 3.2
Gymnospermae 2 3 7 0 0 0 7 1.0
Angiospermae 94 362 589 15 53 8 665 95.8
Dicotyledoneae 83 281 449 13 38 7 507 73.1
Monocotyledoneae 11 81 140 2 15 1 158 22.8
Total 107 382 616 15 55 8 694 100.0

해명산 일대의 대표 임상은 갈참나무, 신갈나무, 소나무 등은 교목층에서 우점하고, 소사나무, 진달래 등이 관목층에서 광범위하게 우점하고 있다. 해명산의 전득이고개 주차장 주변은 아까시나무, 복사나무, 리기다소나무, 팥배나무, 잣나무, 산철쭉 등이 분포하고, 해명산 정상으로 이르는 등산로 사면은 갈참나무, 물푸레나무, 소사나무, 진달래 등이 우점하고 있다. 석포리 마을에서 공동묘지를 지나 능선부로 오르는 등산로는 리기다소나무, 생강나무, 때죽나무 등이 출현하고, 공동묘지 주변 초지에는 백선, 독활, 개나리, 회양목 군락이 출현하였다. 석포리 마을 민가에서 해명산 사면에 이르는 동선에서는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오동나무, 참빗살나무, 산돌배가 출현하였고, 산의 사면은 진달래가 넓은 지역을 우점하고 있다. 해명산 정상에서 방개고개, 새가리고개를 이르는 구간에는 곰솔, 소나무, 신갈나무, 분꽃나무, 이스라지, 좀닭의장풀, 털중나리 등이 산발적으로 분포하였고, 낙가산과 상봉산 구간은 떡갈나무, 찰피나무, 산사나무, 밤나무, 물푸레나무, 서어나무, 굴피나무 등의 교목층과 박쥐나무, 분꽃나무, 개암나무 등이 우점하고 있었다. 해명산, 낙가산, 상봉산 등 해명산 일대는 비교적 인위적인 간섭을 덜 받은 산지임에도 불구하고 석포리 민가에서 해명산 사면에 이르는 구간과 상봉산에서 석모도자연휴양림 구간을 제외하면 수원공급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아 식생의 다양성은 풍부하지 않은 편이다. 특히 산자락과 마을 주변에 대부분의 식물들이 생육하고 있다. 하지만 민가 주변에서는 소리쟁이, 미국자리공, 돼지풀, 망초, 붉은서나물 등 침래침입식물의 유입이 심각하고, 석모대교 개통 이후 등산객의 유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등산로에도 침입외래식물이 증가하는 것을 나타나 보전 대책이 시급하다.

한반도 북방계 식물(Northern lineage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북방계식물은 제4기 마지막 만빙기에 중국 동북부와 러시아 극동지역으로부터 남하하여 현재까지 잔존해 있는 식물이다(Amarsana et al., 2020). 한반도 북방계식물의 종 목록 작성은 한국과 러시아에서 공통으로 분포하는 등 1,342분류군을 대상으로 전세계적 분포종, 해안성 분포종, 주 분포가 동아시아 온대지역인 분포종, 재배 및 침입외래식물 등을 검토하여 새콩[Amphicarpaea bracteata (L.) Fernald subsp. edgeworthii (Benth.) H.Ohashi], 갯메꽃[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tb.], 당단풍나무[Acer pseudosieboldianum (Pax) Kom.], 콩다닥냉이(Lepidium virginicum L.) 등 717분류군을 제외한 616분류군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해명산 일대에서 확인된 한반도 북방계식물은 나도냉이(Barbarea orthoceras Ledeb.), 흰털제비꽃(Viola hirtipes S.Moore), 황벽나무(Phellodendron amurense Rupr.), 박달나무(Betula schmidtii Regel), 털질경이(Plantago depressa Willd.) 등 총 81종으로 전체 한반도 북방계식물 616종의 13.1%가 분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Table 4, Fig. 2). 또한, 대상지 내 출현한 관속식물의 11.7%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연구 대상지인 해명산, 낙가산, 상봉산 3개의 산지 모두에서 출현한 북방계식물은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산괴불주머니(Corydalis speciosa Maxim.), 양지꽃(Potentilla fragarioides L.), 산딸기(Rubus crataegifolius Bunge), 제비꽃(Viola mandshurica W.Becker), 꽃며느리밥풀(Melampyrum roseum Maxim.)로 확인되었다. 해명산과 낙가산에서 분포하는 한반도 북방계식물은 각각 16분류군으로 해명산에서 분포하는 종은 박달나무(B. schmidtii Regel), 덩굴개별꽃[Pseudostellaria davidii (Franch.) Pax], 개구리미나리(Ranunculus tachiroei Franch. & Sav.) 등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낙가산은 물오리나무(Alnus sibirica Fisch. ex Turcz.),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새모래덩굴(Menispermum dauricum DC.), 야광나무[Malus baccata (L.) Borkh.] 등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봉산은 한반도 북방계식물인 홀아비꽃대(Chloranthus japonicus Siebold), 가는장대[Dontostemon dentatus (Bunge) C.A.Mey. ex Ledeb.], 물참대(Deutzia glabrata Kom.) 등 24분류군이 출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석모도자연휴양림부터 상봉산 정상에 이르는 구간에 계곡이 위치하여 수분공급이 원활이 공급된 이유로 판단된다. 하지만 산딸기 등 일부 분류군에 대해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북방계식물에 목록에 대해 전반적인 재검토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4.

The list of northern linage plants in Haemyeong (Mt.) area in Ganghwa-gun, Incheon, Korea

Family name Scientific name Observation area
Az By Cw
Pinaceae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소나무
Pinaceae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잣나무
Salicaceae Salix gracilistyla Miq. 갯버들
Betulaceae Alnus incana (L.) Moench subsp. hirsuta (Turcz. ex Spach)
Á.Löve & D.Löve 물오리나무
Betulaceae Betula schmidtii Regel 박달나무
Caryophyllaceae Pseudostellaria davidii (Franch.) Pax ex Pax & Hoffm.덩굴개별꽃
Schisandraceae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오미자
Ranunculaceae Ranunculus chinensis Bunge 젓가락나물
Ranunculaceae Ranunculus tachiroei Franch. & Sav. 개구리미나리
Menispermaceae Menispermum dauricum DC. 새모래덩굴
Chloranthaceae Chloranthus japonicus Siebold 홀아비꽃대
Clusiaceae Hypericum ascyron L. 물레나물
Clusiaceae Hypericum erectum Thunb. 고추나물
Papaveraceae Corydalis speciosa Maxim. 산괴불주머니
Brassicaceae Barbarea orthoceras Ledeb. 나도냉이
Brassicaceae Dontostemon dentatus (Bunge) C.A.Mey. ex Ledeb. 가는장대
Hydrangeaceae Deutzia glabrata Kom. 물참대
Hydrangeaceae Philadelphus tenuifolius Rupr. & Maxim. 얇은잎고광나무
Rosaceae Agrimonia coreana Nakai 산짚신나물
Rosaceae Filipendula glaberrima Nakai 터리풀
Rosaceae Malus baccata (L.) Borkh. 야광나무
Rosaceae Potentilla chinensis Ser. 딱지꽃
Rosaceae Potentilla discolor Bunge 솜양지꽃
Rosaceae Potentilla fragarioides L. 양지꽃
Rosaceae Prunus sargentii Rehder 산벚나무
Rosaceae Pyrus ussuriensis Maxim. ex Rupr. 산돌배
Rosaceae Rubus crataegifolius Bunge 산딸기
Rosaceae Sorbaria sorbifolia (L.) A.Braun var. stellipila Maxim. 쉬땅나무
Rosaceae Spiraea salicifolia L. 꼬리조팝나무
Fabaceae Maackia amurensis Rupr. 다릅나무
Fabaceae Vicia unijuga A.Braun 나비나물
Rutaceae Dictamnus dasycarpus Turcz. 백선
Rutaceae Phellodendron amurense Rupr. 황벽나무
Celastraceae Euonymus macropterus Rupr. 나래회나무
Vitaceae Vitis amurensis Rupr. 왕머루
Tiliaceae Tilia mandshurica Rupr. &Maxim. 찰피나무
Violaceae Viola acuminata Ledeb. 졸방제비꽃
Violaceae Viola hirtipes S.Moore 흰털제비꽃
Violaceae Viola mandshurica W.Becker 제비꽃
Violaceae Viola patrinii DC. ex Ging. 흰제비꽃
Violaceae Viola selkirkii Pursh ex Goldie 뫼제비꽃
Violaceae Viola variegata Fisch. ex Link 알록제비꽃
Araliaceae Aralia cordata Thunb. var. continentalis (Kitag.) Y.C.Chu 독활
Araliaceae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Rupr. & Maxim.) S.Y.Hu 오갈피나무
Apiaceae Peucedanum terebinthaceum (Fisch. ex Trevir.) Fisch. ex Turcz.기름나물
Ericaceae Pyrola japonica Klenze ex Alef. 노루발
Ericaceae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진달래
Ericaceae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철쭉
Gentianaceae Gentiana zollingeri Fawc. 큰구슬붕이
Rubiaceae Galium dahuricum Turcz. exLedeb. 큰잎갈퀴
Lamiaceae Isodon excisus (Maxim.) Kudô 오리방풀
Lamiaceae Leonurus macranthus Maxim. 송장풀
Scrophulariaceae Melampyrum roseum Maxim. 꽃며느리밥풀
Scrophulariaceae Phtheirospermum japonicum (Thunb.) Kanitz 나도송이풀
Plantaginaceae Plantago camtschatica Cham. exLink 개질경이
Plantaginaceae Plantago depressa Willd. 털질경이
Caprifoliaceae Lonicera praeflorens Batalin 올괴불나무
Caprifoliaceae Sambucus williamsii Hance 딱총나무
Campanulaceae Asyneuma japonicum (Miq.) Briq. 영아자
Asteraceae Artemisia lancea Vaniot 뺑쑥
Asteraceae Cirsium pendulum Fisch. ex DC.큰엉겅퀴
Asteraceae Scorzonera austriaca Willd. 멱쇠채
Asteraceae Sonchus brachyotus DC. 사데풀
Asteraceae Taraxacum coreanum Nakai 흰민들레
Asteraceae Tephroseris kirilowii (Turcz. ex DC.) Holub 솜방망이
Liliaceae Allium monanthum Maxim. 달래
Liliaceae Allium thunbergii G.Don 산부추
Liliaceae Disporum smilacinum A.Gray 애기나리
Liliaceae Disporum viridescens (Maxim.) Nakai 큰애기나리
Liliaceae Lilium concolor Salisb. 하늘나리
Liliaceae Paris verticillata M.Bieb. 삿갓나물
Liliaceae Polygonatum inflatum Kom. 퉁둥굴레
Liliaceae Polygonatum involucratum (Franch. & Sav.) Maxim. 용둥굴레
Iridaceae Iris sanguinea Donn ex Hornem. 붓꽃
Juncaceae Juncus papillosus Franch. & Sav. 청비녀골풀
Poaceae Diarrhena fauriei (Hack.) Ohwi 광릉용수염
Poaceae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Benth. & Hool.f. ex Franch. 물억새
Poaceae Spodiopogon sibiricus Trin. 큰기름새
Cyperaceae Carex leiorhyncha C.A.Mey. 산괭이사초
Cyperaceae Carex neurocarpa Maxim. 괭이사초
Cyperaceae Carex onoei Franch. &Sav. 바늘사초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2-035-02/N0820350204/images/kjpr_35_02_04_F2.jpg
Fig. 2.

The pictures showing northern lineage plants of Korean Peninsula in Haemyeong (Mt.) area.

한반도 특산식물(Korea endemic plants)

특산식물은 고유식물이나 고유종으로 어느 한정된 지역에서만 생육하는 식물을 말한다(Anderson, 1994; Chung et al. 2017). 해명산 일대에서 조사된 관속식물 중 한반도 특산식물은 14과 17속 15종 1변종 1품종 1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키버들(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서울족도리풀[Asarum mandshuricum (Maxim.) M.Kim & S.So var. seoulense (Nakai) M.Kim & S.SO], 좀땅비싸리(Indigofera koreana Ohwi), 서울제비꽃(Viola seoulensis Nakai), 외대으아리(Clematis brachyura Maxim), 애기닭의장풀(Commelina minor Y.N.Lee & Y.C.Oh) 등으로 나타났으며, 한반도 특산식물(Chung et al., 2017;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398분류군의 약 4.3%가 출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5, Fig. 3). 은사시나무(Populus tomentiglandulosa T.B.Lee)는 보문사 주변 산지(낙가산 사면)에 밀생하고 있고, 참개싱아[Aconogonon microcarpum (Kitag.) H. Hara]는 남한에서는 소요산과 남한산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낙가산 사면에서 출현하였다. 가시복분자딸기(Rubus schizostylus H.Lév.)는 제주와 남해안에서 주로 분포하는 종이나 낙가산 정상방향에서 관찰되었다. 조류나 해류 등으로 확산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키버들(Salix koriyanagi Kimura)과 산철쭉[Rhododendron yedoense Maxim. f. poukhanense (H.Lév.) Sugim. ex T.Yamaz.]은 전득이고개에서 출현하였고, 해명산 정상으로 이르는 등산로 주변에 백운산원추리(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좀땅비싸리(Indigofera koreana Ohwi) 및 애기닭의장풀(Commelina mina Y.N.Lee & Y.J.Oh)이 확인되었다. 개나리[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는 석포리 공동묘지에서 숲의 임연부에서 관찰되었으나 묘지 주변 관상용으로 식재되어 확산한 것으로 판단된다. 석모도자연휴양림에서 상봉산 정상 방향에 위치한 계곡부 주변에 닥나무(Broussonetia x kazinoki M.Kim), 진범(Aconitum pseudolaeve Nakai), 외대으아리(Clematis brachyura Maxim.), 은꿩의다리(Thalictrum actaefolium var. brevistylum Nakai), 서울족도리풀, 서울제비꽃[Asarum heterotropoides var. seoulense (Nakai) Kitag.],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등 다수의 한반도 특산식물이 출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5.

The list of endemic plants in Haemyeong (Mt.) area in Ganghwa-gun, Incheon, Korea

Family name Scientific name Growing location
Salicaceae Populus tomentiglandulosa T.B.Lee ex M.Kim 은사시나무 Bomun temple
Salicaceae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키버들 Jeondeugi-gogae
Moraceae Broussonetia hanjiana M.Kim 닥나무 Sangbong (Mt) slope
Polygonaceae Aconogonon microcarpum (Kitag.) H.Hara 참개싱아 Nakga (Mt) slope
Ranunculaceae Aconitum pseudolaeve Nakai 진범 Sangbong (Mt) slope
Ranunculaceae Clematis brachyura Maxim. 외대으아리 Sangbong (Mt) slope
Ranunculaceae Thalictrum actaeifolium Siebold & Zucc. 은꿩의다리 Sangbong (Mt) slope
Aristolochiaceae Asarum mandshuricum (Maxim.) M.Kim & S.So var.seoulense
(Nakai)M.Kim &S.So 서울족도리풀
Sangbong (Mt) slope
Rosaceae Rubus schizostylus H.Lév. 가시복분자딸기 Nakga (Mt) slope
Fabaceae Indigofera koreana Ohwi 좀땅비싸리 Haemyeong (Mt) slope
Violaceae Viola seoulensis Nakai 서울제비꽃 Sangbong (Mt) slope
Ericaceae Rhododendron yedoense Maxim. f. poukhanense (H.Lév.)
Sugim. ex T.Yamaz. 산철쭉
Jeondeugi-gogae
Oleaceae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개나리 Sekpo-ri public cemetery
Scrophulariaceae Paulownia coreana Uyeki 오동나무 Saegari-gogae
Caprifoliaceae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병꽃나무 Sangbong (Mt) slope
Liliaceae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백운산원추리 Haemyeong (Mt) slope
Commelinaceae Commelina minor Y.N.Lee & Y.C.Oh 애기닭의장풀 Haemyeong (Mt) ridge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2-035-02/N0820350204/images/kjpr_35_02_04_F3.jpg
Fig. 3.

The pictures showing Korea endemic plants in Haemyeong (Mt.) area in Ganghwa-gun, Incheon, Korea.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Rare plants)

해명산 일대에서 발견된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12분류군으로, IUCN 기준 위기종(Endangered: EN) 등급은 솔나리(Iris ruthenica Ker Gawl.) 1분류군, 취약종(Vulnerable: VU) 등급은 멱쇠채[Scorzonera austriaca Willd.] 1분류군, 약관심종(Least Concern: LC) 등급은 고란초[Selliguea hastata (Thunb.) Fraser-Jenk.], 쥐방울덩굴[Aristolochia contorta Bunge], 도깨비부채[Rodgersia podophylla A.Gray], 솜양지꽃[Potentilla discolor Bunge], 두루미천남성[Arisaema heterophyllum Blume] 등 8분류군, 자료부족종(Data Deficient, DD) 등급은 옥녀꽃대[Chloranthus fortunei (A.Gray) Solms]와 벼룩아재비[Mitrasacme indica Wight]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6, Fig. 4).

Table 6.

The list of the rare plants in Haemyeong (Mt.) area in Ganghwa-gun, Incheon, Korea

Degree Family name Scientific name Observation area
EN Iridaceae Iris ruthenica Ker Gawl. 솔붓꽃 Sekpo-ri public cemetery
VU Asteraceae Scorzonera austriaca Willd. 멱쇠채 Sangbong (Mt.) ridge
LC Polypodiaceae Selliguea hastata (Thunb.) Fraser-Jenk. 고란초 valley near seokpo-ri village
LC Aristolochiaceae Aristolochia contorta Bunge 쥐방울덩굴 Sangbong (Mt) slope
LC Saxifragaceae Rodgersia podophylla A.Gray 도깨비부채 valley near seokpo-ri village
LC Rosaceae Potentilla discolor Bunge 솜양지꽃 Nakga (Mt.) ridge
LC Violaceae Viola albida Palib. 태백제비꽃 Sangbong (Mt) slope
LC Violaceae Viola diamantiaca Nakai 금강제비꽃 Sangbong (Mt) slope
LC Poaceae Phacelurus latifolius (Steud.) Ohwi 모새달 Maeeum-ri marina
LC Araceae Arisaema heterophyllum Blume 두루미천남성 Sangbong (Mt) slope
DD Chloranthaceae Chloranthus fortunei (A.Gray) Solms 옥녀꽃대 valley near seokpo-ri village
DD Loganiaceae Mitrasacme indica Wight 벼룩아재비 Sekpo-ri public cemetery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2-035-02/N0820350204/images/kjpr_35_02_04_F4.jpg
Fig. 4.

The pictures showing the rare plants in Haemyeong (Mt.) area in Ganghwa-gun, Incheon, Korea.

희귀식물 중 도깨비부채는 석포리에서 해명산 사면부 계곡 주변에 생육하나 1-2개체만 관찰되어 가까운 미래에 절멸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깨비부채에 대한 보전 대책 수립이 긴급한 실정이다. 솔붓꽃과 벼룩아재비는 석포리 공동묘지 뒤편에서 10개체 정도가 조사되었다. 공동묘지 주변에 입지한 두 분류군은 풀베기작업 등으로 위협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홍보용 간판과 펜스 설치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보전해야 할 것이다. 멱쇠채와 솜양지꽃은 상봉산과 낙가산 능선에서 3-4곳과 1-2곳에서 무리지어 생육하고 있고, 고란초와 옥녀꽃대는 도깨비부채 자생이 주변 암석에서 관찰되었다. 한편 옥녀꽃대는 남부지방에서 주로 출현하는 종으로 분포 패턴에 대한 추가 조사가 요구된다. 쥐방울덩굴은 석모도자연휴양림에서 방향 수로옆 임도에서 생육하고, 상봉산 사면 계곡에서는 태백제비꽃, 금강제비꽃, 두루미천남성 등 특산식물과 함께 해명산 일대의 특기할만한 식물 핫스팟으로 생각된다. 모새달은 매음리항 주변에서 관찰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Floristic target species)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총 1,476분류군 정리되었으며, Ⅴ등급은 258분규군, Ⅳ등급은 440분류군, Ⅲ등급은 371분류군, Ⅱ등급은 207분류군, Ⅰ등급은 200분류군으로 구분되었다(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해명산 일대에서 확인된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44과 70속 70종 9변종 총 79분류군으로 Ⅴ등급은 솔붓꽃 1분류군, Ⅳ등급은 큰쐐기풀[Laportea cuspidata (Wedd.) Friis], 돌갈매나무(Rhamnus parvifolia Bunge), 산외(Schizopepon bryoniifolius Maxim.) 등 5분류군, Ⅲ등급은 바위손[Selaginella tamariscina (P.Beauv.) Spring], 병조희풀[Clematis urticifolia Nakai ex Kitag.], 노랑하늘타리[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var. japonica Kitam.], 선갈퀴[Galium odoratum (L.) Scop.] 등 17분류군, Ⅱ등급은 고란초, 황벽나무, 톱풀[Achillea alpina L.], 바늘사초[Carex onoei Franch. & Sav.] 등 24분류군,Ⅰ등급은 소사나무[Carpinus turczaninowii Hance], 옥녀꽃대, 하늘나리[Lilium concolor Salisb.], 삿갓사초[Carex dispalata Boott] 등 32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7, Fig. 5, Appendix 1).

Table 7.

The list of theⅢ~Ⅴ degree taxa of Korean floristic target species in Haemyeong (Mt.) area

Degree Family name Scientific name / Korean name
Iridaceae Iris ruthenica Ker Gawl. 솔붓꽃
Urticaceae Laportea cuspidata (Wedd.) Friis 큰쐐기풀
Polygonaceae Aconogonon microcarpum (Kitag.) H.Hara 참개싱아
Saxifragaceae Rodgersia podophylla A.Gray 도깨비부채
Rhamnaceae Rhamnus parvifolia Bunge 돌갈매나무
Cucurbitaceae Schizopepon bryoniifolius Maxim. 산외
Selaginellaceae Selaginella tamariscina (P.Beauv.) Spring 바위손
Betulaceae Betula schmidtii Regel 박달나무
Ranunculaceae Clematis brachyura Maxim. 외대으아리
Ranunculaceae Clematis urticifolia Nakai ex Kitag. 병조희풀
Crassulaceae Hylotelephium spectabile (Boreau) H.Ohba 큰꿩의비름
Rosaceae Prunus sargentii Rehder 산벚나무
Rosaceae Rubus schizostylus H.Lév. 가시복분자딸기
Rosaceae Sorbaria sorbifolia (L.) A.Braun var. stellipila Maxim. 쉬땅나무
Aceraceae Acer palmatum Thunb. 단풍나무
Vitaceae Vitis coignetiae Pulliat ex Planch. 머루
Tiliaceae Corchoropsis tomentosa (Thunb.) Makino var. psilocarpa (Harms & Loes. ex Gilg & Loes.)
C.Y.Wu & Y.Tang 까치깨
Violaceae Viola diamantiaca Nakai 금강제비꽃
Cucurbitaceae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var. japonica Kitam. 노랑하늘타리
Rubiaceae Galium odoratum (L.) Scop. 선갈퀴
Asteraceae Scorzonera austriaca Willd. 멱쇠채
Liliaceae Veratrum maackii Regel var. japonicum (Baker) Shimizu 여로
Poaceae Puccinellia coreensis Hack. ex Honda 갯겨이삭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2-035-02/N0820350204/images/kjpr_35_02_04_F5.jpg
Fig. 5.

The pictures showing Korean floristic target species in Haemyeong (Mt.) area.

염생식물(Halophyte)

염생식물은 해안가 식물, 갯가 식물로도 불리며, halo는 염(salt)과 phyte는 식물(plant)을 뜻하는 합성어이다. 염분 농도가 높은 토양에 잘 적응하여, 잎과 줄기가 다육성을 띤 형태적 특성과 체내 염분을 제거하기 위한 염선을 갖는 등의 생리적 기질을 가지고 있는 식물이다(Waisel, 1972; Shim et al., 2017). 염생식물 148분류군의 목록은 Kim (2013)은 94분류군, Lee (2014)는 88분류군, Lee et al. (2019)은 72분류군, Shim et al. (2009)은 62분류군 및 Shim et al. (2017)은 106분류군 등에서 보고된 자료를 기초하여 작성하였다. 그리고 해안가에 주로 출현하는 총 148분류군은 Shim et al. (2017)의 연구 등을 참고하여 해안·사구식물(thinophyte), 염생식물(halophyte), 암반식물(chasmochamophyte), 비염생식물(glycophyte)로 구분하였다.

해명산 일대에서 확인된 염생식물은 모새달[Phacelurus latifolius (Steud.) Ohwi], 갯개미취[Aster tripolium L.], 해홍나물[Suaeda maritima (L.) Dumort.] 및 흰대극[Euphorbia esula L.] 등 15과 31속 34종 3변종 총 37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해안·사구식물은 개질경이[Plantago camtschatica Cham. ex Link], 갯메꽃[Calystegia soldanella (L.) R.Br.] 및 취명아주[Chenopodum glaucum L.] 등 19분류군, 염생식물은 가는갯는쟁이[Atriplex gmelinii C.A.Mey. ex Bong.], 갯개미취 및 해홍나물 등 13분류군, 암반식물은 갯장구채[Silene aprica Turcz. var. oldhamiana (Miq.) C.Y.W]와 대나물[Gypsophila oldhamiana Miq.] 2분류군, 비염생식물은 마디풀[Polygonum aviculare L.], 세모고랭이[Schoenoplectus triqueter (L.) Palla] 및 소리쟁이[Rumex crispus L.]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8, Fig. 6).

Table 8.

The list of halophyte in Haemyeong (Mt.) area

Family name Scientific name / Korean name distinguishment
Pinaceae Pinus thunbergii Parl. 곰솔 Halophyte
Polygonaceae Polygonum aviculare L. 마디풀 Halophyte
Polygonaceae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Thinophyte
Caryophyllaceae Gypsophila oldhamiana Miq. 대나물 Halophyte
Caryophyllaceae Silene aprica Turcz. var. oldhamiana (Miq.) C.Y.Wu 갯장구채 Thinophyte
Chenopodiaceae Atriplex gmelinii C.A.Mey. ex Bong. 가는갯는쟁이 Thinophyte
Chenopodiaceae Chenopodum glaucum L. I 취명아주 Thinophyte
Chenopodiaceae Kochia scoparia (L.) Schrad. var. littorea Makino 갯댑싸리 Thinophyte
Chenopodiaceae Salicornia europaea L. 퉁퉁마디 Thinophyte
Chenopodiaceae Suaeda glauca (Bunge) Bunge 나문재 Chasmochamophyte
Chenopodiaceae Suaeda japonica Makino 칠면초 Thinophyte
Chenopodiaceae Suaeda maritima (L.) Dumort. 해홍나물 Thinophyte
Papaveraceae Corydalis heterocarpa Siebold & Zucc. 염주괴불주머니 Halophyte
Rosaceae Rosa rugosa Thunb. 해당화 Thinophyte
Fabaceae Lathyrus japonicus Willd. 갯완두 Chasmochamophyte
Euphorbiaceae Euphorbia esula L. 흰대극 Thinophyte
Plumbaginaceae Limonium tetragonum (Thunb.) Bullock 갯질경 Glycophyte
Convolvulaceae Calystegia soldanella (L.) R.Br. 갯메꽃 Halophyte
Plantaginaceae Plantago camtschatica Cham. ex Link 개질경이 Thinophyte
Plantaginaceae Plantago lanceolata L. 창질경이 Thinophyte
Plantaginaceae Plantago major L. var. japonica (Franch. & Sav.) Kuntze 왕질경이 Halophyte
Asteraceae Artemisia capillaris Thunb. 사철쑥 Halophyte
Asteraceae Artemisia scoparia Waldst. & Kit. 비쑥 Halophyte
Asteraceae Aster tripolium L. 갯개미취 Halophyte
Asteraceae Conyza bonariensis (L.) Cronquist 실망초 Thinophyte
Asteraceae Sonchus brachyotus DC. 사데풀 Glycophyte
Liliaceae Asparagus oligoclonos Maxim. 방울비짜루 Glycophyte
Liliaceae Asparagus schoberioides Kunth 비짜루 Thinophyte
Poaceae Calamagrostis epigejos (L.) Roth 산조풀 Thinophyte
Poaceae Imperata cylindrica (L.) Raeusch. 띠 Halophyte
Poaceae Phacelurus latifolius (Steud.) Ohwi 모새달 Thinophyte
Poaceae Phragmites australis (Cav.) Trin. ex Steud. 갈대 Thinophyte
Poaceae Phragmites japonicus Steud. 달뿌리풀 Halophyte
Poaceae Puccinellia coreensis Hack. ex Honda 갯겨이삭 Halophyte
Cyperaceae Bolboschoenus maritimus (L.) Palla 매자기 Thinophyte
Cyperaceae Pycreus polystachyos (Rottb.) P.Beauv. 갯방동사니 Halophyte
Cyperaceae Schoenoplectus triqueter (L.) Palla 세모고랭이 Thinophyte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2-035-02/N0820350204/images/kjpr_35_02_04_F6.jpg
Fig. 6.

The pictures showing halophyte in Haemyeong (Mt.) area.

침입외래식물(Invasive alien plants)

석모도 일대의 침입외래식물은 털빕새귀리(Bromus tectorum L.), 서양벌노랑이(Lotus corniculatus L.),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L.) 등 19과 51속 65종 1아종 66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9, Fig. 7). 이는 전체 침입외래식물 375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19a)의 17.6%가 출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석모도 일대의 귀화율은 9.5%, 도시화지수는 10.7%로 조사되었다. Kim et al. (2000)에 따르면 귀화율이 4% 이상일 경우 산림에 교란이 진행하는 것으로 간주되는데, 해명산 일대의 침입외래식물은 주로 석포리 마을, 전득이고개 주차장 주변, 석포리 공동묘지 입구 도로 주변, 매음리 원스캠프 입구, 매음리 항구, 석모도 자연휴양림 도로변, 보문사 주변 등 민가 주변이나 차량 이동 등이 잦은 지역에서 다수의 침입외래식물이 확인되었다. 전득이고개를 지나 해명산 정상과 낙가산 정상을 거쳐 상봉산 능선으로 이어지는 경로는 등산객 방문이 잦음에도 불구하고 침입외래식물 확산이 비교적 진행되지 않았다. 하지만 숲의 임연부에 확산된 침입외래식물에 대한 장기적인 관리방안은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침입외래식물의 중·장기적인 관리방안은 첫째, 각각의 침임외래식물 51개의 속별로 생리, 생태적인 특성, 도입 및 확산 경로 등에 관한 과학적인 지식과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관리가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적인 접근으로 물리적 혹은 화학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특히 전득이고개 주자창, 석포리 공동묘지 입구 도로 등 도로와 인접한 곳은 물리적인 제거가 불가피해 보인다. 셋째는 생태계 보전과 이용 전략 등의 의사 결정 과정에 이해 당사자들의 참여를 유발 시키는 방법이고 넷째는 침입외래식물의 생활사에 맞춘 사전제거이다. 이는 희망하는 지역 주민들에게 교육과 홍보를 수료한 대상자에 한해 지역관리단체를 결성하여 관리를 하는 방법이고 생장 초기에 물리적인 제거가 용이한 돼지풀 등의 식물에 적용하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Jung et al. (2017)Kang et al. (2020)은 외래식물을 사전귀화식물(Archaeophyte; Arc.), 침입외래식물(Invasive Alien Plant, IAP) 등으로 평가하여 개념화하였다. 해명산 일대에서 출현한 외래식물 66분류군 중에서 사전귀화식물은 도꼬마리(Xanthium strumarium L.) 등 4분류군, 잠재적 침입식물에 속한 불확실종은 다닥냉이(Lepidium apetalum Willd.) 등 2분류군, 침입외래식물에 속한 귀화식물이 개망초[Erigeron annuus (L.) Pers.], 붉은서나물[Erechtites hieraciifolius (L.) Raf. ex DC.] 등 60분류군으로 구분되었다(Table 9). 특히 석모도 일대에서 가장 많이 출현한 귀화식물은 침입외래식물 중에서 자연생태계에서 적응하여 지속적으로 개체군을 형성하고, 10년 이상 생육, 번식, 확산을 통해 자생종과 구분이 없이 융화되어 자라는 종이다. 따라서 석모도 일대에 분포하는 특기할만한 식물 등에 대한 보전대책도 수립되어야 한다.

Jung et al. (2017)Kang et al. (2020)은 산림 내에서 침입외래식물의 분포 및 확산을 고려하여 광분포종(Widespread species, WS), 심각한 확산종(Serious Spread species, SS), 확산 위험종(Spread Risk species, SR), 확산 우려종(Spread Concern species, SC), 확산 진행종(Continue Spreading species, CS) 등 5개 등급으로 구분하였다(Table 9). 석모도 일대에서 출현한 광분포종은 소리쟁이(R. crispus L.),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L.) 등 18분류군, 심각한 확산종 콩다닥냉이(Lepidium virginicum L.), 개쑥갓(Senecio vulgaris L.) 등 15분류군, 확산 위험종은 흰명아주(Chenopodium album L.), 자주개자리(Medicago sativa L.) 등 14분류군, 확산 우려종은 유럽나도나물, 만수국아재비(Tagetes minuta L.) 등 12분류군, 확산 진행종은 봄망초(Erigeron philadelphicus L.), 미국질경이(Plantago virginica L.) 등 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10). 특히 석모도 일대에 확산한 광분포종은 18분류군으로 광분포종 231분류군 중에서 7.8%가 확산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석모대교 개통 이후 차량이동 및 관광객이 급격하게 늘어나 국토 전반에 퍼진 광분포종에 대한 관리 대책이 시급하다.

Table 9.

The list of invasive alien plants in Haemyeong (Mt.) area in Ganghwa-gun, Incheon, Korea

Family name Scientific name Type of alien plants Degree of spread
Polygonaceae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털여뀌 IAP (NP) SR
Polygonaceae Rumex acetosella L. 애기수영 IAP (NP) WS
Polygonaceae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IAP (NP) WS
Phytolaccaceae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IAP (NP) WS
Caryophyllaceae Cerastium glomeratum Thuill. 유럽점나도나물 IAP (NP) SC
Caryophyllaceae Silene armeria L. 끈끈이대나물 IAP (NP) SR
Chenopodiaceae Chenopodium album L. 흰명아주 IAP (NP) SR
Chenopodiaceae Chenopodium ficifolium Sm. 좀명아주 IAP (NP) WS
Chenopodiaceae Chenopodium glaucum L. 취명아주 IAP (NP) SS
Amaranthaceae Amaranthus blitum L. subsp. oleraceus (L.) Costea 개비름 Arc. SR
Amaranthaceae Amaranthus hybridus L. 긴털비름 IAP (NP) CS
Amaranthaceae Amaranthus patulus Bertol. 가는털비름 IAP (NP) SR
Amaranthaceae Amaranthus retroflexus L. 털비름 PIP (UN) SS
Amaranthaceae Amaranthus viridis L. 청비름 IAP (NP) CS
Brassicaceae Lepidium apetalum Willd. 다닥냉이 PIP (UN) WS
Brassicaceae Lepidium virginicum L. 콩다닥냉이 IAP (NP) SS
Rosaceae Potentilla supina L. 개소시랑개비 IAP (NP) SS
Fabaceae Amorpha fruticosa L. 족제비싸리 IAP (NP) WS
Fabaceae Lotus corniculatus L. 서양벌노랑이 IAP (NP) CS
Fabaceae Medicago sativa L. 자주개자리 IAP (NP) SR
Fabaceae Melilotus suaveolens Ledeb. 전동싸리 IAP (NP) SR
Fabaceae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IAP (NP) WS
Fabaceae Trifolium pratense L. 붉은토끼풀 IAP (NP) WS
Fabaceae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IAP (NP) WS
Euphorbiaceae Euphorbia maculata L. 애기땅빈대 IAP (NP) SS
Simaroubaceae 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가죽나무 Arc. SR
Malvaceae Abutilon theophrasti Medik. 어저귀 Arc. SR
Malvaceae Hibiscus trionum L. 수박풀 IAP (NP) SC
Violaceae Viola sororia Willd. 종지나물 IAP (NP) CS
Onagraceae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IAP (NP) WS
Onagraceae Oenothera glazioviana Micheli 큰달맞이꽃 IAP (NP) SC
Convolvulaceae Cuscuta pentagona Engelm. 미국실새삼 IAP (NP) SR
Convolvulaceae Ipomoea purpurea (L.) Roth 둥근잎나팔꽃 IAP (NP) SR
Convolvulaceae Quamoclit angulata (Lam.) Bojer 둥근잎유홍초 IAP (NP) SR
Boraginaceae Symphytum officinale L. 컴프리 IAP (NP) SC
Solanaceae Physalis angulata L. 땅꽈리 IAP (NP) SC
Solanaceae Solanum americanum Mill. 미국까마중 IAP (NP) SC
Scrophulariaceae Veronica arvensis L. 선개불알풀 IAP (NP) WS
Plantaginaceae Plantago lanceolata L. 창질경이 IAP (NP) SC
Plantaginaceae Plantago virginica L. 미국질경이 IAP (NP) CS
Asteraceae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IAP (NP) WS
Asteraceae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IAP (NP) WS
Asteraceae Bidens pilosa L. 울산도깨비바늘 IAP (NP) SC
Asteraceae Carduus crispus L. 지느러미엉겅퀴 IAP (NP) SS
Asteraceae Conyza bonariensis (L.) Cronquist 실망초 IAP (NP) SS
Asteraceae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IAP (NP) WS
Asteraceae Coreopsis lanceolata L. 큰금계국 IAP (NP) SR
Asteraceae Erechtites hieraciifolius (L.) Raf. ex DC. 붉은서나물 IAP (NP) WS
Asteraceae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IAP (NP) WS
Asteraceae Erigeron philadelphicus L. 봄망초 IAP (NP) CS
Asteraceae Galinsoga quadriradiata Ruiz & Pav. 털별꽃아재비 IAP (NP) WS
Asteraceae Helianthus tuberosus L. 뚱딴지 IAP (NP) SC
Asteraceae Lactuca serriola L. 가시상추 IAP (NP) CS
Asteraceae Senecio vulgaris L. 개쑥갓 IAP (NP) SS
Asteraceae Sonchus asper (L.) Hill 큰방가지똥 IAP (NP) SS
Asteraceae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IAP (NP) SS
Asteraceae 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L.Nesom 미국쑥부쟁이 IAP (NP) SS
Asteraceae Tagetes minuta L. 만수국아재비 IAP (NP) SC
Asteraceae Taraxacum officinale F.H.Wigg. 서양민들레 IAP (NP) WS
Asteraceae Xanthium strumarium L. 도꼬마리 Arc. SS
Poaceae Bromus catharticus Vahl 큰이삭풀 IAP (NP) SC
Poaceae Bromus tectorum L. 털빕새귀리 IAP (NP) SC
Poaceae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IAP (NP) SS
Poaceae Lolium multiflorum Lam. 쥐보리 IAP (NP) SR
Poaceae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미국개기장 IAP (NP) SS
Poaceae Poa pratensis L. 왕포아풀 IAP (NP) SS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2-035-02/N0820350204/images/kjpr_35_02_04_F7.jpg
Fig. 7.

The pictures showing widespread species (WS) of invasive alien plants in Haemyeong (Mt.) area.

Table 10.

Grade of spread for invasive alien plants in Korea (Jung et al., 2017)

Grade Classification Number of place Taxa Ratio (%)
WS Widespread > 100 231 72.2
SS Serious spread 75~100 38 11.9
SR Spread risk 50~74 18 5.6
SC Spread concern 25~49 15 4.7
CS Continue spreading < 25 18 5.6

석모도의 침입외래식물 현황 비교

Lee and Kim (2003)의 연구에서 확인된 침입외래식물과 본 조사에서 확인된 연구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해명산 일대에서 파악된 침입외래식물은 29분류군에서 66분류군으로 37분류군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해명산 이외에 낙가산과 상봉산까지 이어진 능선을 전방적으로 조사한 결과와 조사 횟수의 증가, 석모대교 개통 및 관광객의 증가 등으로 침입외래식물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귀화율은 4.7%에서 9.5%로 두배 가량 증가하였고, 도시화지수는 5.8%에서 10.7%로 4.9%가 증가하였다(Table 11). 해명산 일대 침입외래식물의 분포는 전체적으로 급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조사된 침입외래식물 중에서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식물이 5분류군 확인되었는데, 본 조사에서 애기수영, 가시상추, 미국쑥부쟁이, 환삼덩굴 4분류군이 새롭게 출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해명산 일대의 민가 주변이나 관광지, 주차장 등과 숲의 임연부에 확산한 침입외래식물에 대해 전방위적으로 확산하기 전에 조기에 물리적인 제거 등의 조치가 빠르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able 11.

The comparison of status of invasive alien plants between 2003 and 2020

Division 2003 2020 Total
The number of Invasive Alien Plants 29 66 Increase
(37 species)
Naturalized Index 4.7% 9.5% Increase
(4.8%)
Urbanized Index 5.8% 10.7% Increase
(4.9%)

석모도 및 주변 산림의 침입외래식물 분포

인천광역시 강화군 석모도 및 주변 지역의 침입외래식물 분포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강화군과 옹진군 등의 14곳의 선행연구 자료를 참고하였다. 침입외래식물의 목록은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21)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석모도 등 총 14곳의 침입외래식물상은 25과 88속 124종 2아종 총 126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Appendix 2). 이는 우리나라 침입외래식물 375분류군 중에서 약 33.6%, 전체 외래식물 619분류군의 약 20.3%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석모도, 강화도, 교동도, 덕적도, 영종도 등 14곳 전체에서 출현한 식물은 개망초, 돼지풀, 망초, 미국쑥부쟁이 등 7분류군, 10곳 이상에서 확산한 식물은 미국가막사리, 붉은서나물, 지느러미엉겅퀴 등 2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출현 빈도가 1-3곳으로 낮은 종은 시리아수수새, 유럽전호, 쇠채아재비 등 48분류군으로 약 40%가 지역적으로 극한되어 분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대상지 및 주변 14곳 126분류군의 침입외래식물 확산 등급별 현황은 광분포종(WS)이 20분류군, 심각한 확산종(SS)이 18분류군, 확산위험종(SR)이 20분류군, 확산우려종(SC)이 28분류군, 확산진행종(CS)이 4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확산이 진행중이거나 확산이 우려되는 종이 68분류군으로 향후 확산에 대한 관리방안이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지역별 침입외래식물 현황은 석모도 해명산 일대는 67분류군, 강화도 마니산 등 9개 산지는 96분류군(Jeon, 1998; Kim, 2012; Kim and Park, 2018; Kim et al., 2015; Kim et al., 2016; Kim et al., 2016; Kim et al., 2018; Park, 2016; Park and Kim, 2017), 교동도는 72분류군(Lee and Kim, 2003), 김포 문수산 71분류군(Kim et al., 2010; Oh et al., 2017; Yun et al., 2021), 영종도 86분류군(Lee et al., 2012) 및 덕적도와 주변 64분류군(Kim et al., 2010; Kim et al., 2015)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대상지인 석모도 지역은 전체 126분류군 중에서 약 절반의 침입외래식물이 확산된 것으로 확인되었고, 향후 추가 유입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이 되기 때문에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Lee et al. (2021)는 국립공원의 생태계교란 식물 관리방안을 주장하였는데, 물리적인 제거에 필요한 예산확보, 대시민 홍보 활성화 및 분기별 시민, 민간단체 등에 홍보참여를 촉진하고, 지역사회의 경제에 기인할 수 있는 자원식물 개발 등 선제적인 대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고 찰

인천광역시 강화군 석모도에 위치한 해명산, 낙가산, 상봉산 등 해명산 일대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은 총 107과 382속 616종 15아종 55변종 8품종 69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한반도 북방계식물은 81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해명산 일대에서 고루 분포하는 북방계식물은 소나무, 산괴불주머니, 양지꽃, 산딸기 등 6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대상지인 3개 산지 중에서 상봉산은 조사면적이 가장 협소하였으나, 관찰된 북방계식물은 24분류군으로 가장 다양하게 나타났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14과 17속 15종 1변종 1품종 1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상봉산에서 닥나무 등 7분류군, 해명산에서 애기닭의장풀 등 6분류군, 낙가산에서 은사시나무 등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1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상봉산과 해명산에서 각각 5분류군, 매음리 선착장과 낙가산 능선에서 각각 1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상봉산과 낙가산 능선에 자생지가 잘 보전되어 있지만, 등산로 주변이기 때문에 남획 등으로 개체수가 급감할 수 있기 때문에 시민감시단 등을 구성하여 홍보해야 할 것이다. 특기할만한 식물은 상봉산에서 가장 다양하게 출현하였는데 석모도자연휴양림부터 상봉산 정상에 이르는 구간에 계곡이 위치하여 수분공급이 원활하게 공급된 이유 등으로 로 판단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Ⅰ~Ⅴ등급 총 79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Ⅴ등급인 솔붓꽃은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있는 종으로 주변 지역에 표지판 등을 설치하여 적극적인 홍보를 통한 보전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Ⅲ급 이상되는 23분류군에 대해 각 분류군별 보전방안 및 관리방안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또한 확인된 염생식물은 총 37분류군이고, 출현한 장소에 따라 구분하면 해안·사구식물이 19분류군, 염생식물 13분류군, 암반식물 2분류군, 비염생식물 3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석모도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가 수행된다면 염생식물의 분류군 수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적 요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석모도에 위치한 해명산 일대의 관속식물상과 해명산 일대 및 주변 산림 지역 14곳의 침입외래식물을 비교하여, 조사된 식물들의 모니터링 체계구축과 생물다양성의 증진 및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는 2019년 4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총 19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해명산 일대의 관속식물상은 총 107과 382속 616종 15아종 55변종 8품종 694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총 4,641분류군의 약 14.95%가 해당된다. 석모도 해명산 일대에서 조사된 한반도북방계식물은 81분류군, 한반도 특산식물은 총 1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중에서 해명산에서는 애기닭의장풀 등 6분류군, 낙가산에서 은사시나무 등 4분류군, 상봉산에서 닥나무 등 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1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Ⅰ~Ⅴ은 총 79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Ⅴ등급은 솔붓꽃 1분류군, Ⅳ등급은 큰쐐기풀, 돌갈매나무 등 5분류군, Ⅲ등급은 노랑하늘타리, 선갈퀴 등 1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염생식물은 총 37분류군으로 해안·사구식물이 19분류군, 암반식물 2분류군, 비염생식물이 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해명산 일대에서 관찰된 침입외래식물은 소리쟁이, 달맞이꽃 등 66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석모도 및 주변지역 14곳에서 출현한 침입외래식물은 126분류군이고, 전체 126분류군 중에서 14곳 전체에서 출현한 식물은 개망초, 돼지풀, 망초, 미국쑥부쟁이 등 7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40%에 육박하는 48분류군이 일부 지역에서만 출현하였으나, 향후 확산이 불가피해 보인다. 따라서 석모도 해명산 일대의 특기할만한 식물 등 자생식물에 대한 중장기적인 보전방안을 마련하고 체계적인 관리 대책을 조속하게 수립해야 할 것이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y have no conflict of interest.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산림청 국립수목원 DMZ 일원(서부권) 미조사지역 식물분포조사 위탁과제에 의하여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Amarsanaa, G., S.Y. Jung, W.B. Cho, E.K. Han, S. So and J.H. Lee. 2020. Definition and species list of northern lineage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Herb. Med. Inf. 8(2):183-204.
2
Anderson, S. 1994. Area and endemism. QRB. 69(4):451-471. 10.1086/418743
3
Chang, C.S, H. Kim, H.T. Shin and C.H. Lee. 2019. A Checklist of North Korean Vascular Plants. Designpost, Goyang, Korea. pp.1-697.
4
Cho, W. 1998.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ning of mountain type urban green space in Inchon, Korea: A case study of Kangwhado area. Korean J. Environ. Ecol. 12(2):119-130.
5
Chung, G.Y., K.S. Chang, J.M. Chung, H.J. Choi, W.K. Paik and J.O. Hyun.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7(3):264-288 (in Korean). 10.11110/kjpt.2017.47.3.264
6
Ganghwa County. 2021. Seokmo-do General Information. (accessed on 25 Nov. 2021). https://www.ganghwa.go.kr/.
7
Incheon Institute. 2017. A Preliminary Study on Analyzing the Regional Economic Impact of the Opening of Seokmo Bridge. IDI, Incheon, Korea. pp. 1-72 (in Korean).
8
Jeon, Y.W. 1998. A Study on The Flora of Mt. Koryo.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pp. 1-38.
9
Jung, S.Y., J.W. Lee, H.T. Shin, S.J. Kim, J.B. An, T.I. Heo, J.M. Chung and Y.C. Cho. 2017.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267 (in Korean).
10
Kang, E.S, S.R. Lee, S.H. Oh, D.K. Kim, S.Y. Jung and D.C. Son. 2020. Comprehensive review about alien plants in Korea. Korean J. Pl. Taxon. 50(2):89-119. 10.11110/kjpt.2020.50.2.89
11
Kim, E.G. 2013. Halophytes of Korea. Econature, Seoul, Korea. pp. 1-368 (in Korean).
12
Kim, E.K., J.H. Kil, Y.K. Joo and Y.S. Jung. 2015. Distribution and botanical characteristics of unrecorded alien weed Spartina anglica in Korea. Weed Turf. Sci. 4(1):65-70. 10.5660/WTS.2015.4.1.65
13
Kim, H.J., S.J. Ji, S.Y. Jung, S.H. Park, S.G. Lee, C.W. Lee and G.S. Jang. 2015. Flora of vascular plants in Deokjeokdo (Ongjin-gun) and its adjacent regions, Korea. Korean J. Plant Res. 28(4):487-510. 10.7732/kjpr.2015.28.4.487
14
Kim, J.H. and S.Y. Park. 2018. Floristic study of Manisan (Ganghwa-gun) in Korea. J. Korean Env. Res. Tech. 21(6):27-53.
15
Kim, J.H. and S.Y. Park. 2020. Floristic study of Mt. Goryeo (Ganghwa-gun) in Korea. Korean J. Environ. Ecol. 34(5):372-395. 10.13047/KJEE.2020.34.5.372
16
Kim, J.H., G.H. Nam, C.Y. Yoon and B.Y. Lee. 2010. The vascular plants in Mt. Munsu (Gyeonggi-do). JESI 19(4):459-481 (in Korean). 10.5322/JES.2010.19.4.459
17
Kim, J.H., J.H. Yun, G.H. Nam, J.H. Lee, B.H. Choi and B.Y. Lee. 2010. A study on vascular plants of uninhabited islands in the Deokjeok Archipelago.J. Environ. Sci. Int. 20(1):1-23. 10.5322/JES.2011.20.1.1
18
Kim, J.H., S.A. Park and C.Y. Yoon. 2016. Floristic study of Jingangsan (Ganghwa-gun), Korea. Korean J. Plant Res. 29(2):189-203. 10.7732/kjpr.2016.29.2.189
19
Kim, J.H., S.A. Park and C.Y. Yoon. 2018. Floristic study of Deokjeongsan Mt. (Ganghwa-gun), Korea. Korean J. Plant Res. 31(2):149-161.
20
Kim, J.H., S.Y. Kim, C.Y. Yoon, S.A. Park and Y.H. Kim. 2015. Floristic study of Mt. Byeollipsan (Ganghwa-gun), Korea. Korean J. Plant Res. 28(4):441-455. 10.7732/kjpr.2015.28.4.441
21
Kim, J.M, Y.J. Yim and E.S. Jeon. 2000. Invasive Alien Plants in Korea. Science Books. Seoul, Korea. pp. 1-284. (in Korean)
22
Kim, N.A. 2012. A Study on Vascular Plants of Mt. Gorye. M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Korea. pp. 1-47 (in Korean).
23
Kim, S.J., H.T. Shin, T.I. Heo, J.W. Yoon, Y.H. Kwon and J.B. An. 2016. The flora of three mountains in Ganghwa island, Korea. Korean J. Plant Res. 29(5):604-619. 10.7732/kjpr.2016.29.5.604
24
Kim, Y.H., O.J. Kwon, S.H. Ban and C.H. Oh. 2021. A study on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Carpinus turczaninowii in islands of Incheon and Gyeonggi-do - case study of Seokmo, Yeongjong, Yeongheung and Daebu island -. Korean J. Environ. Ecol. 35(1):68-80. 10.13047/KJEE.2021.35.1.68
2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1. Open Met Data Portal. (accessed on 25 Nov. 2021). https://data.kma.go.kr/.
26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a. Illustrated Pteridophyt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547 (in Korean).
27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b.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296 (in Korean).
28
Korea National Arboretum. 2011.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600 (in Korean).
29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Illustrated Conifer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254 (in Korean).
30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Illustrated Cyperaceae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 609 (in Korean).
31
Korea National Arboretum. 2019a. Checklist of Alien Plants in Korea. Dooroo Happy Co., Ltd., Seoul, Korea pp. 1-225.
32
Korea National Arboretum. 2019b. Illustrated Juncaceae, Eriocaulaceae, Typhaceae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 255 (in Korean).
33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ve Plants. (accessed on 18 Oct. 2021) http://www.nature.go.kr.
34
Lee, M.S, S.H. Kim and H.I. Jung. 2019. Distribution patterns of halophytes in the coastal area in Korea. J. Korean Soc. Oceanogr. 24(1):139-159.
35
Lee, H.J., S.H. Park, S.G. Ha, H.S. Hwang, K.S. Chang and Y.M. Lee. 2012.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Youngjongdo and Yongyudo. Kor. J. Env. Eco. 26(6):839-867.
36
Lee, J.H. and B.H. Choi. 2008. Distribution of broad-leaved evergreen plants on islands of Incheon, middle part of Yellow Sea. Korean J. Pl. Taxon 38(3):315-332. 10.11110/kjpt.2008.38.3.315
37
Lee, J.S. 2014. Halophytes of Korea. Sunin, Seoul, Korea. pp. 1-235 (in Korean).
38
Lee, J.W., S.H. Lee and S.H. Kang. 2021. A study on the flora and its introduced disturbing plants in Damyang area of Mudeungsan national park, Korea. Korean J. Plant Res. 34(1):103-113.
39
Lee, S.H., I.H. Heo, K.M. Lee and W.T. Kwon. 2005. Classification of local climatic regions in Korea. APJAS. 41(6):983-995.
40
Lee, T.B. 2014a. Coloured Flora of Korea, Vol Ⅰ. Hyangmunsa, Seoul, Korea. pp. 1-916 (in Korean).
41
Lee, T.B. 2014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Ⅱ. Hyangmunsa, Seoul, Korea. pp. 1-912 (in Korean).
42
Lee, T.S. and S.H. Kim. 2003. Study of flora on Ganghwa-do, Gyodong-do and Seokmo-do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JIS. 2:451-488 (In Korean).
43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624 (in Korean).
44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pp. 1-1270 (in Korean).
45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rlin, Germany. pp. 1-666.
4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Cadastral Statistic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ejong, Korea. pp. 1-931 (in Korean).
47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Floristic Target Species (FT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pp. 1-728 (in Korean).
48
Oh, H. K., D.P. Kim and J.H. You. 2017. The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Hannam-Jeongmaek -focused on Mt. Munsu, Mt. Gyeyang, Mt. Suri and Mt. Gwanggyo-. J. Environ. Impact Assess. 26(2):140-159 (in Korean). 10.14249/eia.2017.26.2.140
49
Park, S.A. and J.H. Kim. 2017. Vascular plants diversity of Hyeolgusan Mt. (Ganghwado), Korea. KJNC. 11(1):22-37. 10.11624/KJNC.2017.11.1.022
50
Park, S.O. 2016. The Vascular Plants in Bongchonsan (Mt.), Ganghwado Island. MS thesis, Korean National Open University Seoul, Korea. pp. 1-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1
Shim, H.B, K.M. Lee, W. Kim, G.H. Nam, S.S. Sim and B.Y. Lee. 2017. Coastal plants of Korea. NIBR., Incheon, Korea. pp. 1-304 (in Korean).
52
Shim, H.B., W.B. Cho and B.B. Choi. 2009. Distribution of halophytes in coastal salt marsh and on sand dunes in Korea. Korea J. Pl. Taxon. 39(4):264-276. 10.11110/kjpt.2009.39.4.264
53
Son, H.J., Y.S. Kim, C.H. Ahn and W.G. Park. 2016. Analysis of the flora and vegetation community in forest genetic resources reserves (Mt. Daeseng, Juparyeong), near the DMZ. J. Korean For. Soc. 105(1):19-41 (in Korean). 10.14578/jkfs.2016.105.1.19
54
Waisel, Y. 1972. Biology of Halophytes. Academic Press, MA (USA). pp. 1-395. 10.1016/B978-0-12-730850-0.50006-4
55
Woo, K.B., C.S. Chang, K.S. Chang, J.K. Eo and E.H. Lee. 2007. Flora of Kwanghwa area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Bull. of Seoul Nat’I Univ. Arboretum 26:47-85.
56
Yun, H.G., A.Y. Lee, J.B. An, T.Y. Hwang and J.W. Lee. 2021. A study on the vascular flora and its management plan at the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of Mt. Munsu (Gimpo). Korean J. Plant Res. 34(4):311-338.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