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 August 2023. 299-313
https://doi.org/10.7732/kjpr.2023.36.4.299

ABSTRACT


MAIN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결 과

  •   별꽃속(Stellaria L.) 2분류군의 기재

  •   국내 별꽃속(Stellaria L.)의 검색표

  •   점나도나물속(Cerastium Tourn. ex L.) 1분류군의 기재

  •   국내 점나도나물속(Cerastium L.)의 검색표

  • 고 찰

  • 적 요

서 언

석죽과(Caryophylaceae)는 전 세계적으로 약 86속, 2200종을 포함하고 있는 과로 흔히 카네이션(Dianthus L.), 안개꽃(Gypsophila L.) 등의 원예용으로 쓰이는 식물들이 널리 알려져 있다(Harbaugh et al., 2010; Poursakhi et al., 2013; Poursakhi et al., 2014). 과거에는 전북구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전세계 온대지방에 분포하며(Greenberg and Donoghue, 2011), 주로 건조한 환경에서 생육하지만, 일부 종들은 온대림 혹은 목초지와 같은 습한 환경에서도 자생하고 있다(Greenberg and Donoghue, 2011).

석죽과 분류군들은 서로 간의 형태적 경계가 뚜렷하지 않고, 변이도 다양하기 때문에 이들을 정확히 구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Harbaugh et al., 2010). 그러나 석죽과는 일반적으로 탁엽(stipule), 화판(petal), 악편(sepal), 열매(fruit)의 형태적 특징에 의해 Alsinoideae Burnett [Minuartioideae DC.], Caryophylloideae Arn., Paronychioideae A.St.Hil. ex Fenzl [Illecebroideae Arn.]의 3개 아과로 나뉘며(Harbaugh et al., 2010), 가장 많은 속을 포함하고 있는 Alsinoideae 아과는 악편이 서로 떨어져 있고, 탁엽이 없는 외부형태 특징으로 다른 아과들과 구별된다(Greenberg and Donoghue, 2011; Harbaugh et al., 2010; Miller and West, 2012). Alsinoideae 아과는 다시 Alsineae Lam. & DC. (23속), Geocarpeae E.J. Palmer & Steyerm. (1속), Habrosieae Endl. (1속), Sclerantheae Link ex DC. (2속), Pycnophylleae Mattf.의 총 5개의 족으로 나누어지며(Harbaugh et al., 2010; Poursakhi et al., 2013), 이 중 별꽃속(Stellaria L.)과 점나도나물속(Cerastium Tourn. ex L.)은 Alsineae 족에 속한다(Poursakhi et al., 2014).

별꽃속과 점나도나물속은 서로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근연속이며, 별꽃속의 분류군들은 화판이 2열로 깊게 갈라지고, 주로 3개의 암술을 가지고 있는 반면, 점나도나물속의 분류군들은 화판의 정단부가 요두로 깊게 갈라지지 않고, 주로 4-5개의 암술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Miller and West, 2012). 두 속 모두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나, 특히 유라시아 지역에서 종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Good, 1984; Lepší et al., 2019; Niketić et al., 2009). 국내의 경우 별꽃속은 벼룩나물(Stellaria alsine Grimm), 큰별꽃(S. bungeana Fenzl), 별꽃[S. media (L.) Vill.] 등 총 10분류군이 분포하며, 점나도나물속은 큰점나도나물(Cerastium fischerianum Ser.), 점나도나물[C. holosteoides Fr. subsp. vulgare (Hartm.) I.V.Sokolova], 털점나도나물(C. pauciflorum Stev. ex Ser.) 등 총 9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22a; 2022b).

본 연구는 2019~2022년 사이 3년 동안 전국을 대상으로 한 외래식물 조사과정 중 서울시와 경기도 안성시에서 발견된 별꽃속의 Stellaria pallida (Dumort.) Crép., S. ruderalis M. Lepší, P. Lepší, Z. Kaplan & P. Koutecký와 점나도나물속의 Cerastium pumilum Curtis의 미기록 외래식물 총 3분류군을 보고하고자 하며(Fig. 1), 본 종들에 대한 자생지 정보와 화상자료, 기재 및 검색표를 제공하였다.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3-036-04/N0820360406/images/kjpr_2023_364_299_F1.jpg
Fig. 1.

Distribution sites where unrecorded plants were found. A: Stellaria pallida (Dumort.) Crép.; B: S. ruderalis M. Lepší, P. Lepší, Z. Kaplan & P. Koutecký; C: Cerastium pumilum Curtis.

재료 및 방법

발견된 종들의 정확한 동정과 형태적 기재 및 검색표 작성을 위해 국내·외 기재문과 관련 문헌들을 참고하였다(Greenberg and Donoghue, 2011; Harbaugh et al., 2010; Hong and Choi, 2007; Kim et al., 2018; Lepší et al., 2019; Letz et al., 2012; Miller and West, 2012; Schischkin, 1936; So et al., 2015; Traclet et al., 2017).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채집된 건조표본과 생체 및 화상자료들을 이용하여 각각의 형질들을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관찰된 증거표본은 국립수목원의 산림생물표본관(KH)에 보관되었다. 부위별 형질측정은 디지털 버니어캘리퍼스(Mitutoyo 500-196-30 absolute digimatic Vernier caliper,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분류군의 도판 제작을 위해 디지털카메라(Nikon D810 + Nikon 105㎜ AF Micro-Nikkor, Japan)를 사용하여 화상자료들을 확보하였으며, 종자는 생체 또는 표본으로부터 채집된 종자를 이온증착기(Kic-1A, Coxem, Korea)를 이용하여 3 mA에서 180초간 구리(Cu)로 도포하고, 주사전자현미경(CX-100S, Coxem, Korea)으로 촬영하였다.

결 과

별꽃속(Stellaria L.) 2분류군의 기재

Stellaria pallida (Dumort.) Crép., Man. Fl. Belgique, ed. 2: 19 (1866) (Figs. 2, 3)

Alsine pallida Dumort., Fl. Belg. 109 (1827)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3-036-04/N0820360406/images/kjpr_2023_364_299_F2.jpg
Fig. 2.

Voucher specimen of Stellaria pallida (Dumort.) Crép. (KH).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3-036-04/N0820360406/images/kjpr_2023_364_299_F3.jpg
Fig. 3.

Photographs of Stellaria pallida (Dumort.) Crép. A: Habitat; B: Plants; C: Stem; D: Inflorescence; E: Flower; F-G: Seeds.

국명: 모래별꽃(Mo-rae-byeol-kkot)

생활형 일년생 혹은 이년생 초본이다. 줄기 직립 또는 복와상이며, 기부에서 분지하고, 기부쪽은 녹색, 말단쪽은 짙은 녹색을 띠며, 1열로 된 흰색 털이 있다. 대생하고, 탁엽이 없으며, 아래쪽 잎은 줄기를 감싸는 엽병이 있으나 위쪽 잎은 엽병이 없고, 엽신은 원형 혹은 난형이며, 정단부는 예두, 기부는 설저, 둔저 또는 원저, 엽연은 전연이고, 길이 14.5-20.0 ㎜, 너비 5-10 ㎜이며, 잎 표면에는 털이 없으나, 기부쪽의 주맥과 엽연, 엽병 가장자리에는 털이 있다. 화서 줄기의 말단에서 양쪽으로 분지되는 취산화서로 일렬로 된 흰색 털이 있다. 포엽은 길이 7.5-8.5 ㎜, 너비 3.5-4.0 ㎜, 소포엽은 길이 4.0-4.5 ㎜, 너비 1.5-2 ㎜로 난형 혹은 타원형이며, 정단부는 예두, 기부는 원저, 엽연은 전연이고, 기부쪽의 주맥과 엽연, 엽병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소화경은 가늘고 털이 있으며, 직립하나 결실기에 굽는다. 악편은 5개로 길이 4.0-4.5 ㎜, 너비 1.3-1.7 ㎜이며, 피침형 혹은 난형이고, 정단부는 예두, 기부는 둔저 혹은 원저, 엽연은 전연이며, 주맥이 있고, 배축면에 털이 있으며, 녹색이다. 화판은 대부분 없으나 있을 경우 악편보다 작은 화판이 5개 있으며, 백색이다. 수술은 대부분 3개이고, 간혹 없는 경우도 있으며, 길이 3.0-5.0 ㎜이고, 암술은 구형의 자방에 주두가 3개이며, 주두의 길이는 0.2-0.5 ㎜이다. 열매 삭과는 타원형 혹은 광타원형으로 길이 4.4-5.2 ㎜이다. 종자 원형으로 지름 0.7-0.8 ㎜이고, 노란색이며, 병층벽은 원뿔형으로 표면에 돌기가 있다.

개화 및 결실기: 3-5월

분포: 일본,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유럽, 아프리카, 한국(서울시, 수원시, 군산시, 김제시)

관찰표본: KOREA. Seoul: Mungeong-dong, Apr 12, 2020, J.S. Kim KJS094 (KH); Godeok-dong, Apr 05, 2020, J.S. Kim KJS0399 (KH); Gunsan-si, Osigdo-dong, Apr 17, 2020, S.W. Lee LSW2020076 (KH); Suwon-si, Ingye-dong, Jul 27, 2021, J.S. Kim KJS0883 (KH); Gimje-si, Simpo-ri, Jul 07, 2022, J.S. Kim KJS1262 (KH)

USA. Texas, Travis, Apr 03, 1946, B. H. Warnock 3328720 (NY); Arkansas, Lincoln, Apr 22, 2006, E. Sundell 3328721 (NY); Illinois, Vermilion, May 05 2012, M. H. Nee 3328717 (NY); Ohio, Wyandot, May 06 ,2012, M. H. Nee 3328714 (NY)

Stellaria ruderalis M. Lepší, P. Lepší, Z. Kaplan & P. Koutecký, Preslia 91: 405 (2019) (Figs. 4, 5)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3-036-04/N0820360406/images/kjpr_2023_364_299_F4.jpg
Fig. 4.

Voucher specimen of Stellaria ruderalis M. Lepší, P. Lepší, Z. Kaplan & P. Koutecký (KH).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3-036-04/N0820360406/images/kjpr_2023_364_299_F5.jpg
Fig. 5.

Photographs of Stellaria ruderalis M. Lepší, P. Lepší, Z. Kaplan & P. Koutecký. A: Habitat; B: Plants; C: Stem; D: Inflorescence; E-F: Flowesr; G-H: Seeds.

국명: 들별꽃(Deul-byeol-kkot)

생활형 일년생 초본이다. 줄기 직립 또는 복와상이며, 기부쪽은 녹색, 말단쪽은 짙은 녹색을 띠고, 1열로 된 흰색털이 있다. 대생하며, 탁엽이 없고, 아래쪽 잎은 줄기를 감싸는 엽병이 있으나 위쪽 잎은 엽병이 없고, 엽신은 난형 혹은 타원형이며, 정단부는 예두, 기부는 설저, 둔저 혹은 원저, 엽연은 전연이고, 길이 17.0-25.0 ㎜, 너비 8.0-13.0 ㎜이며, 잎 표면에는 털이 없으나, 엽맥, 엽연에는 털이 있다. 화서 줄기의 말단에 형성되는 기산화서이다. 포엽은 길이 5.4-8.0 ㎜, 너비 5.5-7.0 ㎜, 소포엽은 길이 5.3-8.0 ㎜ 너비 2.7-4.3 ㎜으로 난형 혹은 타원형이며, 정단부는 예두, 기부는 둔저 혹은 원저, 엽연은 전연이고, 엽맥과 엽연에 털이 있다. 소화경은 가늘고 털이 있으며, 직립하나 결실기에 굽는다. 악편은 5개로 길이 4.8-5.0 ㎜, 너비 1.8-2.4 ㎜이며, 피침형 혹은 난형이고, 정단부는 예두, 기부는 둔저, 엽연은 전연이며, 주맥이 있고, 배축면에 털이 있으며, 녹색이다. 화판은 5개이고, 길이 2.7-3.5 ㎜, 너비 1.0-1.4 ㎜의 장타원형 열편으로 2열로 심열하며, 백색이다. 수술은 많으면 10개, 적게는 3-5개인 경우도 있으며, 길이 3.8-4.2 ㎜이고, 암술은 구형의 자방에 주두가 3개이며, 주두의 길이는 0.5-1.0 ㎜이다. 열매 삭과는 타원형 혹은 광타원형으로 길이 5.7-6.5 ㎜이다. 종자 원형으로 지름 1.0-1.5 ㎜이고, 밝은 갈색 혹은 갈색이며, 병층벽은 원뿔형으로 기부쪽 표면에는 돌기가 있으나 말단쪽 표면에는 돌기가 없다.

개화 및 결실기: 3-5월

분포: 유럽, 한국(서울시, 남양주시, 인천시, 완도군, 울릉군, 제주시)

관찰표본: KOREA. Seoul: Munjeong-dong, Neungnae-ri Apr 04, 2020 J.S. Kim KJS0396 (KH); Gangdong-gu, Apr 04, 2020 J.S. Kim KJS400 (KH); Jeju-si, Nohyeong-dong, Jun 06, 2020, J.S. Kim KJS0566 (KH); Namyangju-si, Apr 04, 2021, J.S. Kim KJS0726 (KH); Incheon, Bukseongdong1-ga, May 24, 2021, J.S. Kim KJS0787 (KH); Wando-gun, Wondong-ri, Apr 09, 2022, J.S. Kim KJS1015 (KH); Ulleung-gun, Na-ri, Apr 28, J.S. Kim KJS1047 (KH)

CZECH. southern Bohemia, Veselí nad Lužnicí, May 3, 2017, M. Lepší 85744 (CB)

분류학적 논의:Stellaria pallida, S. ruderalis, 별꽃[S. media (L.) Vill.], 초록별꽃[S. neglecta (Lej.) Weihe]은 별꽃속의 S. media 그룹에 속하는 종들로, 과거 유럽의 남부와 중부에 분포하였으나, 현재는 유라시아와 북아프리카 대륙에도 넓게 분포하고 있다(Lepší et al., 2019). S. media 그룹에 속하는 분류군들은 공통적으로 얇고 매끄러운 줄기에 1열 혹은 2열로 된 털이 있거나 없고, 말단 또는 분지된 모든 화서가 원저 혹은 둔저인 원형 내지 난형의 포를 가지며, 악편보다 긴 화판이 2열로 기부까지 깊게 갈라져 있거나 없으며, 흔적처럼 작게 발달하는 특징을 가진다(Lepší et al., 2019). S. media 그룹의 분류군들 중 S. pallida는 화판이 있거나 없으며, 있을 경우 악편보다 매우 작은 화판을 가지고 있으므로 악편보다 긴 화판을 가진 S. ruderalis, 별꽃과 초록별꽃으로부터 쉽게 구별할 수 있다(Fig. 3E). S. ruderalis는 형태적으로 별꽃과 초록별꽃의 중간형태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S. ruderalis(3-10개)는 수술 개수가 주로 별꽃(3-10개)과 초록별꽃(8-10개)보다 적은 수의 수술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구별할 수 있지만(Lepší et al., 2019)(Figs. 5E, F), 이는 개체들마다 차이가 있고, 중복될 수 있는 특징이기 때문에 수술 개수만으로 정확한 동정은 어려울 수 있다. 이들의 명확한 차이는 종자의 외부형태에서 관찰할 수 있으며(Lepší et al., 2019), 종자의 가장자리에 혹처럼 생긴 병층벽(outer periclinal wall)의 형태와 표면의 돌기(papillae) 유무로 구분할 수 있다. S. ruderalis와 초록별꽃의 병층벽은 끝이 뾰족한 원뿔형(conical)인 반면, 별꽃은 끝이 둥근 원형(round)이고, S. ruderalis는 병층벽의 기부쪽 표면에만 돌기가 있지만, 초록별꽃은 병층벽의 표면 전체적으로 돌기가 있는 차이가 있다(Lepší et al., 2019) (Figs. 5G, H, 6).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3-036-04/N0820360406/images/kjpr_2023_364_299_F6.jpg
Fig. 6.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seeds surface. A-B: Stellaria ruderalis M. Lepší, P. Lepší, Z. Kaplan & P. Koutecký; C-D: S. neglecta (Lej.) Weihe.

국내 별꽃속(Stellaria L.)의 검색표

1. 암술이 5개이다 … 쇠별꽃[Stellaria aquatica (L.) Scop.]

1. 암술이 3개이다.

2. 줄기의 아랫부분에 있는 잎은 무병엽이다.

3. 화판의 열편이 많이 갈라진다 … 왕별꽃(S. radians L.)

3. 화판이 2열한다.

4. 잎이 선형이다 … 실별꽃(S. filicaulis Makino)

4. 잎이 난형, 좁은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다 … 벼룩나물(S. alsine Grimm)

2. 줄기의 아랫부분에 있는 잎은 유병엽이다.

5. 줄기와 화경에 털이 없다 … 일월산별꽃(S. diversiflora Maxim.)

5. 줄기와 화경에 털이 있다.

6. 잎의 길이가 4 ㎝이상이며, 잎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 큰별꽃(S. bungeana Fenzl)

6. 잎의 길이가 4 ㎝이하이며, 잎에 털이 거의 없다.

7. 줄기의 윗부분에 있는 잎도 유병엽이다 … 그늘별꽃(S. sessiliflora Y.Yabe)

7. 줄기의 윗부분에 있는 잎은 무병엽이다.

8. 화판이 없거나 아주 작고, 종자의 지름이 0.8 ㎜ 이하로 작으며, 노란색이다 … 모래별꽃[S. pallida (Dumort.) Crép.]

8. 화판이 5개로 2열로 갈라지고, 종자의 지름이 0.8 ㎜이상이며, 적갈색 혹은 흑갈색이다.

9. 종자의 병층벽이 원형이다 … 별꽃[S. media (L.) Vill.]

9. 종자의 병층벽이 원뿔형이다.

10. 병층벽의 표면 전체적으로 돌기가 있다 … 초록별꽃[S. neglecta (Lej.) Weihe]

10. 병층벽의 기부쪽 표면에만 돌기가 있고, 말단쪽 표면에는 돌기가 없다 … 들별꽃(S.ruderalis M. Lepší, P. Lepší, Z. Kaplan & P. Koutecký)

점나도나물속(Cerastium Tourn. ex L.) 1분류군의 기재

Cerastium pumilum Curtis, Fl. Londin. 4: t. 30, 1794 (Figs. 7, 8)

국명: 애기점나도나물(Ae-gi-jeom-na-do-na-mul)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3-036-04/N0820360406/images/kjpr_2023_364_299_F7.jpg
Fig. 7.

Voucher specimen of Cerastium pumilum Curtis. (KH).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3-036-04/N0820360406/images/kjpr_2023_364_299_F8.jpg
Fig. 8.

Photographs of Cerastium pumilum Curtis. A: Plant, B: Upper stem, C: Lower stem, D: Inflorescence, E: Upper bract F: Lower bract G: Flowers H: Capsules I: Seeds.

생활형 일년생 초본이며, 식물 전체에 털과 선모가 있다. 줄기 직립 또는 복와상이며, 기부에서 분지한다. 대생하며, 엽병과 탁엽이 없고, 아래쪽 잎은 길이 5.2-6.5 ㎜, 너비 2.0-3.0 ㎜로 엽신이 타원형이고, 정단부는 둔두 혹은 예두, 기부는 원저 혹은 둔저, 엽연은 전연이며, 위쪽 잎은 길이 4.2-5.5 ㎜, 너비 2.3-3.0 ㎜이고, 난형, 타원형 혹은 피침형이며, 정단부는 예두, 기부는 둔저, 엽연은 전연이다. 화서 꽃이 3-15개 정도 달리는 취산화서이다. 포엽은 엽병이 없으며, 길이 6.5-7.5 ㎜, 너비 2.3-3.0 ㎜의 좁은 피침형으로 정단부는 예두, 기부는 둔저이고, 가장자리는 막질로 이루어져 있으나 가장 아래에 있는 포엽의 가장자리에는 막질이 없다. 소화경은 길이 2.6-5.5 ㎜로 짧은 편이다. 악편은 5개이며, 길이 2.6-3.2 ㎜, 너비 1.0-1.2 ㎜이고, 좁은 피침형으로 정단부는 예두, 기부는 둔저, 엽연은 전연이고, 선모와 털이 배축면과 가장자리에 있으며, 전체적으로 녹색이나 정단부는 붉은색을 띠기도 하고, 가장자리는 백색의 막질로 이루어져 있다. 화판은 5개로 길이 2.6-3.1 ㎜, 너비 0.6-0.7 ㎜이고, 도피침형으로 정단부가 요두이며, 백색이다. 수술은 5-10개이나, 흔히 8개 정도이며, 암술은 5개이다. 열매 삭과는 원주형이며, 길이 6.2-6.8 ㎜이다. 종자 넓은 도란형으로 납작하며, 지름 0.3-0.4 ㎜이고, 갈색이며, 병층벽은 원뿔형이다.

개화 및 결실기: 3-5월

분포: 북아메리카, 유럽, 아프리카, 한국(안성시)

관찰표본: KOREA. Anseong-si, Okcheon-dong, May 17, 2020, J.S. Kim KJS0524 (KH)

USA. Texas, Tarrant, 08 Apr 1999, R. Kral 3163073 (NY); Wisconsin, Grant, Apr 28, 2012, M. H. Nee, 3163067 (NY); New York, Bronx, May 13, 2012, M. H. Nee 3163070 (NY); Ohio, Shelby, May 05, 2012, M. H. Nee 3163071 (NY); Maryland, Cecil, May 06, 2015, A. W. Cusick 3749896 (NY)

분류학적 논의:Cerastium pumilum은 점나도나물속의 Fugacia (Pax et K. Hoffm.) I. V. Sokolova 아절에 속하는 분류군이다. Fugacia 아절은 원통형의 삭과가 직립 또는 나선상으로 갈라져, 끝에 톱니형 거치를 가진 Orthodon 절 중 일년생이며, 곁가지에서 형성된 꽃들이 임성을 갖는 분류군들이 속한다(Schischkin, 1936). 국내에는 Fugacia 아절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유럽점나도나물(C. glomeratum Thuill.)이 있다(Traclet et al., 2017). C. pumilum과 유럽점나도나물은 일년생이며, 식물체에 털과 선모가 밀생하고 있는 공통점이 있어 형태적으로 서로 매우 유사하나 생활사, 줄기와 악편의 선모, 포엽의 막질 유무, 수술의 개수, 화경과 화판의 길이에서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 두 분류군 모두 일년생이나 C. pumilum은 유럽점나도나물에 비해 좀 더 짧은 생활사를 가지고 있다. C. pumilum은 주로 줄기의 하부와 악편에 선모가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Fig. 8C, G, H), 수술 개수가 5~10개까지 나타나지만, 대부분 8개이므로 수술개수가 10개인 유럽점나도나물보다 적어 구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ig. 8G) (Letz et al., 2012). 하지만, Letz et al. (2012)의 연구에서 유럽지역의 C. pumilum의 표본들을 관찰해본 결과, 줄기 하부에 있는 선모의 특징은 개체들 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줄기의 선모와 수술개수만으로 이 두 분류군을 정확히 동정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선모와 수술의 개수 외에 C. pumilum은 가장 아래에 있는 포엽을 제외하고, 위쪽에 있는 포엽들은 가장자리가 막질이며, 악편보다 긴 소화경과 화판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Fig. 8E, F, G). 이와 달리 유럽점나도나물은 가장자리가 막질인 포엽이 없고, 소화경과 화판이 악편보다 길이가 같거나 짧다(Letz et al., 2012).

국내 점나도나물속(Cerastium L.)의 검색표

1.이년초 또는 다년초이다.

2. 화판이 갈라지지 않는다 … 털점나도나물(Cerastium pauciflorum Stev. ex Ser.)

2. 화판이 2열로 갈라진다.

3. 잎이 선형 혹은 긴 피침형이다 … 백두산점나도나물(C. baischanense Y.C.Chu)

3. 잎이 타원형 혹은 난형이다.

4. 화판과 악편의 길이가 비슷하다 … 점나도나물[C. holosteoides Fr. subsp. vulgare (Hartm.) I.V.Sokolova]

4. 화판이 악편보다 1.5-2.5배 길다.

5. 식물체에 털이 많고 종자의 지름이 1-1.2 ㎜이다 … 큰점나도나물(C. fischerianum Ser.)

5. 식물체에 털이 없고 종자의 지름이 0.7-1 ㎜이다 … 북선점나도나물[C. rubescens Mattf. var. koreanum (Nakai) Miki ]

1. 일년초이다.

6. 포엽의 가장자리에 막질이 없고, 소화경과 화판의 길이가 악편보다 짧으며, 수술 개수가 10개이다 … 유럽점나도나물(C. glomeratum Thuill.)

6. 가장 아래쪽의 포엽을 제외하고, 위쪽에 있는 포엽의 가장자리는 막질이며, 소화경과 화판의 길이가 악편보다 길고, 수술 개수가 5-10개까지 나타나지만, 주로 8개를 가지고 있다 … 애기점나도나물(Cerastium pumilum Curtis)

고 찰

Stellaria pallida는 별꽃과 달리 나지 또는 모래땅과 같이 건조한 환경에서 자라는 생태적 특징이 있으며, 국내 처음 발견 당시에도 모래땅에서 자라고 있었기 때문에 국명을 모래별꽃으로 신칭하였고(Atha et al., 2018; Rabeler and Reznicek, 1997). S. ruderlaisCerastium pumilum의 경우에는 종소명(ruderalis: 황무지에서 자라는; pumilus: 키가 작은)의 뜻을 참고하여 각각 들별꽃, 애기점나도나물로 신칭하였다.

모래별꽃, 들별꽃, 애기점나도나물은 수도권 지역에 있는 공원에서 발견되었으며, 추가로 확인되는 이들의 분포지 또한 공원 및 도로 옆 화단으로 비슷한 환경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종들은 최근에 미기록 외래식물로 보고된 남방향유(Elsholtzia griffithii Hook.f.)처럼 공원을 조성하는 과정 중, 들어온 자재나 운송기구와 함께 혹은 녹화식물이나 재배식물의 종자들과 섞여 비의도적으로 도입된 것으로 추측된다(Hong et al., 2021).

별꽃속의 모래별꽃은 본래 자생지인 유럽에서 벗어나 아시아, 북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등 널리 확산되어 있는 잡초로 별꽃과 유사한 외부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화판이 없거나 흔적적이고, 종자의 병층벽이 원뿔형인 특징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들별꽃은 최근 신종으로 보고된 분류군으로 형태 및 분자학적으로 별꽃[S. media (L.) Vill.]과 초록별꽃[S. neglecta (Lej.) Weihe]의 중간형질을 가지고 있다(Lepší et al., 2019). 식물체 높이, 화서와 잎, 수술개수 등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구분하기 쉽지 않으며, 정확히 동정하기 위해서는 종자의 병층벽의 형태 및 표면의 돌기를 관찰할 필요가 있다(Lepší et al., 2019) (Fig. 6). 들별꽃은 신종으로 처음 발견되었을 당시 도로와 철도, 하천을 따라 확산되고 있었고, 오스트리아, 헝가리, 슬로베니아 등 다양한 나라에서 확인되고 있었으며, Lepší et al. (2019)는 이러한 정황을 볼 때, 남부 유럽 쪽에 이미 널리 확산되어 있는 종으로 추정하였다.

모래별꽃과 들별꽃은 서울에서 처음 발견한 이후, 다른 지역에서도 생육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으며, 모래별꽃은 서울 외 경기도 수원시, 전라북도 군산시, 김제시의 서쪽 외륙 위주로 발견되고 있는 반면, 들별꽃은 경기도, 인천광역시, 경상북도 등 모래별꽃보다 더 다양한 지역의 외륙뿐만 아니라 내륙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들별꽃은 최근에 국내 도입된 것으로 보이는 모래별꽃과 달리 이미 오래전부터 도입되어 있었고, 귀화된 것으로 추정되며, 별꽃 또는 초록별꽃과 유사한 형태를 갖고 있으므로 정확한 구별이 어렵기 때문에 오랫동안 인식하지 못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과거에 채집되었던 별꽃 또는 초록별꽃 표본들을 재동정해보면, 들별꽃 개체들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애기점나도나물은 유럽점나도나물과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할 뿐만 아니라 변이도 다양하며, 과거에는 두 분류군의 명확한 구별법이 알려지지 않아 두 분류군 동정에 어려움이 있었다(Letz et al., 2012). 현재 애기점나도나물은 안성시에서만 확인되고 있지만, 모래별꽃과 들별꽃처럼 다른 지역에도 이미 분포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되며, 과거에 채집되었던 표본들 중에서 유럽점나도나물로 오동정된 경우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립수목원의 산림생물표본관에 소장되어 있는 유럽점나도나물 표본들을 재동정한 결과, 표본 10점에서 포엽의 막질이 관찰되어 애기점나도나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KHB1032586, KHB1188238, KHB1237616, KHB1244454, KHB1372452, KHB1415921, KHB1592514, KHB1592520, KHB1592552, KHB1592562), 이들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경기도 포천시, 경상북도 봉화군에서 채집된 개체였다. 애기점나도나물의 정확한 국내 분포 지역을 알아보기 위해 과거 채집된 표본 재동정과 함께 채집 지역의 모니터링 등의 추가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관찰 및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애기점나도나물의 귀화여부 또한, 다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별꽃속, 점나도나물속의 일부 종들은 오래전부터 전 세계적으로 흔히 볼 수 있는 잡초로 알려져 있다(Batra, 1979; Park et al., 2020; Seefeldt et al., 2001; Walton, 1975; Xia et al., 2018). 국내 모래별꽃, 들별꽃, 애기점나도나물의 세 분류군들은 생육지에서 약 100개체 이상의 군락을 이루고 있었지만, 대부분 공원과 길가, 도로주변 등 교란이 자주 일어나는 곳에 분포함으로 자연생태계로의 침입우려는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일부 별꽃속과 점나도나물속의 다른 분류군들처럼 재배식물의 생장 및 결실 피해와 병해충 유발 등으로 공원 조성과 경작지 관리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Batra, 1979; Kil et al., 2015; Park et al., 2020; Seefeldt et al., 2001), 필요에 따라 이들을 통제 및 대응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 및 대응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적 요

석죽과에 속하는 모래별꽃[Stellaria pallida (Dumort.) Crép.], 들별꽃(S. ruderalis M. Lepší, P. Lepší, Z. Kaplan & P. Koutecký)과 애기점나도나물(Cerastium pumilum Curtis)이 서울과 경기도에서 발견되었다. 모래별꽃은 화판이 악편보다 훨씬 작거나 없는 특징으로 동속 분류군들과 쉽게 구분이 되는 반면, 들별꽃은 별꽃(S. media)과 초록별꽃[S. neglecta (Lej.) Weihe]의 중간형질을 보이는 분류군으로 종식별의 어려움이 있으나 종자의 형태로 뚜렷이 구분된다. 들별꽃의 종자는 별꽃, 초록별꽃과 달리 가장자리에 있는 병층벽이 원뿔형이고, 병층벽의 기부쪽 표면에만 돌기가 있다. 애기점나도나물은 같은 아속(Sub gen. Fugacia)에 속하는 유럽점나도나물(C. glomeratum Thuill.)과 매우 유사하지만, 수술은 주로 8개(5-10개)이고, 위쪽의 포엽은 가장자리가 막질이며, 악편은 소화경과 화판보다 짧은 특징이 있어 구별된다. 본 연구에서는 모래별꽃, 들별꽃, 애기점나도나물의 보고와 함께 이들의 자생지, 형태학적 기재, 분포도, 화상자료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Acknowledgements

본 논문은 국립수목원 “산림침입외래식물의 종분포 및 분류학적 연구, KNA-1-2-39, 21-2”과제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습니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y have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Atha, D., P. Wijesinghe and V. Lazzeri. 2018. First report of Stellaria pallida (Caryophyllaceae) for New York State. Phytoneuron 64:1-8.
2
Batra, S.W.T. 1979. Insects associated with weeds in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III. Chickweed, Stellaria media, and stitchwort, S. graminea (Caryophyllaceae). J. New Tourk Entomol. Soc. 87(3):223-235.
3
Good, D.A. 1984. A revision of the Mexican and Central American species of Cerastium (Caryophyllaceae). Rhodora 86(847):339-379.
4
Greenberg, A.K. and M.J. Donoghue. 2011. Molecular systematics and character evolution in Caryophyllaceae. Taxon 60(6):1637-1652. 10.1002/tax.606009
5
Harbaugh, D.T., M. Nepokroeff, R.K. Rabeler, J. McNeill, E.A. Zimmer and W.L. Wagner. 2010. A new lineage-based tribal classification of the family Caryophyllaceae. Int. J. Plant Sci. 171(2):185-198. 10.1086/648993
6
Hong, J.K., J.H. Kim, Y.R. Kim and J.S. Kim. 2021. Two unrecorded alien plants of Korean Peninsula: Pilea microphylla (L.) Liem. (Urticaceae) and Elsholtzia griffithii Hook. f. (Lamiaceae). Korean J. Plant Res. 34(1):89-97 (in Korean).
7
Hong, S.P. and K. Choi. 2007. Caryophyllaceae. In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ed.), The Genera of Vascular Flora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408-440.
8
Kil, E.J., H.S. Byun, S. Kim, S. Cho, S., K. Roh, K.H. Lee, H.S. Choi, C.S. Kim and S. Lee. 2015.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can overwinter in Stellaria aquatica, a winter-hardy TYLCV-reservoir weed. Plant Dis. 99(5):588-592. 10.1094/PDIS-04-14-0352-RE30699686
9
Kim, J.S., J.H. Kim and J.H. Kim. 2018. Herbaceous Plants of Korean Peninsula I - Plants living in Seasides, Rivers, Wetlands and Cities. Dolbegae, Paju, Korea. p. 657 (in Korean).
10
Korea National Arboretum. 2022a.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Alien Plants). Retrieved from http://www.nature.go.kr/kpni/index.do. on Feb. 2, 2023.
11
Korea National Arboretum. 2022b.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ve Plants). Retrieved from http://www.nature.go.kr/kpni/index.do. on Feb. 2, 2023.
12
Lepší, M., P. Lepší, P. Koutecký, M. Lučanová, E. Koutecká and Z. Kaplan. 2019. Stellaria ruderalis, a new species in the Stellaria media group from central Europe. Preslia 91(4):391-420. 10.23855/preslia.2019.391
13
Letz, D.R., M. Dančák, J. Danihelka and P. Šarhanová. 2012. Taxonomy and distribution of Cerastium pumilum and C. glutinosum in Central Europe. Preslia 84(1):33-69.
14
Miller, C.H. and J.G. West. 2012. A revision of the genus Stellaria (Caryophyllaceae) in Australia. J. Adelaide Bot. Gard. 25:27-54.
15
Niketić, M., R. Perić and S. Škondrić. 2009. Cerastium subtetrandrum (Caryophyllaceae), a new species to the flora of Serbia. B. Nat. Hist. Mus. 2:83-94.
16
Park, C.W., A. Adhikari, E.J. Park, S.M. Kang and I.J. Lee. 2020. Investigation of sticky mouse-ear chickweed (Cerastium glomeratum)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herbicides screening for its management in Korea. Weed Turf. Sci. 9(4):345-356.
17
Poursakhi, K., M. Assadi, F. Assadi, T. Nejadsattari and I. Mehregan. 2013. A new subspecies of the genus Cerastium L. (Caryophyllaceae) from Iran. Iran. Journ. Bot. 19(1):47-53. 10.11646/phytotaxa.144.1.3
18
Poursakhi, K., M. Assadi, F. Ghahremaninejad, T. Nejadsattari and I. Mehregan. 2014. A new record of Cerastium (Caryophyllaceae) from Iran with emphasis on tis micr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J. Sci. Kharazmi University 14(3):239-248.
19
Rabeler, R.K. and A.A. Reznicek. 1997. Cerastium pumilum and Stellaria pallida (Caryophyllaceae) new to Texas. Sida 17(4):843-845.
20
Seefeldt, S., E. Peters, M.L. Armstrong and A. Rahman. 2001. Crossresistance in chlorsulfuronresistant chickweed (Stellaria media). N. Z. Plant Prot. 54:157-161. 10.30843/nzpp.2001.54.3714
21
Schischkin, B.K. 1936. Caryophyllaceae. In Komarov, V.L. (ed.), Flora of U.S.S.R., Vol. 6. Akademii Nauk SSSR, Moskva and Leningrad, Russia. pp. 296-659.
22
So, J.H., D.H. Kim, A.S. Koo, M.J. Kim and N.S. Lee. 2015. First report of Stellaria sessiliflora Y. Yabe (Caryophyllaceae) from Korea. Korean J. Pl. Taxon. 45(2):178-182. 10.11110/kjpt.2015.45.2.178
23
Traclet, S., M. Pires and G. Domina. 2017. Lectotypifications of Cerastium siculum, C. densiflorum, and C. aggregatum, and taxonomic notes on C. siculum (Caryophyllaceae). Turk. J. Bot. 41(4):416-422. 10.3906/bot-1610-13
24
Walton, D.W.H. 1975. European weeds and other alien species in the Subantarctic. Weed Res. 15(4):271-282. 10.1111/j.1365-3180.1975.tb01135.x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