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 April 2025. 247-273
https://doi.org/10.7732/kjpr.2025.38.2.247

ABSTRACT


MAIN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관속식물의 종조성

  •   멸종위기식물

  •   희귀식물

  •   한반도 고유식물

  •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   외래식물 및 생태계교란식물

  •   유용식물

  •   기후변화 취약식물 및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   선행연구와의 비교

  •   고하도 관속식물상의 의미와 보전방안

  • 적 요

서 언

고하도는 행정구역상 전라남도 목포시에 속하는 섬으로 지리적으로 북위 34° 45' 30.38" ∼ 34° 47' 6.22", 동경 126° 21' 0.58" ∼ 126° 22' 32.53"에 위치한다. 섬의 총 면적은 2.99 ㎢, 해안선 길이는 15.2 ㎞이며, 목포시와 약 2 ㎞ 떨어져 있다. 대상지역의 서쪽으로는 달리도, 장좌도, 외달도와 마주하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장구도 및 허사도와 인접해 있었으나 현재는 매립되어 하나의 섬으로 구성되었다. 2012년 목포대교 개통으로 목포시 북항과 고하도가 연결되어 동일한 생활권을 형성하게 되었다. 고하도는 섬 전체가 낮은 산지로 이루어져 있고, 목포시를 마주보는 북동쪽 사면은 비교적 경사가 가파른 반면, 남서쪽 사면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면서 해안과 연결된다. 섬의 남쪽과 서쪽은 평지 및 완경사지가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서쪽 만입부 주변에는 간석지가 넓게 발달하여 제방을 막아 농경지와 염전으로 이용된다. 고하도의 지질은 대부분 산성화산암류로 이루어졌으며, 북부 지역은 응회암, 각력질응회암으로 구성되고 남부지역인 고하도 선착장 부근에는 역암과 이를 관입한 반암류가 분포한다. 또한 유상구조가 발달한 유문암, 그리고 송지암이 존재한다(Kim et al., 2014).

조사대상지가 속하는 목포시의 최근 10년간(2014∼2023) 연평균 기온은 14.1℃, 연평균 최고기온과 최저기온은 각각 18.4℃와 10.7℃, 연평균 강수량은 1,210.2 ㎜이다. 풍속은 5년 평균 3.5 (m/s)로 비교적 높은 편이며,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온대성 해양 기후를 나타낸다. 특히 여름철에는 고온다습한 남서풍에 의해 해무가 발생한다(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4).

고하도에는 동남쪽에 위치한 1974년 지정된 이충무공유적(지방기념물 10호)과 이충무공 기념비(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9호)가 있으며, 목포 북항에서 유달산 정상부와 고하도를 연결하는 목포해상케이블카가 운행되어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고 있다. 식물구계 구분으로 중일구계 한일난대구에 속하고, 한반도 8개의 식물구계 중 남해안아구에 해당하며(Lee and Yim, 2002), 한반도 기후를 바탕으로 구분한 산림식물대 중 난대에 위치한다(Lim and Lee, 1999). 고하도의 식물상 조사에 관한 선행 연구로 Oh and Kim (1995)이 95과 257속 291종 52변종 3품종으로 총 346분류군을 보고한 바 있으며, 이후 Park (2004)은 서·남해안 도서지역의 식물상에서 37과 66속 66종 8변종 1품종으로 총 75분류군을 보고하였다.

목포시는 최근 고하도의 해상데크 확장과 해안동굴 탐방로 조성 등의 개발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Mokpo City, 2024), 생육 환경의 공간적 범위가 제한적인 섬 지역의 식물들은 이러한 개발로 인해 자생지 내 환경 변화에 취약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앞으로 관광객 유입이 증가함에 따라 외래식물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 고하도 식물 분포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에서 진행하는 도서 지역 생물상(식물 분야) 조사 및 표본확보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고하도의 법정 지정종,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희귀식물 및 고유식물 등 주요 식물 분포와 유용성 분석 등을 통해 고하도의 주요 식물자원을 종합적으로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고하도 자생식물의 보전방안을 모색하고, 잠재적 활용 가치를 도출하여 자연자원의 효율적 관리와 지속 가능한 이용 방안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재료 및 방법

조사지역은 고하도 전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1년 8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총 17회에 걸쳐 조사를 수행하였다(Fig. 1, Table 1). 조사지역에서 관찰한 모든 식물을 촬영(Canon EOS 5D Mark Ⅳ, Japan)하였으며, 카메라에 내장된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각 식물에 대한 이미지와 정확한 좌표를 획득하였다. 아울러, 동정의 정확성을 위하여 꽃, 열매, 포자 등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를 채집하여 증거표본을 제작하였으며, 증거표본은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표본관(HIBR)에 보관하였다. 분류군의 동정은 Lee (1996), Lee (2003), Lee (2006), Kim and Kim (2021), Kim et al. (2018) 등의 도감을 이용하였으며, 일부 양치식물은 Korean Fern Society (2005), Park et al. (2008), Lee and Lee (2015), 벼과와 사초과는 Park et al. (2011), Cho et al. (2016)의 문헌을 참고하였다. 학명의 채택과 분류군의 배열은 국가생물종목록집(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3)을 반영하였으며, 일부 누락된 식물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21b)을 참조하였다. 아울러, 멸종위기야생식물(Ministry of Environment, 2023), 국가 적색목록(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1), 희귀식물목록(Korean National Arboretum, 2021b), 한반도 고유식물(Chung et al., 2023),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외래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21a) 및 생태계교란야생식물(환경부고시 제 2023-228호), 유용자원식물(Korea Forest Service, 2014) 및 민속식물(Chung et al., 2013), 기후변화 취약식물(Oh et al., 2010; Oh et al., 2013) 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상과의 비교를 위해 Oh and Kim (1995), Park (2004)의 목록과 비교하였으며, 새로이 분포가 확인된 분류군은 관속식물 목록의 국명앞에 별표(★)로 표시하였다.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5-038-02/N0820380208/images/kjpr_2025_382_247_F1.jpg
Fig. 1.

Investigated area and routes of Gohado Island.

Table 1.

Investigation dates and routes of Gohado Island.

No. Date Investigation routes
1 August 30, 2021 ∙ Gohado Dock → Bus Stop → Moemakgae → Keundeokgol Reservoir
2 September 10, 2021 ∙ Bamboo grove three way intersection → Jjanggole Reservoir → Cable-car Parking Lot
  → Gohado Observatory → Malbu Rock
3 September 16, 2021 ∙ Keundeokgol Reservoir → Jjanggol Reservoir → Cable-car Platform
4 October 01, 2021 ∙ Keundeokgol Reservoir → Gohado Observatory → Yongmeori → Rehabilitaion Center
  (New)
5 October 14-15, 2021 ∙ Cable-car Parking Lot → Keundeokgol Reservoir → Malbau Rock → Hiking Trail
  Enterance
6 October 20-21, 2021 ∙ Cable-car Parking Lot → Keundeokgol Reservoir → Meomakgae → Hiking Trail Entrance
∙ HNIBR → Gohado Entrance → Gohado Recreation Area → Eunhye Church
7 October 25-27, 2021 ∙ HNIBR → Cable-car Parking Lot
∙ Hiking Trail Entrance → Relics of Yi Chungmugong → Gohado Recreation Area
8 March 10, 2022 ∙ Keundoekgol Reservoir → Yongmeori → Rehabilitaion Center (New)
∙ Eunhye Church → Relics of Yi Chungmugong
9 April 28, 2022 ∙ HNIBR → Cable-car Parking Lot → Keundoekgol Reservoir → HNIBR
∙ Hiking Trail Entrance → Malbau Rock
∙ Gohado Entrance
10 May 03, 2022 ∙ Bus Stop → Malbu Rock → Gohado Observatory → Rehabilitaion Center (New)
11 June 08, 2022 ∙ Cable-car Parking Lot → Keundeokgol Reservoir → Walking Trail Entrance → Bus Stop
∙ Gohado Enterance
12 July 07, 2022 ∙ Hiking Trail Entrance → Keunsan → Walking Trail Entrance → Gohado Recreation Area
13 August 11, 2022 ∙ HNIBR → Cable-car Parking Lot → Keundeokgol Reservoir → Meomakgae →
  Gohado Observatory
14 October 20, 2022 ∙ HNIBR → Cable-car Parking Lot → Rehabilitation Center (New) → Rehabilitation Center (Old)
∙ Hiking Trail Entrance →
15 September 12, 2023 ∙ Rehabilitation Center (New) → Keundeokgol Reservoir → Moemakgae →
  Hiking Trail Entrance → Bus Stop
16 September 26, 2023 ∙ Cable-car Parking Lot → Keundeokgol Reservoir → Moemakgae → Gohado
  Observatory → Rehabilitation Center (Old) → Rehabilitation Center (New)
17 October 04, 2023 ∙ Hiking Trail Enterance → Keundeokgol Reservoir → Cable-car Parking Lot →
  Rehabilitation Center (New)

결과 및 고찰

관속식물의 종조성

이번 연구에서 확인된 고하도의 관속식물은 105과 294속 395종 7아종 27변종 2품종의 총 43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양치식물은 14분류군(3.2%), 나자식물은 5분류군(1.2%)이었으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은 313분류군(72.6%), 단자엽식물은 99분류군(23.0%)으로 확인되었다(Fig. 2A, Table 2). 이는 한반도 관속식물 4,609분류군(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3)의 9.4%에 해당되며, 한반도 섬 지역에 생육하는 관속식물 2,873분류군(Honam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1)의 15.0%에 해당한다. 과별 종 구성에 의한 다양성을 살펴보면 벼과가 54분류군(12.5%)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국화과 52분류군(12.1%), 콩과 36분류군(8.4%), 장미과 18분류군(4.2%), 사초과 16분류군(3.7%), 꿀풀과 12분류군(2.8%), 마디풀과 및 명아주과는 각각 10분류군(2.3%) 순으로 확인되었다(Fig. 2B). 조사된 목록 중 재배 또는 식재종으로 판단되는 식물은 개나리, 모감주나무, 무화과나무, 박하, 비파나무, 석산, 은사시나무, 탱자나무 등 35분류군으로, 이는 전체 분류군의 8.1%를 차지하였으며, 자생종과 구분하기 위해 관속식물목록(Appendix 1)의 국명 뒤에 별표(*)로 표시하였다.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5-038-02/N0820380208/images/kjpr_2025_382_247_F2.jpg
Fig. 2.

The constitution rate of each plant group (A) and the constitution number of Family (B) in Gohado Island.

Table 2.

Summary of the floristics of Gohado Island.

Taxa Family Genera Species Subspecies Variety Form Total Ratio (%)
Pteridophyta 10 11 13 - 1 - 14 3.2
Gymnospermae 2 3 5 - - - 5 1.2
Angiospermae 93 280 377 7 26 2 412 95.6
  Dicotyledons 79 212 286 5 20 2 313 72.6
  Monocotyledons 14 68 91 2 6 - 99 23.0
Total 105 294 395 7 27 2 431 100.0

멸종위기식물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Ministry of Environment, 2023)에 해당하는 식물로는 삼백초[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석곡[Dendrobium moniliforme (L.) Sw.], 지네발란[Cleisostoma scolopendrifolium (Makino) Garay]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3). 삼백초(Fig. 3A)는 고하도 공생재활원 도로 주변에서 9개체가 군락을 이루며 분포하고 있었다. 삼백초는 관상용과 약용으로 많이 재배되며, 국내에서는 주로 제주도의 저지대 습지에서 드물게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조사지에서는 감화원 입구 초입에 조성된 동백나무 아래에 식재된 상태로 생육하고 있었다. 석곡(Fig. 3B)은 고하도 해안가에 위치한 해안 데크 주변, 해발고도 14-20 m 사이에 형성된 해안절벽 지대에 분포하였으며, 소수 개체가 한 지점에 집중되어 생육하는 만큼 절멸의 위험에 직면하고 있다. 분포지는 관광객의 방문 빈도수가 높은 해안 데크 주변에 위치하지만, 지형적으로 접근이 어려워 직접적인 위협요인은 없을 것으로 추정되나, 자생지 내 보존을 위한 별도의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지네발란(Fig. 3C)은 용오름 둘레길, 해발고도 35 m의 암반지역에 극소 개체가 소규모 군락을 이루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네발란은 제주도를 비롯한 남부 해안 섬지역에 드물게 분포하며 고하도와 인접한 자생지는 목포시 유달산과 진도의 금골산과 접도의 남망산으로 알려져 있다(Son et al., 2017; Han et al., 2018). 본 조사에서는 개화 및 결실된 개체가 전혀 관찰되지 않아, 자연적인 군락 확대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으로 현재 군락의 쇠퇴를 대비하여 자생지의 현지 내·외 보전을 위해 증식법 개발 등을 통한 보존 대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분포지가 주 등산로와 인접하고 관상 가치와 희귀성이 높아 남획의 위험성이 존재하므로 별도의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3.

List of the endangered plants of Gohado Island.

No Family name Taxa Korean name Degree
1 Saururaceae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삼백초z
2 Orchidaceae Dendrobium moniliforme (L.) Sw. 석곡
3 Orchidaceae Cleisostoma scolopendrifolium (Makino) Garay 지네발란

zPlanted or cultivated plant.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5-038-02/N0820380208/images/kjpr_2025_382_247_F3.jpg
Fig. 3.

Some remarkable taxa in Gohado Island. A.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B. Dendrobium moniliforme (L.) Sw. C. Cleisostoma scolopendrifolium (Makino) Garay D. Albizia kalkora Prain E. Mosla chinensis Maxim. F. Bletilla striata (Thunb.) Rchb. f. G. Weigela subsessilis (Nakai) L. H. Bailey H. Indigofera koreana Ohwi I. Clematis brachyura Maxim.

희귀식물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1)에서 지정한 멸종위기 적색목록 식물에 근거하여 총 12분류군이 조사되었다(Table 4, Appendix 1). 위기종(EN)으로는 삼백초 1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취약종(VU)은 석곡, 왕자귀나무(Albizia kalkora Prain), 지네발란 총 3분류군, 준위협종(NT)은 소엽풀[Limnophila aromatica (Lam.) Merr.] 1분류군, 관심대상종(LC)은 가는잎산들깨(Mosla chinensis Maxim.), 보춘화[Cymbidium goeringii (Rchb. f.) Rchb. f.], 솜양지꽃(Potentilla discolor Bunge), 자란[Bletilla striata (Thunb.) Rchb. f.)], 측백나무[Bletilla striata (Thunb.) Rchb. f.] 등 총 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편, 산림청 지정 적색목록 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21c)은 총 323분류군이 확인되었다(Appendix 1). 이 중 위기종(EN)은 삼백초와 석곡 2분류군, 취약종(VU)으로는 왕자귀나무, 지네발란, 측백나무 등 총 3분류군, 준위협종(NT)은 자란 1분류군, 약관심종(LC)과 자료부족종(DD)은 각각 315분류군과 3분류군이 포함된다. 왕자귀나무(Fig. 3D)는 우리나라 목포와 신안군 지역을 포함한 전남지역에 생육하며, 서남해 일부 지역에 한정적으로 분포한다. 자귀나무와 비교했을 때, 꽃이 백색이고, 잎이 크며, 수술이 많은 특징을 가진다. 본 조사에서는 목화체험장 주변에서 20여 개체 등 갓 발아된 유식물체 다수가 발견되었으며, 초입 부분에 2개체, 주 등산로 주변으로는 산재하여 분포하였다. 비록 자생지 내 개체 수는 많지 않지만 개화 및 결실 상태는 양호하였다. 본 종은 좁은 분포역과 평균 수명이 약 40-50년으로 짧은 특징이 있어 후계목 양성이 중요하며(Hwang, 2021), 주로 산기슭과 마을 도로변에 자라기 때문에 개발로 인한 자생지 파괴에 취약한 만큼 자생지 보호를 위한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가는잎산들깨(Fig. 3E)는 서해 북부, 서해 남부지역 및 중부이남 지역에 분포하며, 이번 조사에서는 케이블카 주차장 초입부 샛길에서 30여 개체가 산재하여 분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종은 잎이 선형-선상피침형, 젖혀지는 굽은털, 종자의 짧은 제의 길이와 얕은 홈을 가지는 특징으로, 남해안 해안 산지에 생육하는 한반도 고유식물인 다도해산들깨와 비교된다(Jang et al., 2022). 자란(Fig. 3F)은 주로 남서해안의 해발고도 4-40 m 낮은 사면에 분포하며(So and Song, 2012), 난과 식물로 개화 시 관상가치가 높아 남획 위험이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케이블카 승강장에서 뫼막개 구간의 능선부를 따라 70-80여 개체가 산재하여 분포하였으며, 방문객이 빈번한 등산로를 따라 생육하는 만큼 접근이 용이하고, 남채 등 인위적 교란의 위협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적절한 현지 내·외 보전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4.

The red list plants by Ministry of Environment in Gohado Island.

No Family name Taxa Korean name Degree
1 Saururaceae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삼백초y ENz
2 Fabaceae Albizia kalkora Prain 왕자귀나무 VU
3 Orchidaceae Cleisostoma scolopendrifolium (Makino) Garay 지네발란
4 Orchidaceae Dendrobium moniliforme (L.) Sw. 석곡
5 Scrophulariaceae Limnophila aromatica (Lam.) Merr. 소엽풀 NT
6 Cucurbitaceae Melothria japonica (Thunb.)Maxim. ex Cogn. 새박 LC
7 Cupressaceae 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측백나무y
8 Lamiaceae Mosla chinensis Maxim. 가는잎산들깨
9 Orchidaceae Bletilla striata (Thunb.) Rchb. f. 자란
10 Orchidaceae Cymbidium goeringii (Rchb. f.) Rchb. f. 보춘화
11 Poaceae Phacelurus latifolius (Steud.) Ohwi 모새달
12 Rosaceae Potentilla discolor Bunge 솜양지꽃

zEN: endangerd, VU: vulnerable, NT: near threatened, LC: least concern.

yPlanted or cultivated plant.

한반도 고유식물

한반도 고유식물(Chung et al., 2023)은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Nakai) L. H. Bailey], 외대으아리(Clematis brachyura Maxim.), 좀땅비싸리(Indigofera koreana Ohwi) 등 5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이 중 개나리와 은사시나무는 식재종으로 확인되었다(Table 5). 병꽃나무(Fig. 3G)는 한반도 전역의 산지에 분포하며, 근연분류군인 붉은병꽃나무에 비해 꽃이 황록색으로 피고 꽃받침이 기부까지 깊게 갈라진다. 본 조사에서는 죽전리 등산로 주차장-말바우 구간 해발고도 90 m 이하 사면에서 10개체를 확인하였으며, 생육상태는 양호하였다. 좀땅비싸리(Fig. 3H)는 전남 목포에서 처음 발견되어 신종으로 기재된 식물로, 이면이 무모이고 염색체수가 4배체인 특징을 가지며, 소엽 양면에 누운털이 있고 염색체수가 2배체인 땅비싸리(Indigofera kirilowii Maxim. ex Palib.)와 구분된다(Ohwi, 1936; Cho et al., 1997). 본 조사에서는 둘레숲길 입구-말바우 구간 능선부를 따라 다수의 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외대으아리(Fig. 3I)는 뫼막개-숲길삼거리 구간에서 소수의 개체가 산재하여 분포하였다. 꽃받침 가장자리의 털이 없고 수과의 넓은 날개와 숙존하는 짧은 암술대를 가져 근연분류군인 대구으아리, 참으아리, 으아리와 구분된다. 본 조사지역에 생육상태는 양호했으나 개체수가 적고 주 등산로에 분포하고 있어 향후 개체 수 감소가 우려되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보전 및 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5.

List of endemic plants of Gohado Island.

No Family name Taxa Korean name
1 Diervillaceae Weigela subsessilis (Nakai) L. H. Bailey 병꽃나무
2 Fabaceae Indigofera koreana Ohwi 좀땅비싸리
3 Oleaceae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개나리z
4 Salicaceae Populus × tomentiglandulosa T. B. Lee 은사시나무z
5 Ranunculaceae Clematis brachyura Maxim. 외대으아리

zPlanted or cultivated plant.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8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6, Appendix 1). 이는 고하도에서 확인된 전체 431분류군의 18.8%에 해당하며, 전체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1,474분류군의 5.5%에 해당한다. 등급별로 Ⅴ등급은 삼백초, 석곡, 왕자귀나무, 지네발란 4분류군, Ⅳ등급은 등[Wisteria floribunda (Willd.) DC.], 산황나무[Rhamnus crenata Siebold & Zucc.], 왕김의털(Festuca rubra L.), 자란[Bletilla striata (Thunb.) Rchb. f.],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등 6분류군, Ⅲ등급에 감탕나무(Ilex integra Thunb.),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 발풀고사리[Dicranopteris linearis (Burm. f.) Underw.], 산동쥐똥나무[Ligustrum leucanthum (S. Moore) P.S. Green], 큰꿩의비름[Hylotelephium spectabile (Boreau) H. Ohba] 등 15분류군, Ⅱ등급에 가는갯능쟁이(Atriplex gmelinii C. A. Mey. ex Bong.), 갯완두(Lathyrus japonicus Willd.),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 L. f.), 퉁퉁마디(Salicornia europaea L.), 해홍나물[Suaeda maritima (L.) Dumort.] 등 10분류군, Ⅰ등급에 검노린재(Symplocos tanakana Nakai), 개구리발톱[Semiaquilegia adoxoides (DC.) Makino], 갯사상자(Cnidium japonicum Miq.), 봉의꼬리(Pteris multifida Poir.), 큰비쑥(Artemisia fukudo Makino) 등 4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Ⅳ등급에 해당하는 산황나무는 용오름길-말바우 구간 등산로 내에서 드물게 발견되었다. 본 종의 경우 제주도를 포함하여 서해안을 따라 인천까지 분포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실체 확인이 어려우며 증거 표본상 분포지는 전남의 일부 지역인 목포시, 대흑산도, 여수시의 산지에 매우 드물게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Oh et al., 2016; Kim and Kim, 2021). 따라서 추가적인 자생지 조사를 통해 정확한 분포를 파악하고, 개체수를 고려한 별도의 관리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Ⅲ등급에 해당하는 감탕나무는 등산로 초입에서 높이 3 m 이상의 교목 3-4개체가 소규모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다. 발풀고사리는 큰덕골저수지 주변 무덤가에 대규모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산동쥐똥나무는 고하도안길-큰덕골저수지 사이 경작지 옆 숲 사면에 소규모 군락을 이루고 있었으며, 잎끝이 뾰족하고 꽃차례가 긴 원추상의 특징을 가져, 잎끝이 둥글고 꽃차례가 총상꽃차례인 쥐똥나무와 구분된다. Ⅱ등급에 해당되는 가는갯능쟁이, 갯완두, 순비기나무, 퉁퉁마디, 해홍나물은 감화원터 및 선착장 주변에서 발견되었으며, 주로 고하도 주변 해안가에 분포하였다.

Table 6.

List of the fifth- to third-degree taxa floristic regional plants of Gohado Island.

No Family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Degree
1 Fabaceae Albizia kalkora Prain 왕자귀나무
2 Orchidaceae Cleisostoma scolopendrifolium (Makino) Garay 지네발란
3 Orchidaceae Dendrobium moniliforme (L.) Sw. 석곡
4 Saururaceae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삼백초z
5 Cupressaceae 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측백나무z
6 Fabaceae Wisteria floribunda (Willd.) DC. z
7 Orchidaceae Bletilla striata (Thunb.) Rchb. f. 자란
8 Poaceae Festuca rubra L. 왕김의털
9 Rhamnaceae Rhamnus crenata Siebold & Zucc. 산황나무
10 Scrophulariaceae Limnophila aromatica (Lam.) Merr. 소엽풀
11 Aceraceae Acer palmatum Thunb. 단풍나무z
12 Apiaceae Centella asiatica (L.) Urb. 병풀
13 Aquifoliaceae Ilex integra Thunb. 감탕나무
14 Crassulaceae Hylotelephium spectabile (Boreau) H. Ohba 큰꿩의비름
15 Ericaceae Vaccinium bracteatum Thunb. 모새나무
16 Gleicheniaceae Dicranopteris linearis (Burm. f.) Underw. 발풀고사리
17 Liliaceae Aletris spicata (Thunb.) Franch. 쥐꼬리풀
18 Meliaceae Melia azedarach L. 멀구슬나무
19 Oleaceae Ligustrum leucanthum (S. Moore) P.S. Green 산동쥐똥나무
20 Pittosporaceae Pittosporum tobira (Thunb.) W. T. Aiton 돈나무
21 Ranunculaceae Clematis brachyura Maxim. 외대으아리
22 Rosaceae Rubus hirsutus Thunb. 장딸기
23 Rutaceae Citrus trifoliata L. 탱자나무z
24 Sapindaceae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모감주나무z
25 Verbenaceae Verbena officinalis L. 마편초

zPlanted or cultivated plant.

외래식물 및 생태계교란식물

최근 외래식물의 증가에 따른 관리방안 마련을 위해 수행된 연구에서는 외래식물을 유입시기, 토착화 진행, 국내 분포 여부를 고려하여 사전귀화식물(Archaeophyte), 잠재침입식물(Potentially invasive plant,), 침입외래식물(Invasive alien plant)로 구분하였으며, 잠재침입식물은 관심외래식물(Concerned alien plant)과 불확실종(Uncertain plant)으로, 침입외래식물은 임시정착식물(Casual alien plant)과 귀화식물(Naturalized plant)로 각각 세분화한 바 있다(Jung et al., 2016; Kang et al., 2020). 본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외래식물은 27과 68속 89종 1아종 1변종의 총 91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7). 사전귀화식물은 갓[Brassica juncea (L.) Czern.], 개비름(Amaranthus lividus L.), 한련초[Eclipta prostrata (L.) L.] 등 9분류군, 잠재침입식물은 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 Mill.), 사방오리(Alnus firma Siebold & Zucc.) 등 총 9분류군으로 모두 관심외래식물에 해당되었으며, 침입외래식물은 총 73분류군으로 이 중 임시정착식물은 누운땅빈대(Euphorbia prostrata Aiton), 댕돌보리(Lolium rigidum Gaudin), 큰낭아초(Indigofera bungeana Walp.) 3분류군, 귀화식물은 기생초(Coreopsis tinctoria Nutt.), 수레국화(Cyanus segetum Hill), 창질경이(Plantago lanceolata L.) 등 7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외래식물 중 사전귀화식물 및 귀화식물 79분류군을 대상으로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를 분석한 결과, 귀화율(Naturalization Index: 조사된 귀화식물의 종수(79) ÷ 출현식물의 총 종수(431) ×100)은 18.3%로 광주·전남지역 평균 귀화율인 8.2% (Sun, 2023)에 비해 높은 수치가 산출되었으며, 도시화지수(Urbanization Index: 조사된 귀화식물의 종수(79) ÷ 남한의 귀화식물 총 종수(296) ×100)는 26.7%로 산출되었다. 고하도는 신외항 조성으로 허사도, 장구도와 하나의 섬이 되었으며, 다년간의 매립 작업이 외래식물 유입 빈도를 증가시켰을 가능성이 크다. 고하도 내 외래식물은 주로 농경지 인접 지역, 민가, 도로변, 관광지 주변으로 집중되어 있었다. 현재 관광지로서의 인지도가 상승하면서 방문객 증가로 인해 외래식물의 종수와 생물량이 추가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 확산 방지를 위한 별도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한편 생태계교란야생식물로는 도깨비가지(Solanum carolinense L.),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L.), 서양금혼초(Hypochaeris radicata L.), 양미역취(Solidago altissima L.) 등 총 7종이 확인되었다(Fig. 4, Table 8). 돼지풀은 고하도유원지 앞 농경지 부근에 소수의 개체가 밀집하여 분포하고 있었으며, 서양금혼초는 고하도 등산로 입구 주변에 불연속적으로 산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깨비가지는 고하도 등산로 주차장 앞 사면에 소규모 군락을 이루고 있어 초기 방제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 된다. 양미역취는 농경지 및 도로변을 따라 대규모의 군락이 곳곳에서 관찰되었다.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종자 번식력과 환경적응성이 매우 높아 기존 자생식물의 생육지에 침투하여 다른 식물의 발생과 생육을 방해하며, 생물다양성을 급격히 감소시킨다(Kim et al., 2024). 특히 기후변화로 인해 양미역취, 서양금혼초 등 일부 생태계교란종의 확산 속도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며, 분포지의 북상을 막기 위한 대규모의 방제가 시급하다(Kang et al., 2010). 따라서 생태계교란종의 종별 생육 특성에 맞는 방제계획, 실행, 사후관리를 통해 고하도 내 급속한 확산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Table 7.

List of alien plants and ecosystem disturbance wild plant of Gohado Island.

No Family name Taxa Korean name Degree
1 Amaranthaceae Amaranthus lividus L. 개비름 Arc.z
2 Amaranthaceae Amaranthus viridis L. 청비름 IAP (NP)
3 Amaryllidaceae Lycoris radiata (L’Hér.) Herb. 석산y PIP (CAP)
4 Apocynaceae Nerium indicum Mill. 협죽도 PIP (CAP)
5 Asteraceae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IAP (NP)
6 Asteraceae Aster subulatus Michx. 비짜루국화 IAP (NP)
7 Asteraceae Aster subulatus var. sandwicensis (A. Gray) A.G. Jones 큰비짜루국화 IAP (NP)
8 Asteraceae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IAP (NP)
9 Asteraceae Bidens pilosa L. 울산도깨비바늘 IAP (NP)
10 Asteraceae Conyza bonariensis (L.) Cronquist 실망초 IAP (NP)
11 Asteraceae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IAP (NP)
12 Asteraceae Coreopsis lanceolata L. 큰금계국y IAP (NP)
13 Asteraceae Coreopsis tinctoria Nutt. 기생초 IAP (NP)
14 Asteraceae Cosmos bipinnatus Cav. 코스모스y IAP (NP)
15 Asteraceae Crassocephalum crepidioides (Benth.) S. Moore 주홍서나물 IAP (NP)
16 Asteraceae Cyanus segetum Hill 수레국화y IAP (NP)
17 Asteraceae Eclipta prostrata (L.) L. 한련초 Arc.
18 Asteraceae Erechtites hieracifolia (L.) Raf. ex DC. 붉은서나물 IAP (NP)
19 Asteraceae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IAP (NP)
20 Asteraceae Helianthus tuberosus L. 뚱딴지y IAP (NP)
21 Asteraceae Hypochaeris radicata L. 서양금혼초 IAP (NP)
22 Asteraceae Lactuca scariola L. 가시상추 IAP (NP)
23 Asteraceae Senecio vulgaris L. 개쑥갓 IAP (NP)
24 Asteraceae Solidago altissima L. 양미역취 IAP (NP)
25 Asteraceae Sonchus asper (L.) Hill 큰방가지똥 IAP (NP)
26 Asteraceae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IAP (NP)
27 Asteraceae Tagetes minuta L. 만수국아재비 IAP (NP)
28 Asteraceae Taraxacum officinale F. H. Wigg. 서양민들레 IAP (NP)
29 Asteraceae Xanthium orientale L. 큰도꼬마리 IAP (NP)
30 Betulaceae Alnus firma Siebold & Zucc. 사방오리y PIP (CAP)
31 Brassicaceae Brassica juncea (L.) Czern. y Arc.
32 Brassicaceae Lepidium virginicum L. 콩다닥냉이 IAP (NP)
33 Caryophyllaceae Cerastium glomeratum Thuill. 유럽점나도나물 IAP (NP)
34 Caryophyllaceae Silene armeria L. 끈끈이대나물 IAP (NP)
35 Caryophyllaceae Stellaria media (L.) Vill. 별꽃 IAP (NP)
36 Chenopodiaceae Chenopodium ambrosioides L. 양명아주 IAP (NP)
37 Chenopodiaceae Chenopodium ficifolium Sm. 좀명아주 IAP (NP)
38 Chenopodiaceae Chenopodium glaucum L. 취명아주 IAP (NP)
39 Convolvulaceae Cuscuta campestris Yunck. 미국실새삼 IAP (NP)
40 Convolvulaceae Ipomoea lacunosa L. 애기나팔꽃 IAP (NP)
41 Convolvulaceae Ipomoea nil (L.) Roth 나팔꽃 IAP (NP)
42 Convolvulaceae Ipomoea purpurea (L.) Roth 둥근잎나팔꽃 IAP (NP)
43 Convolvulaceae Ipomoea quamoclit L. 유홍초y PIP (CAP)
44 Euphorbiaceae Euphorbia hypericifolia L. 큰땅빈대 IAP (NP)
45 Euphorbiaceae Euphorbia maculata L. 애기땅빈대 IAP (NP)
46 Euphorbiaceae Euphorbia prostrata Aiton 누운땅빈대 IAP (CAP)
47 Fabaceae Amorpha fruticosa L. 족제비싸리 IAP (NP)
48 Fabaceae Indigofera bungeana Walp. 큰낭아초 IAP (CAP)
49 Fabaceae Lotus corniculatus L. 서양벌노랑이 IAP (NP)
50 Fabaceae Medicago lupulina L. 잔개자리 IAP (NP)
51 Fabaceae Medicago sativa L. 자주개자리 IAP (NP)
52 Fabaceae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IAP (NP)
53 Fabaceae Trifolium hybridum L. 선토끼풀 IAP (NP)
54 Fabaceae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IAP (NP)
55 Fabaceae Vicia dasycarpa Ten. 각시갈퀴나물 IAP (NP)
56 Fabaceae Wisteria floribunda (Willd.) DC. y Arc.
57 Liliaceae Allium tuberosum Rottler ex Spreng. 부추y PIP (CAP)
58 Malvaceae Abutilon theophrasti Medik. 어저귀 Arc.
59 Malvaceae Malva neglecta Wallr. 난쟁이아욱 IAP (NP)
60 Meliaceae Melia azedarach L. 멀구슬나무 Arc.
61 Moraceae Ficus carica L. 무화과나무y PIP (CAP)
62 Moraceae Morus alba L. 뽕나무y Arc.
63 Nyctaginaceae Mirabilis jalapa L. 분꽃y IAP (NP)
64 Onagraceae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IAP (NP)
65 Onagraceae Oenothera speciosa Nutt. 분홍낮달맞이꽃y PIP (CAP)
66 Oxalidaceae Oxalis articulata Sabigny 덩이괭이밥y IAP (NP)
67 Oxalidaceae Oxalis corniculata L. 괭이밥 Arc.
68 Phytolaccaceae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IAP (NP)
69 Pinaceae Pinus rigida Mill. 리기다소나무y PIP (CAP)
70 Plantaginaceae Plantago lanceolata L. 창질경이 IAP (NP)
71 Poaceae Andropogon virginicus L. 나도솔새 IAP (NP)
72 Poaceae Avena fatua L. 메귀리 IAP (NP)
73 Poaceae Bromus catharticus Vahl 큰이삭풀 IAP (NP)
74 Poaceae Bromus tectorum L. 털빕새귀리 IAP (NP)
75 Poaceae Diplachne fusca subsp. fascicularis (Lam.) P.M. Peterson
& N. Snow
갯드렁새 IAP (NP)
76 Poaceae Lolium multiflorum Lam. 쥐보리 IAP (NP)
77 Poaceae Lolium perenne L. 호밀풀 IAP (NP)
78 Poaceae Lolium rigidum Gaudin 댕돌보리 IAP (CAP)
79 Poaceae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미국개기장 IAP (NP)
80 Poaceae Paspalum dilatatum Poir. 큰참새피 IAP (NP)
81 Poaceae Paspalum distichum L. 물참새피 IAP (NP)
82 Poaceae Phyllostachys bambusoides Siebold & Zucc. 왕대 PIP (CAP)
83 Polygonaceae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IAP (NP)
84 Rosaceae Potentilla supina L. 개소시랑개비 IAP (NP)
85 Rosaceae Rubus fruticosus L. 서양산딸기 IAP (NP)
86 Scrophulariaceae Veronica hederifolia L. 눈개불알풀 IAP (NP)
87 Scrophulariaceae Veronica persica Poir. 큰개불알풀 IAP (NP)
88 Solanaceae Physalis angulata L. 땅꽈리y IAP (NP)
89 Solanaceae Solanum americanum Mill. 미국까마중 IAP (NP)
90 Solanaceae Solanum carolinense L. 도깨비가지 IAP (NP)
91 Sterculiaceae Firmiana simplex (L.) W. Wight 벽오동y Arc.

zPIP: potentially invasive plant, CAP: concerned alien plant, IAP: invasive alien plant, NP: naturalized plant, Arc: archaeophyte.

yPlanted or cultivated plant.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5-038-02/N0820380208/images/kjpr_2025_382_247_F4.jpg
Fig. 4.

The distribution map of naturalized plants and ecosystem disturbance plants in Gohado Island.

Table 8.

List of ecological disturbance causing plant of Gohado Island.

No Family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1 Asteraceae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2 Asteraceae Hypochaeris radicata L. 서양금혼초
3 Asteraceae Lactuca scariola L. 가시상추
4 Asteraceae Solidago altissima L. 양미역취
5 Cannabaceae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환삼덩굴
6 Poaceae Paspalum distichum L. 물참새피
7 Solanaceae Solanum carolinense L. 도깨비가지

유용식물

산림청은 우리나라 관속식물에 대한 과학적 기능, 분포희소성, 특성 등에 따라 자원적 가치를 재검토하여 자원식물을 구분하였다(Korea Forest Service, 2014). 이번 조사지에서 확인된 자원식물의 용도별 분류에 따르면, 식용 259분류군(60.1%), 약용 330분류군(76.6%), 향료용 14분류군(3.2%), 산업용 78분류군(18.1%), 관상용 209분류군(48.5%), 생태복원용 165분류군(38.3%), 사료 및 퇴비용 192분류군(44.5%)으로 각각 파악되었으며, 중복된 항목을 제외한 총 403분류군(94.5%)이 자원식물로서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9). 아울러, 민속식물로 이용 가능한 식물은 총 228분류군(52.9%)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Chung et al., 2013).

Table 9.

Usefulness of vascular plants of Gohado Island.

Use Ez My Fx Iw Ov Ru Ct Us ETr
Taxon (No.) 259 330 14 78 209 165 192 403 228
Ratio (%) 60.1 76.6 3.2 18.1 48.5 38.3 44.5 94.5 52.9

zE: edible, yM: medicinal, xF: flavor, wI: industrial, vO: ornamental, uR: restoration, tC: forage/composts, sU: usefulness accession (excluded overlap), rET: ethnobotany.

기후변화 취약식물 및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기후변화 취약 산림식물(Oh et al., 2010; Oh et al., 2013)은 총 28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중 목본식물은 21분류군(75.0%), 초본식물은 7분류군(25.0%)으로 나타났다. 고하도는 식물구계학적으로 남해안아구에 위치하고 있어 북방계 식물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남방계 식물은 갯사상자(Cnidium japonicum Miq.),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 목포용둥굴레(Polygonatum cryptanthum H. Lév. & Vaniot) 등 1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갯사상자는 고하도 버스정류장 종착점 앞 해안가에 다수의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모새나무는 말바우 정상 부근 암반 지역에서 3개체가 확인되었다. 생육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였으나 극소 개체만 서식하고 있으며 주 등산로에 위치하고 있어 인위적 훼손을 방지를 위한 별도의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관심종으로는 산국[Dendranthema boreale (Makino) Ling],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ume),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등 15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들 분류군은 조사지역 내에 흔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10).

Table 10.

List of threatened plants for climate change of Gohado Island.

No Family name Taxa Korean name TPz IPy
1 Aceraceae Acer palmatum Thunb. 단풍나무x C
2 Anacardiaceae Toxicodendron sylvestre (Siebold & Zucc.) Kuntze 산검양옻나무 S
3 Apiaceae Cnidium japonicum Miq. 갯사상자 S
4 Araliaceae Hedera rhombea (Miq.) Bean 송악
5 Asteraceae Dendranthema boreale (Makino) Ling 산국 C
6 Cornaceae 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산수유x C
7 Cupressaceae 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측백나무x C
8 Elaeagnaceae Elaeagnus macrophylla Thunb. 보리밥나무
9 Ericaceae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진달래 C
10 Ericaceae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H. Lév.) M. Sugim. 산철쭉 C
11 Ericaceae Vaccinium bracteatum Thunb. 모새나무 S
12 Euphorbiaceae Euphorbia helioscopia L. 등대풀
13 Euphorbiaceae Mallotus japonicus (L. f.) Müll. 예덕나무 S
14 Fabaceae Albizia julibrissin Durazz. 자귀나무 C
15 Fabaceae Dunbaria villosa (Thunb.) Makino 여우팥 S
16 Fabaceae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C
17 Fagaceae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신갈나무 C
18 Fagaceae Quercus serrata Murray 졸참나무 C
19 Gleicheniaceae Dicranopteris linearis (Burm. f.) Underw. 발풀고사리 S
20 Lamiaceae Lamium amplexicaule L. 광대나물
21 Lauraceae Lindera obtusiloba Blume 생강나무 C
22 Liliaceae Polygonatum cryptanthum H. Lév. & Vaniot 목포용둥굴레 S
23 Meliaceae Melia azedarach L. 멀구슬나무
24 Oleaceae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개나리x C
25 Oleaceae Ligustrum japonicum Thunb. 광나무x S
26 Orchidaceae Bletilla striata (Thunb.) Rchb. f. 자란 S
27 Pinaceae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소나무 C
28 Pittosporaceae Pittosporum tobira (Thunb.) W. T. Aiton 돈나무 S
29 Pteridaceae Pteris multifida Poir. 봉의꼬리 S
30 Ranunculaceae Semiaquilegia adoxoides (DC.) Makino 개구리발톱
31 Rosaceae Rubus hirsutus Thunb. 장딸기 S
32 Rubiaceae Paederia foetida L. 계요등
33 Sapindaceae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모감주나무x C
34 Scrophulariaceae Veronica persica Poir. 큰개불알풀
35 Theaceae Camellia japonica L. 동백나무x C
36 Theaceae Eurya japonica Thunb. 사스레피나무
37 Verbenaceae Verbena officinalis L. 마편초 S

zTP: Threatened Plants (C: concern, S: southern race).

yIP: Indicator Plants.

xPlanted or cultivated plant.

환경부는 기후변화가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기후변화 생물지표(Climate-sensitive Biologocal Indicator Species, CBIS) 100종을 선정(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9)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에 해당하는 식물로는 개구리발톱(Semiaquilegia adoxoides (DC.) Makino), 등대풀(Euphorbia helioscopia L.), 멀구슬나무(Melia azedarach L.) 등 총 1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개구리발톱은 큰덕골저수지 인근에서 200-300개체가 군락을 이루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고, 산국은 구간 도로변 가장자리 사면을 따라 집중적으로 분포하였다. 고하도에 서식하는 기후변화 취약식물 및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을 대상으로 서식지 변화와 개체군 크기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선행연구와의 비교

본 조사 결과와 고하도의 선행연구(Oh and Kim, 1995; Park, 2004) 결과를 취합하여 비교·검토하였다. 취합된 목록을 국가생물종목록(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3)과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21b) 등에 준하여 정리한 결과, 총 125과 374속 556종 9아종 40변종 2품종의 총 607분류군으로 집계되었다. 이번 조사에서 새로이 확인된 분류군은 75과 178속 214종 5아종 19변종 1품종의 239분류군으로, 일련번호 앞에 ★로 표시하였다(Appendix 1). 문헌상의 목록과 본 조사 결과를 비교한 결과, 환경부 지정 적색자료집 식물은 가는잎산들깨(LC), 모새달(LC), 삼백초(식재, EN), 석곡(VU), 소엽풀(NT), 새박(LC), 지네발란(VU) 7분류군이 최초 확인되었으며, 이들에 대한 별도 관리 방안을 수립하고, 분포 범위, 생육상태 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한반도 고유식물로는 병꽃나무와 좀땅비싸리 2분류군이 추가적으로 확인되었고, 그 외에도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인 산황나무, 발풀고사리, 봉의꼬리(Pteris multifida Poir.), 쥐꼬리풀[Aletris spicata (Thunb.) Franch.], 큰꿩의비름[Hylotelephium spectabile (Boreau) H. Ohba], 등 43분류군이 새롭게 발견되었다.

이번 조사결과 기존 문헌에 기록되었으나 확인되지 않은 식물은 62과 147속 160종 2아종 14변종의 176분류군으로 집계되었다. 이 중 특이식물 조사 결과, 환경부 지정 적색자료집 식물인 개박하(Nepeta cataria L., DD), 께묵(Hololeion maximowiczii Kitam., LC), 수수새[Sorghum nitidum (Vahl) Pers. LC], 섬쥐깨풀[Mosla japonica var. thymolifera (Makino) Kitam. LC], 한반도 고유식물인 나래완두(Atriplex gmelinii C. A. Mey. ex Bong.), 분취(Saussurea seoulensis Nakai),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인 검양옻나무[Toxicodendron succedaneum (L.) Kuntze Ⅳ], 암대극(Euphorbia jolkinii Boiss., Ⅲ), 솔장다리(Salsola collina Pall., Ⅲ) 등 21분류군은 이번 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검양옻나무는 전남(흑산도, 홍도)과 제주도, 암대극은 제주도와 거문도, 분취는 강원도, 경기도, 섬쥐깨풀은 완도, 경남(포항시, 부산시), 제주도에 분포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이 종들의 고하도 내 분포기록은 신뢰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기존 문헌에서 고하도 염습지 내에 주로 분포한다고 보고된 칠면초는 이번 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칠면초가 기록된 분포지를 조사한 결과, 바닷물이 빠지는 경계부에 생육하는 생활형을 가지는 좁은해홍나물과 해홍나물이 우점하고 있었으며, 공생재활원 해안가 부근에서 대규모의 군락이 확인되었다. 또한 염습지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인 지채와 해안사구 후방이나 모래 해변에 서식하는 사구식물인 갯쇠보리(Kim, 2013;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2)는 본 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았으며, 이전 조사 구역의 매립으로 인해 분포지가 훼손된 것으로 추정된다. 선행연구 시기를 고려하였을 때, 고하도의 주변 환경은 목포대교 개통, 신외항 건설, 해상케이블카, 고하도 전망대 건설 등 단기간의 개발로 인해 식생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고하도 남쪽의 장구도와 허사도 일대 갯벌 매립과 신항 배후 단지 조성으로 인한 육지화는 해안식물의 종 다양성과 개체수를 감소시켰다. 지속적인 고하도의 해안 매립과 개발로 인해 해안식물의 분포역이 현저히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해안식물의 관리와 보전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선행연구에서 외래식물은 24과 32속 29종 2아종 2변종의 총 3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외래식물 중 사전귀화식물 및 귀화식물 14분류군을 대상으로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를 분석한 결과, 귀화율은 3.8%, 도시화지수는 4.7%로 나타났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귀화율이 18.3%, 도시화지수는 26.7%로, 선행연구 이후 고하도의 외래식물의 유입이 크게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고하도는 2021년 어촌뉴딜정책 300사업에 선정되어 용오름 둘레길 거점조성과 고하도 어촌스테이션 조성사업 등 지속적인 개발이 예정되어 있다. 이러한 섬 개발사업은 고하도의 관광객 증가와 더불어 외래식물 유입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외래식물 교란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지자체와의 연계를 통해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방제 방법 등을 활용한 적극적인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고하도 관속식물상의 의미와 보전방안

고하도는 면적 2.99 ㎢의 도서지역으로 우리나라 유인도서 465개 중 114번째로 비교적 작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24).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관속식물 431분류군은 한반도 관속식물의 약 9.4%, 섬 지역에 서식하는 관속식물의 약 15%를 차지하여, 한반도 생물다양성 보전에 있어 중요한 지역임을 나타내고 있다. 고하도는 식물구계학적으로 남해안아구에 속하며, 남부아구의 경계에 위치해 식물구계학적 연구의 필요성이 높은 지역이다. 또한 서한연안류의 영향을 받으며 난온대 상록활엽수와 같은 남방계 식물의 분포에 있어 중요한 지리학적 위치를 가진다(Lee and Choi, 2008; Yun et al., 2001). 이러한 위치적 특성과 고하도의 해양성 기후는 다양한 남방계 식물종의 서식을 가능하게 하며, 서남해안 섬지역의 생태적 중요성을 재확인시켜 준다.

최근 기후 변화로 전세계적인 온난화가 가속화되면서 산림생태계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난온대 식물은 직간접적인 온도 요소의 변화로 인해 분포역의 변화 현상을 겪고 있다(Eom, 2020). 온난화로 인해 난온대 식물의 분포가 점차 북상하거나 고지대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아 식물 분포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남방계 주요종에 대한 북방한계선 파악을 통해 추후 기후변화에 따른 분포 변화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감탕나무, 돈나무[Pittosporum tobira (Thunb.) W. T. Aiton], 모새나무, 발풀고사리, 산황나무, 석곡, 왕자귀나무, 자란, 지네발란 등의 남방계 식물은 고하도가 난온대 기후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 지역이자 섬 생태계 연구와 보전에 있어 중요한 지역임을 보여준다(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특히, 이들 식물은 기후변화와 관련된 분포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기후변화로 인해 북방한계선이 변화할 경우 이를 모니터링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하도의 식물상은 섬 생태계의 고유성을 연구하고, 생물다양성 보전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수적인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이 중 멸종위기야생식물 Ⅱ급인 석곡은 고온다습한 지역의 바위나 나무에 적응한 착생식물로 특정 환경을 선호하는 남방계 식물이며, 한반도 내 기후적 요인에 의해 생육 가능 지역이 제한되는 식물이다. 추후 도서·연안 식물상 연구 수행 시 석곡의 분포 변화를 확인하면 기후변화에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네발란은 고유의 생태적 적응력을 보여주며, 이들의 생육 환경은 고하도의 온대 해양 기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적 변화를 관찰하는 데 중요한 지표종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석곡과 지네발란의 분포지를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생태적 특성과 분포 변화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면, 섬 생태계 보전 및 기후 변화 적응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고하도의 자생식물은 외래종 유입 및 관광객 증가로 인해 생물다양성 유지와 복원 측면에서 상당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교란 압력은 자생종의 서식지를 축소하거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외래종의 확산을 촉진함으로써 생태계의 균형을 위협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관광객의 증가로 인한 비의도적 외래종 확산, 서식지 훼손, 쓰레기 문제 등은 섬 생태계의 취약성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외래종 모니터링 및 방제 시스템 구축, 생물다양성 보호를 위한 관리 계획 수립, 지역 주민과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생태계 보전 교육이 필요하다. 고하도에 분포하는 외래종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주요 외래종의 유입 경로를 분석하고, 이를 차단하기 위한 선제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목포시와 협의하여 관광객 방문 시 생태적으로 민감한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거나 친환경적인 관광 인프라를 구축하여 자생식물의 서식지 보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적 요

도서 지역 생물상(식물분야) 조사를 통해 고하도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21년 8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총 17회에 걸친 현장조사를 실시한 결과, 고하도의 관속식물은 총 105과 294속 395종 7아종 27변종 2품종의 총 43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관속식물 중 멸종위기야생식물은 삼백초, 석곡, 지네발란 등 3분류군, 적색목록식물은 12분류군, 한반도 고유식물은 병꽃나무, 외대으아리 등 5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Ⅴ등급 4분류군, Ⅳ등급 6분류군, Ⅲ등급 15분류군, Ⅱ등급 10분류군, Ⅰ등급 46분류군 등 총 8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외래식물은 총 91분류군으로 귀화율은 18.3%, 도시화지수는 26.7%로 산출되었으며,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도깨비가지, 서양금혼초, 양미역취 등 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기존 선행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75과 178속 214종 5아종 19변종 1품종의 239분류군이 본 조사를 통하여 새롭게 확인된 것으로 집계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고하도 자생자원의 보전방안을 모색하고, 자원식물의 효율적 관리와 지속 가능한 이용 방안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Supplementary Material

Acknowledgements

본 연구를 위해 조사를 함께해 주신 민병미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본 논문은 ‘도서 지역 생물상(식물분야) 조사 및 표본확보 사업(HNIBR202101107)’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y have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Cho, S.K., B.H. Choi, and J.H. Kim. 1997. Morphological variations and taxonomy of Indigofera kirilowii and I. koreana (Leguminosae). Korean J. Pl. Taxon. 27(1):73-87 (in Korean).

10.11110/kjpt.1997.27.1.073
2

Cho, Y.H., J.H. Kim, and S.H. Park. 2016.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Geobook, Seoul, Korea. pp. 1-527 (in Korean).

3

Chung, G.Y., H.D. Jang, K.S. Chang, H.J. Choi, Y.S. Kim, H.J. Kim, and D.C. Son. 2023.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II. Korean J. Pl. Taxon. 53(2):79-101.

10.11110/kjpt.2023.53.2.79
4

Chung, J.M., G.W. Park, H.R. Jeong, S.K. So, H.J. Kim, K. Choi, C.H. Lee, C.H. Shin, and S.S. Kim. 2013. Ethnobotany in Korea: The Traditional Knowledge and Use of Indigenous Plants.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1276 (in Korean).

5

Eom, B.C. and J.W. Kim. 2020. A phytoclimatic review of warm-temperate vegetation zone of Korea. KJEE. 53(2):195-207 (in Korean).

10.11614/KSL.2020.53.2.195
6

Han, B.W., H.R. Na, and J.O. Hyun. 2018. Floristic study of Jindo island. Korean J. Plant Res. 31(2):162-194 (in Korean).

7

Honam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1.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from Islands in Korea. Honam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Mokpo, Korea. pp. 1-610 (in Korean).

8

Hwang, H.R. 2021. Species biology of Albizia kalkora (Roxb.) prain in east asia. Department of Forest Science, Ph.D. Thesis, Chonnam Univ., Korea. pp. 1-174 (in Korean).

9

Jang, H.D., K.K. Jeong, M.J. Nam, J.H. Song, H.K. Moon, and H.J. Choi. 2022. Mosla dadoensis (Lamiaceae), a new species from the southern islands of South Korea. PhytoKeys 208:185-199.

10.3897/phytokeys.208.8955236761400PMC9848970
10

Jung, S.Y., J.W. Lee, Y.H. Kwon, H.T. Shin, S.J. Kim, J.B. An, and T.I. Heo. 2016.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265 (in Korean).

11

Kang, B.H., S.R. Hong, K.O. Kim, Y.H. Lee, and C.S. Na. 2010. Biodiversity disintegration from climatic change and ecosystematic disturbed wild plant. Life S. and Nat. Res. 18:70-83.

12

Kang, E.S., S.R. Lee, S.H. Oh, D.K. Kim, S.Y. Jung, and D.C. Son. 2020. Comprehensive review about alien plants in Korea. Korean J. Pl. Taxon. 50(2):89-119.

10.11110/kjpt.2020.50.2.89
13

Kim, E.K., 2013. Halophytes of Korea. Econature, Seoul, Korea. pp. 1-368 (in Korean).

14

Kim, H.G., K.H. Oh, and B.C. Moon. 2014.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in Heosado and Gohado, Mokpo City, Korea. The Journal of Korean Island 26(4):181-193 (in Korean).

15

Kim, J.E., Y.S. Kim, J.S. Lee, J.E. Jang, H.J. Jeong, A.L. Kim, S.K. Han, and H.Y. Gil. 2024. A flora of vascular plants in Boraebong. Korean J. Plant Res. 37(1):35-61 (in Korean).

16

Kim, J.S., J.H. Kim, and J.H. Kim. 2018. Herbaceous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Paju, Korea. pp. 1-657 (in Korean).

17

Kim, J.S. and T.Y. Kim. 2021.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Paju, Korea. pp. 1-715 (in Korean).

18

Korea Forest Service. 2014. The Assessment for Vascular Plant Resources and the Reclassification of Their Usefulness from Korea.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p. 10-153 (in Korean).

1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4.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Retrieved from https://www.weather.go.kr/ on Sep. 28, 2024.

20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a.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Alien Plants). Retrieved from http://www.nature.go.kr/kpni/index.do on Sep. 28, 2024.

21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b.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ve Plants). Retrieved from http://www.nature.go.kr/kpni/index.do on Sep. 28, 2024.

22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c. The National Red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Designpost, Goyang, Korea. pp. 1-423 (in Korean).

23

Korean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Korea. pp. 1-399 (in Korean).

24

Lee, C.S. and K.H. Lee. 2015. Pteridophytes of Korea: Lycophytes & Ferns. Geobook, Seoul, Korea. pp. 1-491 (in Korean).

25

Lee, J.H. and B.H. Choi. 2008. Distribution of broad-leaved evergreen plants on islands of Incheon, middle part of Yellow Sea. Korean J. Pl. Taxon. 38(3):315-331 (in Korean).

10.11110/kjpt.2008.38.3.315
26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yangmunsa, Seoul, Korea. pp. 1-914, pp. 1-910 (in Korean).

27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 624 (in Korean).

28

Lee, W.T. and Y.J. Yim. 2002. Plant Geography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Co., Chuncheon, Korea. pp. 1-412 (in Korean).

29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Kyohaksa, Seoul, Korea. pp. 1-1860 (in Korean).

30

Lim, K.B. and K.J. Lee. 1999. An Introduction to Forestry. Hyangmunsa, Seoul, Korea. pp. 1-139 (in Korean).

31

Ministry of Environment. 2023. Wildlife Protection and Management. Retrieved from http://www.me.go.kr. do on Dec. 10, 2023.

32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24. Status of Inhabited Islands. Retrieved from https://www.data.go.kr/data/15042646/fileData.do. on Jan. 17, 2025.

33

Mokpo City. 2024. Mokpo City Hall. Retrieved from http://www.mokpo.go.kr on Jan. 29, 2024

34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9. The Guidebook of Climate 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p. 1-153 (in Korean).

35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1. Red Data Book of Republic of Korea Volume. 5. Vascular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p. 1-523 (in Korean).

36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2. Costal plant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p. 1-452 (in Korean).

37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3. National Species List of Korea I: Plants, Fungi, Algae, Prokaryote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p. 51-206.

38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Floristic Target Species (FT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pp. 1-728 (in Korean).

39

Oh, B.U., D.G. Jo, S.C. Ko, B.H. Choi, W.K. Paik, G.Y. Chung, Y.M. Lee, and C.G. Jang.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492 (in Korean).

40

Oh, B.U., S.C. Ko, S.H. Kang, W.K. Baik, K.O. Yoo, H.T. Im, C.G. Jang, G.Y. Chung, B.H. Choi, H.J. Choi, Y.M. Lee, C.H. Shin, K. Choi, J.H. Han, S.H. Park, H.J. Kim, G.S. Chang, J.C. Yang, S.Y. Jeong, C.H. Lee, S.H. Oh, and D.G. Jo. 2016.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809 (in Korean).

41

Oh, J.G. and J.S. Kim. 1995. Studies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Kohado Island. Bulletin of Institute of Littoral Environment 12:145-162 (in Korean).

42

Oh, S.H., Y.M. Lee, J.C. Yang, J.W. Jang, J.G. Byeon, J.E. Yun, B.D. Kim, C.H. Bae, J.S. Sim, C.H. Lee, G.Y. Lee, J.M. Park, C.J. Oh, J.S. Sin, and D.S. Kim. 2013. Manual of Conservation Project of Threatened Plants for Climate Change.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243 (in Korean).

43

Ohwi, J. 1936. Plantae Novae Japonicae (I). J. Jpn. Bot. 12:328-329.

44

Park, S.H., Y.M. Lee, J.C. Yang, D.G. Jo, G.H. Lee, C.S. Jang, H.J. Lee, H.J. Choi, S.S. Jung, and J.H. Lee. 2008. Illustrated Pteridophyt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547 (in Korean).

45

Park, Y.K. 2004. Flora of Islands in West and South Regions of Korea. Department of Biology, M.S. Thesis, Honam Univ., Korea. pp. 1-121 (in Korean).

46

Park, Y.K., Y.M. Lee, S.Y. Jung, K.S. Chang, W.C. Kang, S.S. Jung, S.H. Oh, and J.C. Yang. 2011.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Korean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600 (in Korean).

47

So, S.K. and H.K. Song. 2012. A study on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condition of Bletilla striata population. Korean J. Environ. Ecol. 26(2):210-218.

48

Son, H.D., H.T. Im, and S.W. Choi. 2017. Study on the pollinator and pollination mechanism of an endangered orchid species, Sarcanthus scolopendrifolius Makino (Orchidaceae) in Korea. J. Apic. 32(3):199-203.

10.17519/apiculture.2017.09.32.3.199
49

Sun, E.M. 2023. Flora of Gwangju·Jeonnam area. Department of Biology, Ph.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 Korea. pp. 1-210 (in Korean).

50

Yun, J.H., J.H. Kim, K.H. Oh, and B.Y. Lee. 2011. Distributional change and climate condition of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Korea. Kor. J. Env. Eco. 25(1):47-56 (in Korean).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