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 April 2025. 208-246
https://doi.org/10.7732/kjpr.2025.38.2.208

ABSTRACT


MAIN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덕유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 종조성 현황

  •   멸종위기식물

  •   국가적색목록

  •   한국특산식물

  •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   외래식물 및 생태계교란식물

  •   유용식물

  •   기후변화 취약종의 현황

  •   기후변화 취약종의 수직적 분포

  •   선행연구와의 비교 및 종합

  •   덕유산국립공원 관속식물상의 의미와 보전 방안

  • 적 요

서 언

국립공원은 우리나라를 대표할 만한 자연생태계와 자연, 문화 경관의 보전을 전제로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고자 국가가 지정한 국가보호지역으로,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의 범주와 평가 기준에 따라 작성된 국가 적색목록멸종우려종의 약 56%가 분포하는 동·식물의 핵심 서식지이며(So et al., 2016), 국가생물다양성의 핫스팟이다. 이 중 덕유산국립공원은 1975년 2월 1일에 우리나라 국립공원 중 10번째로 지정되었으며, 행정구역상으로 전라북도 무주군과 장수군, 경상남도 거창군과 함양군 4개 군에 걸쳐 있고, 무주군 176.80 ㎢, 장수군 10.87 ㎢, 거창군 36.08 ㎢, 함양군 5.68 ㎢ 로, 전체 면적 229.43 ㎢ 중 국·공유지가 약 77%, 사유지가 약 18%, 종교용지가 약 4%의 비율로 구성된다(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20). 덕유산은 소백산맥 줄기의 소백산과 지리산의 중간에 위치하며, 향적봉(1,614 m)을 주봉으로 적상산(1,029 m), 중봉(1,595 m), 남덕유산(1,507 m)으로 이어져 있다. 덕유산국립공원은 한반도 식물의 지리적 분포를 바탕으로 구분된 식물구계 중·남부아구에 속하며(Lee and Yim, 1978), 식물군계로는 냉온대 남부에 속하는 지역으로 한반도 남부지역과 중부지역의 식물이 다양하게 출현하여 종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이며(Lee and Yim, 1978), 특히 향적봉에서 남덕유산으로 이어지는 산림지역은 아고산대 식생이 발달하며 기후변화에 취약한 북방계성 식물들이 분포하는 식물지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Park et al., 2005). 따라서 현재 국립공원공단은 덕유산국립공원의 자연생태계와 경관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을 지정하고, 멸종위기에 처한 식물의 보호와 관리, 기후변화에 대응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1).

덕유산국립공원의 식물상 선행연구는 Yook and Ahn (1972)이 360분류군을 기록한 것을 시작으로 Kim (1986)은 391분류군, Kil and Kim (1994)는 110과 795분류군, Yim et al. (1994)은 541분류군, Sun and Park (1999)는 395분류군, Lim et al. (2004)는 91과 411분류군, Park et al. (2005)은 90과 549분류군, Seo et al. (2011)은 멸종위기종 광릉요강꽃 군락지 7개 지역만 대상으로 식물상 조사 결과 56과 113분류군을, Lee et al. (2013)은 남덕유산지역의 관속식물 현황 102과 507분류군을 보고하였다. 이외에 덕유산국립공원의 식생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Kim et al., 2010; 2011; Moon, 2001), 국립공원 자원조사를 통해 국립공원별 상세 자연현황 및 종 목록 작성, 주요 생물종의 서식지 환경 보전과 교란지역의 구체적 관리 방안 등이 제시되고 있다(Korea National Park Service, 1993, 2004, 2011;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20)

덕유산국립공원은 전체적으로 신갈나무가 우점하며, 해발고도 1,300 m부터는 한대성 침엽수인 구상나무와 주목이 출현하여 정상부근에는 관목층이 형성되고(Kil and Kim, 1994), 주봉인 향적봉 부근은 식생이 우수하고 다수의 희귀식물이 분포하여 산림유전자원보호림으로 지정되어 있으나, 덕유산리조트 내 설천봉까지 설치된 케이블카로 인해 아고산대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져 탐방객 증가에 의한 답압 등 고지대 산림훼손 또한 심각한 실정이다(Park et al., 2005).

특정 지역의 식물상 연구는 종 다양성 현황 파악과 동시에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식물종들의 개화기 및 결실기에 대한 변화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종다양성을 기록할 수 있기에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다(Kang et al., 2022). 특히, 기후변화 취약종은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에 민감하여 분포의 변화가 빠르게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종을 의미하며,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을 특산식물, 북방계식물, 남방계식물로 구분하여 선정하였고(Oh et al., 2010), 이후 기후변화 취약 산림식물종 보전사업을 통해 북방계식물 63종, 남방계식물 37종, 관심종 50종 등 총 150종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Oh et al., 2013). 또한 Kim et al. (2017)은 가야산국립공원의 기후변화취약종에 관한 연구를 통해 북방계식물과 관심종을 중심으로 수직적 분포 특성과 보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조사는 국립공원공단에서 실시한 제4기 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의 일환으로, 덕유산국립공원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에 대한 면밀한 조사를 수행하여 증거표본과 사진정보를 근거로 정확한 관속식물상 현황 및 기후변화에 민감한 식물종의 수직적 분포 패턴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재까지 조사된 덕유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을 재검토하고, 중요 식물자원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과 종과 서식지의 보전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재료 및 방법

덕유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파악을 위하여 2020년 4월부터 10월까지 총 33회에 걸쳐서 현장조사가 수행되었다(Fig. 1, Table 1). 조사지역에서 관찰한 모든 식물들의 이미지와 정확한 좌표를 확보하기 위해 GPS 수신기(Sony GPS-CS3)와 디지털카메라(Nikon D5600; Panasonic GX85)를 이용하였으며, 정확한 동정을 위해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들의 증거표본을 제작하여 국립공원연구원 표본실에 보관하였다.

분류군의 정확한 동정은 Lee (1996, 2003, 2006) 등의 도감을 이용하였고, 양치식물은 Korean Fern Society (2005), Park et al. (2008), Lee and Lee (2015), 벼과와 사초과는 Cho et al. (2016), Park et al. (2011)의 문헌을, 곡정초과 및 골풀과는 Korea National Arboretum (2019)를 참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관속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식물목록은 Engler의 분류체계를 따랐으며, 학명은 국가생물종목록(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9)을 기준으로 작성하였고 필요시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22a, 2022b)을 참조하였다. 아울러, 멸종위기야생식물(Ministry of Environment, 2022), 국가적색목록(식물)(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1), 한국특산식물(Chung et al., 2023),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Kim et al., 2018), 외래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22a; Lee et al., 2011; Park, 2009) 및 생태계교란 생물(Ministry of Environment, 2023), 유용자원식물(Lee, 1976; Korea Forest Service, 2014), 기후변화 취약식물(Oh et al., 2010; Oh et al., 2013) 등을 파악하였다. 또한 외래식물 현황을 근거로 덕유산국립공원 지역의 귀화율[Naturalization Index: 조사된 외래식물의 종 수 / 출현식물의 총 종 수 × 100]과 도시화지수[Urbanization Index: 조사된 외래식물의 종 수 / 남한의 외래식물 총 종 수(427) × 100]를 산출하여 우리나라 산지의 평균 귀화율(Kim et al., 2000)과 비교하였다.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5-038-02/N0820380207/images/kjpr_2025_382_208_F1.jpg
Fig. 1.

Investigated area of Deogyusan National Park.

Table 1.

Investigation dates and routes of Deogyusan National Park.

No. Date Investigation route
1 28 Apr, 2020 ▪ Modumakgol valley
▪ Baengnyeonsa temple→Hyangjeokbong→Seolcheonbong
2 29 Apr, 2020 ▪ Jeoksangho reservoir
▪ Mupung-myeon Samgeo-ri
3 26 May, 2020 ▪ Jeoksang-myeon Goemok-ri
4 27 May, 2020 ▪ Muju Deogyusan resort
▪ Seolshenbong→Hyangjeokbong
5 28 May, 2020 ▪ Jeoksang lake→Anguk temple
▪ Gongjeon-ri area→Chiryeon waterfalls
6 29 May, 2020 ▪ Shimgok-ri, Muju deogyusan resort
7 3 Jun, 2020 ▪ Chimok→Goemok-ri area
8 4 Jun, 2020 ▪ Seolcheonbong→Jungbong→Baegambong→Dongyeopryeong
9 5 Jun, 2020 ▪ Shimgok-ri area, Majeonjae
10 8 Jun, 2020 ▪ Samgeo-ri area
11 9 Jun, 2020 ▪ Wolseong→Wolseongjae
▪ Dugil-ri area
▪ Simgok-ri area
12 10 Jun 2020 ▪ Simgok-ri, Muju-gun
13 30 Jun 2020 ▪ Dugil-ri, Muju-gun (Weolhyeon Village)
14 1 Jul 2020 ▪ Gongjeong-ri, Muju-gun (Anseong trail~Dongyeopryeong)
15 2 Jul 2020 ▪ Jukcheon-ri, Muju-gun
▪ Byeonggok-ri, Geochang-gun (Dongyeopryeong)
16 3 Jul 2020 ▪ Goemok-ri, Muju-gun
17 1 Sep 2020 ▪ Samgeo-ri, Muju-gun
18 2 Sep 2020 ▪ Bukchang-ri, Muju-gun (Jeoksangsanseong Fortress)
▪ Simgok-ri, Muju-gun (Deogyusan resort)
▪ Goemok-ri, Muju-gun
▪ Jeoksang-myeon, Muju-gun (Mt. Jeoksang)
19 3 Sep 2020 ▪ Goemok-ri, Muju-gun
▪ Samggong-ri, Muju- gun (Plant conservation center)
20 4 Sep 2020 ▪ Simgok-ri, Muju-gun
21 23 Sep 2020 ▪ Wolseong-ri, Geochang-gun (Hwangjeong village→Satgatjae)
22 24 Sep 2020 ▪ Wolseong-ri, Geochang-gun (Satgatjae→Yeonggaksa temple)
23 25 Sep 2020 ▪ Chimok→Goemok-ri area
24 9 Oct 2020 ▪ Wolseong-ri, Geochang-gun (Satgatjae)
25 10 Oct 2020 ▪ Wolseong-ri, Geochang-gun
26 11 Oct 2020 ▪ Samgeo-ri, Muju-gun (Seolcheonbong)
▪ Samgeo-ri, Muju-gun (Hyangjeokbong)
27 13 Oct 2020 ▪ Wolseong-ri, Geochang-gun
28 14 Oct 2020 ▪ Simgok-ri, Muju-gun
▪ Goemok-ri, Muju-gun
▪ Jukcheon-ri, Muju-gun (Myeongcheon lake)
29 15 Oct 2020 ▪ Simgok-ri, Muju-gun (Deogyunsan resort)
▪ Goemok-ri, Muju-gun
30 16 Oct 2020 ▪ Goemok-ri, Muju-gun (farm)
31 23 Oct 2020 ▪ Dugil-ri, Muju-gun
32 24 Oct 2020 ▪ Wolseong-ri, Muju-gun (Wolseong valley)
33 25 Oct 2020 ▪ Samgong-ri, Muju-gun (Gucheondong valley)

결과 및 고찰

덕유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 종조성 현황

본 조사에서 확인된 덕유산국립공원일대의 전체 관속식물은 123과 396속 687종 13아종 46변종 2품종의 총 748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양치식물은 14과 50분류군(6.7%), 나자식물은 5과 12분류군이었으며(1.6%), 피자식물의 단자엽식물은 14과 154분류군(20.6%), 쌍자엽식물은 90과 532분류군(71.1%)으로, 이는 한반도 관속식물 4,641분류군(https://species.nibr.go.kr/index.do)의 16.1%에 해당한다. 과별 종구성은 국화과가 80분류군(10.7%)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벼과 54분류군(7.2%), 백합과 35분류군(4.7%), 장미과 및 사초과 32분류군(4.3%), 콩과 30분류군(4.0%) 순으로 확인되었다(Appendix 1).

Table 2.

Summary of the floristics of Deogyusan National Park.

Taxa Family Genus Species Subspecies Variety Forma Total Ratio (%)
Pteridophyta 14 23 46 - 4 - 50 6.7
Gymnospermae 5 8 12 - - - 12 1.6
Angiospermae 104 365 629 13 42 2 686 91.7
Dicotyledons 90 278 481 13 36 2 532 71.1
Monocotyledons 14 87 148 - 6 - 154 20.6
Total 123 396 687 13 46 2 748 100.0

멸종위기식물

멸종위기야생생물(식물)은 I급인 광릉요강꽃(Cypripedium japonicum Thunb.) 1분류군, II급에 해당하는 식물로는 날개하늘나리(Lilium dauricum Ker Gawl.), 복주머니란(Cypripedium macranthos Sw.), 세뿔투구꽃(Aconitum austrokoreense Koidz.) 3분류군 등 총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Fig. 2, Table 3). 광릉요강꽃(Fig. 2C)은 덕유산국립공원 안성 특별보호구역 일원에 약 200여 개체가 생육하고 있으며, 국내 소수의 자생집단 중 최대 군락지로 알려져 있다. 광릉요강꽃 보전전략 수립의 기초자료 확보를 위한 집단 유전 연구(Tian et al., 2018) 및 염색체학적 분석이 수행되었으며(Choi et al., 2021), 광릉요강꽃 군락지 내 관속식물상 연구(Seo et al., 2011), 개체군 구조 및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Lee et al., 2021). 덕유산국립공원 자연집단의 개체군 크기가 비교적 크고 개체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지만 인위적 남획 위협과 기후변화 등 자연적 위협요인이 상시 존재하므로 지속적인 개체수 및 서식지 환경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날개하늘나리(Fig. 2F)와 복주머니란(Fig. 2L)은 향적봉~중봉~동엽령으로 이어지는 능선부 초지대에 소수의 개체가 특별보호구역 내에 분포하여 절멸의 위협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적극적인 보전계획이 필요하다. 세뿔투구꽃(Fig. 2O) 자생지역은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지속적으로 보전하고 있으나 주변식생의 피압과 피음의 영향으로 소수 개체만 개화하여 체계적인 분포환경 분석과 유전적 다양성을 높일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6). 덕유산국립공원내에 생육하는 멸종위기 4종(광릉요강꽃, 날개하늘나리, 복주머니란, 세뿔투구꽃; Fig. 3)은 국립공원의 지속적인 관리가 수행되어 탐방객에 의한 훼손은 없을 것으로 판단되나 기후변화에 따른 자생지 내 개체군의 감소, 관상적 가치에 의한 인위적 훼손이 우려되므로 본 종들에 대한 현지 내·외의 보존과 동시에 화분 생식력이 높은 개체들의 종자 확보와 같은 적극적인 보전대책이 필요하다.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5-038-02/N0820380207/images/kjpr_2025_382_208_F2.jpg
Fig. 2.

Some remarkable taxa in Deogyusan National Park. A.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B. Pseudostellaria okamotoi Ohwi. C. Cypripedium japonicum Thunb. D. Heloniopsis tubiflora S. Fuse, N.S. Lee & M.N. Tamura. E. Maianthemum bicolor (Nakai) Cubey. F. Lilium dauricum Ker Gawl. G. Hemerocallis middendorffii Trautv. & C.A. Mey. H. Rhododendron tschonoskii Maxim. I. Saxifraga oblongifolia Nakai. J. Impatiens atrosanguinea (Nakai) B.U. Oh & Y.P. Hong. K. Cimicifuga austrokoreana H.W. Lee & C.W. Park. L. Cypripedium macranthos Sw. M. Parasenecio pseudotamingasa (Nakai) B.U. Oh. N. Bupleurum euphorbioides Nakai. O. Aconitum austrokoreense Koidz. P. Fallopia koreana B.U. Oh & J.G. Kim.

Table 3.

List of the endangered plants of Korea in Deogyusan National Park.

No Family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Degree
1 Orchidaceae Cypripedium japonicum Thunb. 광릉요강꽃
2 Liliaceae Lilium dauricum Ker Gawl. 날개하늘나리
3 Orchidaceae Cypripedium macranthos Sw. 복주머니란
4 Ranunculaceae Aconitum austrokoreense Koidz. 세뿔투구꽃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5-038-02/N0820380207/images/kjpr_2025_382_208_F3.jpg
Fig. 3.

The distribution map of endangered plants of Korea in Deogyusan National Park.

국가적색목록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 평가기준 및 범주에 따라 작성된 환경부 국가생물적색자료집(관속식물)에 따르면(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1) 위기종(endangered, EN)은 가문비나무(Picea jezoensis (Siebold & Zucc.) Carriére), 구상나무(Abies koreana E.H. Wilson), 광릉요강꽃, 날개하늘나리 4종, 취약종(vulnerable, VU)은 복주머니란, 등대시호(Bupleurum euphorbioides Nakai) 2종이며, 준위협종(near threatened, NT)은 모데미풀(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세뿔투구꽃 2종, 관심대상종(least concern, LC)은 어리병풍(Parasenecio pseudotamingasa (Nakai) B.U. Oh), 삼도하수오(Fallopia koreana B.U. Oh & J.G. Kim), 개회나무(Syringa reticulata subsp. amurensis (Rupr.) P.S. Green & M.C. Chang), 뻐꾹나리(Tricyrtis macropoda Miq.), 백작약(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물들메나무(Fraxinus chiisanensis Nakai), 선백미꽃(Cynanchum inamoenum (Maxim.) Loes.), 세잎종덩굴(Clematis koreana Kom.), 흰참꽃(Rhododendron tschonoskii Maxim.), 자주솜대(Maianthemum bicolor (Nakai) Cubey), 참배암차즈기(Salvia chanryoenica Nakai) 11종이 확인되었다(Table 4). 앞서 언급된 멸종위기종을 제외하면 가문비나무가 해발 1,400 m 이상의 고지대 능선부 및 향적봉에서 중봉 구간의 능선부에 소수의 개체가 생육하고 있었다. 준위협종(VU)인 모데미풀(Fig. 2A)은 미나리아재비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한국 고유속인 모데미풀속(Megaleranthis)에 속하는 1종의 특산식물로 보존가치가 높다.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에 생육하고 있으며, 덕유산의 갈미봉 북측 모두막골 계곡에 소규모 군락이 확인되었다. 최소관심종(LC)인 백작약은 동엽령과 삿갓봉의 서측 능선과 모두막골 계곡에서 확인되었으며, 선백미꽃은 동엽령 남쪽의 능선부에서 조사되었다. 어리병풍, 흰참꽃, 자주솜대, 뻐꾹나리는 계곡가와 능선부를 중심으로 안정된 개체군을 유지하고 있었다.

Table 4.

List of the red list plants of Korea in Deogyusan National Park.

No Family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Degree
1 Pinaceae Picea jezoensis (Siebold & Zucc.) Carriére 가문비나무 EN
2 Pinaceae Abies koreana E.H. Wilson 구상나무 EN
3 Orchidaceae Cypripedium japonicum Thunb. 광릉요강꽃 EN
4 Liliaceae Lilium dauricum Ker Gawl. 날개하늘나리 EN
5 Apiaceae Bupleurum euphorbioides Nakai 등대시호 VU
6 Orchidaceae Cypripedium macranthos Sw. 복주머니란 VU
7 Ranunculaceae Aconitum austrokoreense Koidz. 세뿔투구꽃 NT
8 Ranunculaceae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모데미풀 NT
9 Ranunculaceae Clematis koreana Kom. 세잎종덩굴 LC
10 Polygonaceae Fallopia koreana B.U. Oh & J.G. Kim 삼도하수오 LC
11 Paeoniaceae 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백작약 LC
12 Ericaceae Rhododendron tschonoskii Maxim. 흰참꽃 LC
13 Asclepiadaceae Cynanchum inamoenum (Maxim.) Loes. 선백미꽃 LC
14 Lamiaceae Salvia chanryoenica Nakai 참배암차즈기 LC
15 Oleaceae Fraxinus chiisanensis Nakai 물들메나무 LC
16 Oleaceae Syringa reticulata subsp. amurensis (Rupr.) P.S. Green & M.C. Chang 개회나무 LC
17 Asteraceae Parasenecio pseudotamingasa (Nakai) B.U. Oh 어리병풍 LC
18 Liliaceae Maianthemum bicolor (Nakai) Cubey 자주솜대 LC
19 Liliaceae Tricyrtis macropoda Miq. 뻐꾹나리 LC

한국특산식물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과 나고야의정서 발효에 따른 생물주권이 전 세계적으로 강화되면서 한반도 고유식물의 체계적인 관리 필요성이 국가적으로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Paik, 1999; Oh et al., 2005; Kim et al., 2009; Chung et al., 2017; Chung et al., 2023). 덕유산국립공원일대의 한국특산식물은 구상나무, 금오족도리풀(Asarum patens (Yamaki) M. Kim & S. So), 나제승마(Cimicifuga austrokoreana H.W. Lee & C.W. Park), 가야물봉선(Impatiens atrosanguinea (Nakai) B.U. Oh & Y.P. Hong), 어리병풍, 자란초(Ajuga spectabilis Nakai), 미치광이풀(Scopolia japonica Maxim.) 등 31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한반도 전체 특산식물 373분류군 중 8.3%에 해당한다(Table 5). 금오족도리풀은 1996년 경북 금오산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어 신종으로 기재되었으며, 족도리풀에 비해 꽃받침 열편이 편평하고 화주돌기가 길며, 화주돌기의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특징으로 구분된다(So and Kim, 2008). 그간 덕유산 일대에는 족도리풀 1종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본 조사를 통해 해발 1,000 m 이하인 중·저지대에는 금오족도리풀이 넓게 분포하고, 1,000 m 이상인 고지대에는 족도리풀이 드물게 생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야물봉선(Fig. 2J)은 가야산에서 처음 확인되어 기재된 종으로 물봉선에 비해 생식기관이 짙은 자주색이며 크기도 작아 구분된다(Han et al., 2022; Oh et al., 2016). 특히 한반도에서 가야산과 덕유산이 가야물봉선의 주분포지이며, 덕유산의 모두막골 일대를 비롯한 해발 1,000 m 이하의 중·저지대 계곡부에 비교적 큰 군락을 이룬다. 덕유산을 중심으로 인근의 민주지산, 지리산에 한정적으로 분포하는 종은 나제승마, 삼도하수오, 물들메나무, 숙은처녀치마(Heloniopsis tubiflora S. Fuse, N.S. Lee & M.N. Tamura), 지리산개별꽃(Pseudostellaria okamotoi Ohwi), 어리병풍 등이 있다(Table 5). 나제승마(Fig. 2K)는 촛대승마(Cimicifuga simplex (DC.) Wormsk. ex Turcz.)와 비슷하지만 식물체가 비교적 작고, 꽃차례가 활처럼 휘며, 작은꽃자루의 길이가 짧고, 작은꽃자루당 소포편의 수가 2개인 점으로 구분한다. 나제승마는 모두막골, 삿갓봉 인근의 계곡가에서 확인하였다. 삼도하수오(Fig. 2P)는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의 경계지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삼도하수오라는 국명이 붙여졌다. 삼도하수오는 왼쪽으로 감기는 줄기, 돌출된 주두 표면, 뒤틀린 열매, 1차 분지하는 수상화서, 털이 거의 없는 화경, 미약하게 발달된 화피의 날개 등으로 근연종과 구분된다(Oh and Kim, 1996). 삼도하수오는 설천봉에서 향적봉으로 향하는 능선부에 다수의 개체를 확인하였다. 물들메나무는 덕유산, 지리산 등을 중심으로 하는 중남부지방에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종으로 들메나무에 비해 소엽의 수가 적고, 겨울눈에 인편이 없는 나아(裸芽)인 점이 특징이다. 향적봉에서 남덕유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의 사면과 계곡부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숙은처녀치마는 처녀치마에 비해 잎의 폭이 좁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고산 지대에 생육하며 무룡산 능선부 서측 사면과 향적봉대피소 주변에서 확인하였다. 지리산개별꽃(Fig. 2B)은 덕유산, 백운산, 가야산, 지리산 등에 분포하는 종으로 소화경에 1–2줄의 털이 있으며, 결실기에 소화경이 길어져 줄기 기부로 쳐지는 특징이 있다(Jo and Kim, 2019). 지리산개별꽃은 모두막골 모데미풀 군락 속에 섞여 자라고 있었다. 어리병풍(Fig. 2M)은 덕유산을 비롯하여, 주흘산, 백운산, 지리산 등 주로 남부지방에 분포하는 종이다. 병풍쌈에 비해 키가 작고(60–100 ㎝), 잎의 지름이 작다(27–32 ㎝). 덕유산 삿갓봉 인근의 사면 및 계곡부에 산발적으로 생육하고 있었다.

Table 5.

List of the Korean endemic plants in Deogyusan National Park.

No Family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1 Pinaceae Abies koreana E. H. Wilson 구상나무
2 Aristolochiaceae Asarum patens (Yamaki) M. Kim & S. So 금오족도리풀
3 Ranunculaceae Aconitum austrokoreense Koidz. 세뿔투구꽃
4 Ranunculaceae Aconitum pseudolaeve Nakai 진범
5 Ranunculaceae Cimicifuga austrokoreana H. W. Lee & C. W. Park 나제승마
6 Ranunculaceae Clematis trichotoma Nakai 할미밀망
7 Ranunculaceae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모데미풀
8 Ranunculaceae Thalictrum actaefolium var. brevistylum Nakai 은꿩의다리
9 Caryophyllaceae Pseudostellaria okamotoi Ohwi 지리산개별꽃
10 Polygonaceae Fallopia koreana B.U. Oh & J. G. Kim 삼도하수오
11 Theaceae Stewartia koreana Nakai ex Rehder 노각나무
12 Violaceae Viola seoulensis Nakai 서울제비꽃
13 Brassicaceae Cardamine amaraeformis Nakai 꽃황새냉이
14 Saxifragaceae Chrysosplenium barbatum Nakai 흰털괭이눈
15 Fabaceae Vicia hirticalycina Nakai 나래완두
16 Balsaminaceae Impatiens atrosanguinea (Nakai) B.U. Oh & Y. P. Hong 가야물봉선
17 Solanaceae Scopolia japonica Maxim. 미치광이풀
18 Lamiaceae Ajuga spectabilis Nakai 자란초
19 Lamiaceae Salvia chanryoenica Nakai 참배암차즈기
20 Oleaceae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개나리
21 Oleaceae Fraxinus chiisanensis Nakai 물들메나무
22 Diervillaceae Weigela subsessilis (Nakai) L. H. Bailey 병꽃나무
23 Asteraceae Cirsium setidens (Dunn) Nakai 고려엉겅퀴
24 Asteraceae Parasenecio pseudotamingasa (Nakai) B.U. Oh 어리병풍
25 Asteraceae Saussurea rorinsanensis Nakai 털분취
26 Asteraceae Saussurea seoulensis Nakai 분취
27 Cyperaceae Carex okamotoi Ohwi 지리대사초
28 Liliaceae Heloniopsis tubiflora S. Fuse, N. S. Lee & M.N. Tamura 숙은처녀치마
29 Liliaceae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백운산원추리
30 Liliaceae Maianthemum bicolor (Nakai) Cubey 자주솜대
31 Dioscoreaceae Dioscorea coreana (Prain & Burkill) R. Knuth 푸른마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지역별로 식물분포의 고유성과 유사성을 평가하는 식물구계는(Takhtadzhian, 1988), 한반도를 8개의 아구와 식물의 분포범위에 따라 5개의 등급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Kim, 2000; Lee and Yim, 1978), 자연환경 평가를 위한 국내 주요 분류군들의 보존 우선 순위 결정에 기여하고 있다(Kim et al., 2018). 덕유산국립공원 일대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1,476분류군으로 정리된 목록(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중 총 158분류군으로 전체 소산식물의 21.1%에 해당하였으며, 이 중 정밀조사종에 해당되는 III-V등급 식물은 총 57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6). 등급별로는 V등급에 광릉요강꽃, 날개하늘나리, 복주머니란, 세뿔투구꽃, 지리개관중(Polystichum ovato-paleaceum (Kodama) Sa. Kurata) 5분류군, IV등급에 나제승마, 큰쐐기풀(Girardinia diversifolia subsp. suborbiculata (C.J. Chen) C.J. Chen & Friis), 흰참꽃, 참바위취(Saxifraga oblongifolia Nakai), 등대시호 등 11분류군, III등급은 개회나무(Syringa reticulata subsp. amurensis (Rupr.) P.S. Green & M.C. Chang), 지리산개별꽃, 덩굴박주가리(Cynanchum nipponicum Matsum.) 등 41분류군, II등급 식물로는 다람쥐꼬리(Huperzia miyoshiana (Makino) Ching), 꿩고비(Osmunda cinnamomea L.), 자란초, 자주솜대(Maianthemum bicolor (Nakai) Cubey), 큰참나물(Cymopterus melanotilingia (H. Boissieu) C.Y. Yoon) 등 51분류군, I등급에 투구꽃(Aconitum jaluense Kom.), 흰진범(Aconitum longecassidatum Nakai), 홍지네고사리(Dryopteris erythrosora (D.C. Eaton) Kuntze) 등 50분류군이 포함된다(Table 6).

Table 6.

List of the fifth- to third-degree taxa floristic regional plants of Deogyusan National Park.

No Family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Degree
1 Dryopteridaceae Polystichum ovato-paleaceum (Kodama) Sa. Kurata 지리개관중
2 Liliaceae Lilium dauricum Ker Gawl. 날개하늘나리
3 Orchidaceae Cypripedium japonicum Thunb. 광릉요강꽃
4 Orchidaceae Cypripedium macranthos Sw. 복주머니란
5 Ranunculaceae Aconitum austrokoreense Koidz. 세뿔투구꽃
6 Apiaceae Bupleurum euphorbioides Nakai 등대시호
7 Asteraceae Parasenecio firmus (Kom.) Y. L. Chen 병풍쌈
8 Asteraceae Parasenecio pseudotamingasa (Nakai) B.U. Oh 어리병풍
9 Caprifoliaceae Lonicera chrysantha Turcz. ex Ledeb. 각시괴불나무
10 Ericaceae Rhododendron tschonoskii Maxim. 흰참꽃
11 Fabaceae Wisteria floribunda (Willd.) DC.
12 Lamiaceae Salvia chanryoenica Nakai 참배암차즈기
13 Liliaceae Hemerocallis middendorffii Trautv. & C. A. Mey. 큰원추리
14 Ranunculaceae Cimicifuga austrokoreana H. W. Lee & C. W. Park 나제승마
15 Saxifragaceae Saxifraga oblongifolia Nakai 참바위취
16 Urticaceae Girardinia diversifolia subsp. suborbiculata (C. J. Chen) C. J. Chen & Friis 큰쐐기풀
17 Aceraceae Acer barbinerve Maxim. 청시닥나무
18 Aceraceae Acer komarovii Pojark. 시닥나무
19 Aceraceae Acer mandshuricum Maxim. 복장나무
20 Aceraceae Acer palmatum Thunb. 단풍나무
21 Aceraceae Acer ukurunduense Trautv. & C. A. Mey. 부게꽃나무
22 Aceraceae Angelica gigas Nakai 당귀
23 Asclepiadaceae Cynanchum inamoenum (Maxim.) Loes. 선백미꽃
24 Asclepiadaceae Cynanchum nipponicum Matsum. 덩굴박주가리
25 Asteraceae Parasenecio auriculatus var. kamtschaticus (Maxim.) H. Koyama 나래박쥐나물
26 Athyriaceae Diplazium sibiricum var. glabrum (Tagawa) Sa. Kurata 민두메고사리
27 Athyriaceae Diplazium squamigerum (Mett.) C. Hope 내장고사리
28 Betulaceae Betula chinensis Maxim. 개박달나무
29 Betulaceae Betula costata Trautv. 거제수나무
30 Betulaceae Betula dahurica Pall. 물박달나무
31 Betulaceae Betula schmidtii Regel 박달나무
32 Brassicaceae Cardamine amaraeformis Nakai 꽃황새냉이
33 Caryophyllaceae Pseudostellaria okamotoi Ohwi 지리산개별꽃
34 Dipsacaceae Scabiosa tschiliensis Grüning 솔체꽃
35 Ericaceae 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Nakai) Kitam. 산앵도나무
36 Geraniaceae Geranium eriostemon Fisch. ex Dc. 꽃쥐손이
37 Grossulariaceae Ribes mandshuricum (Maxim.) Kom. 까치밥나무
38 Grossulariaceae Ribes maximowiczianum Kom. 명자순
39 Liliaceae Maianthemum bicolor (Nakai) Cubey 자주솜대
40 Oleaceae Fraxinus chiisanensis Nakai 물들메나무
41 Oleaceae Syringa reticulata subsp. amurensis (Rupr.) P. S. Green & M. C. Chang 개회나무
42 Pinaceae Abies koreana E. H. Wilson 구상나무
43 Pinaceae Picea jezoensis (Siebold & Zucc.) Carriére 가문비나무
44 Polygonaceae Fallopia koreana B.U. Oh & J. G. Kim 삼도하수오
45 Ranunculaceae Actaea asiatica H. Hara 노루삼
46 Ranunculaceae Clematis koreana Kom. 세잎종덩굴
47 Ranunculaceae Eranthis stellata Maxim. 너도바람꽃
48 Ranunculaceae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모데미풀
49 Rhamnaceae Rhamnus ussuriensis J.-J. Vassal 참갈매나무
50 Rosaceae Potentilla cryptotaeniae Maxim. 물양지꽃
51 Rosaceae Prunus sargentii Rehder 산벚나무
52 Rosaceae Sanguisorba hakusanensis Makino 산오이풀
53 Rosaceae Spiraea fritschiana C. K. Schneid. 참조팝나무
54 Sapindaceae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모감주나무
55 Scrophulariaceae Pseudolysimachion kiusianum (Furumi) Holub 넓은잎꼬리풀
56 Solanaceae Scopolia japonica Maxim. 미치광이풀
57 Theaceae Stewartia koreana Nakai ex Rehder 노각나무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멸종위기종, 적색목록 위급종(CR), 위기종(EN), 취약종(VU), 한국특산식물을 제외하고 중요하게 취급되거나 분류학적 이견이 있는 종은 지리개관중, 큰쐐기풀, 참바위취, 병풍쌈, 큰원추리 등이다. 지리개관중(Polystichum ovato-paleaceum (Kodama) Sa. Kurata)은 참나도히초미에 비해 중축 하부의 인편이 광난형인 점을 제외하고는 다른 특징이 없기 때문에 분류학적 검토가 요구되는 종이다(Lee and Lee, 2015). 지리개관중은 모두막골과 월성재 하부 탐방로 변에서 소수의 개체가 산발적으로 생육하고 있었다. 큰쐐기풀은 혹쐐기풀에 비해 암꽃 화피가 3개는 붙어 있고, 1개는 선형이거나 없으므로 다르다(Lee, 2003). 혹쐐기풀은 숲속의 돌 틈이나 개울가의 습한 곳에 자란다고 알려져 있는데 덕유산에서도 산지 계곡가의 돌 틈에 생육하고 있었다. 참바위취(Fig. 2I)는 높은 산 고산지대에 바위에 자라는 종으로 바위떡풀에 비해 잎이 타원형으로 길쭉하며, 잎 가장자리의 톱니가 불규칙하다. 모두막골을 비롯한 향적봉, 무룡산의 능선과 사면부에 생육하고 있었다. 병풍쌈(Parasenecio firmus (Kom.) Y. L. Chen)은 어리병풍에 비해 키가 대형이고(1–2 m), 잎의 지름이 더 넓다(35–100 ㎝). 병풍쌈은 안성탐방지원센터에서 동엽령으로 향하는 탐방로 주변에서 확인하였다. 큰원추리(Hemerocallis middendorffii Trautv. & C. A. Mey.)는 덕유산의 덕유평전을 대표하는 원추리속 식물로 포가 화경 끝에 구형으로 모여 있으며, 포의 재질이 혁질인 점으로 속내 분류군과 구별된다(Hwang and Kim, 2012). 큰원추리(Fig. 2G)는 덕유산 능선부를 비롯하여 햇볕이 잘 들어오는 양지바른 사면에 분포하였다.

외래식물 및 생태계교란식물

외래식물(alien plants)은 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 L.), 가는털비름(Amaranthus patulus Bertol.), 유럽점나도나물(Cerastium glomeratum Thuill.), 가는잎한련초(Eclipta alba (L.) Hass.) 등을 포함한 총 40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국화과 식물이 15분류군(37.5%)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Fig. 4, Table 7). 덕유산국립공원일대 관속식물 결과에 대한 귀화율(Naturalization Index)은 5.3%로 산출되었고, 도시화지수(Urbanization Index)는 9.4%로 산출되어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평균 도시화지수(6.84%)보다 높은 수치가 나타났고, 우리나라 산지의 평균귀화율(4.4%) 보다 높게 나타나(Kim et al., 2000), 외래식물의 확산 방지를 위한 추가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덕유산국립공원일대의 외래식물이 주로 관찰되었던 조사지역은 국립공원 경계지역, 민가 또는 농경지 인접지역, 산림 내 임도 주변, 저지대의 탐방로 주변, 특히 덕유산리조트 주변이었으며, 산림이 잘 보존되어 있는 계곡 및 사면에서는 외래식물이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설천봉–향적봉 구간 탐방로 주변 훼손지 복원 사업 등으로 서양민들레, 돌소리쟁이 등의 외래식물이 침입하여 생육하고 있어 추후 시설 공사 진행 시 별도의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Fig. 4).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5-038-02/N0820380207/images/kjpr_2025_382_208_F4.jpg
Fig. 4.

The distribution map of ecosystem disturbance plants of Korea in Deogyusan National Park.

생태계교란식물(ecosystem disturbance plants)은 생태계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의 우려가 있는 생물종으로(Ministry of Environment, 2023) 덕유산국립공원 일대에는 애기수영(Rumex acetosella L.),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L.), 미국쑥부쟁이(Aster pilosus Willd.), 서양금혼초(Hypochaeris radicata L.), 가시상추(Lactuca scariola L.), 환삼덩굴(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총 6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7). 생태계교란식물이 출현한 지점은 주로 산림 내 식생이 발달된 곳이 아닌 저수지 주변 나지, 덕유산 리조트 골프장 및 슬로프 주변, 도로변 마을 인근 초지 등의 특성으로 일부 교란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생태계교란식물 다수가 높은 비율의 종자 생산, 높은 발아율, 빠른 초기 생장성 등의 특징을 보이기 때문에 방제에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Jang et al., 2019; Oh et al., 2011). 따라서 덕유산국립공원일대에서 확인된 생태계교란식물이 인위적 조성지에 비록 분포하고 있을지라도 공원지역 내 또는 인접지역으로 급속하게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별 생육특성에 따른 방제 시기 및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Han et al., 2022).

Table 7.

List of alien plants and ecosystem disturbance wild plants of Korea in Deogyusan National Park.

No Family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1 Phytolaccaceae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2 Amaranthaceae Amaranthus patulus Bertol. 가는털비름
3 Caryophyllaceae Cerastium glomeratum Thuill. 유럽점나도나물
4 Caryophyllaceae Stellaria media (L.) Vill. 별꽃
5 Polygonaceae Rumex acetosella L. 애기수영
6 Polygonaceae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7 Polygonaceae Rumex obtusifolius L. 돌소리쟁이
8 Brassicaceae Barbarea vulgaris R. Br. 유럽나도냉이
9 Fabaceae Lespedeza thunbergii subsp. formosa (Vogel) H. Ohashi 중국풀싸리
10 Fabaceae Medicago sativa L. 자주개자리
11 Fabaceae Trifolium pratense L. 붉은토끼풀
12 Fabaceae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13 Onagraceae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14 Euphorbiaceae Euphorbia hypericifolia L. 큰땅빈대
15 Euphorbiaceae Euphorbia maculata L. 애기땅빈대
16 Oxalidaceae Oxalis dillenii Jacq. 들괭이밥
17 Solanaceae Solanum americanum Mill. 미국까마중
18 Solanaceae Solanum nigrum L. 까마중
19 Convolvulaceae Cuscuta campestris Yunck. 미국실새삼
20 Scrophulariaceae Lindernia dubia (L.) Pennell 미국외풀
21 Scrophulariaceae Veronica arvensis L. 선개불알풀
22 Asteraceae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23 Asteraceae Aster pilosus Willd. 미국쑥부쟁이
24 Asteraceae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25 Asteraceae Carduus crispus L. 지느러미엉겅퀴
26 Asteraceae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27 Asteraceae Eclipta alba (L.) Hass. 가는잎한련초
28 Asteraceae Eclipta prostrata (L.) L. 한련초
29 Asteraceae Erechtites hieracifolia (L.) Raf. ex DC. 붉은서나물
30 Asteraceae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31 Asteraceae Erigeron strigosus (A. Gray) Muhl. ex Willd. 주걱개망초
32 Asteraceae Galinsoga quadriradiata Ruiz & Pav. 털별꽃아재비
33 Asteraceae Hypochaeris radicata L. 서양금혼초
34 Asteraceae Lactuca scariola L. 가시상추
35 Asteraceae Senecio vulgaris L. 개쑥갓
36 Asteraceae Taraxacum officinale F.H. Wigg. 서양민들레
37 Poaceae Anthoxanthum odoratum L. 향기풀
38 Poaceae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39 Poaceae Eragrostis curvula (Schrad.) Nees 능수참새그령
40 Poaceae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etc Cannabaceae Humulus japonicus Sieboldii & Zucc. 환삼덩굴

Ecosystem disturbance plant.

Humulus japonicus Sieboldii & Zucc. is an ecosystem disturbance plant but not an alien plant.

유용식물

덕유산국립공원 일대에서 관찰된 분류군들의 자원식물 구분 비교 결과(Korea Forest Service, 2014), 식용(Edible plants, E) 474분류군(63.4%), 약용 (Medicinal plants, M) 578분류군(77.3%), 향료용(Fragrant plants, FR) 22분류군(2.9%), 산업용(Industrial plants, I) 269분류군(36.0%), 관상용(Ornamental plants, O) 396분류군(52.9%), 생태복원용(plants for Ecological Restoration, R) 258분류군(34.5%), 사료 및 퇴비용(Forage/Compost plants, FC) 294분류군(39.3%)으로 총 698분류군의 유용식물이 집계되었다(Fig. 5).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5-038-02/N0820380207/images/kjpr_2025_382_208_F5.jpg
Fig. 5.

Usefulness of vascular plants in Deogyusan National Park.

기후변화 취약종의 현황

기후변화 취약 산림식물(Oh et al., 2013)은 총 43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Table 8), 북방계식물은 등대시호, 자주솜대, 부게꽃나무(Acer ukurunduense Trautv. & C. A. Mey.) 등 15분류군(34.9%)이 포함되며, 이 중 가문비나무, 나도개감채(Lloydia triflora (Ledeb.) Baker), 자주솜대(Fig. 2E)는 설천봉–향적봉 구간 해발 1,400 m 이상인 지역에 분포하며, 등대시호(Fig. 2N)와 흰참꽃(Fig. 2H)은 남덕유산 정상부근의 해발 1,300 m 이상인 지역에 분포하여 이들 북방계식물은 온난화 등 기후변화에 따른 서식지 쇠퇴 및 개체수 감소가 우려된다. 남방계식물은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Nakai ex Rehder), 미치광이풀, 진범(Aconitum pseudolaeve Nakai) 3분류군(7.0%)으로 향후 개체군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관심종은 복수초(Adonis amurensis Regel & Radde), 산벚나무(Prunus sargentii Rehder),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ume) 등 25분류군(58.1%)으로 나타났으며, 조사지역 내 분포 및 개체수가 비교적 풍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관심종 중 식재종인 개나리, 무궁화, 원추리, 은행나무, 일본잎갈나무를 제외하면 덕유산국립공원에 자생하는 기후변화 취약 산림식물은 총 38분류군으로 나타났다.

Table 8.

List of threatened plants for climate change of Korea in Deogyusan National Park.

No Family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TP
1 Aceraceae Acer palmatum Thunb. 단풍나무 C
2 Aceraceae Acer pseudosieboldianum (Pax) Kom. 당단풍나무 C
3 Aceraceae Acer ukurunduense Trautv. & C. A. Mey. 부게꽃나무 N
4 Apiaceae Bupleurum euphorbioides Nakai 등대시호 N
5 Asteraceae Dendranthema boreale (Makino) Ling 산국 C
6 Asteraceae Parasenecio firmus (Kom.) Y. L. Chen 병풍쌈 N
7 Betulaceae Betula ermanii Cham. 사스래나무 C
8 Betulaceae Carpinus laxiflora (Siebold & Zucc.) Blume 서어나무 C
9 Brassicaceae Cardamine amaraeformis Nakai 꽃황새냉이 N
10 Cephalotaxaceae Cephalotaxus harringtonia (Knight ex Forbes) K. Koch 개비자나무 C
11 Ericaceae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진달래 C
12 Ericaceae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철쭉 C
13 Ericaceae Rhododendron tschonoskii Maxim. 흰참꽃 N
14 Ericaceae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H. Lév.) M. Sugim. 산철쭉 C
15 Ericaceae 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Nakai) Kitam. 산앵도나무 N
16 Fabaceae Albizia julibrissin Durazz. 자귀나무 C
17 Fagaceae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신갈나무 C
18 Fagaceae Quercus serrata Murray 졸참나무 C
19 Ginkgoaceae Ginkgo biloba L. 은행나무 C
20 Lauraceae Lindera obtusiloba Blume 생강나무 C
21 Liliaceae Hemerocallis fulva L. 원추리 C
22 Liliaceae Lloydia triflora (Ledeb.) Baker 나도개감채 N
23 Liliaceae Maianthemum bicolor (Nakai) Cubey 자주솜대 N
24 Magnoliaceae Magnolia sieboldii K. Koch 함박꽃나무 C
25 Malvaceae Hibiscus syriacus L. 무궁화 C
26 Oleaceae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개나리 C
27 Papaveraceae Hylomecon vernalis Maxim. 피나물 N
28 Pinaceae Abies koreana E. H. Wilson 구상나무 N
29 Pinaceae Larix kaempferi (Lamb.) Carriére 일본잎갈나무 C
30 Pinaceae Picea jezoensis (Siebold & Zucc.) Carriére 가문비나무 N
31 Pinaceae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소나무 C
32 Pinaceae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잣나무 C
33 Ranunculaceae Aconitum pseudolaeve Nakai 진범 S
34 Ranunculaceae Adonis amurensis Regel & Radde 복수초 C
35 Ranunculaceae Eranthis stellata Maxim. 너도바람꽃 N
36 Ranunculaceae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모데미풀 N
37 Rosaceae Prunus sargentii Rehder 산벚나무 C
38 Rosaceae Sorbus commixta Hedl. 마가목 N
39 Salicaceae Salix gracilistyla Miq. 갯버들 C
40 Sapindaceae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모감주나무 C
41 Solanaceae Scopolia japonica Maxim. 미치광이풀 S
42 Taxaceae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주목 N
43 Theaceae Stewartia koreana Nakai ex Rehder 노각나무 S

TP: Thretened Plants (C: Concern, N: Northern race, S: Southern race).

Planted plants.

기후변화 취약종의 수직적 분포

덕유산국립공원에서 확인된 기후변화 취약 산림식물 38분류군에 대한 수직적 분포역을 도표로 나타낸 결과(Fig. 6), 저지대형(11 분류군), 광분포형(14 분류군), 아고산형(13 분류군)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었다. 저지대형은 해발 1,000 m 이하에 분포하는 식물로 미치광이풀(Scopolia japonica Maxim.), 노각나무, 산국(Dendranthema boreale (Makino) Ling), 졸참나무(Quercus serrata Murray), 갯버들(Salix gracilistyla Miq.), 단풍나무(Acer palmatum Thunb.), 자귀나무(Albizia julibrissin Durazz.), 모감주나무(Koelreuteria paniculata Laxm.), 산철쭉(Rhododendron yedoense for. poukhanense (H. Lév.) M. Sugim.), 병풍쌈(Parasenecio firmus (Kom.) Y.L. Chen), 부게꽃나무가 포함된다. 대부분 관심종(9 분류군)에 해당하나 미치광이풀, 노각나무는 남방계식물로 나타났다. 광분포형은 진범, 서어나무(Carpinus laxiflora (Siebold & Zucc.) Blume), 생강나무,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개비자나무(Cephalotaxus harringtonia (Knight ex Forbes) K. Koch), 당단풍나무(Acer pseudosieboldianum (Pax) Kom.), 철쭉(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함박꽃나무(Magnolia sieboldii K. Koch), 산벚나무, 너도바람꽃(Eranthis stellata Maxim.), 피나물(Hylomecon vernalis Maxim.)이 포함된다. 대부분 관심종에 해당하며 덕유산 내 수직적 분포범위가 가장 광범위한 식물은 진달래와 신갈나무로 해발 500 m ~ 1,600 m 내외까지 분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광분포형 중 너도바람꽃, 피나물은 북방계, 진범은 남방계이며, 특히 북방계로 알려진 너도바람꽃과 피나물은 무풍면 모두막골의 계곡부 일대와 적상산 정상부의 습윤한 지역에서 주로 출현하였다. 아고산형은 해발 1,000 m 이상 지역에 분포하는 종으로 사스래나무(Betula ermanii Cham.), 복수초, 구상나무, 주목(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모데미풀, 꽃황새냉이(Cardamine amaraeformis Nakai), 마가목(Sorbus commixta Hedl.), 산앵도나무(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Nakai) Kitam.), 흰참꽃, 등대시호, 가문비나무, 자주솜대, 나도개감채가 포함된다. 구상나무, 주목, 사스래나무는 고도 1,000 m인 지역부터 1,600 m 내외인 향적봉~중봉의 아고산지역에 이르기까지 수직적으로 넓게 분포하였다. 반면, 등대시호는 남덕유산 정상부에만, 흰참꽃나무는 동엽령 일대와 남덕유산 정상부에서만 출현하였고, 가문비나무, 자주솜대, 나도개감채는 향적봉 일원에서만 출현하였다. 모데미풀은 모두막골 일대, 꽃황새냉이는 동엽령 일대에서만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아고산 지역에 고립되어 분포하는 북방계 식물은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온난화로 덕유산국립공원에서 가장 민감하게 변화할 것으로 추정된다.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5-038-02/N0820380207/images/kjpr_2025_382_208_F6.jpg
Fig. 6.

Vertical distribution range of wild threatened plants for climate change of Korea in Deogyusan National Park.

선행연구와의 비교 및 종합

본 조사를 통해 확인된 덕유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을 국가생물종목록(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9)과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22a, 2022b) 등에 준하여 정리한 결과 총 123과 74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Appendix 1). 국립공원공단이 수행한 공원자원조사를 통해 덕유산의 관속식물 다양성은 1기 조사결과 110과 805분류군(Korea National Park Service, 1993), 2기 조사결과 덕유산 북부권은 97과 571분류군, 남부권은 96과 572분류군(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4), 3기 조사결과 112과 811분류군(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12)이다. 또한 덕유산 일대에 관한 식물상 연구가 다수 수행되었으며, 선행연구결과를 종합하여 국립공원의 생물종목록을 정리한 결과, 덕유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 다양성은 총 1,369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23). 또한 한반도 내 전체 국립공원(23개)의 관속식물 다양성은 3,635분류군이고 공원별 평균은 1,260분류군이며,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이 1,838분류군으로 가장 높고 속리산국립공원이 904분류군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덕유산국립공원은 국내 공원별 평균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관속식물 다양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23).

덕유산국립공원 관속식물상의 의미와 보전 방안

덕유산국립공원은 백두대간의 중남부 지역에 위치하며, 향적봉에서 남덕유산으로 이어지는 산림지역은 아고산대 식생이 발달하여 식물 종 다양성이 매우 높고 식물지리학적으로 매우 흥미로운 지역이다. 전체 관속식물 중 덕유산 지역에만 한정 분포하는 식물은 없으나 덕유산 일대가 한반도 내에서 주 분포지거나 분포한계를 이루는 식물은 지리학적 의미가 매우 높다. 아고산대 상록침엽수이며 기후변화에 취약한 구상나무, 가문비나무, 주목은 덕유산 향적봉 일대가 주 분포지로 이 지역은 북방계 식물의 잔존적 피난처로서 매우 중요한 서식지이다. 한국특산식물인 세뿔투구꽃, 물들메나무, 어리병풍은 덕유산, 지리산 등을 중심으로 중남부지방에 국지적으로 분포하며, 덕유산과 가야산 등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가야물봉선 또한 식물지리학적 가치가 높다. 특히 북방계식물인 등대시호는 러시아 우수리 지역부터 한반도의 백두대간을 따라 남한지역의 설악산, 소백산, 속리산 정상부에 분포하며 남덕유산 정상 자생지는 전 세계 분포의 최남단지역으로 남방한계를 이루고 있어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내 지역적 절멸 가능성이 가장 높다. 그 외에도 한반도에서 가장 큰 자생집단이 출현하는 멸종위기종 광릉요강꽃, 지리산과 가야산의 아고산지역에 한정분포하는 특산식물 흰참꽃, 백두대간을 따라 해발 1,000 m 내외 지역에 드물게 분포하는 북방계식물이며 한국특산속 식물인 모데미풀, 한반도 분포의 남방한계를 이루며 덕유산 덕유평전에 분포하는 큰원추리를 비롯하여 기후변화에 민감하고 취약한 북방계성 식물을 대상으로 집단의 크기, 개체수, 개화율 및 생육환경 변화를 포함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절멸가능성을 대비한 서식지 외 보전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설천봉~향적봉 구간 탐방로에는 외래식물이 일부 생육하고 있어 탐방객에 의한 유입 및 소규모 훼손지 복원 공사로 인한 유입을 방지하여 아고산 생태계의 교란을 막기위한 지속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적 요

덕유산국립공원은 풍부한 생물다양성과 자연자원을 보유한 천혜의 자연경관과 녹음이 어우러져 식물의 종 다양성이 높다. 식물상 조사는 2020년 4월부터 10월까지 총 33차례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 396속 123과에 속하는 748분류군의 식물이 확인되었다. 이 중 쌍떡잎식물이 532분류군(71.1%)으로 덕유산국립공원 식물상 중 종 다양성이 가장 높은 그룹이었고, 외떡잎식물이 154분류군(20.6%), 양치식물 50분류군(6.7%), 겉씨식물 12종(1.6%) 순으로 나타났다. 덕유산국립공원 일대 멸종위기식물은 광릉요강꽃, 복주머니란, 세뿔투구꽃, 날개하늘나리 4종, 국가적색목록 위기(EN)-최소관심(LC)종은 19분류군, 한국특산식물은 31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은 158분류군(V등급-III등급: 5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기후변화 취약종은 38분류군이며, 이들의 수직적 분포패턴을 제시하였다. 외래식물은 40분류군이 관찰되었으며, 귀화율은 5.3%, 도시화지수는 9.4%로 나타났고, 6종의 생태계교란식물(미국쑥부쟁이, 서양금혼초, 환삼덩굴, 돼지풀, 가시상추, 애기수영)이 확인되었다. 덕유산국립공원의 식물 다양성은 인간의 간섭과 농경지 확산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감소하고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양성의 보전을 위해서는 기후변화 취약종 중 북방계식물을 중심으로 자생지 보전전략의 수립이 요구된다.

Supplementary Material

Acknowledgements

본 논문은 ‘덕유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NPRI 2020-19)’에 의하여 수행되었습니다. 심사과정에서 조언을 통해 큰 도움을 주신 익명의 심사위원들께 감사드립니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y have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Cho, Y.H., J.H. Kim, and S.H. Park. 2016.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Geobook, Seoul, Korea. pp. 1-527 (in Korean).

2

Choi, B., G.H. Gang, H. Kim, H. Byun, M. Kwak, S. So, H.H. Myeong, and T.S. Jang. 2021. Cytological study of Cypripedium japonicum Thunb. (Orchidaceae Juss.): An endangered species from Korea. Plants 10:1978.

10.3390/plants1010197834685787PMC8540827
3

Chung, G.Y., K.S. Chang, J.M. Chung, H.J. Choi, W.K. Paik, and J.O. Hyun.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7:264-288 (in Korean).

10.11110/kjpt.2017.47.3.264
4

Chung, G.Y., H.D. Jang, K.S. Chang, H.J. Choi, Y.S. Kim, H.J. Kim, and D.C. Son. 2023.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II. Korean J. Pl. Taxon. 53:79-101.

10.11110/kjpt.2023.53.2.79
5

Han, S., H. Leem, H.D. Jang, Y.Y. Kim, and S. So. 2022. Floristic study of Gayasan National Park in Korea. Korean J. Plant Res. 35:248-288 (in Korean).

6

Hwang, Y. and M. Kim. 2012. A taxonomic study of Hemerocallis (Liliaceae) in Korea. Korean J. Pl. Taxon. 42(4):294-306 (in Korean).

10.11110/kjpt.2012.42.4.294
7

Jang, H.D., H. Leem, S. Han, and S. So. 2019. Floristic study of Juwangsan National Park in Korea. Korean J. Plant Res. 32:379-406 (in Korean).

8

Jo, H. and M. Kim. 2019. A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Pseudostellaria in Korea. Korean J. Pl. Taxon. 49(2):145-178 (in Korean).

10.11110/kjpt.2019.49.2.145
9

Kang, H., Y.J. Park, S.M. An, Y.B. Lee, H.R. Lee, and K.S. Cheon. 2022.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Jinjosan Mt. (Uljin-gun, Gyeongsangbuk-do). Korean J. Environ. Biol. 40(1):11-24 (in Korean).

10.11626/KJEB.2022.40.1.011
10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 I. Selection of plant taxa -. Korean J. Environ. Biol. 18(1):163-198 (in Korean).

11

Kim, C.H., M.O. Moon, J.K. Ahn, I.C. Hwang, S.H. Lee, S.S. Choi, J.H. Lee, H.M. Bum, C.G. Kim, and J.Y. Cha. 2018. Floristics Target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pp. 1-728 (in Korean).

12

Kim, H.S., S.M. Lee, and H.K. Song. 2010. An Analysis of the Vegetation on the Southern and Northern Slopes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24(5): 601-610 (in Korean).

13

Kim, H.S., S.M. Lee, and H.K. Song. 2011. Actual Vegetation Distribution Status and Ecological Success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25(1): 37-46 (in Korean).

14

Kim, J.M., Y.J. Yim, and E.S. Jeon. 2000. Naturalized Plants of Korea. Science Books, Seoul, Korea (in Korean).

15

Kim, K.O., S.H. Hong, Y.H. Lee, C.S. Na, B.H. Kang, and Y.W. Son. 2009. Taxonomic status of endemic plants in Korea. J. Ecol. Field Biol. 32(4):277-293.

10.5141/JEFB.2009.32.4.277
16

Kim, M. 1986. A study on the flora of Mt. Jeoksa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Basic Science 9:105-125 (in Korean).

17

Kim, Y.Y., H. Leem, S. Han, S.J. Ji, and S. So. 2017. Conservation measures and distribution of vulnerable species for climate change in Gayasan National Park. Korean J. Plant Res. 30(2), 167-175. (in Korean).

10.7732/kjpr.2017.30.2.167
18

Kil, B.S. and C.H. Kim. 1994. The flora of Togyusan National Park, Korea. Journal of Wonkwang University 28:63-100 (in Korean).

19

Korea Forest Service. 2014. The Assessment for Vascular Plant Resources and the Reclassification of Their Usefulness from Korea.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p. 10-153 (in Korean).

20

Korea National Arboretum. 2019. Illustrated Juncaceae, Eriocaulaceae, Typhaceae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255 (in Korean).

21

Korea National Arboretum. 2022a.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Alien Plants). Retrieved from http://www.nature.go.kr/ on Nov. 1, 2022.

22

Korea National Arboretum. 2022b.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ve Plants). Retrieved from http://www.nature.go.kr/ on Nov. 1, 2022.

23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1. Designation & Management guidelines of National Park Special Protection Zon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Wonju, Korea. pp. 1-167 (in Korean).

24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20. National Park basic statistics. Korea National Park Service, Wonju, Korea. pp. 1-225. (in Korean).

25

Korea National Park Service, 1993. Natural Park re-source survey of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 Seoul, Korea. pp. 1-214. (in Korean).

26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4. Natural Park re-source survey of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 Seoul, Korea. pp. 1-832 (in Korean).

27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12. Natural Park re-source survey of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Namwon, Korea. pp. 1-604 (in Korean).

28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20. Natural Park re-source survey of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Wonju, Korea. pp. 1-1110 (in Korean).

29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23. The species list of Korea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Wonju, Korea. pp. 1-797 (in Korean).

30

Korean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Korea. pp. 1-339 (in Korean).

31

Lee, C.S. and K.H. Lee. 2015. Pteridophytes of Korea: Lycophytes & Ferns. Geobook, Seoul, Korea. pp. 1-471 (in Korean).

32

Lee, D.H., S.D. Kim, H.M. Kim, A.R. Moon, S.Y. Kim, B.B. Park, and S.W. Son. 2021. Stage structure and population persistence of Cypripedium japonicum Thunb., a rare and endangered plants. Korean J. Environ. Ecol. 35:548-557.

10.13047/KJEE.2021.35.5.548
33

Lee, T.B. 1976.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Bulletin of the Kwanak Arboretum 1:1-137 (in Korean).

34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ayangmunsa, Seoul, Korea. pp. 1-828 (in Korean).

35

Lee, W.T. and Y.J. Yim.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8:1-33 (in Korean).

36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624 (in Korean).

37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87-101 (in Korean).

10.11110/kjpt.2011.41.1.087
38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Kyo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864 (in Korean).

39

Lee, D.H., D.P. Jin, J.H. Lee, I.S. Choi, and B.H. Choi. 2013. Floristic study of Mt. Namdeogyu. Korean J. Pl. Taxon. 43:69-79 (in Korean).

10.11110/kjpt.2013.43.1.69
40

Lim, D.O., Y.S. Kim, Y.K. Park, Y.M. Ryu, and M.H. Koh. 2004. Vascular plant of Mt. Deog-yu area in the Baekdudaegan. Korean J. Environ. Ecol. 18:107-122 (in Korean).

41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trol of Burcucumber.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pp. 1-225 (in Korean).

42

Ministry of Environment. 2022. Wildlife Protection and Management Act. Retrieved 9 Dec. 2022 from the World Wide Web: http://www.me.go.kr.

43

Ministry of Environment. 2023. Information of Korean Alien Species. Act. Retrieved 25 Sep. 2023 from the World Wide Web: http://kias.nie.re.ke.

44

Moon, H.S. 2001. Studies on the forest vegetation structure in subalpine zone of Mt. Deogyu National Park. J. Agric. & Life Sci. 35:47-54 (in Korean).

45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6. The Genetic Evaluation of Indigenous Vascular Plants (Ⅲ-2), Incheon, Korea. pp. 1-110 (in Korean).

46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9.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Vascular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p. 1-633.

47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1. Red Data Book of Republic of Korea. Volume 5. Vascular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p. 1-523 (in Korean).

48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Information for the field management of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pp. 98-219 (in Korean).

49

Oh, B.U., D.G. Jo, S.C. Ko, B.H. Choi, W.K. Paik, G.Y. Chung, Y.M. Lee, and C.G. Jang.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492 (in Korean).

50

Oh, B.U. and J.G. Kim. 1996. Fallopia koreana (Polygonaceae): A new species from Korea. Korean J. Pl. Taxon. 26(4):257-262 (in Korean)

10.11110/kjpt.1996.26.4.257
51

Oh, B.U., D.G. Jo, K.S. Kim, and C.G. Jang. 2005. Endemic Vasular Plants in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205 (in Korean).

52

Oh, B.U., S.C. Ko, S.H. Kang, W.G. Baik, K.O. Yoo, H.T. Im, C.G. Jang, G.Y. Chung, B.H. Choi, H.J. Choi, Y.M. Lee, C.H. Shin, K. Choi, J.H. Han, S.H. Park, H.J. Kim, G.S. Chang, J.C. Yang, S.Y. Jeong, C.H. Lee, S.H. Oh, and D.G. Jo. 2016.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809 (in Korean).

53

Oh, H.K., J.H. Sagong, and J.H. You. 2011. Analysis on environmental indices and naturalized plants distributed in Gyeryong-si,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5(4):479-489 (in Korean).

54

Oh, S.H., Y.M. Lee, J.C. Yang, J.W. Jang, J.G. Byeon, J.E. Yun, B.D. Kim, C.H. Bae, J.S. Sim, C.H. Lee, G.Y. Lee, J.M. Park, C.J. Oh, J.S. Sin, and D.S. Kim. 2013. Manual of Conservation Project of Threatened Plants for Climate Change.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264 (in Korean).

55

Paik, W.K. 1999. The status of endemic plants in Korea and our tasks in the 21st century. Korean J. Pl. Taxon. 29(3):263-274 (in Korean).

10.11110/kjpt.1999.29.3.263
56

Park, K.W., Y.H. Kwon, K. Choi, S.H. Oh, D.K. Kim, J.H. Tho, K.H. Tae, and J.H. Kim. 2005. A floristic study on the economic plants of Deogyusan National Park area. Korean J. Plant Res. 18:32-56 (in Korean).

57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pp. 1-575 (in Korean).

58

Park, S.H., Y.M. Lee, J.C. Yang, D.G. Jo, G.H. Lee, C.S. Jang, H.J. Lee, H.J. Choi, S.S. Jung, and J.H. Lee. 2008. Illustrated Pteridophyt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547 (in Korean).

59

Park, S.H., Y.M. Lee, S.Y. Jung, K.S. Chang, W.C. Kang, S.S. Jung, S.H. Oh, and J.C. Yang. 2011.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Korean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600 (in Korean).

60

Seo, E.K., H.C. Cha, Y.S. Kim, S.H. Lee, and J.J. Jang. 2011. A study on vascular plants of Cypripedium japonicum community in Deogyusan National Park. J. Natl. Park Res. 2:209-217 (in Korean).

61

So, S., H.H. Myeong, E.K. Kim, S.H. Kang, J.H. Lee, and J.G. Oh. 2016. Status on the Korea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in Korea National Park. J. Natl. Park Res.7:90-103 (in Korean).

62

So, S. and M. Kim. 2008. A taxonomic study of Asarum (Aristolochiaceae). Korean J. Pl. Taxon. 38:121-149. (in Korean).

10.11110/kjpt.2008.38.2.121
63

Sun, B.Y. and J.H. Park. 1999. Flora of Deogyusan (Muju, Geochang). 2nd National Nature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pp. 130-163 (in Korean).

64

Takhtadzhian, A.L. 1988. The Floristic Regions of the World. Nauka. Leningrad, Russia, pp. 1-248 (in Russian).

65

Tian, H.Z., L.X. Han, J.L. Zhang, X.L. Li, T. Kawahara, T. Yukawa, J. Lopez-Pujol, P. Kumar, M.G. Chung, and M.Y. Chung. 2018. Genetic diversity in the endangered terrestrial orchid Cypripedium japonicum in East Asia: Insights into population history and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Sci. Rep. 8:6467.

10.1038/s41598-018-24912-z29691494PMC5915404
66

Yim, K.B., Y.S. Kim, S.H. Chun, and J.I. Jeon. 1994. Floristic study on Tokyu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7:91-103 (in Korean).

67

Yook, C.S. and D.K. Ahn. 1972. The medical plants of Mt. Deogyu. Korean J. Pharmacogn. 3:217-225 (in Korean).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