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 April 2022. 289-316
https://doi.org/10.7732/kjpr.2022.35.2.289

ABSTRACT


MAIN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관속식물상

  •   특산식물

  •   희귀식물

  •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   귀화식물

  •   유용성 구분

  • 적 요

서 언

선달산(1,236 m)은 행정구역상으로 경상북도 봉화군과 영주시 그리고 강원도 영월군 등 3개 시군에 속하며, 경위도상으로는 북위 36° 48ˊ~37° 03ˊ, 동경 128° 41ˊ~128° 49ˊ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지리적으로는 낙동정맥의 시작점인 태백산(1,567 m)과 소백산(1,439 m)을 이어주는 연결구간이며, 북쪽으로 매봉산(1,268 m), 서쪽으로 어래산(1,064 m)과 형제봉(1,178 m), 남쪽으로 문수산(1,205 m)과 봉황산(819 m), 동쪽으로 옥석산(1,232 m) 등의 높은 산들에 둘러싸여 있다. 본 지역은 최근 30년간(1988~2017)의 기상자료에 의하면 연평균기온은 9.9℃, 연평균강수량은 1,247 ㎜로 나타났으며(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7), 본 산의 북쪽 사면에서 발원한 수계는 강원도 영월군 외용리의 기전마을에서 옥동천으로 흘러 들어가고 남서쪽 기슭에서 발원한 수계는 남대천을 이루면서 북쪽으로 흘러 낙동강 제1지류인 내성천으로 합쳐진다.

선달산은 식물구계지리학적으로 중부아구에 속하며(Lee and Yim, 2002), 그동안 열악한 도로 사정과 높고 험준한 지형 그리고 울창한 산림 등으로 인해 자생식물의 보존이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었던 지역으로, 특히 봉화군 물야면 능선부와 영주시 남대리 능선부는 꼬리진달래(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쑥방망이(Senecio argunensis Turcz.), 홀아비바람꽃(Anemone koraiensis Nakai), 산앵도나무(Vaccinium hirtum Thunb. var. koreanum (Nakai) Kitam.) 등 다양한 희귀식물의 자생지로 2007년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보호·관리되고 있다.

선달산의 식물분포에 관한 선행연구로는 Kim et al. (1999)이 선달산과 어래산의 관속식물을 조사하여 총 406분류군을 보고하였고, Lee et al. (2021)은 선달산의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을 대상으로 삼림식생을 분석하면서 11개 군락별 분포 식물들을 언급한 것 이외에는 없는 실정으로서, 선달산 전역을 대상으로 수행한 세밀한 식물상 연구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근, 태백산에서 소백산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 등산로 정비사업과 함께 박달령을 중심으로 봉화군 물야면에서 춘양면 우구치리까지 연결되는 넓고 완만한 임도, 내리천 캠핑장과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의 개장 등으로 인해 등산객과 탐방객들의 방문이 증가하고 있으며, 임도 관리를 위한 벌목과 제초, 간벌 등에 의해 자생식물의 개체 수 감소와 자생지 파괴 및 환경 훼손 등이 우려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달산 일대의 식물분포 조사를 통해 정확한 관속식물상을 파악하고 식물유전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와 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선달산 일대의 관속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안동대학교 표본실(ANH)에 보관되어 있는 Kim et al. (1999)의 표본과 2014년 4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총 20회에 걸쳐 수행된 현지조사로 얻어진 표본의 동정 결과를 종합하였다(Table 1, Fig. 1). 주요 조사경로는 늦은목이에서 박달령까지의 등산로 구간을 중심으로 봉화군 물야면에서 춘양면 우구치리까지 이어지는 임도, 생달길, 오전약수터, 내리천 계곡, 옥돌봉 구간 등이었으며 정확한 동정을 위해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를 우선하여 채집하였다. 채집된 식물은 석엽 또는 액침표본으로 제작한 후 Lee (1996)Lee (2003) 그리고 Lee (2006) 등의 도감을 이용하여 동정하였고 증거표본은 안동대학교 표본실(ANH)과 국립백두대간수목원(KBA)에 보관하였다.

Table 1.

The dates and survey routes of Seondalsan Mountain

No. Date Investigation routes
1 12 Apr. 2014 Saengdal-gil → Neujeunmogi Pass
2 16 May 2014 Naericheon Stream → Udang-gol gidobawi Rock
3 24 Jun. 2014 A: Naericheon Stream → Udang-gol gidobawi Rock → Neopdari Bridge
B: Saengdal-gil → Sangwoonsa Temple → Neujeunmogi Pass → Seondalsan Mountain top →
Bakdalryeong Pass→ Imdosamgeori Forest road
4 8 Jul. 2014 Imdosamgeori Forest road → Bakdalryeong Pass
5 22 Jul. 2014 Imdosamgeori Forest road → Bakdalryeong Pass → Seondalsan Mountain top
6 13 Sep. 2014 A: Ojeon mineral water springs → Bakdalryeong Pass → Seondalsan Mountain top →
Neujeunmogi Pass → Sangwoonsa Temple
B: Ojeon mineral water springs → Bakdalryeong Pass → Uguchi-ri
7 20 May 2017 Saengdal-gil → Neujeunmogi Pass
8 10 Jun. 2017 Neujeunmogi Pass → Saengdal-gil
9 26 Jul. 2017 Ojeon mineral water springs → Bakdalryeong Pass
10 27 Aug. 2017 Imdosamgeori Forest road → Bakdalryeong Pass → Uguchi-ri
11 20 Apr. 2018 Neujeunmogi Pass → Seondalsan Mountain top → Neujeunmogi Pass
12 2 Jun. 2018 Bakdalryeong Pass → Seondalsan Mountain top → Neujeunmogi Pass → Sangwoonsa Temple
13 22 Jun. 2018 A: Bakdalryeong Pass → Seondalsan Mountain top → Neujeunmogi Pass →
Sangwoonsa Temple → Saengdal-gil
B: Bakdalryeong Pass → Okdolbong Pass→ Jusilryeong Pass
14 27 Jul. 2018 A: Sangwoonsa Temple → Neujeunmogi Pass → Seondalsan Mountain top
B: Bakdalryeong Pass → Okdolbong Pass → Bakdalryeong Pass
15 27 Sep. 2018 Neujeunmogi Pass → Seondalsan Mountain top → Eoraesan Mountain → Seondalsan Mountain top
→ Neujeunmogi Pass
16 12 Oct. 2018 A: Sangwoonsa Temple → Neujeunmogi Pass
B: Ojeon mineral water springs → Bakdalryeong Pass
17 19 Oct. 2018 Neujeunmogi Pass → Seondalsan Mountain top → Sagijeom Trail starting point → Saengdal-gil
18 11 Sep. 2020 Sangwoonsa Temple
19 15 Sep. 2020 A: Ojeon mineral water springs → Saengdal-gil
B: Ojeon mineral water springs → Bakdalryeong Pass → Imdosamgeori Forest road
20 14 Oct. 2020 Saengdal-gil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2-035-02/N0820350207/images/kjpr_35_02_07_F1.jpg
Fig. 1.

The survey routes of Seondalsan Mountain.

조사된 관속식물의 목록은 Engler의 분류체계(Melchior, 1964)를 따라 작성하였고(Appendix 1), 학명과 국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21)을 기준으로 기재하였으며 과 내에서는 알파벳순으로 속명과 종명을 정리하였다. 작성된 목록을 바탕으로 특산식물은 Chung et al. (2017), 희귀식물은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Kim et al. (2018), 자원식물의 유용성은 Korea Forest Service (2014), 귀화식물은 Jung et al. (2017)에 근거하여 구분하였다.

결과 및 고찰

관속식물상

선달산 일대에서 확증표본을 기초로 확인된 관속식물은 양치식물이 11과 16속 33종 3변종 36분류군, 나자식물이 1과 2속 3종 3분류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이 75과 259속 409종 18아종 41변종 3품종 471분류군, 단자엽식물이 9과 64속 117종 9변종 2품종 128분류군으로 총 96과 341속 562종 18아종 53변종 5품종 638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Appendix 1). 이는 한반도 관속식물 4,364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21)의 약 14.6%에 해당하며, 인근에 분포하는 문수산의 관속식물수 571분류군(Lee et al., 2021)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전체 분류군을 과별로 정리하면 국화과 73분류군, 벼과 45분류군, 백합과 37분류군, 장미과 31분류군, 콩과 27분류군, 사초과 23분류군의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2.

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Seondalsan Mountain

Taxa Fam. Gen. Sp. Subsp. Var. For. Taxa Ratio (%)
Pteridophyta 11 16 33 - 3 - 36 5.6
Gymnospermae 1 2 3 - - - 3 0.5
Angiospermae 84 323 526 18 50 5 599 93.9
Dicotyledons 75 259 409 18 41 3 471 73.8
Monocotyledons 9 64 117 - 9 2 128 20.1
Total 96 341 562 18 53 5 638 100

선달산의 관속식물 분포에 대한 선행연구는 Kim et al. (1999)에 의해 81과 237속 345종 1아종 54변종 6품종의 총 406분류군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 이중 45분류군은 본 연구에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민산초나무(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 Zucc.), 털피나무(Tilia amurensis Rupr.), 정영엉겅퀴(Cirsium setidens (Dunn) Nakai) 등과 같이 분류학적으로 이명처리된 분류군들과 일엽초(Lepisorus thunbergianus (Kaulf.) Ching), 개박달나무(Betula chinensis Maxim.), 닭의덩굴(Fallopia dumetorum (L.) Holub), 단풍마(Dioscorea quinquelobata Thunb.) 등과 같이 오동정으로 추정되는 분류군들 및 이번 연구에서 포함되지 않은 어래산에 분포하는 분류군들일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Lee et al. (2021)에 의해 언급된 승마(Actaea heracleifolia (Kom.) J.Compton), 고광나무(Philadelphus schrenkii Rupr.), 새며느리밥풀(Melampyrum setaceum (Maxim. ex Palib.) Nakai var. nakaianum (Tuyama) T.Yamaz.), 딱총나무(Sambucus williamsii Hance), 가는잎그늘사초(Carex humilis Leyss. var. nana (H.Lév. & Vaniot) Ohwi)는 오동정일 가능성이 있으며, 황벽나무(Phellodendron amurense Rupr.)와 복장나무(Acer mandshuricum Maxim.)는 본 연구에서 분포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특산식물

선달산에서 자생하고 있는 한반도 특산식물은 키버들(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참개싱아(Aconogonon microcarpum (Kitag.) H. Hara), 홀아비바람꽃(Anemone koraiensis Nakai), 노랑갈퀴(Vicia chosenensis Ohwi), 자란초(Ajuga spectabilis Nakai), 처녀치마(Heloniopsis koreana Fuse, N.S.Lee & M.N. Tamura) 등 총 20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Table 3). 이는 Chung et al. (2017)의 한반도 특산식물 360분류군의 약 5.6%에 해당되며, Kim et al. (1999)의 보고와 비교해보면 참개싱아, 참개별꽃(Pseudostellaria coreana (Nakai) Ohwi), 홀아비바람꽃, 요강나물(Clematis fusca Turcz. var. flabellata (Nakai) J.S.Kim), 점현호색(Corydalis maculata B.U.Oh & Y.S.Kim), 구실바위취(Micranthes octopetala (Nakai) Y.I.Kim & Y.D.Kim), 노랑갈퀴, 갈퀴아재비(Asperula lasiantha Nakai), 오동나무(Paulownia coreana Uyeki), 백운산원추리(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좀비비추(Hosta minor (Baker) Nakai) 등 11분류군이 이번 조사에서 추가로 확인되었다.

Table 3.

The list of the endemic plants in Seondalsan Mountain

Family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Kim et al.z
Salicaceae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키버들 O
Polygonaceae Aconogonon microcarpum (Kitag.) H.Hara 참개싱아 -
Caryophyllaceae Pseudostellaria coreana (Nakai) Ohwi 참개별꽃 -
Ranunculaceae Anemone koraiensis Nakai 홀아비바람꽃 -
Clematis fusca Turcz. var. flabellata (Nakai) J.S.Kim 요강나물 -
Clematis trichotoma Nakai 할미밀망 O
Thalictrum rochebrunnianum Franch. & Sav. var. grandisepalum (H. Lév.) Nakai 금꿩의다리 O
Papaveraceae Corydalis maculata B.U.Oh & Y.S.Kim 점현호색 -
Saxifragaceae Micranthes octopetala (Nakai) Y.I.Kim & Y.D.Kim 구실바위취 -
Fabaceae Vicia chosenensis Ohwi 노랑갈퀴 -
Apiaceae Angelica reflexa B.Y.Lee 강활 O
Rubiaceae Asperula lasiantha Nakai 갈퀴아재비 -
Lamiaceae Ajuga spectabilis Nakai 자란초 O
Scrophulariaceae Paulownia coreana Uyeki 오동나무* -
Caprifoliaceae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병꽃나무 O
Asteraceae Cirsium setidens (Dunn) Nakai 고려엉겅퀴 O
Saussurea macrolepis (Nakai) Kitam. 각시서덜취 O
Liliaceae Heloniopsis koreana Fuse, N.S.Lee & M.N.Tamura 처녀치마 O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백운산원추리 -
Hosta minor (Baker) Nakai 좀비비추 -

zKim et al.(1999), *: cultivated.

이 중 키버들은 생달길에서 상운사까지 이어지는 하천변과 내리천 계곡에서 조사되었으며, 자란초는 늦은목이에서 정상부를 거쳐 박달령으로 이어지는 해발 1,100 m 이상의 북쪽 사면에 다수의 개체가 산생 또는 군생하여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려엉겅퀴는 박달령 임도와 박달령에서 선달산 정상으로 가는 등산로 주변에서, 갈퀴아재비는 박달령에서 선달산 구간과 늦은목이에서 사기점 구간에서 조사되었다. 한편, 상운사 주변에서만 자생지가 확인된 구실바위취와 상운사에서 늦은목이 등산로 구간에서 확인된 점현호색과 홀아비바람꽃, 그리고 박달령 주변 임도에 생육하고 있는 처녀치마는 절을 찾는 방문객과 등산객들에 의한 남획 그리고 임도 관리를 위한 벌목과 제초작업 등에 의해 개체 수 감소와 자생지 훼손이 우려되었다.

희귀식물

산림청에서 지정한 희귀식물은 멸종위기종(CR)에 복주머니란(Cypripedium macranthos Sw.) 1분류군, 취약종(VU)에 꼬리진달래(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쑥방망이(Senecio argunensis Turcz.), 천마(Gastrodia elata Blume) 등 3분류군, 약관심종(LC)에 홀아비바람꽃, 쥐방울덩굴(Aristolochia contorta Bunge), 금강제비꽃(Viola diamantiaca Nakai), 나도개감채(Lloydia triflora (Ledeb.) Baker), 금강애기나리(Streptopus ovalis (Ohwi) F.T.Wang & Y.C.Tang) 등 9분류군으로 총 13분류군이 조사되었다(Table 4).

Table 4.

The list of the rare plants in Seondalsan Mountain

Family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Criteriaz
Orchidaceae Cypripedium macranthos Sw. 복주머니란 CR
Ericaceae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꼬리진달래 VU
Compositae Senecio argunensis Turcz. 쑥방망이
Orchidaceae Gastrodia elata Blume 천마
Ranunculaceae Anemone koraiensis Nakai 홀아비바람꽃 LC
Aristolochiaceae Aristolochia contorta Bunge 쥐방울덩굴
Saxifragaceae Rodgersia podophylla A.Gray 도깨비부채
Violaceae Viola albida Palib. 태백제비꽃
Violaceae Viola diamantiaca Nakai 금강제비꽃
Gentianaceae Gentiana triflora Pall. var. japonica (Kusn.) H.Hara 과남풀
Boraginaceae Trigonotis icumae (Maxim.) Makino 덩굴꽃마리
Liliaceae Lloydia triflora (Ledeb.) Baker 나도개감채
Streptopus ovalis (Ohwi) F.T.Wang & Y.C.Tang 금강애기나리

zCriteria: CR (Critically Endangered), VU (Vulnerable), LC (Least Concern).

멸종위기종(CR)인 복주머니란은 늦은목이에서 정상구간의 해발 1,000 m 사면부에 소수의 개체가 자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일부 마을주민과 등산객의 관상을 위한 무분별한 남획에 의해 절멸이 우려된다. 취약종(VU)인 꼬리진달래는 내리천 우당골 기도바위에서 눕다리까지의 계곡 주변에서, 쑥방망이와 천마 그리고 약관심종(LC)인 금강애기나리 등은 선달산 정상 능선부에 소수의 개체가 산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약관심종(LC)인 태백제비꽃(Viola albida Palib.)은 상운사 주변에서 늦은목이 초입부에, 과남풀(Gentiana triflora Pall. var. japonica (Kusn.) H.Hara)은 박달령에서 임도 삼거리까지의 임도 주변에 자생지가 위치하고 있어 등산객, 제초 등에 의한 훼손이 우려되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Ⅴ등급 식물은 복주머니란 1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Ⅳ등급에 해당하는 식물로는 회리바람꽃(Anemone reflexa Steph. ex Willd.), 도깨비부채(Rodgersia podophylla A.Gray), 긴오이풀(Sanguisorba longifolia Bertol.), 큰원추리(Hemerocallis middendorffii Trautv. & C.A.Mey.) 등 11분류군, Ⅲ등급은 왕팽나무(Celtis koraiensis Nakai), 병조희풀(Clematis urticifolia Nakai ex Kitag.), 느러진장대(Arabis pendula L.), 노랑갈퀴(Vicia chosenensis Ohwi), 산앵도나무(Vaccinium hirtum Thunb. var. koreanum (Nakai) Kitam.), 애기며느리밥풀(Melampyrum setaceum (Maxim. ex Palib.) Nakai) 등 2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5). 또한, Ⅱ등급은 꿩고비(Osmunda cinnamomea L.), 돌단풍(Mukdenia rossii (Oliv.) Koidz.), 큰앵초(Primula jesoana Miq.) 등 40분류군, Ⅰ등급은 야산고비(Onoclea interrupta (Maxim.) Ching & P.C.Chiu), 산돌배(Pyrus ussuriensis Maxim. ex Rupr.), 민백미꽃(Cynanchum ascyrifolium (Franch. & Sav.) Matsum.) 등 43분류군으로 확인되어 선달산에서 자생하고 있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Ⅴ∼Ⅰ등급은 총 123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Appendix 1).

Table 5.

The list of the Ⅴ to Ⅲ degree taxa of Korean floristic regional plants in Seondalsan Mountain

Family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Grade
Orchidaceae Cypripedium macranthos Sw. 복주머니란
Polygonaceae Aconogonon microcarpum (Kitag.) H.Hara 참개싱아
Ranunculaceae Anemone koraiensis Nakai 홀아비바람꽃
Anemone reflexa Steph. ex Willd. 회리바람꽃
Saxifragaceae Micranthes octopetala (Nakai) Y.I.Kim & Y.D.Kim 구실바위취
Rodgersia podophylla A.Gray 도깨비부채
Rosaceae Prunus davidiana (Carrière) Franch. 산복사나무
Sanguisorba longifolia Bertol. 긴오이풀
Ericaceae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꼬리진달래
Liliaceae Hemerocallis middendorffii Trautv. & C.A.Mey. 큰원추리
Veratrum maackii Regel var. parviflorum (Maxim. ex Miq.) H.Hara 파란여로
Orchidaceae Platanthera sachalinensis F.Schmidt 큰제비란
Betulaceae Betula davurica Pall. 물박달나무
Betula schmidtii Regel 박달나무
Ulmaceae Celtis koraiensis Nakai 왕팽나무
Ranunculaceae Actaea asiatica H.Hara 노루삼
Clematis fusca Turcz. 검종덩굴
Clematis fusca Turcz. var. flabellata (Nakai) J.S.Kim 요강나물
Clematis urticifolia Nakai ex Kitag. 병조희풀
Thalictrum rochebrunnianum Franch. & Sav. 금꿩의다리
Actinidiaceae Actinidia kolomikta (Maxim. & Rupr.) Maxim. 쥐다래
Papaveraceae Corydalis maculata B.U.Oh & Y.S.Kim 점현호색
Dicentra spectabilis (L.) Lem. 금낭화
Brassicaceae Cardamine komarovii Nakai 는쟁이냉이
Catolobus pendulus (L.) Al-Shehbaz 느러진장대
Rosaceae Aruncus dioicus (Walter) Fernald 눈개승마
Potentilla cryptotaeniae Maxim. 물양지꽃
Prunus maackii Rupr. 개벚지나무
Fabaceae Vicia chosenensis Ohwi 노랑갈퀴
Aceraceae Acer palmatum Thunb. 단풍나무z
Acer triflorum Kom. 복자기
Rhamnaceae Rhamnus ussuriensis J.J.Vassil. 참갈매나무
Violaceae Viola diamantiaca Nakai 금강제비꽃
Ericaceae Vaccinium hirtum Thunb. var. koreanum (Nakai) Kitam. 산앵도나무
Primulaceae Lysimachia vulgaris L. var. davurica (Ledeb.) R.Knuth 좁쌀풀
Rubiaceae Galium kamtschaticum Steller ex Roem. & Schult. var. yakusimense (Masam.) T.Yamaz. 털둥근갈퀴
Boraginaceae Brachybotrys paridiformis Maxim. ex Oliv. 당개지치
Scrophulariaceae Melampyrum setaceum (Maxim. ex Palib.) Nakai 애기며느리밥풀
Liliaceae Veratrum maackii Regel 긴잎여로
Veratrum nigrum L. var. ussuriense O.Loes. 참여로

zcultivated.

Ⅳ등급의 도깨비부채와 큰원추리는 선달산 해발 1,138 m의 정상 주변에서 소수의 군락과 산생하는 개체를 확인하였고, 긴오이풀은 임도삼거리에서 박달령으로 이어지는 임도 초입부에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Ⅲ등급에 속하는 분류군 중 왕팽나무와 단풍나무는 생달길에서 확인하였고, 산앵도나무는 박달령에서 정상으로 가는 해발 970 m 이상의 등산로 주변을 따라 산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병조희풀은 상운사에서 늦은목이, 박달령과 임도 등 선달산 전역에 걸쳐 다수의 개체가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추냉이와 같이 매운맛을 내는 는쟁이냉이(Cardamine komarovii Nakai)는 우당골 기도바위에서 눕다리까지의 하천 계곡을 따라 생육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 느러진장대와 노랑갈퀴는 오전약수터 주변과 오전약수터에서 박달령으로 이어지는 등산로 구간에서 조사되었다.

귀화식물

선달산에서 조사된 귀화식물은 털여뀌(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둥근잎유홍초(Quamoclit angulata (Lam.) Bojer), 미국가막사리(Bidens frondosa L.), 미국쑥부쟁이(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L.Nesom), 왕포아풀(Poa pratensis L.) 등 총 30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Table 6), 귀화율(Naturalized Index: 귀화식물의 종수/출현식물의 총 종수 × 100)은 약 4.7%로 나타났다. 본 지역의 귀화율은 국내 산지의 평균 귀화율인 10.3% (Koh et al., 1995)에 비해 낮은 수치로 나타났다. 귀화식물 대부분이 오전약수터와 생달길 그리고 임도 주변에서 조사되어 산지로는 많이 확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최근 백두대간을 찿는 등산객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라 등산로 주변부와 산림 내로의 인위적인 전파가 우려됨에 따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6.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in Seondalsan Mountain

Family name Scientific name Korean name
Polygonaceae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털여뀌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Caryophyllaceae Silene armeria L. 끈끈이대나물
Brassicaceae Barbarea vulgaris R.Br. 유럽나도냉이
Lepidium virginicum L. 콩다닥냉이
Fabaceae Amorpha fruticosa L. 족제비싸리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Onagraceae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Convolvulaceae Quamoclit angulata (Lam.) Bojer 둥근잎유홍초
Boraginaceae Symphytum officinale L. 컴프리
Solanaceae Solanum americanum Mill. 미국까마중
Scrophulariaceae Veronica arvensis L. 선개불알풀
Asteraceae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Carduus crispus L. 지느러미엉겅퀴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Erechtites hieraciifolius (L.) Raf. ex DC. 붉은서나물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Erigeron strigosus Muhl. ex Willd. 주걱개망초
Galinsoga parviflora Cav. 별꽃아재비
Galinsoga quadriradiata Ruiz & Pav. 털별꽃아재비
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L.Nesom 미국쑥부쟁이
Taraxacum officinale F.H.Wigg. 서양민들레
Poaceae Bromus tectorum L. 털빕새귀리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Elymus repens (L.) Gould 구주개밀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Lolium multiflorum Lam. 쥐보리
Phleum pratense L. 큰조아재비
Poa pratensis L. 왕포아풀

유용성 구분

본 조사지에서 확인된 638분류군의 식물자원 유용도를 분석한 결과, 식용(Edible) 440종류(69.0%), 약용(Medicinal) 505종류(79.2%), 향료용(Fragrant) 19종류(3.0%), 산업용(Industrial) 234종류(36.7%), 관상용(Ornamental) 335종류(52.5%), 생태복원용(Restoration) 214종류(33.5%), 사료/퇴비용(Forage/Compost) 269종류(42.2%), 용도를 알 수 없는 식물(Unknown) 30종류(4.7%)로 나타났고, 약용이 가장 많았으며, 식용, 관상용 등의 순으로 유용성이 확인되었다(Table 7).

Table 7.

Usefulness of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Seondalsan Mountain

Use Ez Mz Fz Iz Oz Rz FCz Uz
No. of Taxa 440 505 19 234 335 214 269 30
Ratio (%) 69.0 79.2 3.0 36.7 52.5 33.5 42.2 4.7

zE: Edible, M: Medicinal, F :Fragrant, I: Industrial, O: Ornamental, R: Restoration, FC: Forage/Compost, U: Unknown

적 요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하는 선달산(1,236 m)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을 밝히고 그들의 유용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14년 4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총 20회에 걸쳐 조사된 식물은 확증표본을 기초로 할 때 총 96과 341속 562종 18아종 53변종 5품종 63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특산식물은 20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중 멸종위기종 1분류군, 취약종 3분류군, 약관심종 9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 중 Ⅴ등급이 1분류군, Ⅳ등급이 11분류군, Ⅲ등급이 2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분류군의 유용성에 따른 구분에 의하면 식용 440종류, 약용 505종류, 향료용 19종류, 산업용 234종류, 관상용 335종류, 생태복원용 214종류, 사료/퇴비용 269종류로 나타났고, 이 외에 용도를 알 수 없는 식물이 30종류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30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y have no conflict of interest.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안동대학교 기본연구지원사업(2021)에 의하여 연구되었습니다.

References

1
Chung, G.Y., K.S. Chang, J.M. Chung, H.J. Choi, W.K. Paik and J.O. Hyun.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7(3):264-288 (in Korean). 10.11110/kjpt.2017.47.3.264
2
Jung, S.Y., J.W. Lee, H.T. Shin, S.J. Kim, J.B. An, T.I. Heo, J.M. Chung and Y.C. Cho. 2017.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8-265 (in Korean).
3
Kim, C.H., M.O. Moon, J.K. Ahn, I.C. Hwang, S.H. Lee, S.S. Choi, J.H. Lee, H.M. Bum, C.G. Kim and J.Y. Cha. 2018. Floristic Target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pp. 8-728 (in Korean).
4
Kim, Y.S., E.B. Lee, G.Y. Chung and J.S. Suh. 1999. Flora of vascular plant in the Mts. Seondal and Eorae. The Report the KACN 39:19-30.
5
Koh, K.S., I.G. Kang, M.H. Suh, J.H. Kim, K.D. Kim, J.H. Kil, H.I. Rhu, D.S. Kong, E.B. Lee and E.S. Chun. 1995.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 (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pp. 1-215 (in Korean).
6
Korea Forest Service. 2014. The assessment for vascular plant resources and the reclassification of their usefulness from Korea.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p. 7-435 (in Korean).
7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7. http://www.weather.go.kr. (2017. 12. 31)
8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Geobook Publishing Co., Pocheon, Korea. pp. 1-332 (in Korean).
9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1006 (in Korean).
10
Lee, H.J., J.G. Byeon, T.I. Heo, J.D. Kim, B.J. Park, D.H. Lee and J.W. Lee. 2021. A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Munsusan, Bongwha. Korean J. Plant Res. 34(6):633-660.
11
Lee, J.E., C.H. Lee and C.W. Yun. 2021.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for a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in Mt. Seondalsan, Bongwha. J. Korean Soc. For. Sci. 110(1):1-12.
12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Ⅰ, Ⅱ. Ha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1824 (in Korean).
13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855 (in Korean).
14
Lee, W.T. and Y.J. Yim. 2002. Plant Geograph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Korea. pp. 1-412 (in Korean).
15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Gyohak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1860 (in Korean).
16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Publishing Co., Berlin, Germany. pp. 5-666.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