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 August 2023. 314-340
https://doi.org/10.7732/kjpr.2023.36.4.314

ABSTRACT


MAIN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관속식물상

  •   특산식물

  •   적색목록 위협범주 및 준위협 식물

  •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   유용식물

  •   침입외래식물 및 생태계교란종

  •   연화산의 식물 분포와 관속식물상의 의미

  • 적 요

서 언

연화산(1,172 m)은 강원도 태백시의 산으로, 백두대간의 중앙부에 있는 함백산 천의봉에서 뻗어 내려온 자락에 위치한다. 연화산은 서쪽으로는 황지동, 동쪽으로는 통동, 남쪽의 연화산유원지 일대는 백산동, 남서쪽은 문곡동에 걸쳐 입지한다. 지리적으로 중부 내륙 산간 지방에 속해 한랭온대식물상지역에 해당하며(Cho et al., 2020), 지난 5년간 연평균기온은 9.5℃, 연강수량은 1266.1 ㎜이다(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 연화산은 백두대간의 핵심이 되는 태백산, 함백산, 매봉산, 금대봉을 조망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며, 태백산과 태백시청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다. 태백산은 멸종위기식물인 개병풍과 대성쓴풀 등이 서식하며 북방계 고산식물인 주목과 눈측백의 자생이 확인되어 남방한계지로써 그 생태적 의미가 큰 지역이다(Kim et al., 2002;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연화산은 이러한 태백산과 가까이 위치하며 1,000 m 이상의 높은 고도를 가진 산지이기 때문에 이와 유사한 식물상이 나타날 수 있어 생물다양성이 기대되는 지역이다. 그러나 연화산은 주거, 상가, 관공서가 밀집된 태백 시내와 인접하여 생태계 교란이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는 곳에 위치한다. 연화산 내 해발고도 680~900 m에는 ‘태백고원 700 산소길’이라 불리는 둘레길이 있어 약수터와 산책로, 간이 체육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화산의 백산동 지역에 있는 연화산유원지에는 1,500 m2 규모의 오토캠핑장과 600 m2의 유아숲체험원, 도시숲 등이 조성되어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21). 이러한 좋은 접근성과 편리성으로 인해 산행이나 운동, 캠핑 등을 목적으로 하는 관광객이 다수 방문한다. 따라서 관광객에 의한 산림 훼손과 외래식물의 유입, 유원지 조성을 위한 식물 식재 및 관리 등으로 인한 기존 식생의 파괴 등 생물다양성 손실과 생태계 교란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식물상 연구는 조사지 식물의 분류군 및 개체 수, 풍부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생물다양성 보전 전략을 수립하고, 관리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기반이 된다(Im, 1999). 식물상은 해당 지역의 토양과 기후 인자와 깊은 연관이 있어 중요한 지표로써 사용될 수 있으며, 식물의 종 풍부도와 다양성을 통해 식물이 분포하는 지역의 생태적 지위를 파악할 수 있다(Ferris and Humphrey, 1999; Peterken, 1993). 특히, 확증표본에 근거한 식물상은 구체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오동정으로 인한 오류를 줄이고, 해당 지역의 현재와 더불어 미래의 식물상 및 개화시기의 변화를 파악하고 예측할 수 있게 한다(Culley, 2013).

연화산과 인접한 지역에 대해서는 2018년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연화산에서 동쪽으로 5 ㎞ 거리에 위치한 백병산 지역의 식물상이 조사된 바 있다(Kim and Jung, 2019). 그러나 이는 보다 북쪽에 위치한 육백산, 두리봉산 지역의 식물상과 함께 조사되어 연화산 인근에서 구체적으로 어느 분류군이 출현하였는지 파악하기 어렵다. 2012년에 수행된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는 연화산에서 북동쪽으로 12 ㎞ 거리에 있는 육백산 일대의 식물상이 조사되었으며(Chung and Nam, 2012), 최근 연구로는 서남쪽에 위치한 영월군 선달산의 식물상이 조사된 바 있다(An et al., 2022). 그러나 연화산 지역의 관속식물상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기 때문에, 일대에 서식하는 식물상을 기록하고 증거표본을 수집하여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축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확증표본에 기초한 연화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힘으로써 외래식물 유입 방지 및 식물다양성 보존 방안 수립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재료 및 방법

연화산의 관속식물상 파악을 위해 2022년 4월부터 동년 9월까지 총 14회의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Table 1). 연화산(1,172 m) 일대를 조사 범위로 하여 계곡부와 능선부를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조사 결과물로 식물체를 채집하여 확증표본으로 남기고자 하였다(Fig. 1). 식물체는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를 우선하여 채집하였다. 채집한 식물은 건조 후 석엽표본으로 제작하여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KH)에 보관하였다.

Table 1.

The list of dates and routes of field survey in Yeonhwasan Mt.

No. Date Investigation routes
1 6 Apr 2022 Taebaek-si, Baeksan-dong, Yeonhwasan recreation area → Geoldung-gol
2 7 Apr 2022 Taebaek-si, Tong-dong, Geoldung-gol → Hanbo 5 complex → Songyi-jae
3 11 May 2022 Taebaek-si, Hwangji-dong, Daesan heightsville, near valleys
4 Taebaek-si, Hwangji-dong, Taebaek-si lifelong learning center → Yeonhwasan-gol
5 Taebaek-si, Baeksan-dong, Yeonhwasan recreation area, near mountain area
6 12 May 2022 Taebaek-si, Tong-dong, Songyi-jae → Peak (1,172 m) → Hanbo 5 complex
7 13 May 2022 Taebaek-si, Tong-dong, Solan village, near valleys
8 20 Jul 2022 Taebaek-si, Baeksan-dong, Yeonhwasan Recreation Area → Women’s community center
9 Taebaek-si, Baeksan-dong, Yeonhwasan Recreation Area → Songyi-jae
10 21 Jul 2022 Taebaek-si, Tong-dong, Songyi-jae → Peak (1,172 m) → Yeonhwasan Recreation Area
11 21 Sep 2022 Taebaek-si, Tong-dong, Jjakbau-gol-gil, near mountain area
12 Taebaek-si, Tong-dong, Hanbo 5 complex, near mountain area
13 22 Sep 2022 Taebaek-si, Hwangji-dong, Daesan heightsville → Peak (1,172 m) → Women’s community center
14 23 Sep 2022 Taebaek-si, Baeksan-dong, Yeonhwasan recreation area, near mountain area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3-036-04/N0820360407/images/kjpr_2023_364_314_F1.jpg
Fig. 1.

Map of investigated area and routes.

식물의 동정은 Lee (1980, 2003) 등의 도감을 참고하였다. 분류군의 학명과 분류체계는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22a; 2022b)에 근거하여 표기하였고, 과 내에서는 알파벳 순서로 속명과 종명을 배열하였다. 작성된 식물 목록을 기반으로 주요 식물종을 분석하여 특산식물(Chung et al., 2017), 적색목록 위협범주 및 준위협 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유용식물(Korea Forest Service, 2014), 외래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22b)과 생태계교란식물(생태계 교란생물지정고시, 환경부고시 제2021-176호)에 해당하는 식물을 제시하였다. 도시화지수(Urbanization Index, UI; Yim and Jeon, 1980)는 국내 귀화식물의 총분류군 수에 대한 대상지의 귀화식물 분류군 수로, 귀화율(Naturalized Index, NI; Numata, 1975)은 대상지 관속식물 총분류군 수 대비 대상지 귀화식물 분류군 수의 비율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와 기존 연구를 비교하고자 했으나 연화산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부재해 인접 지역 식물상과 비교하였다. 연화산과 가장 가까이 동쪽으로 직선거리 5 km에 이웃한 백병산의 식물자원 연구와(Cheon et al., 2014), 연화산과 마찬가지로 함백산 자락에 속하며 서남쪽으로 9.8 ㎞ 거리에 인접한 태백산의 식물상 연구 중 4월부터 10월에 현장조사를 수행하여 본 조사와 조사시기가 유사한 Shin et al. (2015)의 연구를 참고하였다. 본 연구 결과와의 비교 분석 대상은 분류군 수, 특산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침입외래식물 분류군 수 등으로 하였다.

결과 및 고찰

관속식물상

연화산에서 생육이 확인된 관속식물은 87과 282속 441종 15아종 41변종 8품종으로 총 505분류군이다(Table 2). 이는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따른 한반도의 관속식물 4,724분류군의 약 10.7%에 해당한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22a; 2022b). 이 중 양치식물은 10과 13속 20종 1변종으로 총 21분류군(4.2%), 나자식물은 4과 6속 7종 총 7분류군(1.4%), 피자식물은 73과 263속 414종 15아종 40변종 8품종 총 477분류군(94.5%)을 확인하였다. 피자식물은 쌍자엽식물 65과 217속 341종 14아종 34변종 5품종으로 총 394분류군, 단자엽식물 8과 46속 73종 1아종 6변종 3품종으로 총 83분류군으로 구성되었다. 과별 분류군 수는 국화과가 68분류군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장미과(29분류군)와 벼과(29분류군), 백합과(25분류군), 콩과(20분류군), 꿀풀과(18분류군)의 순으로 나타났다(Appendix 1).

연화산의 관속식물상을 인근 산지인 백병산과 태백산의 관속식물상과 비교하였는데, 이전 연구에서 확인된 식물 목록을 현행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22a; 2022b)을 기준으로 수정하여 비교하였다. 백병산에서(Cheon et al., 2014) 확인된 식물 중 이명으로 기입되어 있던 것을 정명으로 바꾸어 금강소나무를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로, 털황벽을 황벽나무(Phellodendron amurense Rupr.)로, 흰송이풀을 송이풀(Pedicularis resupinata L.)로, 가는층층잔대를 층층잔대[Adenophora triphylla (Thunb.) A.DC.]로 수정하였다. 태백산에서는(Shin et al., 2015) 이명으로 기입되어 있던 흰괭이눈, 참산부추, 왕솜대를 정명인 흰털괭이눈(Chrysosplenium barbatum Nakai), 산부추(Allium thunbergii G.Don), 풀솜대[Maianthemum japonicum (A.Gray) LaFrankie]로 각각 수정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고광나무(Philadelphus schrenkii Rupr.)의 서식이 모호하고 얇은잎고광나무(Philadelphus tenuifolius Rupr. & Maxim.)가 고광나무로 잘못 인식되어왔다는 Kim et al. (2022)의 최근 연구에 따라 고광나무를 얇은잎고광나무로 수정하여 비교하였다. 연화산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의 분류군 수는 인근 산지인 백병산에서 2011년 6월부터 이듬해 9월까지 수행된 조사에서 확인한 관속식물 401분류군(Cheon et al., 2014)에 비하여 24.1% 많은 분류군이 확인된 것이다. 또한 태백산 지역에서 본 조사와 유사한 시기인 2014년 4월부터 10월에 확인된 404분류군(Shin et al., 2015)에 비해 25.0% 많은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는 본 연구가 짧은 조사기간에도 불구하고 능선, 계곡, 암석지, 소택지 등 다양한 식생이 분포하는 지역을 조사지에 포함한 결과로 판단된다. 두 인근 지역과 연화산에서 공통적으로 보고된 분류군은 총 175분류군이었으며, 연화산에서만 확인된 분류군은 156분류군이었다. 인근 지역에서 목본식물의 보고가 비교적 미흡했던 것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산간지방에 널리 분포하는 박달나무(Betula schmidtii Regel), 개박달나무(Betula chinensis Maxim.), 시무나무[Hemiptelea davidii (Hance) Planch.], 비술나무(Ulmus pumila L.) 등의 목본류가 확인되었다. 이외에 양치식물 7분류군과 벼과 사초과 식물 20분류군이 연화산에서 확인되었다.

Table 2.

The summary of vascular plants in Yeonhwasan Mt.

Taxa Family Genera Species Subspecies Variety Forma Total Ratio (%)
Pteridophyta 10 13 20 0 1 0 21 4.2
Gymnospermae 4 6 7 0 0 0 7 1.4
Angiospermae 73 263 414 15 40 8 477 94.5
Dicotyledonae 65 217 341 14 34 5 394 78.0
Monocotyledonae 8 46 73 1 6 3 83 16.4
Total 87 282 441 15 41 8 505 100

특산식물

한반도 특산식물은 한반도에서만 생육하는 식물을 뜻한다. 국제적으로 생물다양성 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이 체결되고 나고야 의정서가 발효됨에 따라 국가의 생물주권을 강화하기 위해 한반도 특산식물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Chung et al. (2017)이 제시한 한반도 특산식물 목록에 따르면, 연화산의 한반도 특산식물은 진범(Aconitum pseudolaeve Nakai), 세잎승마[Actaea bifida (Nakai) J.Compton], 병조희풀(Clematis urticifolia Nakai ex Kitag.), 꽃황새냉이(Cardamine amariformis Nakai), 흰털괭이눈 등 총 13과 20속 22분류군이다(Table 3). 이는 한반도 특산식물 360분류군의 6.1%에 해당한다(Chung et al., 2017). 이 중 한보 5단지 근처 경작지에서 확인한 두메부추(Allium dumebuchum H.J.Choi)와 솔안길에서 확인한 은사시나무(Populus × tomentiglandulosa T.B.Lee), 연화산 유원지에서 확인한 설앵초[Primula farinosa L. subsp. modesta (Bisset & S.Moore) var. koreana T.Yamaz.]는 식재된 것으로 추측된다. 동쪽의 걸둥골 방면에 철암천의 지류가 있어 계곡을 따라 키버들(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진범, 갈퀴현호색(Corydalis grandicalyx B.U.Oh & Y.S.Kim), 점현호색(Corydalis maculata B.U.Oh & Y.S.Kim), 각시현호색(Corydalis misandra B.U.Oh), 서울제비꽃(Viola seoulensis Nakai), 처녀치마(Heloniopsis koreana Fuse, N.S.Lee & M.N.Tamura)가 분포하나 물길 옆으로 밭이 일궈져 있어 제초제 등에 의한 교란이 우려된다. 연화산 유원지 주변 계곡과 능선부에서 병조희풀, 꽃황새냉이, 털양지꽃(Potentilla squamosa Soják), 강활(Angelica reflexa B.Y.Lee) 등이 서식하였는데, 유원지에서 진행하는 숲체험에 이를 이용하면 생태교육에 좋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백병산에서 이루어진 식물상 연구에서는 갈퀴현호색, 노랑갈퀴(Vicia chosenensis Ohwi), 외대잔대(Adenophora racemosa J.Lee & S.Lee) 등 총 12분류군의 특산식물이 확인되었다(Cheon et al., 2014). 이와 비교해 본 조사에서는 키버들, 털양지꽃, 처녀치마 등 15분류군의 특산식물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태백산의 식물상 연구에서는 홀아비바람꽃(Anemone koraiensis Nakai), 그늘참나물[Pimpinella brachycarpa (Kom.) Nakai var. uchiyamana (Y.Yabe) W.T.Lee & G.J.Jang], 토현삼(Scrophularia koraiensis Nakai) 등 총 10분류군의 특산식물을 확인하였는데(Shin et al., 2015), 본 조사에서는 이와 비교해 서울제비꽃, 강활 등 16분류군의 특산식물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Table 3.

The list of endemic plants in Yeonhwasan Mt.

No. Family Taxa Korean name
1 Salicaceae Populus × tomentiglandulosa T.B.Lee 은사시나무z
2 Salicaceae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키버들
3 Ranunculaceae Aconitum pseudolaeve Nakai 진범
4 Ranunculaceae Actaea bifida (Nakai) J.Compton 세잎승마
5 Ranunculaceae Clematis trichotoma Nakai 할미밀망
6 Ranunculaceae Clematis urticifolia Nakai ex Kitag. 병조희풀
7 Papaveraceae Corydalis grandicalyx B.U.Oh & Y.S.Kim 갈퀴현호색
8 Papaveraceae Corydalis maculata B.U.Oh & Y.S.Kim 점현호색
9 Papaveraceae Corydalis misandra B.U.Oh 각시현호색
10 Brassicaceae Cardamine amariformis Nakai 꽃황새냉이
11 Saxifragaceae Chrysosplenium barbatum Nakai 흰털괭이눈
12 Rosaceae Potentilla squamosa Soják 털양지꽃
13 Violaceae Viola seoulensis Nakai 서울제비꽃
14 Apiaceae Angelica reflexa B.Y.Lee 강활
15 Primulaceae Primula farinosa L. subsp. modesta (Bisset & S.Moore) var. koreana T.Yamaz. 설앵초z
16 Scrophulariaceae Melampyrum setaceum (Maxim. ex Palib.) Nakai var. nakaianum (Tuyama) T.Yamaz. 새며느리밥풀
17 Caprifoliaceae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병꽃나무
18 Asteraceae Aster koraiensis Nakai 벌개미취z
19 Asteraceae Cirsium setidens (Dunn) Nakai 고려엉겅퀴
20 Liliaceae Allium dumebuchum H.J.Choi 두메부추z
21 Liliaceae Heloniopsis koreana Fuse, N.S.Lee & M.N.Tamura 처녀치마
22 Liliaceae Hosta minor (Baker) Nakai 좀비비추

zCultivated.

적색목록 위협범주 및 준위협 식물

세계자연보전연맹(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은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생물의 목록인 적색목록(IUCN Red List)을 제시하여 보전 전략 마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생물다양성 보전 및 정책 수립을 위한 도구로써 활용하고 있다(IUCN, 2001). 국내에서도 우리나라 자생식물을 대상으로 IUCN에서 제시한 기준 및 범주를 적용한 평가가 수행되었으나 기존 연구에서 언급되었던 분류군만을 대상으로 하여 지구식물보전전략(Global Strategy for Plant Conservation, GSPC)에서 제시한 “알려진 모든 식물에 대한 평가”를 이행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국립수목원에서는 평가 대상 분류군의 범위를 확대하여 2021년 우리나라 자생식물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 관속식물 적색목록 한국의 희귀식물을 제시하였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이는 IUCN Red List 기준에 따라 우리나라 자생식물을 위협범주인 위급(Critically Endangered, CR), 위기(Endangered, EN), 취약(Vulnerable, VU)과 위협범주에 근접한 준위협(Near Threatened, NT)으로 평가하고, 비교적 낮은 위협의 약관심(Least Concern, LC)과 평가를 위한 정보가 불충분한 정보부족(Data Deficient, DD)으로 구분하였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연화산에서 확인된 관속식물 중 위협범주 및 준위협에 속하는 식물은 총 4분류군이다(Table 4). 이 중 위협범주에 속하는 식물은 3분류군으로, 위급(CR)에 두메부추, 위기(EN)에 설앵초, 취약(VU)에 향나무(Juniperus chinensis L.)가 각각 속하였다. 준위협(NT)에 속하는 식물로는 꼬리진달래(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가 확인되었다. 이 중 두메부추, 설앵초와 태백여성회관으로 가는 길목에서 확인된 향나무는 식재된 것으로 추정되어 자생하는 식물 중에서는 꼬리진달래가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꼬리진달래는 높은 산의 양지바른 곳에 서식하는 식물로 연화산에서는 정상 부근 바위지대에서 확인되었다. 이 중 등산로 중앙에 위치한 개체들이 있어, 탐방객에 의한 훼손이 우려된다.

Table 4.

The list of threatened plants in Yeonhwasan Mt. according to the IUCN Red List category

No. Family Taxa Korean name Groupz
1 Liliaceae Allium dumebuchum H.J.Choi 두메부추y CR
2 Primulaceae Primula farinosa L. subsp. modesta (Bisset & S.Moore) var. koreana T.Yamaz. 설앵초y EN
3 Cupressaceae Juniperus chinensis L. 향나무y VU
4 Ericaceae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꼬리진달래 NT

zCR, Critically endangered; EN, Endangered; VU, Vulnerable; NT, Near threatened designated by Korea National Arboretum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yCultivated.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식물은 다양한 환경 요인과 식물이 가지는 생태적 특성에 의해 분포가 결정되는데, 그 때문에 지역별로 고유한 식물상이 나타난다(Gonzalez-Orozco et al., 2014). 식물상 고유성이 유사한 지역을 같은 식물지리학적 범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렇게 나뉜 식물의 분포 지역을 식물구계(floristics)라 한다(Born et al., 2006). 한반도의 구계 분석을 통해 식물을 분포 범위에 따라 5개 등급으로 구분할 수 있다. V등급은 극히 일부 지역에만 고립되어 있거나 불연속적으로 분포하는 분류군이며, IV등급은 1개의 아구에만 분포하는 분류군, III등급은 2개의 아구에 분포하는 분류군, II등급은 모든 아구에 분포하나 해발고도 1,000 m 이상의 산지에 분포하는 분류군, I등급은 3개의 아구에 분포하는 분류군이다(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이에 따라 연화산에서 확인된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45과 75속 102분류군이다(Table 5). V등급에서는 설앵초 1분류군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식재된 것으로 추측된다. IV등급에는 회리바람꽃(Anemone reflexa Steph. ex Willd.), 가지괭이눈(Chrysosplenium ramosum Maxim.), 도깨비부채(Rodgersia podophylla A.Gray), 산겨릅나무(Acer tegmentosum Maxim.), 산흰쑥(Artemisia sieversiana Ehrh. ex Willd.) 등 총 9분류군, III등급에는 노루삼(Actaea asiatica H.Hara), 부게꽃나무(Acer ukurunduense Trautv. & C.A.Mey.), 여로[Veratrum maackii Regel var. japonicum (Baker) Shimizu], 애기앉은부채(Symplocarpus nipponicus Makino) 등 총 34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이외에 II등급 총 29분류군, I등급 총 29분류군을 확인하였다.

Table 5.

The list of floristic target species in Yeonhwasan Mt. designa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Grade Taxa Korean name Taxa Korean name
V Primula farinosa L. subsp. modesta (Bisset & S.Moore) var. koreana T.Yamaz. 설앵초z
IV Ulmus pumila L. 비술나무 Acer tegmentosum Maxim. 산겨릅나무
Actaea bifida (Nakai) J.Compton 세잎승마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꼬리진달래
Anemone reflexa Steph. ex Willd. 회리바람꽃 Artemisia sieversiana Ehrh. ex Willd. 산흰쑥
Chrysosplenium ramosum Maxim. 가지괭이눈 Lilium cernuum Kom. 솔나리
Rodgersia podophylla A.Gray 도깨비부채
III Equisetum hyemale L. 속새 Sorbaria sorbifolia (L.) A.Braun var.
stellipila Maxim.
쉬땅나무
Juniperus chinensis L. 향나무zSpiraea chamaedryfolia L. 인가목조팝나무
Salix rorida Laksch. 분버들 Acer barbinerve Maxim. 청시닥나무
Betula chinensis Maxim. 개박달나무 Acer komarovii Pojark. 시닥나무
Betula davurica Pall. 물박달나무 Acer palmatum Thunb. 단풍나무
Betula schmidtii Regel 박달나무 Acer triflorum Kom. 복자기
Actaea asiatica H.Hara 노루삼 Acer ukurunduense Trautv. & C.A.Mey. 부게꽃나무
Aquilegia buergeriana Siebold &
Zucc. var. oxysepala (Trautv.
& C.A.Mey.) Kitam.
매발톱 Lysimachia vulgaris L. var.
davurica (Ledeb.) R.Knuth
좁쌀풀
Galium odoratum (L.) Scop. 선갈퀴
Clematis urticifolia Nakai ex Kitag. 병조희풀 Brachybotrys paridiformis Maxim. ex Oliv. 당개지치
Eranthis stellata Maxim. 너도바람꽃 Melampyrum setaceum
(Maxim. ex Palib.) Nakai
애기며느리밥풀
Actinidia kolomikta
(Maxim. & Rupr.) Maxim.
쥐다래 Melampyrum setaceum
(Maxim. ex Palib.) Nakai var.
nakaianum (Tuyama) T.Yamaz.
새며느리밥풀
Corydalis grandicalyx
B.U.Oh & Y.S.Kim
갈퀴현호색
Corydalis maculata
B.U.Oh & Y.S.Kim
점현호색 Ligularia stenocephala (Maxim.)
Matsum. & Koidz.
곤달비z
Dicentra spectabilis (L.) Lem. 금낭화 Lilium distichum Nakai ex Kamib. 말나리
Cardamine amariformis Nakai 꽃황새냉이 Veratrum maackii Regel var.
japonicum (Baker) Shimizu
여로
Potentilla cryptotaeniae Maxim. 물양지꽃 Symplocarpus nipponicus Makino 애기앉은부채
Prunus sargentii Rehder 산벚나무 Carex lasiolepis Franch. 난사초

zCultivated.

Cheon et al. (2014)의 백병산 식물상 연구에서 IV등급의 산외(Schizopepon bryoniifolius Maxim.),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파란여로[Veratrum maackii Regel var. parviflorum (Maxim. ex Miq.) H.Hara] 등을 비롯해 총 85분류군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을 확인한 것에 비하여 본 연구에서는 솔나리(Lilium cernuum Kom.), 금낭화[Dicentra spectabilis (L.) Lem.], 난사초(Carex lasiolepis Franch.) 등 48분류군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Shin et al. (2015)의 태백산 식물상 연구에서는 V등급의 골개고사리[Athyrium otophorum (Miq.) Koidz.], 눈측백(Thuja koraiensis Nakai), 승마[Actaea heracleifolia (Kom.) J.Compton] IV등급의 들바람꽃[Anemone amurensis (Korsh.) Kom.], 참바위취(Saxifraga oblongifolia Nakai), 연영초(Trillium camschatcense Ker Gawl.) 등 128분류군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을 확인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태백산에서 확인된 특정종 이외에 비술나무, 가지괭이눈, 산흰쑥 등 44분류군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유용식물

산림청에서는 한반도의 관속식물을 과학적 기능, 분포의 희소성, 고유성에 따라 자원으로써의 가치를 검토하여 용도별로 분류하였다(Korea Forest Service, 2014). 이 중 과학적 기능에 따른 분류는 식용, 약용, 공업용, 관상용 등 기존 용도에 시대적 요구에 따른 새로운 용도를 포함하여 분류를 세분화한 것이다. 연화산에서 확인된 505분류군의 활용 방안 확인을 위해 이 기준을 참고하여 용도별 유용성에 따라 분류한 결과, 약용이 353분류군(69.9%)로 가장 많았으며, 순차적으로 식용 313분류군(62.0%), 관상용 264분류군(52.3%), 비료용 211분류군(41.8%), 산업용 200분류군(39.6%), 생태복원용 180분류군(35.6%), 향료용 17분류군(3.4%)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용도를 알지 못하는 분류군은 27분류군(5.3%)이었다(Table 6).

Table 6.

The number of useful plants in Yeonhwasan Mt.

Use Mz Ez Oz Cz Iz ERz Fz Uz
No. of taxa 353 313 264 211 200 180 17 27
Ratio (%) 69.9 62.0 52.3 41.8 39.6 35.6 3.4 5.35

zM, Medicinal plants; E, Edible plants; O, Ornamental plants; C, Plants useful for compost; I, Industrial plants; ER, Plants useful for ecological restoration; F, Fragrant plants; U, Unknown.

Expressed as a ratio to the total number of taxa identified in Yeonhwasan Mt.

침입외래식물 및 생태계교란종

연화산에서 서식이 확인된 관속식물 중 국내에 유입되어 야생화된 외래식물인 침입외래식물은 붉은토끼풀(Trifolium pratense L.), 괭이밥(Oxalis corniculata L.), 까마중(Solanum nigrum L.), 미국가막사리(Bidens frondosa L.) 애기겨이삭(Agrostis stolonifera L.) 등 총 11과 29속 34분류군이었으며, 귀화식물은 32분류군이다(Jung et al., 2016; Korea National Arboretum, 2022b; Table 7). 이 중 환경부가 생태계교란종으로 지정한 분류군은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L.)과 미국쑥부쟁이[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L.Nesom]로 2분류군이며, 외래식물은 아니지만 생태계교란종에 속하는 환삼덩굴[Humulus scandens (Lour.) Merr.]이 확인되었다. 특히 돼지풀과 환삼덩굴은 빠르게 성장하여 주변 식물을 뒤덮어 생장을 억제하고 단일 군락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생태계를 파괴할 뿐 아니라 개화 시에 꽃가루로 인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등 인체에도 유해하다. 관광객이 많이 방문하는 연화산의 경우 돼지풀과 환삼덩굴의 악영향을 막기 위해서 개화 이전에 이를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화산과 인접한 백병산에서 2014년에 수행된 연구에서는(Cheon et al., 2014) 개비름[Amaranthus blitum L. subsp. oleraceus (L.) Costea], 미국까마중(Solanum americanum Mill.) 등 총 17분류군의 침입외래식물을 확인하였고, 태백산에서 2015년에 수행된 연구에서는(Shin et al., 2015) 유럽점나도나물(Cerastium glomeratum Thuill.),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 등 총 16분류군의 침입외래식물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비교해 각각 19분류군, 20분류군이 추가로 확인되어 연화산이 인근 지역에 비해 침입외래식물의 유입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연화산의 도시화지수(대상지의 귀화식물 분류군 수/국내 귀화식물의 총분류군 수 × 100)는 12.8%, 귀화율(대상지 귀화식물의 분류군 수/대상지 관속식물의 총분류군 수 × 100)은 6.7%이다. 이는 백병산과 태백산의 도시화지수(4.4%, 5%)와 귀화율(3.5%, 3.9%) 보다 높은 수치이다(Cheon et al., 2014; Shin et al., 2015). 태백시내와 접해 있다는 점과 여러 편의시설이 구비되어 있어 방문객이 많다는 점으로 인해 타지역보다 외래식물의 침입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7.

The list of invasive alien plants in Yeonhwasan Mt.

No. Family Species or infraspecific taxa Korean name
1 Polygonaceae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2 Polygonaceae Rumex patientia L. 부령소리쟁이
3 Caryophyllaceae Cerastium glomeratum Thuill. 유럽점나도나물
4 Caryophyllaceae Stellaria media (L.) Vill. 별꽃
5 Chenopodiaceae Chenopodium album L. 흰명아주
6 Brassicaceae Barbarea vulgaris W.T.Aiton 유럽나도냉이
7 Brassicaceae Lepidium apetalum Willd. 다닥냉이
8 Brassicaceae Thlaspi arvense L. 말냉이
9 Fabaceae Medicago lupulina L. 잔개자리
10 Fabaceae Trifolium dubium Sibth. 애기노랑토끼풀
11 Fabaceae Trifolium pratense L. 붉은토끼풀
12 Fabaceae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13 Oxalidaceae Oxalis corniculata L. 괭이밥
14 Oxalidaceae Oxalis dillenii Jacq. 들괭이밥
15 Onagraceae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16 Rubiaceae Galium tricornutum Dandy 민둥갈퀴덩굴
17 Solanaceae Solanum nigrum L. 까마중
18 Asteraceae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z
19 Asteraceae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20 Asteraceae Carduus crispus L. 지느러미엉겅퀴
21 Asteraceae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22 Asteraceae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23 Asteraceae Galinsoga quadriradiata Ruiz & Pav. 털별꽃아재비
24 Asteraceae Senecio vulgaris L. 개쑥갓
25 Asteraceae Sonchus asper (L.) Hill 큰방가지똥
26 Asteraceae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27 Asteraceae 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L.Nesom 미국쑥부쟁이z
28 Asteraceae Taraxacum officinale F.H.Wigg. 서양민들레
29 Poaceae Agrostis stolonifera L. 애기겨이삭
30 Poaceae Bromus catharticus Vahl 큰이삭풀
31 Poaceae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32 Poaceae Elymus repens (L.) Gould 구주개밀
33 Poaceae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34 Poaceae Festuca pratensis Huds. 넓은김의털

zEcosystem disturbance plant.

연화산의 식물 분포와 관속식물상의 의미

식물 군락의 분포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Kent, 2011). 연화산은 온대 북부 산림에 속하는 지역으로, 고도가 높은 곳에서 온대 북부림의 대표 수종인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가 우점하는 양상을 보이며, 찰피나무(Tilia mandshurica Rupr. & Maxim.), 당단풍나무[Acer pseudosieboldianum (Pax) Kom.], 시닥나무(Acer komarovii Pojark.), 사스래나무(Betula ermanii Cham.)가 분포한다. 보다 저지대에서는 졸참나무(Quercus serrata Murray),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Blume),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Carruth.), 떡갈나무(Quercus dentata Thunb.) 등으로 구성된 참나무림이 형성되고 소나무와 일본잎갈나무[Larix kaempferi (Lamb.) Carrière] 조림지가 있어 낙엽활엽혼효림의 분포를 보인다. 교목 및 아교목층에는 이외에도 고로쇠나무[Acer pictum Thunb. var. mono (Maxim.) Maxim. ex Franch.], 물박달나무(Betula davurica Pall.),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Hance), 까치박달(Carpinus cordata Blume) 등 주로 내음성이 높은 수종이 나타났다.

조사지 내에서는 다양한 지형이 관찰되었다. 정상부에는 바위 지대가 있어 꼬리진달래, 산조팝나무(Spiraea blumei G.Don), 바위채송화(Sedum polytrichoides Hemsl.), 돌양지꽃(Potentilla dickinsii Franch. & Sav.), 구실사리[Selaginella rossii (Baker) Warb.] 등이 생육한다. 산정대 부근의 능선 및 사면에서는 교목층에서 신갈나무, 관목층에서 철쭉(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이 우점하며, 능선부에서 구절초[Dendranthema zawadskii (Herbich) Tzvelev var. latiloba (Maxim.) Kitam.]가 군락을 이뤄 생육했다. 해발고도 700 m 이상의 산지에서는 고산지대에 주로 서식하는 솔나리, 처녀치마, 동자꽃, 뫼제비꽃(Viola selkirkii Pursh ex Goldie) 등이 나타났다. 습기가 많은 계곡부에서는 까치박달이 주로 나타났으며, 초본층에서는 흰털괭이눈, 강활 등이 나타났다. 연화산은 산의 경계를 따라 동쪽으로는 예랑골에서 발원한 철암천이, 서쪽으로는 황지천이 연화산을 감싸며 낙동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또한 산지 내에 연화산샘터, 오름뫼샘터, 한마음샘터 등 물이 솟아오르는 장소가 있으며, 물이 고이는 지형이 곳곳에 분포한다. 때문에 양지 바른 하천 주변에서는 호랑버들(Salix caprea L.), 키버들, 갯버들(Salix gracilistyla Miq.) 등의 버드나무류가 서식하며, 습지나 습한 토양에 서식하는 벼과, 사초과, 골풀과 등의 식물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연화산은 이렇듯 여러 지형으로 인한 미기후 및 토양 특성이 다양한 분류군의 서식을 가능케하여 풍부한 생물다양성을 가진 생태적 의미가 뛰어난 지역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연화산은 태백 시내와 밀접하고 유원지와 캠핑장 등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어 많은 수의 관광객이 방문한다. 때문에 관광객으로 인한 산림 훼손이나 방문객이 가져온 음식물이나 옷, 신발에 붙은 종자로 인한 침입외래식물의 유입 등 인위적인 교란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연화산의 도시화지수와 귀화율은 비교 대상이 된 인근 산지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였다. 지금과 같은 인위적인 간섭이 지속될 경우 침입외래식물의 유입과 확산으로 인해 연화산의 풍부한 자연 생태계가 위협받을 수 있다. 연화산의 생물다양성을 보전하면서 그 생태적 의미와 가치를 교육적인 방향이나 자연경관으로써 향유하기 위해서는 침입외래식물이나 산림 훼손 등을 방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관리 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는 만큼 교란 식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 작업 등의 노력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연화산의 자연 생태계를 현명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적 요

본 연구는 강원도 태백시에 위치한 연화산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였다. 2022년 4월부터 9월까지 총 14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수행한 결과 87과 282속 441종 15아종 41변종 8품종으로 총 50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 특산식물은 22분류군이었다. 국립수목원이 지정한 적색목록에 따른 위협범주 및 준위협에 속하는 식물은 4분류군으로, 위급, 위기, 취약, 준위협 범주에서 각각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0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V등급에는 1분류군, IV등급 9분류군, III등급 34분류군이 속했다. 침입외래식물은 34분류군, 생태계교란식물은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조사지의 도시화지수는 12.8%, 귀화율은 6.7%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연화산의 생태적 가치 보전과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upplementary Material

Acknowledgements

본 논문은 국립수목원 “한반도 식물 종 다양성 이해 증진을 위한 한반도 식물상 온라인 기반 구축 연구, KNA1-1-23, 18-1” 과제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습니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y have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An, M.W., S. Jeong, J.Y. Kim, H.J. Jo, T.I. Heo, H.J. Lee, E.W. Seo and G.Y. Chung. 2022. A flora of vascular plants of Seondalsan mountain (Bonghwa-gun, Gyeongsangbuk-do). Korean J. Plant Res. 35(2):289-316 (in Korean).
2
Born, J., H.P. Linder and P. Desmet. 2006. The greater cape floristic region. J. Biogeogr. 34(1):147-162. 10.1111/j.1365-2699.2006.01595.x
3
Cheon, K.S., J.S. Han, K.A. Kim and K.O. Yoo. 2014.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plant resources in Mt. Baekbyeong (Gangwon, Taebaek). J. Environ. 168:9-29 (in Korean).
4
Cho, Y.C., S.H. Jung, D.H. Lee, H.G. Kim and J.H. Kim. 2020. Forest of Korea (VI) Biogeography of Korea: Flora and Vegeta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5
Chung, G.Y. and B.M. Nam. 2012. Plants in the area of Dogye (379131): Yukbaeksan (pp. 1-5). In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ed.),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2012),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in Korean).
6
Chung, G.Y., K.S. Chang, J.M. Chung, W.K. Paik and J.O. Hyun.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7(3):264-288 (in Korean). 10.11110/kjpt.2017.47.3.264
7
Culley, T.M. 2013. Why vouchers matter in botanical research. Appl. Plant Sci. 1(11):1300076. 10.3732/apps.130007625202501PMC4103463
8
Ferris, R. and J.W. Humphrey. 1999. A review of potential biodiversity indicators for application in British forests. Forestry 72(4):313-328. 10.1093/forestry/72.4.313
9
Gonzalez-Orozco, C.E., M.C. Ebach, S. Laffan, A.H. Thornhill, N.J. Knerr, A.N. Schmidt-Lebuhn, C.C. Cargill, M. Clements, N.S. Nagalingum, B.D. Mishler and J.T. Miller. 2014. Quantifying phytogeographical regions of Australia using geospatial turnover in species composition. PLoS One 9(3):e92558. 10.1371/journal.pone.009255824658356PMC3962426
10
Im, H.T. 1999. Flora of Korea and the role of floristic study. Korean J. Pl. Taxon. 29(3):275-284 (In Korean). 10.11110/kjpt.1999.29.3.275
11
IUCN. 2001.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Version 3.1. IUCN Species Survival Commission. IUCN, Gland, CH and Cambridge, UK.
12
Jung, S.Y., J.W. Lee, Y.H. Kwon, H.T. Shin, S.J. Kim, J.B. An and T.I. Heo. 2016.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13
Kent, M. 2011. Vegetation Description and Data Analysis: A Practical Approach. John Wiley and Sons, NJ (USA). pp. 19-21.
14
Kim, C.H. and K. Jung. 2019. Flora of Dogye(379131): Yukbaeksan (pp. 1-30). In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ed.), The 4th National Ecosystem Survey (2018),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in Korean).
15
Kim, Y.M., S. Baasanmunkh, J.H. Song, S. Yang, D.C. Son and H.J. Choi. 2022. A taxonomic revision of Philadelphus (Hydrangeaceae) in South Korea. J. Asia-Pac. Biodivers. 15(3):442-449. 10.1016/j.japb.2022.04.002
16
Kim, Y.S., D.O. Lim, H.K. Oh and H.T. Shin. 2002. Vascular plants of Taebaeksan, Hambaeksan, Geumdaebong(Peak) and Maebongsan in the Baekdudaegan. Korean J. Environ. Ecol. 15(4):293-318 (in Korean).
17
Korea Forest Service. 2014. The Assessment for Vascular Plant Resources and the Reclassification of Their Usefulness from Korea.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in Korean).
18
Korea Forest Service. 2021, April 21. Taebaek Yeonhwasan forest. Korea Forest Service. Retrieved 24 April 2023, from https://www.forest.go.kr/kfsweb/cop/bbs/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1820&mn=NKFS_03_01_13_02&nttId=3157674.
1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Open MET Data Portal, ASOS data from site Taebaek 2017‑2021. Retrieved 10 March 2023, from http://www.data.kma.go.kr.
20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21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The National Red List of Vascular Plant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22
Korea National Arboretum. 2022a.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ve Plants). Retrieved 28 Jan. 2022, available from http://www.nature.go.kr/kpni/index.do.
23
Korea National Arboretum. 2022b.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Alien Plants). Retrieved 28 Jan. 2022, available from http://www.nature.go.kr/kpni/index.do.
24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in Korean).
25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yangmunsa, Seoul, Korea (in Korean).
26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Floristic Target Species (FT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in Korean).
27
Numata, M. 1975. Naturalized Plants. Dai Nippon Printing Co., Tokyo, Japan (in Japanese).
28
Peterken, G.F. 1993. Woodland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Berlin, Germany. p. 273.
29
Shin, H.T., J.W. Yoon, S.J. Kim, T.I. Heo, Y.H. Kwon, D.O. Lim and J.B. An. 2015. Vascular plants in Mt. Taebaeksan (Taebaek-si),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9(3):309-332. 10.13047/KJEE.2015.29.3.309
30
Yim, Y.J. and E.S. Jeon.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J. Plant Biol. 23:69-83 (in Korean).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