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 February 2023. 32-61
https://doi.org/10.7732/kjpr.2023.36.1.032

ABSTRACT


MAIN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연구대상지

  •   연구방법

  • 결과 및 고찰

  •   관속식물

  •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   특산식물

  •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   귀화식물 및 생태계교란외래식물

  •   습지식물 유형

  • 적 요

서 언

습지는 육상생태계(Upland: terrestrial system)와 수생태계(deep water: aquatic system) 사이의 일종의 전이지대로서(Cowardin et al., 1979), 종다양성이 높고 지구상에서 가장 영양물질이 풍부하고 생산성이 높은 생태계로 인식되고 있다(Mulamoottil et al., 1996). 또한, 홍수조절과 영양물질의 저장, 오염물질의 정화, 동・식물의 서식처 등 생태계유지 측면에서 중요한 곳이며, 특히 습지에 분포하고 있는 식생의 경우 항상 습윤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습지의 특성에 특별히 적응된 식생이 생육하는 곳(Cylinder et al., 1994; Kang, 2012)으로 생물다양성 측면에서 보호해야 하는 지역이라 할 수 있다.

습지는 흔히 습원(marshes), 소택지(swamps), 산성습원(bogs) 및 알칼리성습원(fens), 그리고 이와 유사한 습한 서식처를 정의하는 말로 사용하고 있으며(Tiner, 2016), 일반적으로 해안습원, 내륙습원 및 인공습원으로 구분된다(Son, 2015). 이 중 내륙습원에 속하는 산림습원은 지적상 산림으로 되어있는 지역에서 나타나는 모든 습지(소택지, 늪원, 이탄지), 지적상 산림이 아니더라도 교목, 관목, 덤불림과 같은 목본성 식물이 나타나는 소택지(Korea National Arboretum, 2019; Son, 2015)라 정의하고 있다. 산림습원은 산지라는 아주 특수한 환경에 적응・진화한 산림생물들이 살아가는 특수 생태계로서, 산지 소생물권을 보전하기 위함에 있어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Lee, 2009). 또한, 소규모로 분포하고 있어 교란 등의 외부 압력에 취약하며, 한번 파괴되면 다시 복구되기가 어려워 산림습원의 생태적 현황 및 분포를 파악하고, 산림습원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 연구 및 적절한 관리는 시급하고 매우 중요하다(Kang, 2012; Korea National Arboretum, 2019). 특히 국토의 64%가 산림으로 되어있는 우리나라에서는 산지에 많은 습지가 형성되어 있는 특징이 있어 중요한 산림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육화(陸化)되거나 개발 때문에 사라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19). 이에 산림청에서는 2006년부터 2014년까지 공・사유림 6,370천㏊를 대상으로 FGIS를 활용한 산림습원 위치 추출방법을 통해 산림습원 1,264개소를 발굴하였고, 2015년부터 2019년에는 습원 정밀 조사 진행 후 습원의 면적, 희귀식물의 분포, 습원의 형태 등을 고려하여 보전 등급을 정하고, 관리영역을 포함한 지역을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10; Korea National Arboretum, 2019).

습지보전을 위해서는 습지의 생태적 정보가 제공되어야 하는데(Lee et al., 2013), 식물과 그 집단인 식생은 특정 습지의 기초적인 속성정보를 가진다(You and Kwon, 2018a). 이러한 측면에서 산림습원의 식생과 식물상 연구로는 DMZ 산림습지(Park et al., 2005), 장도 산지습지(Song et al., 2006), 충주지역 산지습지(Kim et al., 2008), 호남 서부지역 산림습지(Kang et al., 2013), 창원 주남습지(Lee et al., 2013), 청옥산 산림습원(Son et al., 2014) 등 많은 연구 수행되었다.

본 연구대상지인 대구・경북지역(대구, 청도, 경주, 포항) 산림습원의 식생 및 식물상 연구의 경우, 대구지역은 대구지역 공・사유림 내 산림습원(Jeong et al., 2012)에 대한 연구가 유일하며, 청도・포항지역 산림습원의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경주지역의 경우 경주국립공원 내 주요 습지를 대상으로 한 연구(Kim et al., 2013; Lee et al., 2014; You and Kwon, 2018a, 2018b)가 수행되었으나 산지습지에 대한 생태적 특성을 알기에는 부족하여산림습원의 생태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로는 경주국립공원 지역 내 산지습지(You and Kwon, 2018a; 2018b)에 관한 연구가 유일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FGIS를 통해 확인된 대구・경북지역의 산림습원 중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지는 않았으나 보전 등급 A, B에 선정된 산림습원 14개소를 대상으로 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대구・경북지역의 우수한 산림습원에 대한 산림습원식물 및 희귀・특산식물을 확인하고 보전대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실시한 산림습원 보전사업을 통해 조사된 기존의 자료(Korea National Arboretum, 2019)와 비교 가능한 정보를 확보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연구대상지

산림청에서는 산림습원 1,264개소를 대상으로 보전가치를 평가하여 보전해야 할 중요 산림습원 472개소를 기술하였고 이 중 A, B 등급에 해당하는 우량 산림습원 대구・경북 39개소를 지정하였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19).

대구・경북은 위도상 북위 35° 34'에서 37° 33' 사이에 위치하는데, 본 연구대상지는 대구・경북의 남부권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한정하여 유사한 위도(N35°~36°)에 위치한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구・경북의 우량 산림습원 39개소 중 기후상 유사한 위도에 위치한 대구 3개소(달서구 가창면), 경주시 5개소(내남면 노곡리 2개소, 암곡동, 양남면 기구리, 천북면 덕산리), 청도 3개소(각북면 금천리, 매전면 구촌리, 풍각면 성곡리), 포항 3개소(동해면 입암리, 장기면 방산리, 장기면 임중리) 등 총 14개소를 대상으로 하였다(Fig. 1, Table 1).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3-036-01/N0820360104/images/kjpr_36_01_04_F1.jpg
Fig. 1.

The investigated site in this study.

Table 1.

Status of studied sites at Wetland in Daegu・Gyeongbook

No. Investigated sitesz GPS Altitude Area (㎡) Type and dominant species in wetland
1 01(Gyeongju) N35° 45' 22.25",
E129° 57' 21.91"
237 8,307 Slpoe/Abandoned paddy with slope/Marsh/
Salix Pierotii
2 02(Gyeongju) N35° 45' 54.88",
E129° 15' 20.12"
241 8,175 Slpoe/Abandoned paddy with slope/Swamp&Marsh/
Salix Pierotii
3 03(Gyeongju) N35° 53' 08.20",
E129° 21' 38.90"
447 11,165 Channel/Containg water/Swamp&Marsh/
Phragmites australis & Carex dispalata
4 04(Gyeongju) N35° 41' 27.79",
E129° 25' 21.07"
106 5,835 Slpoe/Abandoned paddy with slope/Swamp/
Salix Pierotii
5 05(Gyeongju) N35° 52' 57.89",
E129° 14' 58.58"
144 4,505 Slpoe/Abandoned paddy with slope/Marsh/
Phragmites japonicus
6 38(Cheongdo) N35° 43' 12.75",
E128° 34' 02.95"
306 14,478 Slpoe/Abandoned paddy with slope/Marsh/
Pueraria lobata & Miscanthus sacchariflorus
7 39(Cheongdo) N35° 36' 08.86",
E128° 47' 24.20"
440 2,326 Slpoe/Abandoned paddy with slope/Swamp/
Alnus japonica
8 40・41(Cheongdo) N35° 38' 30.81",
E128° 34' 21.86"
199 25,397 Slpoe/Sloping mountain/Swamp/Salix Pierotii
9 47(Pohang) N36° 00' 21.06",
E129° 28' 59.12"
78 17,449 Slpoe/Sloping mountain/Swamp/Salix Pierotii
10 48(Pohang) N35° 54' 46.91",
E129° 28' 00.14"
102 2,052 Slpoe/Sloping mountain/Swamp&Marsh/
Phragmites japonicus
11 49(Pohang) N35° 52' 51.93",
E129° 29' 13.14"
25 6,121 Slpoe/Sloping mountain/Swamp/
Salix chaenomeloides
12 01(Daegu) N35° 45' 14.40",
E128° 35' 56.20"
805 8,654 Pool/Abandoned paddy/Swamp&Marsh/
Fraxinus rhynchophylla & Miscanthus sacchariflorus
13 02(Daegu) N35° 44' 32.30",
E128° 36' 32.10"
728 79 Slpoe/Sloping mountain/Marsh/
Lonicera japonica-Artemisia indica
14 03(Daegu) N35° 44' 29.10",
E128° 36' 30.50"
722 844 Slpoe/Sloping mountain/Marsh/
Miscanthus sinensis, Glyceria leptolepis

zRefer to Fig. 1 for the investigated site.

연구대상지의 습지 유형분류는 산림청을 기준으로 하여 Level 1과 2는 내륙지역(Inland)과 산지지역(Forest)으로 고정이며, Level 3에서는 웅덩이(Pool), 수로(Channel), 평지(Flat), 경사(Slop) 및 가장자리(Edge)형으로 분류하였고, Level 4에서는 묵논습지(Abandoned paddy), 수원습지(Containg water), 묵논 경사 습지(Abandoned paddy with slope) 및 산지경사 습지(Sloping mountain) 등으로 구분되었다. Level 5에서는 관목 이상의 식생이 분포하는 곳을 소택지(Swamp), 초본층으로 구성된 곳을 늪원(Marsh)로 구분하였으며, 마지막으로 Level 6에서는 우점하는 식생군락의 명칭을 학명으로 정리하였다(Korea Forest Service, 2010).

연구방법

본 조사는 2020년 6월 2일부터 2021년 10월 13일까지 총 26일에 걸쳐 14개의 산림습원 조사지를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Table 2). 선정된 산림습원 대상지 전역에 출현하는 식물을 확인하고 디지털카메라(D750, Nikon Co. ltd.)로 촬영하였다. 비교적 흔히 확인 가능한 종 또는 많은 개체군이 있는 종을 대상으로 식물체를 수집한 후, 압착・건조하여 건조표본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표본은 대구수목원 식물건조표본 수장고 및 국립DMZ자생식물원에 보관하였고, 희귀식물 등과 같이 채집이 불가한 수종은 디지털카메라를 통해 화상자료를 확보하여 식물 목록(Appendix 1)에 정리하였다. 촬영 및 채집한 식물의 동정은 Kim and Kim (2018), Lee (2003a, 2003b), Lee (2016)를 참고하였고, 양치식물은 Korean Fern Society (2005)를, 벼과・사초과 식물은 Cho et al. (2016)을, 귀화식물은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을 참고하였다. 관속식물의 목록은 Engler의 분류체계(Melchior, 1964; Melchior and Werdermann, 1954)를 따랐으며, 양치식물은 Christenhusz et al. (2011)의 분류체계를 주로 따르고, 각 과내의 속 이하는 알파벳 순서로 정리하였다. 학명 및 국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2021)에 준하여 작성하였다. 작성된 관속식물목록을 바탕으로 희귀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09), 한반도 특산식물(Chung et al., 2017),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생태계교란 식물은 환경부에서 제시한 제5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9)을 참고하였다. 귀화식물은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을 기준으로 정리한 뒤 Kariyama and Kobatake (1988)의 귀화도, Namata (1975)의 귀화율(NI: Naturalized Index) 및 Yim and Jeon (1980)의 도시화지수(UI: Urbanized Index)를 산출하였다. 또한 출현한 귀화식물을 산림 내 침입외래식물로 5개 확산등급으로 나누어 위협을 구분하였다(Jung et al., 2017). 출현한 식물 중 습지식물은 절대습지식물(Obligate wetland plant, OBW), 임의습지식물(Facultative wetland plant, FACW)로 분류하여 습지식물의 유형을 분류하였다(Choung et al., 2012).

Table 2.

Investigation dates of the floristic study at Wetland in Daegu・Gyeongbook

No. Investigated sites Investigated date
Spring Summer Autumn
1 01(Gyeongju) 2021.05.03. 2020.07.14. 2020.10.12.
2 02(Gyeongju) 2021.05.03. 2020.07.14. 2020.10.12.
3 03(Gyeongju) 2021.05.04. 2021.08.19. 2021.09.07.
2021.10.13.
4 04(Gyeongju) 2021.05.04. 2020.07.14. 2020.10.12.
5 05(Gyeongju) 2021.05.03. 2020.07.02. 2020.10.13.
6 38(Cheongdo) 2021.05.17. 2020.06.26. 2020.10.05.
7 39(Cheongdo) 2021.05.18. 2020.07.15. 2020.10.05.
8 40・41(Cheongdo) 2021.05.18. 2020.07.08. 2020.09.11.
9 47(Pohang) 2021.05.25. 2020.07.01. 2020.09.24.
10 48(Pohang) 2021.05.25. 2020.07.01. 2020.09.24.
11 49(Pohang) 2021.05.26. 2020.07.01. 2020.09.24.
12 01(Daegu) 2020.06.02. 2020.08.13. 2020.09.28.
13 02(Daegu) 2020.06.05. 2020.08.14. 2020.09.16.
14 03(Daegu) 2020.06.05. 2020.08.14. 2020.09.16.

결과 및 고찰

관속식물

대구, 경북(청도, 경주, 포항) 일대 우량 산림습원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104과 286속 406종 34변종 12아종 6품종 1교잡종 등 총 459분류군을 확인하였다(Table 3, Table 4, Fig. 2). 이 중 양치식물 10과 12속 18종 1변종 19분류군(4.14%), 겉씨식물 3과 4속 6종 6분류군(1.31%)을 각각 확인하였고, 속씨식물은 쌍자엽식물 75과 204속 284종 22변종 11아종 5품종 1교잡종 323분류군(70.37%), 단자엽식물 16과 66속 98종 11변종 1아종 1품종111분류군(24.18%)을 각각 확인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총 4,881분류군의 약 9.40%에 해당한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희귀식물은 왜박주가리(Tylophora floribunda Miq.) 등 5분류군, 특산식물은 은사시나무(Populus × tomentiglandulosa T.B.Lee ex M.Kim) 등 11분류군, 구계학적 특정식물 V등급은 없으며, IV등급은 긴오이풀(Sanguisorba longifolia Bertol.) 등 3분류군, 귀화식물은 가죽나무(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등 27분류군, 절대습지식물은 미나리(Oenanthe javanica DC.) 등 30분류군, 임의습지식물은 왕버들(Salix chaenomeloides Kimura) 등 44분류군 등 15분류군을 확인하였다.

Table 3.

Summary on the floristics of Wetland in Daegu・Gyeongbook

Index Fam. Gen. Sp. Var. Subsp. For. Hyb. Taxa(%)
Pteridophyta 10 12 18 1 0 0 0 19(4.14%)
Gymnospermae 3 4 6 0 0 0 0 6(1.31%)
Angiospermae 91 270 382 33 12 6 1 434(94.55%)
Dicotyledons 75 204 284 22 11 5 1 323(70.37%)
Monocotyledons 16 66 98 11 1 1 0 111(24.18%)
Total 104 286 406 34 12 6 1 459
Previous total 97 260 357 36 16 7 2 418
Table 4.

Summary on the listed index of Wetland in Daegu・Gyeongbook

Site Previous
studied
taxa
Observed
taxa
Rare
plants
Endemic
plants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Naturalized
plants
Type of
OBW FACW FAC
V IV III II I
01(Gyeongju) 75 138 0 5 0 1 1 4 4 7 9 16 4
02(Gyeongju) 77 106 2 2 0 1 0 4 6 5 9 10 1
03(Gyeongju) 121 130 2 2 0 0 1 5 6 11 9 19 5
04(Gyeongju) 67 127 0 2 0 0 3 3 8 4 4 14 2
05(Gyeongju) 59 112 1 2 0 1 0 1 5 8 4 15 2
38(Cheongdo) 98 105 1 1 0 0 2 2 3 7 10 12 3
39(Cheongdo) 45 104 1 2 0 0 0 2 6 3 2 11 3
40,41(Cheongdo) 73 108 0 1 0 0 1 3 5 6 2 17 3
47(Pohang) 136 109 0 1 0 0 1 1 5 5 3 12 1
48(Pohang) 54 92 0 2 0 0 0 2 7 2 5 8 1
49(Pohang) 110 71 0 2 0 0 0 0 4 2 1 7 1
01(Daegu) 157 199 3 5 0 0 2 9 11 9 12 22 5
02(Daegu) 51 44 2 1 0 0 1 1 1 6 3 10 0
03(Daegu) 117 74 3 0 0 1 0 4 4 4 3 10 4
Taxa(%) 418 459 5 11 0 3 8 18 28 27 30 44 15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3-036-01/N0820360104/images/kjpr_36_01_04_F2.jpg
Fig. 2.

Photographies of investigated plants at wetland in Daegu・Gyeongbook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습원 정밀 조사 결과, 대구・경북 14개소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97과 260속 357종 16아종 36변종 7품종 2교잡종 등 총 418분류군을 확인해 이번 조사에서 41분류군을 추가로 확인하였다(Table 3). 확인한 분류군의 수만을 비교해 볼 때 두 연구에서 모두 확인한 종은 가는잎그늘사초(Carex humilis Leyss. var. nana (H.Lév. & Vaniot) Ohwi), 감자개발나물(Sium ninsi L.) 등 277분류군, 이전 연구에서만 확인한 종은 가는기린초(Phedimus aizoon (L.) ‘t Hart), 각시붓꽃(Iris rossii Baker) 등 141분류군, 이번 조사에서만 확인한 종은 개수염(Eriocaulon miquelianum Körn.), 구슬붕이(Gentiana squarrosa Ledeb.) 등 182분류군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차이는 3~4월 현장 조사를 실시하지 못해 초봄 개화 식물의 정확한 동정을 할 수 없었으며, 기존 연구 이후 3년이 지난 지금 습원지역의 육화로 인한 식생 변화, 분류학적 위치의 재변경 및 견해차이로 인한 각기 다른 분류군으로의 동정과 다른 조사 경로로 인한 차이로 판단된다(Jang et al., 2020).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대구・청도・경주・포항 일대 산림습원에서 확인한 희귀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09)은 총 5과 5속 4종 1변종 등 총 5분류군으로 확인하였다(Table 5, Fig. 3).

Table 5.

The list of rare plants investigated at Wetland in Daegu・Gyeongbook

Degree Scientific name / Korea name Investigated sitez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ENyHololeion maximowiczii Kitam. 께묵
VUxTylophora floribunda Miq. 왜박주가리
Mimulus tenellus Bunge 애기물꽈리아재비
LCwIris ensata Thunb. var. spontanea (Makino) Nakai 꽃창포
DDvPolygonatum infundiflorum Y.S.Kim, B.U. Oh & C.G.Jang 늦둥굴레

zRefer to Fig. 1 & Table 1 for the investigated site, yEN: Endangered Species, xVU: Vulnerable, wLC: Least Concerned, vDD: Data Deficient.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3-036-01/N0820360104/images/kjpr_36_01_04_F3.jpg
Fig. 3.

Photographies of rare plants by Forest Service at Wetland in Daegu・Gyeongbook

위기종(EN) 께묵(Hololeion maximowiczii Kitam.)은 대구 최정산 내 습지인 2개소에서 확인하였다. 02(대구)지역은 해발 728 m에 위치하고 면적이 불과 79.2 ㎡밖에 되지 않은 매우 좁은 습원으로 현재 육화가 진행되어 인동덩굴-쑥 군락이 나타나고 있으나 참억새-꽃창포 군락 내부에서 2개체를 확인하였다. 03(대구)지역은 해발 722 m에 위치하고 843.7 ㎡ 면적에 다양한 습지 군락이 나타나는 곳으로 꽃창포-처녀고사리 군락에서 3개체를 확인하였다. 02(대구)지역과 03(대구)지역은 전형적인 산림습원으로 께묵을 내부에서 확인하였는데, 개체수가 적고 우점하는 습원식물의 유입이 잦을 것으로 판단된다.

취약종(VU) 왜박주가리는 02(경주), 39(청도) 및 01(대구) 등 3개소에서 확인하였다. 02(경주)지역은 해발 241 m에 위치하며 묵논의 저 경사 습원으로 8,175.4 ㎡의 면적 중앙부에서 2개체를 확인하였다. 39(청도)지역은 해발 440 m에 위치하고 묵논 저 경사 습지로 2,326.1 ㎡의 면적에 기장대풀 군락에서 버드나무 군락으로 전이되는 지점에서 2개체를 확인하였다. 01(대구)지역은 해발 805 m에 위치하고 묵논습지이나 습원 초입부에 수체를 형성하고 내부에 수로가 잘 형성된 8,654.4 ㎡ 면적의 습지로 습원 북쪽 수로에서 1개체를 확인하였다. 3개소 모두 인위적인 위협요인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애기물꽈리아재비(Mimulus tenellus Bunge)는 05(경주)에서 습원 상부에 걸쳐 1~3 ㎡ 면적의 소규모 군락을 다수 확인하였다.

약관심종(LC) 꽃창포(Iris ensata Thunb. var. spontanea (Makino) Nakai)는 02(경주), 03(경주), 38(청도), 01(대구), 02(대구) 및 03(대구) 등 5개소에서 확인하였다. 5개소 모두 1~5개체 내외로 습원 내부에 분포하였다.

자료부족종(DD) 늦둥굴레(Polygonatum infundiflorum Y. S.Kim, B.U.Oh & C.G.Jang)는 03(경주)의 습원 북서쪽에서 확인하였다.

기존 습원 정밀 조사에서는 9분류군으로 나타나 희귀식물은 감소하였으며, 참좁쌀풀(Lysimachia coreana Nakai), 덩굴꽃마리(Trigonotis icumae (Maxim.) Makino), 쑥방망이(Senecio argunensis Turcz.), 벗풀(Sagittaria trifolia L.), 물질경이(Ottelia alismoides (L.) Pers.), 꼬마은난초(Cephalanthera erecta (Thunb.) Blume f. subaphylla (Miyabe & Kudô) Hiroë) 및 토현삼(Scrophularia koraiensis Nakai)을 확인하지 못하였고, 왜박주가리와 애기물꽈리아재비는 새롭게 확인하였다.

특산식물

대구・청도・경주・포항 일대 산림습원에서 확인한 특산식물은 총 9과 11속 10종 1교잡종 등 총 11분류군으로 한반도 특산식물 360분류군(Chung et al., 2017)의 3.05%에 해당된다(Table 6, Fig. 4). 습원별로는 01(경주)・01(대구)에서 5분류군, 49(포항)에서 3분류군, 02(경주)・03(경주)・04(경주)・39(청도)・48(포항)・49(포항)에서 2분류군, 05(경주)・39(청도)・40,41(청도) ・47(포항)・02(대구)에서 1분류군을 확인하였으며, 03(대구)에서는 특산식물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Table 6.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investigated at Wetland in Daegu・Gyeongbook

Scientific name / Korea name Investigated sitez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Populus × tomentiglandulosa T.B.Lee ex M.Kim 은사시나무 O O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키버들 O O O O O O O O
Clematis trichotoma Nakai 할미밀망 O O
Asarum patens (Yamaki) M.Kim & S.So 금오족도리풀 O
Lespedeza maritima Nakai 해변싸리 O O O O O
Paulownia coreana Uyeki 오동나무 O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병꽃나무 O O O O
Saussurea seoulensis Nakai 분취 O O
Hosta minor (Baker) Nakai 좀비비추 O
Polygonatum infundiflorum Y.S.Kim, B.U.Oh & C.G. Jang 늦둥굴레 O
Dioscorea coreana (Prain & Burkill) R.Knuth 푸른마 O O
No. of total 5 2 2 2 1 2 1 1 2 2 3 5 1 0

zRefer to Fig. 1 & Table 1 for the investigated site.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3-036-01/N0820360104/images/kjpr_36_01_04_F4.jpg
Fig. 4.

Photographies of Korean endemic plants at Wetland in Daegu・Gyeongbook

주요 특산식물의 분포를 살펴보면, 키버들(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은 01(경주)를 비롯한 8개소에서 출현하였는데 대부분 습원 내부에 군락을 이루는 형태로 출현하여 습원지역의 주요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할미밀망(Clematis trichotoma Nakai)은 49(포항)・02(대구)에서 확인하였는데 두 습원 모두 습원 내부에 개벌 혹은 도복으로 인해 광량이 확보되는 지점에서 출현하였다. 금오족도리풀(Asarum patens (Yamaki) M.Kim & S.So)은 01(대구) 습원의 수로가 형성된 습원의 북쪽 지점에서 3개체 정도를 확인하였다. 해변싸리(Lespedeza maritima Nakai)는 01(경주)・02(경주)・05(경주)・39(청도)・48(포항) 습원에서 확인하였으며, 대부분 습원 가장자리 혹은 임도와 인접한 지점에서 출현하였다.

기존 습원 정밀 조사에서는 9분류군으로 나타나 특산식물은 증가하였으며, 참좁쌀풀, 갈퀴아재비(Asperula lasiantha Nakai), 토현삼은 확인하지 못하였으나 금오족도리풀, 오동나무(Paulownia coreana Uyeki), 분취(Saussurea seoulensis Nakai), 늦둥굴레, 푸른마(Dioscorea coreana (Prain & Burkill) R.Knuth)는 새롭게 확인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환경부(2019)에서 지정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I등급부터 V등급까지 평가하고 있으며, 본 조사에서는 총 38과 52속 54종 3변종 등 총 57분류군을 확인하였다(Table 7, Fig. 5).

Table 7.

The list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degree IV, III, II and I) investigated at Wetland in Daegu・Gyeongbook

Degree Scientific name / Korea name Investigated sitez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IV Sanguisorba longifolia Bertol. 긴오이풀 O
Wisteria floribunda (Willd.) DC. 등 O O
Mimulus tenellus Bunge 애기물꽈리아재비 O
III Betula schmidtii Regel 박달나무 O
Urtica thunbergiana Siebold & Zucc. 쐐기풀 O
Ribes maximowiczianum Kom. 명자순 O
Rhamnus ussuriensis J.J.Vassil. 참갈매나무 O O O
Elaeagnus glabra Thunb. 보리장나무 O
Callicarpa dichotoma (Lour.) Raeusch. ex K.Koch 좀작살나무 O O
Callicarpa mollis Siebold & Zucc. 새비나무 O
Farfugium japonicum (L.) Kitam. 털머위 O

zRefer to Fig. 1 & Table 1 for the investigated site.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3-036-01/N0820360104/images/kjpr_36_01_04_F5.jpg
Fig. 5.

Photographies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at Wetland in Daegu・Gyeongbook

본 조사지역 내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 중 V등급은 없었으며, IV등급은 긴오이풀, 등(Wisteria floribunda (Willd.) DC.), 애기물꽈리아재비 등 3분류군을 확인하였고, III등급은 박달나무(Betula schmidtii Regel), 쐐기풀(Urtica thunbergiana Siebold & Zucc.), 명자순(Ribes maximowiczianum Kom.) 등 8분류군, II등급은 꿩고비(Osmunda cinnamomea L.), 고비고사리(Coniogramme intermedia Hieron.) 등 18분류군 및 I등급은 야산고비(Onoclea interrupta (Maxim.) Ching & P.C.Chiu), 왕버들 등 18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기존 습원 정밀 조사에서는 58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가는잎처녀고사리(Parathelypteris beddomei (Baker) Ching) 등 32분류군은 확인하지 못하였으며, 긴오이풀, 애기물꽈리아재비 등 31분류군은 새롭게 확인하였고 꿩고비, 야산고비, 왕버들 등 26분류군은 공통적으로 출현하였다.

귀화식물 및 생태계교란외래식물

본 조사지역 내 귀화식물은 9과 23속 27종 총 27분류군을 확인하였다(Table 8, Fig. 6). 귀화식물은 주로 습원 초입 가장자리 혹은 등산로와 인접한 초입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확인하였다. 도시화지수는 8.44%, 귀화율은 5.88%로 나타났다. 산림의 귀화율은 4% 이상이면 교란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데(Kim et al., 2000; Yun et al., 2021), 대구・경북 일대 산림습원은 평균 5.23±2.13% 내외로 나타나 산림습원 내부로의 교란이 점차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외래식물은 애기수영(Rumex acetosella L.),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L.) 및 미국쑥부쟁이(Aster pilosus Willd.) 등 3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애기수영은 01(대구) 지역에서만 출현하였고, 돼지풀은 03(경주), 05(경주), 38(청도), 01(대구), 02(대구) 지역에서 확인하였다. 미국쑥부쟁이는 경주의 모든 습원(01, 02, 03, 04, 05)과 47(포항)지역에서 출현하였다.

Table 8.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investigated at Wetland in Daegu・Gyeongbook

Scientific name / Korea name Investigated sitez Remarky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Fallopia dumetorum (L.) Holub 닭의덩굴 O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털여뀌 O CS
Rumex acetosella L. 애기수영 O WS, Iv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O WS
Rumex dentatus L. 좀소리쟁이 O PS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O O O O O WS
Amorpha fruticosa L. 족제비싸리 O O O O WS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O O O O O O O WS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O O O WS
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가죽나무 O
Abutilon theophrasti Medik. 어저귀 O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O WS
Symphytum officinale L. 컴프리 O MS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O O O O O WS, Iv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O O O O O O O O O O WS
Bidens pilosa L. 울산도깨비바늘 O O MS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O WS
Crassocephalum crepidioides (Benth.) S.Moore 주홍서나물 O O O CS
Erechtites hieraciifolius (L.) Raf. ex DC. 붉은서나물 O WS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O O O O O O WS
Erigeron strigosus Muhl. ex Willd. 주걱개망초 O O O O O O O O O O MS
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L.Nesom 미국쑥부쟁이 O O O O O O SS, Iv
Taraxacum officinale F.H.Wigg. 서양민들레 O WS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O O WS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O SS
Phleum pratense L. 큰조아재비 O CS
Poa pratensis L. 왕포아풀 O SS

zRefer to Fig. 1 & Table 1 for the investigated site, yWS:Widespread, SS: Serious Spread, CS: Concerned Spread, MS: Minor Spread, PS: Potential Spread, IV: Invasive alien plant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2019).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3-036-01/N0820360104/images/kjpr_36_01_04_F6.jpg
Fig. 6.

Photographies of naturalized plants investigated at Wetland in Daegu・Gyeongbook

애기수영은 유럽 원산으로 우리나라 목초지에 큰 피해를 주는 식물로, 종자의 발아실험 결과 봄에서부터 가을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발아하고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는 경향을 보인다(Cho, 1993). 최초 발생시 제거하지 않으면 이듬해 10~20%까지 확산되며, 3~4년 후 50~60%까지 번지는 경향이 있어 초지의 토양이 산성화되지 않도록 주기적인 석회 사용을 권고하므로 석회와 질소시비, 목초와의 종간 경쟁을 통한 생태적 방제의 가능성이 가장 적절하지만(Chung, 2000) 습원 내에서의 질소시비 등은 효율성을 떨어지므로 이른 봄 직접 제거를 통한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돼지풀은 북미 원산으로 1955년 제주에서 발견된 이후 현재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데 자생력이 강해 주변 식물의 생장을 억제시키며(Choi et al., 2010; Jang et al., 2020; Jun et al., 2019), 최근 돼지풀잎벌레(Ophraella communa LeSage)를 활용한 방법이 연구된 바 있어(Kim et al., 2017) 이에 대한 대처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미국쑥부쟁이는 북미 원산으로 우리나라 전역의 길가, 하천가, 빈터 등지에 분포하는데 지속적인 하예작업을 하여도 지하경이 발달하고, 계속해서 종자로 인해 번식하는 등 생육 확산의 우려가 매우 높은 수종으로 생육초기 혹은 개화 전 지하경까지 굴취를 하는 등의 사전 예방방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Kim et al., 2019).

산림 내 침입외래식물의 분포와 확산을 반영한 외래식물의 위협구분을 한 결과, 5등급 광분포종(Widespread species: WS)은 애기수영, 소리쟁이(Rumex crispus L.), 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 L.) 등 14분류군, 4등급 심각한 확산종(Serious Spread Species: SS)은 미국쑥부쟁이, 큰김의털(Festuca arundinacea Schreb.), 왕포아풀(Poa pratensis L.) 등 3분류군, 3등급 우려되는 확산종(Concerned Spread Species: CS)은 털여뀌(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주홍서나물(Crassocephalum crepidioides (Benth.))등 3분류군, 2등급 경미한 확산종(Minor Spread Species: MS)은 컴프리(Symphytum officinale L.), 울산도깨비바늘(Bidens pilosa L.) 등 3분류군 및 1등급 잠재적 확산종(Potential Spread Species: PS)은 좀소리쟁이(Rumex dentatus L.) 1분류군으로 총 24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침입외래식물 중 현재 10년이상 생육 및 확산을 통해 자생종과 구분 없이 융화되어 자라는 종을 귀화식물로 정의하고 있어(Jung et al., 2017) 침입외래식물과 귀화식물간의 분류군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산림습원 내 귀화식물은 산림의 귀화율보다 높아지고 있어 확산을 막기 위해 지속적인 관리와 제거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존 습원 정밀 조사에서는 28분류군으로 나타났는데, 이 중 돌소리쟁이(Rumex obtusifolius L.) 등 6분류군은 확인하지 못하였으며 털여뀌, 어저귀(Abutilon theophrasti Medik.) 등 5분류군은 새롭게 확인하였다.

습지식물 유형

본 조사지역 내 습지식물(절대습지식물, 임의습지식물)은 26과 45속 67종 1아종 5변종 1품종 등 총 74분류군을 확인하였다(Table 9, Table 10, Fig. 7). 절대습지식물은 미나리, 감자개발나물 등 30분류군, 임의습지식물은 털개구리미나리(Ranunculus cantoniensis DC.), 콩제비꽃(Viola arcuata Blume) 등 44분류군을 확인하였다. 2017년 조사에서는 27과 44속 67종 2변종 4아종 1품종 1교잡종 등 총 75분류군으로 절대습지식물은 마름(Trapa japonica Flerow) 등 32분류군, 임의습지식물은 흰오이풀(Sanguisorba stipulata f. alba (Trautv. & Mey.) Kitam.) 등 42분류군으로 나타나 절대습지식물에서 조금 차이를 보였다.

Table 9.

Changes of wetland plant types in investigated at Wetland in Daegu・Gyeongbook

Degree
year
OBWz FACWy Total
Previous studied taxa (2017) 32(6.7%) 43(9.0%) 75(15.7%)
Observed taxa (2020) 30(6.3%) 44(9.2%) 74(15.4%)

zOBW: Pbligate wetland plant, yFACW: Facultative wetland plant.

Table 10.

The list of wetland plants investigated at Wetland in Daegu・Gyeongbook

Degree Scientific name / Korea name Investigated sitez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OBW Oenanthe javanica DC. 미나리 O O O O
Sium ninsi L. 감자개발나물 O O O O O O O O
Veronica undulata Wall. 물칭개나물 O O O O
Lobelia sessilifolia Lamb. 숫잔대 O
Alisma canaliculatum A.Braun & C.D.Bouché 택사 O O
Hydrilla verticillata (L.f.) Royle 검정말 O
Potamogeton distinctus A.Benn. 가래 O O
Najas minor All. 톱니나자스말 O
Monochoria vaginalis (Burm.f.) C.Presl var. plantaginea (Roxb.) Solms 물달개비 O O
Iris pseudacorus L. 노랑꽃창포 O
Aneilema keisak Hassk. 사마귀풀 O O O O O O O O O O
Eriocaulon miquelianum Körn. 개수염 O
Isachne globosa (Thunb.) Kuntze 기장대풀 O O O O O
Leersia oryzoides (L.) Sw. 좀겨풀 O
Leersia sayanuka Ohwi 겨풀 O
Phragmites australis (Cav.) Trin. ex Steud. 갈대 O O O O O
Phragmites japonicus Steud. 달뿌리풀 O O O O O O O O O
Typha angustifolia L. 애기부들 O
Carex dickinsii Franch. & Sav. 도깨비사초 O O O O
Carex hakonensis Franch. & Sav. 애기바늘사초 O O
Carex onoei Franch. & Sav. 바늘사초 O
Eleocharis acicularis (L.) Roem. & Schult. var. longiseta Svenson 쇠털골 O
Eleocharis attenuata (Franch. & Sav.) Palla f. laeviseta (Nakai) H.Hara 참바늘골 O
Eleocharis congesta D.Don 바늘골 O O
Eleocharis kuroguwai Ohwi 올방개 O
Eleocharis mamillata L.f. var. cyclocarpa Kitag. 물꼬챙이골 O O
Eleocharis wichurae Boeckeler 좀네모골 O O
Schoenoplectiella mucronata (L.) J.Jung & H.K.Choi 좀송이고랭이 O O
Schoenoplectiella triangulata (Roxb.) J.D.Jung & H.K. Choi 송이고랭이 O
Schoenoplectiella triangulata (L.) Palla 세모고랭이 O
FACW Osmunda cinnamomea L. 꿩고비 O
Salix chaenomeloides Kimura 왕버들 O O O O O O O O O
Salix gracilistyla Miq. 갯버들 O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키버들 O O O O O O O O
Salix pierotii Miq. 버드나무 O O O O O O O O O O O
Alnus japonica (Thunb.) Steud. 오리나무 O O O
Persicaria hydropiper (L.) Delarbre 여뀌 O O O O O O
Persicaria muricata (Meisn.) Nemoto 넓은잎미꾸리낚시 O O O O O O O
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바보여뀌 O O O
Persicaria sagittata (L.) H.Gross 미꾸리낚시 O O O O O O O O O O O
Persicaria thunbergii (Siebold & Zucc.) H.Gross 고마리 O O O O O O O O O O O O O O
Persicaria viscosa (Buch.-Ham. ex D.Don) H.Gross ex T.Mori 기생여뀌 O
Ranunculus cantoniensis DC. 털개구리미나리 O O O O
Ranunculus tachiroei Franch. & Sav. 개구리미나리 O
Cardamine flexuosa With. 황새냉이 O O
Impatiens textorii Miq. 물봉선 O O O O O O O O
Viola arcuata Blume 콩제비꽃 O O O O O
Lythrum salicaria L. 털부처꽃 O
Lythrum salicaria L. subsp. anceps (Koehne) H.Hara 부처꽃 O
Angelica dahurica (Fisch. ex Hoffm.) Benth. & Hook.f. ex Franch. & Sav. 구릿대 O
Artemisia selengensis Turcz. ex Besser 물쑥 O O O O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O O O O O O O O O O
Bidens tripartita L. 가막사리 O O
Hololeion maximowiczii Kitam. 께묵 O O
Iris ensata Thunb. var. spontanea (Makino) Nakai 꽃창포 O O O O O O
Juncus decipiens (Buchenau) Nakai 골풀 O O O O O O O O O O O O O
Juncus diastrophanthus Buchenau 별날개골풀 O O
Juncus papillosus Franch. & Sav. 청비녀골풀 O
Juncus setchuensis Buchenau 푸릇갯골풀 O
Alopecurus aequalis Sobol. 뚝새풀 O
Arthraxon hispidus (Thunb.) Makino 조개풀 O
Echinochloa crus-galli (L.) P.Beauv. 돌피 O O O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Benth. & Hool.f. ex Franch. 물억새 O O O O O O O O O O O O
Molinia japonica Hack. 진퍼리새 O O O
Phalaris arundinacea L. 갈풀 O
Carex dimorpholepis Steud. 이삭사초 O O O O O O O
Carex dispalata Boott 삿갓사초 O O O
Carex maximowiczii Miq. 왕비늘사초 O O
Carex schmidtii Meinsh. 참뚝사초 O
Fimbristylis dichotoma (L.) Vahl 하늘지기 O
Kyllinga brevifolia Rottb. var. leiolepis (Franch. & Sav.) H.Hara 파대가리 O O O O
Lipocarpha microcephala (R.Br.) Kunth 세대가리 O
Scirpus karuisawensis Makino 솔방울고랭이 O O O O O O
Scirpus wichurae Boeck. 방울고랭이 O

zRefer to Fig. 1 & Table 1 for the investigated site.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3-036-01/N0820360104/images/kjpr_36_01_04_F7.jpg
Fig. 7.

Photographies of wetland plants investigated at Wetland in Daegu・Gyeongbook

기존 습원 정밀 조사에서는 75분류군으로 나타났는데, 선버들(Salix triandra L. subsp. nipponica (Franch. & Sav.) A.K.Skvortsov) 등 22분류군은 확인하지 못하였고, 물칭개나물(Veronica undulata Wall.), 검정말(Hydrilla verticillata (L.f.) Royle) 등 21분류군은 새롭게 확인하였다.

습지식물의 유형별로 보면 절대습지식물의 경우 기존 조사에서는 32분류군(6.7%)이었으나 이번 연구에서 30분류군(6.3%)으로, 임의습지식물의 경우 기존 조사에서는 43분류군(9.0%)이었으나, 이번 연구에서 44분류군(9.2%)으로 나타났다. 출현한 분류군의 비율은 기존 15.7%(75분류군/전체 479분류군)에서 15.4%(74류군/479분류군)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습지식물의 급격한 감소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자연상태에서 거의 항상 습지에서만 출현하는 절대습지식물의 경우 마름, 질경이택사(Alisma plantago-aquatica L. subsp. orientale (Sam.) Sam.), 보풀(Sagittaria aginashi Makino), 벗풀, 물질경이, 물옥잠(Monochoria korsakowii Regel & Maack), 좀개구리밥(Lemna perpusilla Torr.),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 (L.) Schleid.) 등 소택지에서 출현하는 식물 14분류군을 이번 조사에서 확인하지 못하였다. 이는 습지 내 물웅덩이같은 소택지의 면적이 줄어들거나 소실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번 연구에서 새롭게 확인한 절대습지식물은 물칭개나물, 노랑꽃창포(Iris pseudacorus L.), 개수염, 겨풀(Leersia sayanuka Ohwi), 애기바늘사초(Carex hakonensis Franch. & Sav.) 등 12분류군으로 대부분 소택지가지 아닌 늪지 혹은 육지생태계와 수생태계의 경계부에 서식하는 식물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습지에서 출현하나 낮은 빈도로 육상에서도 출현하는 임의습지식물의 경우, 선버들, 가는오이풀(Sanguisorba × tenuifolia Fisch. ex Link), 돌바늘꽃(Epilobium amurense Hausskn. subsp. cephalostigma (Hausskn.) C.J.Chen & Hoch & P.H.Raven) 등 8분류군을 이번 조사에서 확인하지 못하였고, 기생여뀌(Persicaria viscosa (Buch.-Ham. ex D.Don) H.Gross ex T.Mori), 황새냉이(Cardamine flexuosa With.), 구릿대(Angelica dahurica (Fisch. ex Hoffm.) Benth. & Hook.f. ex Franch. & Sav.) 등 9분류군을 새롭게 확인하였다.

적 요

본 연구는 대구・경북 일대 산림습원 지역의 관속식물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조사는 2020년 6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총 26일에 걸쳐 수행하였고, 확인한 관속식물은 104과 286속 406종 12아종 34변종 6품종 1교잡종 등 총 459분류군으로 정리하였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5분류군: 위기종(EN) 께묵 1분류군, 취약종(VU) 왜박주가리 및 애기물꽈리아재비 2분류군, 약관심종(LC) 꽃창포 1분류군 및 자료부족종(DD) 늦둥굴레 1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특산식물은 은사시나무, 키버들, 할미밀망, 금오족도리풀 등 11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환경부 지정 구계학적특정식물 57분류군: IV등급 긴오이풀 등 3분류군, III등급 박달나무, 쐐기풀 등 8분류군 등을 확인하였다. 귀화식물은 27분류군으로 이 중 생태계교란외래식물은 애기수영,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등 3분류군을 확인하였으며, 도시화지수는 8.44%, 귀화율은 5.88%로 일반적인 산림의 귀화율인 4%보다 다소 높아 점차 교란이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습지식물은 총 74분류군: 절대습지식물 미나리 등 30분류군, 임의습지식물 털개구리미나리 등 44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산림습원식물은 과거 조사와 비교해볼 때 출현식물은 쇠뜨기(Equisetum arvense L.) 등 277분류군은 공통적으로 출현하였으며, 182분류군은 새롭게 확인하였다. 과거 묵논의 형태로 이루어진 산림습원이 주를 이루고 있어 귀화식물의 유입이 잦아 귀화율이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자생식물들의 위협이 될 우려가 있으므로 생태계교란외래식물은 초봄에 일찍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더불어 귀화식물은 추가적인 유입을 막을 수 있는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국립수목원 연구의 “산림습원 모니터링 체계 구축_대구, 경북지역” 위탁연구에 의해 수행된 결과로서 이에 감사드립니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y have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Cho, K.I. 1993. Geographical Variations in the Thermal Germination Responses of Rumex acetocella L. by Distribution Area. Department of Education, MS Thesis, Kunkuk Univ., Korea. p. 32 (in Korean).
2
Cho, Y.H. J.H. Kim and S.H. Park. 2016.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Geobook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 527 (in Korean).
3
Choi, B.S., D.Y. Song, C.G. Kim, B.H. Song, S.H. Woo and C.W. Lee. 2010. Allelopathic effects of common ragweed (Ambrosia artemisifolia var. elatior) on the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crops and weeds. Kor. J. Weed. Sci. 30(1): 34-42 (in Korean). 10.5660/KJWS.2010.30.1.034
4
Choung, Y.S., W.T. Lee, K.H. Cho, K.Y. Joo, B.M. Min, J.O. Hyun and K.S. Lee. 2012. Categorizing Vascular Plant Species Occurring in Wetland Ecosystems of the Korean peninsula, Duhyun Publishing Co., Seoul, Korea. p. 249 (in Korean).
5
Christenhusz, M.J.M., J.L. Reveal, A. Farjon, M.F. Gardner, R.R. Mill and M.W. Chase. 2011. A new classification and linear sequence of extant gymnosperms. Phytotaxa 19:55-70. 10.11646/phytotaxa.19.1.3
6
Chung, G.Y., K.S. Chang, J.M. Chung, H.J. Choi, W.K. Paik and J.O. Hyun.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 peninsula. Korea J. Pl. Taxon. 47(3):264-288 (in Korean). 10.11110/kjpt.2017.47.3.264
7
Chung, Y.J. 2000. The control of sheep sorrel (Rumex acetocella L.) by fertilization and interspecific competition. Department of Biological Resources & Technology, MS Thesis, Yonsei Univ., Korea. p. 41 (in Korean). 10.3349/ymj.2000.41.3.29910957882
8
Cowardin, L.M., V. Carter., F.C. Golet and E.T. LaRoe. 1979. Classification of wetlands and Deepwater Habitats of the United States.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Report FWS/ OBS-79/31, WA (USA). p. 131. 10.5962/bhl.title.4108
9
Cylinder, P.D., K.M. Bogdan, E.M. Davis and A. Herson, 1994. Wetland regulation. A Complete Guide to Federal and California programs. Solano Press, CA (USA). p. 384.
10
Jang, J.G., S.T. Yoo, B.D. Kim, H.Y. Kwon and M.H. Yi. 2020. The vascular plants of Apsan park in Daegu, Korea. Korean J. Plant Res. 33(4):365-397 (in Korean).
11
Jeong, H.R., H.J. Kim, K. Choi, G.W. Park and D.J. Kang. 2012. Vegetation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forested wetland at public and private forests in Daegu city. J. Agric. Life Sci. 46(4):69-84 (in Korean).
12
Jun, M.J., E.M. Lee, S.M. Park, J.W. Bae, M.W. Na, Y.J. Hwang, S.M. Choi and S.J. Park. 2019. Flora of Mt. Choejeong (Daegu). Korean J. Plant Res. 32(2):170-200 (in Korean).
13
Jung, S.Y., J.W. Lee, H.T. Shin, S.J. Kim, J.B. An, T.I. Heo, J.M. Chung and Y.C. Cho. 2017.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265 (in Korean).
14
Kang, H.G. 2012. A Study on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Condition by Type of Forest Wetlands. Department of Forest, M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 Korea. p. 66 (in Korean).
15
Kang, H.G., D.J. Seo, H.Y. Kim, H.S. Moon, J.H. Lee, K.W. Park, K.C. Oh and J.K. Kim. 2013. A study on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by type of forest wetlands - Focused on southwestern part of Honam-. J. Agric. Life Sci. 47(4):57-70 (in Korean).
16
Kariyama, S. and H. Kobatake. 1988. Naturalized plants of Gagyuzan, Takahashi-city, Okayama prefecture. Japan. Bull. Kurashiki Mus. Nat. Hist. 3:31-40.
17
Kim, H.G., Y.S. Jeong and B.H. Koo. 2008. The discrimin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of several mountainous wetlands in Chung-ju and around area. J. Korean Env. & Reveg. Tech. 11(2):55-65 (in Korean).
18
Kim, H.J., D.S. Kim, K.S. Oh, Y.D. Lee, S.Y. Lee, H.J. Lee and D.E. Kim, 2017. The distribution of the exotic species, Ophraella communa Lesage (Coleoptera, Chrysomelidae) and their applicability for biological control against ragweed Ambrosia artemisifolia L. on Jeju Island. Korean J. Environ. Biol. 35(4):437-445 (in Korean). 10.11626/KJEB.2017.35.4.437
19
Kim, H.S., Y.J. Cho and S.R. Kwak. 2019. Management plan and distribution of ecosystem disturbed plants in the lower Yeongsan river area. J. K. I. 31(1):257-276 (in Korean). 10.26840/JKI.31.1.257
20
Kim, J.M., Y.J. Yim and E.S. Jeon. 2000. Invasive Alien Plants in Korea. Science Books. Seoul, Korea. pp. 1-284 (in Korean).
21
Kim, J.S., S.H. Choi, S.H. Hong, H.M. Kang and J.N. Bae. 2013.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of Amgok wetland, Gywongju National Park,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7(3):381-395 (in Korean).
22
Kim, T.Y. and J.S. Kim. 2018.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Publishing Co., Paju, Korea. pp. 1-715 (in Korean).
23
Korean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399 (in Korean).
24
Korea Forest Service. 2010. Report of wetlands research of civil owned forest. Sumeungil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9-14 (in Korean).
25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Samsungadcom Publishong Co., Seoul, Korea. pp. 3-1000 (in Korean).
26
Korea National Arboretum. 2009. Rare Plants Data Book of Korea. Geobook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332 (in Korean).
27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Fieldguide: Naturalized plants of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28
Korea National Arboretum. 2019. Forest Wetland of Korea. CHPnC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2-13 (in Korean).
29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Pocheon, Korea. pp. 1-1006 (in Korean).
30
Lee, D.H. 2016. Knowing right from Korean wildflower. Bookbee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988 (in Korean).
31
Lee, K.S., M.G. Cho, H.S. Moon and K.S. Jeon. 2013. The list of vascular plants at Junam wetland in Changwon city. KJAFM 15(2):67-75 (in Korean). 10.5532/KJAFM.2013.15.2.067
32
Lee, M.K. 2009. A Study on Vegetation Characteristic of Forest Wetlands - A Case Study of the National Forest in Jeollabukdo -.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MS Thesis, Jeonbuk National Univ., Korea. p. 144 (in Korean).
33
Lee, S.C., H.M. Kang, S.H. Choi, S.H. Hong, S.D. Lee, W. Cho and J.S. Kim. 2014. Actual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ohamsan (Mt.) wetland area of the surroundings in Gyeongju National Park, Korean. Korean J. Environ. Ecol. 28(1):33-44 (in Korean). 10.13047/KJEE.2014.28.1.33
34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914 (in Korean).
35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910 (in Korean).
36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rlin, Germany. pp. 1-666 (in German).
37
Melchior, H. and E. Werdermann. 1954. An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 Gebruder Bornteaeger, Belin, Germany. pp. 1-367 (in German).
38
Mulamoottil, G., B.G. Warner. and E.A. McBean. 1996. Wetlands: Environmental Gradients, Boundaries, and Buffers. CRC Press, FL (USA). p. 320.
39
Namata, M. 1975. Naturalized Plants. Dai Nippon printing Co., Tokyo, Japan. pp. 5-160.
40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9. A guide to the fif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Appendix).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pp. 113-148 (in Korean).
41
Park, M.Y., D.G. Cho and K.G. Kim. 2005. The status and features of the DMZ forested wetlands - Focusing on the Kyongui line in Paju-. J. Korean Env. & Reveg. Tech. 8(5): 28-38 (in Korean).
42
Son, H.J. 2015. The Study of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in Forest Wetlands of Gangwon Province. Department of Forest, Ph.D. Thesis, Kangwon National Univ., Korea. p. 220 (in Korean).
43
Son, H.J., Y.S. Kim, J.U. Yun, K.W. Chun and W.G. Park. 2014. The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of forest wetlands in Mt. Cheongok (Gyeongbuk Bonghwa). J. Korean For. Soc. 103 (3):313-320 (in Korean). 10.14578/jkfs.2014.103.3.313
44
Song, H.K., G.S. Park, H.R. Park, S.K. So, H.J. Kim and M.Y. Kim. 2006.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a forest wetlans in Jangdo, Sinan-Gun. Kor. J. Env. Eco. 20(4):407-414 (in Korean).
45
Tiner, R.W. 2016. Wetland Indicators; A guide to wetland identification, delineation, classification, and mapping, CRC Press, FL (USA). p. 630.
46
Yim, Y.J. and E.S. Jeon.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J. Plant Biol. 23:69-83 (in Korean).
47
You, J.H. and S.Y. Kwon. 2018a. Vascular plants in the small Nonregistered Forest Wetlands of Gyeongju National Park. J. Agric. Life Sci. 52(4):47-61 (in Korean). 10.14397/jals.2018.52.4.47
48
You, J.H. and S.Y. Kwon. 2018b. Vascular plants of major wetlands in Gyeongju National Park - Focused on Tohamsan wetland, Amgok wetland and Namsan wetlans -. J. Korean Env. Res. Tech. 21(1):41-54 (in Korean).
49
Yun, H.G., A.Y. Lee, J.B. A, T.Y. Hwang and J.W. Lee. 2021. A study on th vascular flora and its management plan at the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of Mt. Munsu (Gimpo). Korean J. Plant Res. 34(4):311-338 (in Korean).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