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 February 2023. 62-90
https://doi.org/10.7732/kjpr.2023.36.1.062

ABSTRACT


MAIN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결 과

  •   한국특산식물

  •   희귀식물 및 적색목록 식물

  •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   기후변화 적응 대상 식물 및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   외래식물 및 생태계교란야생종

  •   식물의 용도 및 유용성

  • 고 찰

  •   관리 방안

  • 적 요

서 언

발백산은 행정구역상으로 경상북도 경산시에 속하는 산으로, 북위 35° 47' 03.5", 동경 128° 56' 40.0"에 위치하고 해발고도 675 m이다. 발백산이 위치한 경산시는 경상북도의 남부 중앙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대구광역시, 남쪽으로는 청도군, 동북쪽으로는 영천시 등과 인접해 있다. 발백산은 경상북도 산지를 이루는 비슬지맥에 있는 산으로 능선은 남북으로 길게 이어져 있으며, 경상북도 경산시와 청도군의 경계면에 위치한다. 산의 북쪽으로는 구룡산(674.5 m)과 연결되고 남쪽에는 운문호에 이르며, 북쪽 산허리에는 용성면에서 운문면으로 산고개를 넘어가는 산간도로가 있으며, 산의 남쪽에는 반룡사라는 절이 있다. 조사 지역은 여러 농장들이 있으며, 임도를 따라 산악자전거 및 차량 진입이 수월해 탐방객의 방문이 빈번하다. 조사 지역인 경산시의 기후는 남부대륙형에 속하며, 대구특수형에 가깝다. 태백산맥과 소백산맥 사이에 끼여있는 남부대륙형 기후지역은 분지적 특생을 나타내어 연강수량이 적은 지역이며, 하계기온이 가장 높고 기온의 연교차가 큰 지역이다. 2018년 기준 연평균기온 14.8℃, 1월 평균기온 1℃, 8월 평균기온 26℃, 연평균강수량은 1,383 ㎜로, 내륙분지에 위치하여 한서의 차가 심하며 일교차도 크다(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981-2010). 경상북도 경산시에 속해있는 발백산의 식물상 조사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가 없기에 식물상 조사를 통해 가치 평가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조사는 발백산의 관속식물을 조사하여 주요 식물들의 분포 및 유용성에 따른 자생식물 자원을 파악하고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현지 조사는 2020년 9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13회 수행하였고, 이에 대한 조사 경로는 경산시 용성면 반룡사서부터 발백산 정상부로 이어지는 능선과 청도군 운문면 정상리에서 발백산 정상부로 이어지는 임도를 따라 집중적으로 조사하였다(Fig. 1, Table 1). 정확한 동정을 위하여 생식기관(꽃, 열매 등)이 있는 개체를 중심으로 채집 및 동정하였으며, 채집된 식물은 압착 건조 후 표본으로 제작하여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식물표본전시관(YNUH)에 보관하였다. 채집된 식물들은 Korean Fern Society (2005),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Lee (2003a, 2003b), Lee (1996a, 1996b), Lee (1996, 2006a, 2006b), Choung et al. (2015), Korea National Arboretum (2004, 2012)등의 식물도감을 사용해 동정되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3-036-01/N0820360105/images/kjpr_36_01_05_F1.jpg
Fig. 1.

Investigated area (Mt.Balbaek) in this study.

Table 1.

The dates and routes of investigations

No. Date Investigation routes
1 2020.09.04 Entrance to Banryongsa Temple → The top
2 2020.09.20 Entrance to Banryongsa Temple → The top
3 2020.10.11 Bom pond → Mt.Balbaek top
Yongseong hill → Mt.Balbaek top
4 2021.04.17 Bom pond → Mt.Balbaek top
Yongseong hill → Mt.Balbaek top
5 2021.05.09 Entrance to Banryongsa Temple → The top
6 2021.05.23 Entrance to Banryongsa Temple → The top
Yongseong hill → Mt.Balbaek top
7 2021.06.06 Entrance to Banryongsa Temple → The top
Yongseong hill → Mt.Balbaek top
8 2021.06.20 Entrance to Banryongsa Temple → The top
Yongseong hill → Mt.Balbaek top
9 2021.07.20 Yongseong hill → Mt.Balbaek top
10 2021.08.11 Entrance to Banryongsa Temple → The top
11 2021.09.11 Bom pond → Mt.Balbaek top
Yongseong hill → Mt.Balbaek top
Entrance to Banryongsa Temple → The top
12 2021.10.03 Yongseong hill → Mt.Balbaek top
13 2021.10.22 Bom pond → Mt.Balbaek top
Yongseong hill → Mt.Balbaek top

이때 사용된 국명과 학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17)에 따라 표기하였다. 동정된 식물을 바탕으로 한국특산식물(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1a), 희귀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적색목록식물(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Ministry of Environment, 2019), 그리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Lee et al., 2011)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Oh et al. (2010)을 참고하였고,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은 Korea Forest Service (2017)을 참고하였다. 외래식물과 생태계교란야생종은 Kang et al. (2020)Information of Korean Alien Species (2020), Jung et al. (2016)의 이용하고, 유용성에 따른 분류와 종의 분포는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1b), Oh et al. (2016), Ministry of Environment (2012)을 참고하였다.

결 과

본 연구에서 밝혀진 발백산의 관속식물은 93과 302속 482종 10아종 40변종 13품종 총 545 분류군으로 양치식물 7과 10속 16종 1변종 17 분류군, 나자식물 3과 4속 7종 7 분류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 74과 238속 384종 10아종 30변종 10품종 434 분류군, 단자엽식물 9과 50속 75종 9변종 3품종 87 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2).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362 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17)의 약 12.5%에 해당한다. 이들의 과별 구성비는 국화과(Asteraceae, 66, 12.1%), 콩과(Fabaceae, 33, 6.1%), 장미과(Rosaceae, 32, 5.9%), 화본과(Poaceae 27, 5%) 등의 순서로 차지한다.

Table 2.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 investigated from Mt.Balbaek

Fam. Gen. Sp. Ssp. Var. For. Total (%)
Pteridophyta 7 10 16 - 1 - 17(3.1)
Gymnosperm 3 4 7 - - - 7(1.3)
Angiosperms 83 288 459 10 39 13 521(95.6)
Dicotyledoneae 74 238 384 10 30 10 434(79.8)
Monocotyledoneae 9 50 75 - 9 3 87(16)
Total 93 302 482 10 40 13 545

한국특산식물

특산식물이란 어느 한정된 지역에서만 생육하는 고유식물을 뜻한다. 특산식물은 세계적으로 가치있는 식물 자원일 뿐만 아니라 희귀한 식물이 대부분이므로 보호하지 않으면 사라질 위기에 처하기 때문에 특별한 보호조치가 필요하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본 연구의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545 분류군 중 특산식물은 세잎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개나리(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오동나무(Paulownia coreana Uyeki) 등 18 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3). 조사된 분류군은 우리나라 특산식물 360 분류군(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1a)의 5%에 해당된다.

Table 3.

List of the endemic plants in Mt.Balbaek

Family Taxa
Aristotochiaceae Asarum patens (K.Yamaki) B.U.Oh 금오족도리풀
Ranunculaceae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세잎승마
Clematis trichotoma Nakai 할미밀망
Thalictrum actaefolium var. brevistylum Nakai 은꿩의다리
Fumarioideae Corydalis namdoensis B.U.Oh & J.G.Kim 남도현호색
Caryophyllaceae Pseudostellaria coreana (Nakai) Ohwi 참개별꽃
Violaceae Viola seoulensis Nakai 서울제비꽃
Salicaceae Salix koriyanagi Kimura 키버들
Populus tomentiglandulosa T.B.Lee 은사시나무
Fabaceae Lespedeza maritima Nakai 해변싸리
Vicia chosenensis Ohwi 노랑갈퀴
Oleaceae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개나리
Scrophulariaceae Paulownia coreana Uyeki 오동나무
Caprifoliaceae Lonicera subsessilis Rehder 청괴불나무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병꽃나무
Asteraceae Aster koraiensis Nakai 벌개미취
Liliaceae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백운산원추리
lridaceae Iris odaesanensis Y.N.Lee 노랑무늬붓꽃

희귀식물 및 적색목록 식물

희귀식물이란 일반적으로 보호되어야 하는 자생지의 식물과 개체군의 크기가 극히 적거나 감소해 보전이 필요한 식물로서 종의 지리적 분포영역, 서식지의 특이성 정도 및 지역 집단의 크기를 고려하여 희귀성의 범주를 설정한다. 희귀식물 평가기준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야생에서의 멸종(Extinct in the Wild, EW), 멸종위기종(critically endangered, CR), 위기종(Endangered Speices, EN), 취약종(Vulnerable, VU), 약관심종(Least concerned, LC) 및 자료부족종(Data Deficient, DD)의 카테고리로 분류한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본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희귀식물은 세잎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쥐방울덩굴(Aristolochia contorta Bunge), 금붓꽃(Iris minutiaurea Makino) 등 9 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국립수목원에서 지정한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전체 희귀식물 571 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08)의 1.58%, 발백산의 총 545 분류군 중 1.65%에 해당한다. 각 등급별로 취약종(VU)으로는 그늘지고 다소 습한 곳에서 자생하는 세잎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와 애기우산나물(Syneilesis aconitifolia (Bunge) Maxim.), 산지의 초원이나 삼림에 자생하는 금붓꽃(Iris minutiaurea Makino), 노랑무늬붓꽃(Iris odaesanensis Y.N.Lee), 흔히 석회암지역에서 자라는 바위틈고사리(Dryopteris goeringianum (Kunze) Koidz.) 등 5 분류군이며, 약관심종(LC)은 산야 또는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쥐방울덩굴(Aristolochia contorta Bunge), 햇볕이 잘 들고 물빠짐이 좋은 곳에서 자라는 덩굴꽃마리(Trigonotis icumae (Maxim.) Makino)와 습지와 같은 습한 곳에서 자생하는 꽃창포(Iris ensata Thunb.) 3 분류군, 자료부족종(DD)으로 남부 지방에서 자생하는 대구사초(Carex paxii Kük.) 1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편 발백산에서 발견된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지정 적색목록(Korea Forest Service, 2015) 식물은 5 분류군으로 적색목록 식물 560 분류군의 0.89%에 해당한다. 각 등급별로 관심대상(LC)에는 덩굴꽃마리(Trigonotis icumae (Maxim.) Makino), 금붓꽃(Iris minutiaurea Makino), 노랑무늬붓꽃(Iris odaesanensis Y.N.Lee) 3 분류군이 포함되며, 미평가(NE) 분류군으로 대구사초(Carex paxii Kük.)와 바위틈고사리(Dryopteris goeringianum (Kunze) Koidz.) 2 분류군이 확인되었다(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Table 4).

Table 4.

The list of the rare and red list plants in Mt.Balbaek

Taxa Rare plants Red list
Dryopteris goeringianum (Kunze) Koidz. 바위틈고사리 VUz NEz
Aristolochia contorta Bunge 쥐방울덩굴 LCz -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세잎승마 VU -
Trigonotis icumae (Maxim.) Makino) 덩굴꽃마리 LC LC
Syneilesis aconitifolia (Bunge) Maxim. 애기우산나물 VU -
Carex paxii Kük. 대구사초 DDz NE
Iris ensata Thunb. 꽃창포 LC -
Iris minutiaurea Makino 금붓꽃 VU LC
Iris odaesanensis Y.N.Lee 노랑무늬붓꽃 VU LC

zVU, Vulnerable; LC, Least concerned; DD, Data Deficient; NE, not evaluated.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은 국외로 반출할 경우 환경부장관의 승인을 얻어야 하는 생물자원을 의미한다. 이는 생물다양성 보전 측면에서 보호 가치가 높은 생물자원을 대상으로 정해진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9).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은 금오족도리풀(Asarum patens (K.Yamaki) B.U.Oh),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Rupr. & Maxim.) S.Y.Hu), 민백미꽃(Cynanchum ascyrifolium Magnoliophyta) 등 총 183 분류군으로 이는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1,117 분류군(Ministry of Environment, 2019)의 16%에 해당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자연환경평가를 위한 식물군으로 지역별로 식물상 고유성이 유사하면 같은 지리학적 범주로 구분한다.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이렇게 나누어진 식물의 분포 지역을 식물구계(Floristics) 라고 한다. 구계 분석을 통하여 선택된 식물군은 분포 범위에 따라 5개 등급으로 나눈다. 발백산에서 조사된 식물 중 식물 구계학적 특정종은 총 77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등급별로 IV등급에는 세잎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자리공(Phytolacca esculenta VanHoutte), 꽃싸리(Campylotropis macrocarpa (Bunge) Rehder), 노랑무늬붓꽃(Iris odaesanensis Y.N.Lee) 등 9 분류군, Ⅲ등급은 석위(Pyrrosia lingua (Thunb.) Farw.), 남도현호색(Corydalis namdoensis B.U.Oh & J.G.Kim), 까치깨(Corchoropsis tomentosa (Thunb.) Makino var. psilocarpa (Harms & Loes. ex Gilg & Loes.) C.Y.Wu & Y.Tang), 눈개승마(Aruncus dioicus (Walter) Fernald) 등 20 분류군, Ⅱ등급은 애기석위(Pyrrosia petiolosa (Christ) Ching),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오리나무(Alnus japonica (Thunb.) Steud.), 동자꽃(Lychnis cognata Maxim.) 등 20 분류군, Ⅰ등급은 비목나무(Lindera angustifolia W.C.Cheng), 홀아비꽃대(Chloranthus japonicus Siebold), 투구꽃(Aconitum jaluense Kom.), 쥐방울덩굴(Aristolochia contorta Bunge) 등 28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기후변화 적응 대상 식물 및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기후변화 적응 대상 식물은 장기적으로 기후온난화에 적응하여 생존하는 한반도 분포 관속식물 중 우선관찰 대상 관속식물 300 분류군을 의미한다(Oh et al., 2010). 특산식물, 남방계식물, 북방계식물 3 카테고리로 분류된 대상 식물 중 발백산의 특산식물은 할미밀망 (Clematis trichotoma Nakai), 노랑갈퀴 (Vicia chosenensis Ohwi) 2 분류군이 관찰되었다. 남방계식물로는 자주괴불주머니 (Corydalis incisa (Thunb.) Pers.) 1 분류군으로 총 3 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5).

Table 5.

The list of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Mt.Balbaek

Family Taxa Source
Ranunculaceae Clematis trichotoma Nakai 할미밀망 Endemic
Fabaceae Vicia chosenensis Ohwi 노랑갈퀴 Endemic
Fumarioideae Corydalis incisa (Thunb.) Pers. 자주괴불주머니 Southern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은 기후변화로 인해 계절 활동, 분포역 및 개체군 크기 변화가 뚜렷하거나 뚜렷할 것으로 예상되는 생물종(CBIS, Climate 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 Species)으로 식물은 39 분류군 및 후보군 13 분류군으로 지정되어있다(Korea Forest Service, 2017). 발백산의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은 광대나물(Lamium amplexicaule L.), 등대풀(Euphorbia helioscopia L.), 자주괴불주머니(Corydalis incisa (Thunb.) Pers.), 큰개불알풀(Veronica persica Poir.) 4 분류군이 포함되어있으며, 후보종으로 꿩의바람꽃(Anemone raddeana Regel),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Thunb. ex Houtt.) Miq.) 2 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6).

Table 6.

The list of climate-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 species in Mt.Balbaek

Family Taxa Classification
Ranunculaceae Anemone raddeana Regel 꿩의바람꽃 Candidate
Fumarioideae Corydalis incisa (Thunb.) Pers. 자주괴불주머니 CBISz
Verbenaceae Caryopteris incana (Thunb. ex Houtt.) Miq. 층꽃나무 Candidate
Euphorbiaceae Euphorbia helioscopia L. 등대풀 CBIS
Lamiaceae Lamium amplexicaule L. 광대나물 CBIS
Scrophulariaceae Veronica persica Poir. 큰개불알풀 CBIS

zCBIS, Climate 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 Species.

외래식물 및 생태계교란야생종

국내로 유입되는 외래식물은 의도적 혹은 비의도적으로 국내로 유입된다. 외래식물은 자생종의 생육지 파괴 및 생태계 교란, 생물다양성 감소와 같은 자연생태계의 변화를 이끌 뿐만 아니라 경제적, 기술적인 부분 등 여러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외래식물은 크게 개항(1876년) 이전 유입된 것으로 추측하는 사전귀화식물(archaeophyte, Arc.), 의도적인 도입에 의한 재배종 중 자연생태계로의 확산 가능성은 있으나 분포 여부가 불확실한 잠재침입식물(Potentially invasive plant, PIP),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유입되어 자연화된 침입외래식물(Invasive alien plant, IAP)로 구분한다(Kang et al., 2020).

본 조사지역의 외래식물은 미국실새삼(Cuscuta pentagona Engelm.), 비짜루국화 (Symphyotrichum subulatum (Michx.) G.L.Nesom), 소리쟁이(Rumex crispus L.) 등을 포함해 65 분류군이다(Table 7). 이는 발백산의 545 분류군 중 11.9%에 해당하는 귀화율(Naturalized Index; NI = 조사지역의 귀화식물 종수/조사지역의 관속식물 종수 × 100)을 보였으며, 도시화지수(Urbanization Index;UI = 본 조사지역의 귀화식물 종수/남한의 귀화식물 종수 × 100)는 20.4%로 관찰되었다.

Table 7.

List of the exotic plants in Mt.Balbaek

Taxa Type of alien plant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털여뀌 IAPz
Rumex acetosella L. 애기수영 IAP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IAP
Viola papilionacea Pursh 종지나물 IAP
Lagerstroemia indica L. 배롱나무 Arc.z
Barbarea vulgaris (Palib.) O. E. Schulz 유럽나도냉이 IAP
Brassica juncea (L.) Czern. 갓 Arc.
Lepidium apetalum Willd. 다닥냉이 PIPz
Lepidium virginicum L. 콩다닥냉이 IAP
Thlaspi arvense L. 말냉이 Arc.
Kerria japonica (L.) DC. 황매화 PIP
Potentilla supina L. 개소시랑개비 IAP
Prunus persica (L.) Batsch 복사나무 Arc.
Spiraea cantoniensis Lour. 공조팝나무 PIP
Amorpha fruticosa L. 족제비싸리 IAP
Astragalus sinicus L. 자운영 IAP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IAP
Trifolium pratense L. 붉은토끼풀 IAP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IAP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IAP
Oenothera erythrosepala Borbás 큰달맞이꽃 IAP
Euphorbia maculata L. 큰땅빈대 IAP
Parthenocissus quinquefolia (L.) Planch. 미국담쟁이덩굴 PIP
Rhus verniciflua Stokes 옻나무 Arc.
Oxalis corniculata L. 괭이밥 Arc.
Lycium chinense Mill. 구기자나무 Arc.
Solanum nigrum L. 까마중 Arc.
Cuscuta pentagona Engelm. 미국실새삼 IAP
Ipomoea lacunosa L. 애기나팔꽃 Arc.
Ipomoea nil (L.) Roth 나팔꽃 IAP
Symphytum officinale L. 컴프리 IAP
Veronica arvensis L. 선개불알풀 IAP
Veronica persica Poir. 큰개불알풀 IAP
Aster pilosus Willd. 미국쑥부쟁이 IAP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IAP
Bidens pilosa L. 울산도깨비바늘 IAP
Conyza bonariensis (L.) Cronquist 실망초 IAP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IAP
Cosmos bipinnatus Cav. 코스모스 IAP
Eclipta prostrata (L.) L. 한련초 Arc.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IAP
Galinsoga quadriradiata Ruiz & Pav. 털별꽃아재비 IAP
Helianthus tuberosus L. 뚱딴지 IAP
Rudbeckia bicolor Nutt. 원추천인국 IAP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IAP
Symphyotrichum subulatum (Michx.) G.L.Nesom 비짜루국화 IAP
Taraxacum officinale Weber 서양민들레 IAP
Xanthium strumarium L. 도꼬마리 Arc.
Tradescantia reflexa Raf. 자주닭개비 IAP
Carex scoparia Schkuhr ex Willd. 한석사초 IAP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IAP
Larix kaempferi (Lamb.) Carrière 일본잎갈나무 PIP
Pinus rigida Mill. 리기다소나무 PIP
Ginkgo biloba L. 은행나무 Arc.
Morus alba L. 뽕나무 Arc.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IAP
Phytolacca esculenta VanHoutte 자리공 Arc.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Makino 명아주 IAP
Amaranthus lividus L. 개비름 Arc.
Amaranthus retroflexus L. 털비름 PIP
Stellaria media (L.) Vill. 별꽃 IAP
Panicum virgatum L. 큰개기장 IAP
Zoysia matrella var. pacifica Goudswaard 금잔디 IAP

zArc., Archaephyte; PIP, Potentially invasive plant; IAP, Invasive alien plant.

이중 사전귀화식물(Arc.)은 뽕나무(Morus alba L.), 자리공(Phytolacca esculenta VanHoutte), 까마중(Solanum nigrum L.) 등을 포함해 15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잠재침입식물(PIP)은 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 Mill.), 공조팝나무(Spiraea cantoniensis Lour.), 황매화(Kerria japonica (L.) DC.) 등을 포함해 8 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침입외래식물(IAP)은 애기수영(Rumex acetosella L.), 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 L.), 명아주(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Makino) 등 42 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생태계교란야생생물은 생태계의 균형에 교란을 가져오거나 그 우려가 있는 야생생물으로 식물은 16 분류군이 있다. 발백산의 생태계교란야생종은 애기수영(Rumex acetosella L.), 미국쑥부쟁이(Aster pilosus Willd.), 환삼덩굴(Humulus japonicus Sieboid & Zucc.) 3 분류군으로 선정된 교란종 중 18.8%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물의 용도 및 유용성

식물은 식용, 약용, 관상 등 여러 가지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유용생물자원이 되어 생물자원산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가 생물자원의 주권 확보하고 인류에게 가치 있는 정보를 찾아내 산업에 활용한다면 국가 경쟁력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이다(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1b).

발백산의 관속식물 545 분류군을 용도별로 분석한 결과, 식용식물은 235 분류군(43.1%), 약용식물은 257 분류군(47.2%), 관상식물은 148 분류군(27.2%), 목재용식물과 목초용식물은 각각 54 분류군(9.9%), 37 분류군(6.8%)으로 나타났으며 공업용식물은 15 분류군(2.8%), 섬유용식물은 11 분류군(2.0%), 그리고 용도를 알 수 없는 식물은 73 분류군(13.4%)으로 확인되다. 이중 약용식물이 47.2%로 가장 높은 비율이 나타났고, 섬유용식물이 2.0%로 가장 낮은 비율로 확인되었다.

고 찰

발백산의 관속식물은 93과 302속 482종 10아종 40변종 13품종 총 545 분류군으로 인접한 운문산 605 분류군(Park et al., 2010), 가지산 573 분류군(Kim et al., 2010)에 비해 적은 수이다. 그 이유는 운문산(1,188 m) 및 가지산(1,240 m)은 산의 면적 및 높이가 발백산과 비교해 넓고 높으며, 가지산의 경우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보호가 이루어져 훼손 정도가 낮아 더 다양한 식물상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럼에도 발백산은 545 분류군이 분포하고 있어 식물상이 풍부한 것으로 생각한다(Fig. 2) 본 조사지역의 한국특산식물은 18 분류군은 주변의 운문산(Park et al., 2010) 29 분류군과 가지산(Kim et al., 2010) 20 분류군에 비해 적은 수이지만, 특산식물 자생지 연구 및 식물자원 확보를 위해 보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희귀식물 및 적색목록 식물은 총 9 분류군으로 운문산(Park et al., 2010) 21 분류군과 가지산(Kim et al., 2010) 10 분류군에 비해 적은 수가 관찰된다. 하지만 본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9 분류군은 중요한 식물으로 확인되어 지속적인 관심 및 보호가 요구된다.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은 총 183 분류군으로 생물자원 주권 확보를 위해 본 연구를 포함해 또 다른 자생지 파악을 요구하며, 본 연구에서 확인된 식물들은 지속적인 보호와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28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는 운문산(Park et al., 2010) 70 분류군과 가지산(Kim et al., 2010) 64 분류군에 비해 많은 종 수이다. 기후변화 적응 대상 식물 총 3 분류군,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4 분류군 후보종 2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는 기후변화가 생물다양성 유지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지속적인 관찰 및 관리를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조사지역의 11.9%에 해당하는 귀화율은 우리나라 평균 귀화율 10.3% (Koh et al., 1995)보다 높은 수치로 확인되며 인근 운문산과 가지산의 귀화율(운문산;3.8%, 가지산;3.8%)과 도시화지수(운문산;8.2%, 가지산;6.9%)에 비해서도 확연히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조사지역이 임업으로 인한 통행량과 임도를 따른 산악자전거 및 차량 진입과 같은 외부인의 잦은 출입으로 인하여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처럼 빠른 속도로 귀화률이 높아진다면 현재 자생하고 있는 식물들의 분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식물의 용도 및 유용성 조사로 발백산의 식물 자원의 유용성을 보여주며 생물 다양성 및 생물자원의 주권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로 판단된다. 그렇기에 본 조사지역의 꾸준한 관리를 필요로 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3-036-01/N0820360105/images/kjpr_36_01_05_F2.jpg
Fig. 2.

Some remarkable plants in Mt.Balbaek. A.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B. Cynanchum ascyrifolium Magnoliophyta; C. Trigonotis icumae (Maxim.) Makino; D. Iris minutiaurea Makino; E. Iris odaesanensis Y.N.Lee; F. Corydalis namdoensis B.U.Oh & J.G.Kim; G. Thalictrum actaefolium var. brevistylum Nakai; H. Lychnis cognata Maxim.; I. Viola orientalis (Maxim.) W.Becker

관리 방안

본 조사지역인 발백산은 총 545 분류군의 관속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주변의 운문산과 가지산에 비해 높은 수치의 귀화식물이 발견되었다. 이는 임도와 등산로가 개방되어 있어 외부인의 출입이 수월하고, 산의 아래쪽에 농가가 있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이러한 현상은 고유한 식생의 교란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야생화 수집가 및 산채 채취자들이 늘어감에 따라 유용한 식물 자원과 생물 주권을 지키기 위해서는 선달산(An et al., 2022)과 같이 산림유전자보호구역을 지정하고 안내판 설치 혹은 인터넷 등의 매체를 활용하여 법정보호종, 희귀종 또는 고유식물들의 훼손을 방지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지속적인 자연환경모니터링을 통하여 생물종의 변화를 관찰하고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 수집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적 요

본 연구는 경상북도 경산시와 청도군 경계면에 위치한 발백산의 관속식물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20년 9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총 13회에 걸쳐 수행되었고,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93과 302속 482종 10아종 40변종 13품종 총 545 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특산식물은 18 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희귀식물 9 분류군; 취약종(Vulnerable, VU) 5 분류군, 약관심종(Least concerned, LC) 3 분류군, 자료부족종(Data Deficient, DD) 1 분류군, 적색목록식물 5 분류군; 관심대상(Least concerned, LC) 3 분류군, 미평가(Not Evaluated, NE) 2 분류군, 국외반출승인대상 생물자원 183 분류군, 구계학적특정종 78 분류군 ; IV등급종 9 분류군, Ⅲ등급종 20 분류군, Ⅱ등급종 20 분류군, Ⅰ등급종 28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 적응 대상 식물 4 분류군; 특산식물 2 분류군, 남방계식물 1 분류군, 기후변화생물지표종 4 분류군, 기후변화생물지표종 후보종 2 분류군, 외래식물 65 분류군, 생태계교란종 3 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용도별 구성은 식용식물 235 분류군(43.1%), 약용식물 257 분류군(47.2%), 관상식물은 148 분류군(27.2%), 목재용식물 54 분류군(9.9%), 목초용식물 37 분류군(6.8%), 공업용식물 15 분류군(2.8%), 섬유용식물 11 분류군(2.0%), 그리고 용도를 알 수 없는 식물은 73 분류군(13.4%)으로 확인되었다. 발백산의 식물상 조사는 국내 최초로 수행 되었으며, 유용한 식물 자원 및 생물 주권을 확보하기 위해 보전해야 할 식물들을 확인하였다. 최근 사람들의 왕래가 잦아짐에 따라 초래될 수 있는 외래식물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꾸준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cknowledgements

이 본 산의 식물상 조사에 협조해주신 발백산 관계자분들게 감사의 뜻을 전합니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y have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An, M.W., S. Jeong, J.Y. Kim, H.J. Jo, T.I. Heo, H.J. Lee, E.W. Seo and G.Y. Chung. 2021. A flora of vascular plants of Seondalsan mountain (Bongwa-gun, Gyeongsangbuk-do). Korean J. Plant Res. 35(2):289-316 (in Korean).
2
Choung, Y.S., W.T. Lee, K.H. Cho, K.Y. Joo, B.M. Min, J.O. Hyun, K.S. Lee, K.E. Lee and A. Seo. 2015. Status of wetland vascular plant species in Korea J. Ecol. Environ. 38(4):541-544 (in Korean). 10.5141/ecoenv.2015.057
3
Cronquist, A. and A. Takhtadzhian. 1981.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NY (USA).
4
Information of Korean Alien Species. 2020. Retrieved Dec. 2, 2020, available from http://kias.nie.re.kr
5
Jung, S.Y., J.W. Lee, H.T. Shin, S.J. Kim, J.B. An, T.I. Heo, J.M. Chung and Y.C. Cho. 2016.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265 (in Korean).
6
Kang, E.S., S.-R. Lee, S.H. Oh, D.-K. Kim, S.-Y. Jung and D.C. Son. 2020. Comprehensive review about alien plants in Korea. Kor. J. Plant Tax. 50:89-119 (in Korean). 10.11110/kjpt.2020.50.2.89
7
Kim, J.-H., J.-Y. Lee, B.-Y. Lee, C.-Y. Yoon and M.-H. Kim. 2010. The vascular plants in Mt. Gaji (Gyeongsang nam-do). Korean J. Plant Res. 23(4):303-326. 10.5322/JES.2010.19.4.459
8
Koh, K.S., I.G. Kang, M.H. Suh, J.H. Kim, K.D. Kim, J.H. Kil, H.I. Rhu, D.S. Kong, E.B. Lee and E.S. Chun. 1995.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 (I) -Naturalized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mental Research. pp. 1-74 (in Korean).
9
Korea Forest Service. 2015. Rare Plants list. from http://www.forest.go.kr.
10
Korea Forest Service. 2017. Endemic plants list. from http://species.nibr.go.kr.
1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981-2010. Meteorological information. from http://www.kma.go.kr.
12
Korea National Arboretum. 2004.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520 (in Korean).
13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Geobook Publishing Co., Pocheon, Korea. p. 332 (in Korean).
14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Fieldguide; Naturalized Plants of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on, Korea (in Korean).
15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p. 1,000 (in Korean).
16
Korean Fern Society. 2005. Ferns and Allies of Korea. Gobook, Seoul, Korea. pp. 1-399 (in Korean).
17
Lee, B.Y., G.H. Nam, J.Y. Lee, C.H. Park, C.E. Lim, M.H. Kim, S.J. Lee, T.K. Roh, J.A. Lim, J.E. Han and J.H. Kim. 2011.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vascular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in Korean).
18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 914 (in Korean).
19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 910 (in Korean).
20
Lee, W.T. 1996a. Florae Koreae. Academy Press, Seoul, Korea. p. 1567 (in Korean).
21
Lee, W.T. 1996a. 1996b.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mdemy Press, Seoul, Korea. p. 1688 (in Korean).
22
Lee, Y.N. 1996. Flora of Korea. Gyohaksa, Seoul, Korea. p. 1247 (in Korean).
23
Lee, Y.N. 1996. 2006a. New Flora of Korea (I). Gyohaksa, Seoul, Korea. p. 975 (in Korean).
24
Lee, Y.N. 1996. 2006b. New Flora of Korea (II). Gyohaksa, Seoul, Korea. p. 885 (in Korean).
25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A Guide to the 4th National Natural Enviroment Research, Incheon, Korea. pp. 173-226 (in Korean).
26
Ministry of Environment. 2019. A Criteria of Endangered Species Appointed Management and Publication of Red Data Book.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p. 214 (in Korean).
27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1a. Endemic Species of Korea. Geobook, Incheon, Korea. pp. 318-415 (in Korean).
28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1b. Useful plants information. from https://species.nibr.go.kr/index.do
29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 391 (in Korean).
30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Floristic Target Species (FT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p. 728 (in Korean).
31
Oh, B.U., D.G. Jo, S.C. Ko, B.H. Choi, W.K. Paik, G.Y. Chung, Y.M. Lee, C.G. Jang.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Forest Service.
32
Oh, B.U., S.C. Ko, S.H. Kang, W.K. Baek, K.E. Yoo, H.T. Yim, C.G. Jang, G.Y. Chung, B.H. Choi, H.J. Choi, Y.M. Lee, C.H. Shin, K. Choi, J.S. Han, S.H. Park, H.J. Kim, K.S. Chang, J.C. Yang, S.Y. Jung, C.H. Lee, S.H. Oh and D.G. Cho. 2016.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809 (in Korean).
33
Park, S.-J., I.-G. Song, S.J. Park, W.-H. Lee, S.-Y. Jang and B.-R. An. 2010. A study on resource plants around the provincial park in Mt. Unmun (Cheongdo-gun, Gyeongsangbuk- do). Korean J. Plant Res. 23(4):327-349 (in Korean).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