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 April 2023. 133-171
https://doi.org/10.7732/kjpr.2023.36.2.133

ABSTRACT


MAIN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연구대상지

  •   연구방법

  • 결 과

  •   산림생물다양성특정지역(풍혈) 기능 및 영향범위 구분

  •   산림생물다양성특정지역(풍혈) 기상정보 분석

  •   산림생물다양성특정지역(풍혈) 관속식물상 분석

  •   산림생물다양성특정지역(풍혈) 보전 및 관리방안

  • 고 찰

  • 적 요

서 언

산업혁명 이후 국가의 산업이 농업에서 공업으로 변화하면서 부를 축적하기 위해 도심으로 인구가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도심 내 인구가 급증하면서 사회기반시설의 확충이 요구되자 부족한 자원을 충당하기 위해 주변의 자연환경을 개발하였다. 천연자원 확보를 위해 무분별한 개발이 시작되면서 생물의 서식처가 파괴되어 종의 멸종이 가속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천연자원의 활용으로 인해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고 기후가 변화하는 등 직·간접적인 위협이 발생하고 있다(Ko et al., 2006; Park et al., 2019).

기후변화로 인해 환경이 변화하면 고산대 또는 아고산대 환경에서 서식하는 생물의 서식처가 교란되어 생물종이 감소하거나(Kim and Lee, 2011),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지 못한 종(Lee et al., 2022a)은 멸종되었다. 사라진 식물의 자리는 침입외래종이 진입하여 주변의 식물을 피압하며 생장을 방해하고 서식처를 급격하게 확장하여 생물종이 단순해지므로 생물다양성에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Kong et al., 2011; Herron et al., 2007).

풍혈(風穴)은 여름에 찬 공기가 불어 나오거나 얼음이 얼고, 겨울에는 따뜻한 바람이 불어 나오는 구멍이나 바위틈으로 독특한 미기상학적 현상이 국소적으로 나타나는 지형을 의미한다(Kong et al., 2012). 풍혈은 지구온난화 또는 기후변화로 인해 저온에서 생육하는 극지 및 고산대 식물의 서식처가 점차 감소하는 상황에서 계절에 관계없이 일정한 기온을 유지하는 풍혈의 미기상학적 현상은 고온에 민감한 식물의 피난처로서 중요하며, 희귀 및 멸종위기종의 보전에 중요하다(Kong et al., 2017). 해외에서는 풍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보전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은 풍혈지 보전을 위해 국립야생생물보호구역으로 편입하여 지정·관리하고 있으며, 일본은 혼슈지방의 중부 이북지역을 대상으로 풍혈과 유사한 지형과 생태계를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Iokawa and Ishizawa, 2003).

국내의 풍혈은 일제강점기에 수행된 산림 전수조사를 통해 발견되었다. 리우협약 이후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풍혈 연구 및 관리를 위해 지형과 생물종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수행되고 있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22a). 그러나, 국내에 분포하는 풍혈의 대부분은 사유재산으로 구분되어 국가주도의 보전 및 관리 대책을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풍혈의 가치를 연구한 사례가 부족하여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기에도 어려운 상황이므로 이에 대한 방안이 필요하다.

생물다양성협약 COP15의 쿤밍-몬트리올 GBF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에서 채택된 기타 효과적인 지역기반 보전수단(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 OECMs)은 보호지역이 아닌 지역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생물다양성을 보전하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의 보호지역 지정 절차는 주로 정부 주도하의 하향식(top-down)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보호지역 지정 시 행위 제한, 사유재산권 침해 등 지역 주민들 또는 이해당사자들로부터 강력한 반발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Hong et al., 2017b). 그러므로 보호지역과 OECMs를 혼용하여 대상지를 보전 및 관리한다면 법적인 제도로 규정되는 환경 갈등을 줄이고 우수한 생물 또는 환경을 가진 대상지를 보전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Hong et al., 2017a, 2017b; Lee et al., 2022b).

본 연구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줄이고 생물의 피난처를 제공할 수 있는 산림생물다양성특정지역(풍혈)에 대한 생물학적 가치와 환경요인을 분석하여 풍혈에 대한 가치를 파악하고 생물다양성을 보전 및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하고자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연구대상지

본 연구의 대상지는 국내 분포하는 풍혈 25개소 중 지형학적 유형에 따라 분류한 애추형, 동굴형, 함몰형 풍혈 각 2개소씩 총 6개소를 조사하였다(Fig. 1, Table 1). 애추형 풍혈(Algific talus slope type talus)은 상대적으로 암석의 크기가 작은 애추 위에서 크고 작은 암석의 틈으로 일 년 동안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는 바람이 불어나오며, 여름에는 찬바람이 불어나오고 겨울에는 따뜻한 바람이 불어나오는 유형으로 홍천 방내리 풍혈, 정선 여탄리 풍혈 등 2개소를 선정하였다. 동굴형 풍혈(Algific talus slope type cave)은 애추, 암괴류, 암괴원 등에서 동굴 형태로 나타나는 풍혈로 경사가 급한 말단면에 나타나며, 연천 동막리 풍혈, 정선 운치리 풍혈을 선정하였다. 함몰형 풍혈(Algific talus slope type dent)은 높은 고도에서 풍화작용 또는 침식작용에 의해 만들어진 애추형 사면에서 경사가 급변하는 지역 또는 고도 차이가 나는 경사지 중간에 걸쳐있는 암설 중 일부가 빠져나가 움푹 파이면서 발생된 풍혈로 제천 금수산 풍혈, 보은 구병산 풍혈을 선정하였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3-036-02/N0820360203/images/kjpr_2023_362_133_F1.jpg
Fig. 1.

Location of algific talus slope.

Table 1.

Location of survey areas

Type Algific talus slope Administrative district Height (m)
Talus Az. Hongcheon-gun Bangnae-ri Punghyeol Gangwon-do 519
By. Jeongseon-gun Yeotan-ri Punghyeol Gangwon-do 356
Cave Cx. Jeongseon-gun Unchi-ri Punghyeol Gangwon-do 368
Dw. Yeoncheon-gun Dongmak-ri Punghyeol Gyeonggi-do 80
Dent Ev. Jecheon-si Geumsusan Punghyeol Chungcheongbuk-do 683
Fu. Boeun-gun Gubyeongsan Punghyeol Chungcheongbuk-do 840

연구방법

산림생물다양성특정지역(풍혈) 기능 및 영향범위 구분

풍혈의 기능과 영향범위를 확인하고자 지하에서 바람이 불어나오는 전석지(내부)와 주변 산림(외부)을 경계로 구분하여 풍혈 내·외부로 설정하였다. 설정된 풍혈 내·외부의 범위는 열화상 무인비행장치(Mavic 2 Enterprise)의 열화상카메라를 활용하여 풍혈지를 촬영한 후 경계를 재조정하였다.

기상정보 측정 및 분석(기온 및 습도)

풍혈의 기상정보(기온 및 습도)를 측정하기 위해 열화상카메라(FlukeTis 10)를 활용하여 풍혈 내부(전석지)와 외부(주변 산림)의 기온변화가 가장 뚜렷한 지점에 기상측정장비(HOBO U23 Pro v2 Temperature / Relative Humidity Data Logger)를 설치하였다. 측정 간격은 매 30분 마다 1회 측정하였으며, Onset HOBOware 3.7.23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추출하였다.

관속식물상 조사 및 분석

풍혈의 관속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해 2020년부터 2021년까지 계절별로 수행하였다. 풍혈 내의 자생식물을 훼손하거나 교란시키지 않기 위해 대상지 내 개체 빈도가 작은 식물은 화상자료를 확보하였고 대상지 내 출현한 귀화식물은 표본 및 화상자료를 작성한 후에 물리적인 제거를 진행하였다. 조사지에 출현한 식물종의 동정은 최대한 현지에서 수행하였고, 현지에서 동정이 어려운 사초과 등의 식물은 꽃과 열매 등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만을 채집하여 실험실에서 동정을 수행 및 표본으로 제작하여 DMZ자생식물원 표본관에 보관하였다. 수집한 식물의 동정은 Lee (2014a; 2014b) 등의 문헌을 인용하였다. 출현식물의 분류체계는 Engler의 분류체계(Melchior, 1964)에 준하여 목록을 정리하였다(Appendix 3). 학명과 국명 등의 표기는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20)을 참조하였으며, 식물목록은 과(family)별로 정리, 속(genus) 이하 계급은 알파벳순으로 나열하였다.

특산식물과 희귀식물은 Korea National Arboretum (2020), 멸종위기 야생생물은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21)에 따라 작성하였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북방계식물은 Amarsanaa et al. (2020)이 작성한 한반도 북방계식물 목록의 기준에 따라 북방계식물을 분류하였으며,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 300 (Korea National Arboretum, 2010)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침입외래식물은 Kang et al. (2020), 생태계교란식물은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22)을 토대로 작성하였다.

결 과

산림생물다양성특정지역(풍혈) 기능 및 영향범위 구분

열화상 무인비행장치를 활용하여 풍혈 내·외부 경계를 조정한 결과, 홍천 방내리 풍혈의 내부 면적은 2,138 ㎡, 외부 면적은 13,875 ㎡로 확인되었으며, 정선 여탄리 풍혈의 내부 면적은 688 ㎡, 외부 면적은 4,819 ㎡로 확인되었다. 정선 운치리 풍혈의 내부 면적은 1,075 ㎡, 외부 면적은 6,519 ㎡로 확인되었으며, 연천 동막리 풍혈의 내부 면적은 2,013 ㎡, 외부 면적은 9,950 ㎡로 확인되었다. 제천 금수산 풍혈의 내부 면적은 1,250 ㎡, 외부 면적은 14,000 ㎡로 확인되었으며, 보은 구병산 풍혈의 내부 면적은 831 ㎡, 외부 면적은 21,463 ㎡로 확인되었다(Fig. 2, Table 2).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3-036-02/N0820360203/images/kjpr_2023_362_133_F2.jpg
Fig. 2.

The boundary line of algific talus slope.

Table 2.

Square measure of study areas in algific talus slope

Type Location Total area (㎡) Internal area (㎡) External area (㎡)
Talus Az 16,013 2,138 13,875
By 5,507 688 4,819
Cave Cx 7,594 1,075 6,519
Dw 11,963 2,013 9,950
Dent Ev 15,250 1,250 14,000
Fu 22,294 831 21,463
Total 78,621 7,995 70,626

zA: Hongcheon-gun Bangnae-ri Punghyeol,

yB: Jeongseon-gun Yeotan-ri Punghyeol,

xC: Jeongseon-gun Unchi-ri Punghyeol,

wD: Yeoncheon-gun Dongmak-ri Punghyeol,

vE: Jecheon-si Geumsusan Punghyeol,

uF: Boeun-gun Gubyeongsan Punghyeol.

산림생물다양성특정지역(풍혈) 기상정보 분석

애추형 풍혈

① 홍천군 방내리

홍천군 지역의 여름철 평균기온은 26.3℃, 습도는 75.3%, 겨울철 평균기온은 –4.5℃, 습도는 63.9%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여름철 풍혈 내부의 평균기온은 20.8℃, 습도는 98%, 외부의 평균기온은 21.6℃, 습도는 95.9%로 확인되었으며, 겨울철 풍혈 내부의 평균기온은 –8.3℃, 습도는 83.2%, 외부의 평균기온은 –7.5℃, 습도는 79.9%로 확인되었다(Appendix 1, 2). 기상분석 결과, 여름철 홍천지역의 평균기온과 풍혈 내부의 온도차는 약 5~6℃, 겨울철은 약 3~4℃ 차이가 발생하였으나, 습도는 계절에 관계없이 10~20%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애추형 풍혈 아래로 흐르는 차가운 지하수와 전석지 사이에 발생하는 단열효과와 빙축열로 인한 영향으로 사계절 내내 차가운 바람이 불어나오는 것으로 판단된다.

② 정선군 여탄리

정선군 지역의 여름철 평균기온은 25.2℃, 습도는 76.9%, 겨울철 평균기온은 –4.0℃, 습도는 56.8%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여름철 풍혈 내부의 평균기온은 22.2℃, 습도는 93.6%, 외부의 평균기온은 23.0℃, 습도는 91.3%로 확인되었으며, 겨울철 풍혈 내부의 평균기온은 –7.0℃, 습도는 79.6%, 외부의 평균기온은 –6.1℃, 습도는 77.8%로 확인되었다(Appendix 1, 2). 기상분석 결과, 여름철 정선 지역의 평균기온과 풍혈 내부의 온도차는 약 3℃, 겨울철은 약 3℃ 차이가 발생하였으나, 습도는 계절에 관계없이 10~20%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애추형 풍혈 아래로 흐르는 지하수가 증발하면서 전석지 사이의 단열효과와 빙축열에 영향을 받아 차가운 바람이 불어나오는 것으로 판단된다.

동굴형 풍혈

① 정선군 운치리

정선군 지역의 여름철 평균기온은 25.2℃, 습도는 76.9%, 겨울철 평균기온은 –4.0℃, 습도는 56.8%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여름철 풍혈 내부의 평균기온은 3.6℃, 습도는 98.7%, 외부의 평균기온은 23.3℃, 습도는 89.3%로 확인되었으며, 겨울철 풍혈 내부의 평균기온은 –5.9℃, 습도는 74.8%, 외부의 평균기온은 –4.1℃, 습도는 63.9%로 확인되었다(Appendix 1, 2). 기상분석 결과, 여름철 정선 지역의 평균기온과 풍혈 내부의 온도차는 약 22℃, 겨울철은 약 2℃ 차이가 발생하였으나 습도는 계절에 관계없이 약 20%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동굴 주변의 전석지와 암반지가 열 저장매체로 작용하여 냉기를 저장한 후 재생효과로 인해 찬바람이 불어나오는 것으로 판단된다.

② 연천군 동막리

연천군 지역의 여름철 평균기온은 26.2℃, 습도는 85.7%, 겨울철 평균기온은 –4.9℃, 습도는 66.2%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여름철 풍혈 내부의 평균기온은 17.5℃, 습도는 99.2%, 외부의 평균기온은 24.7℃, 습도는 91.3%로 확인되었으며, 겨울철 풍혈 내부의 평균기온은 –7.4℃, 습도는 84.3%, 외부의 평균기온은 –6.2℃, 습도는 75.7%로 확인되었다(Appendix 1, 2). 기상분석 결과, 여름철 연천 지역의 평균기온과 풍혈 내부의 온도차는 약 10℃, 겨울철은 약 3℃ 차이가 발생하였으나 습도는 계절에 관계없이 15%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정선 운치리 풍혈과 마찬가지로 동굴 주변의 전석지와 암반지가 열 저장매체로 작용하여 냉기를 저장한 후 재생효과로 인해 찬바람이 불어나오는 것으로 판단된다.

함몰형 풍혈

① 제천시 금수산

제천시 지역의 여름철 평균기온은 25.1℃, 습도는 81.6%, 겨울철 평균기온은 –4.6℃, 습도는 65.9%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여름철 풍혈 내부의 평균기온은 20.9℃, 습도는 95.0%, 외부의 평균기온은 22.1℃, 습도는 90.4%로 확인되었으며, 겨울철 풍혈 내부의 평균기온은 –7.3℃, 습도는 80.4%, 외부의 평균기온은 –5.8℃, 습도는 73.7%로 확인되었다(Appendix 1, 2). 기상분석 결과, 여름철 제천 지역의 평균기온과 풍혈 내부의 온도차는 약 5℃, 겨울철은 약 3℃ 차이가 발생하였으나 습도는 계절에 관계없이 약 10%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온도 지연 현상으로 풍혈 내부의 온도 환경을 변화시켜 기온변화가 늦게 나타나 온도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② 보은군 구병산

보은군 지역의 여름철 평균기온은 25.3℃, 습도는 81.5%, 겨울철 평균기온은 –3.7℃, 습도는 65.0%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여름철 풍혈 내부의 평균기온은 21.2℃, 습도는 94.5%, 외부의 평균기온은 21.3℃, 습도는 81.5%로 확인되었으며, 겨울철 풍혈 내부의 평균기온은 –5.3℃, 습도는 73.7%, 외부의 평균기온은 –5.6℃, 습도는 65.0%로 확인되었다(Appendix 1, 2). 기상분석 결과, 여름철 보은 지역의 평균기온과 풍혈 내부의 온도차는 약 4℃, 겨울철은 약 1℃ 차이가 발생하였으나 습도는 봄을 제외한 계절에 약 10%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은 구병산 풍혈은 온혈형 풍혈로 알려졌으나 조사 결과 풍혈 내부의 온도는 풍혈 외부의 기온보다 높지만 보은군 지역의 기온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풍혈의 훼손으로 인해 온혈의 기능이 약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산림생물다양성특정지역(풍혈) 관속식물상 분석

전체 관속식물상

풍혈에서 확인된 전체 관속식물은 101과 350속 621종 18아종 57변종 7품종 703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724분류군의 약 14.9%에 해당한다. 풍혈별로 확인된 관속식물은 홍천 방내리 풍혈에서 76과 175속 266종 5아종 23변종 3품종 297분류군, 정선 여탄리 풍혈에서 84과 203속 295종 6아종 28변종 2품종 331분류군, 정선 운치리 풍혈에서 87과 256속 377종 13아종 36변종 5품종 431분류군, 연천 동막리 풍혈에서 76과 172속 230종 5아종 24변종 5품종 264분류군, 제천 금수산 풍혈에서 65과 122속 168종 3아종 19변종 2품종 192분류군, 보은 구병산 풍혈에서 58과 106속 154종 3아종 15변종 2품종 174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3). 잔고사리(Dennstaedtia hirsuta (Sw.) Mett. ex Miq.) 등 136분류군은 각각의 풍혈 내부에서만 확인되었다(Table 4).

Table 3.

The flora of algific talus slope in study area

System/Taxa Fam. Gen. Sp. Sub. Var. For. Total
Pteridophyta 12 20 41 1 2 0 44
Gymnospermae 2 3 4 0 0 0 4
Angiospermae 87 327 576 17 55 7 655
Dicotyledons 79 272 471 17 46 5 539
Monocotyledons 8 55 105 0 9 2 116
Total 101 350 621 18 57 7 703
Algific talus
slope
Az 76 175 266 5 23 3 297
By 84 203 295 6 28 2 331
Cx 87 256 377 13 36 5 431
Dw 76 172 230 5 24 5 264
Ev 65 122 168 3 19 2 192
Fu 58 106 154 3 15 2 174

zA: Hongcheon-gun Bangnae-ri Punghyeol,

yB: Jeongseon-gun Yeotan-ri Punghyeol,

xC: Jeongseon-gun Unchi-ri Punghyeol,

wD: Yeoncheon-gun Dongmak-ri Punghyeol,

vE: Jecheon-si Geumsusan Punghyeol,

uF: Boeun-gun Gubyeongsan Punghyeol.

Table 4.

The list of flora found only in the internal area of the study area

Family name Scientific name / Korean name Az By Cx Dw Ev Fu
Dennstaedtiaceae Dennstaedtia hirsuta (Sw.) Mett. ex Miq. 잔고사리
Cystopteridaceae Cystopteris fragilis (L.) Bernh. 한들고사리
Aspleniaceae Asplenium trichomanes L. subsp. quadrivalens D.E.Mey. 차꼬리고사리
Woodsiaceae Woodsia manchuriensis Hook. 만주우드풀
Woodsiaceae Woodsia microsora Kodama 금강가물고사리
Woodsiaceae Woodsia polystichoides D.C.Eaton 우드풀
Athyriaceae Athyrium monomachii Kom. 참새발고사리
Athyriaceae Athyrium yokoscense (Franch. & Sav.) Christ 뱀고사리
Dryopteridaceae Arachniodes borealis Seriz. 왁살고사리
Dryopteridaceae Dryopteris expansa (C.Presl) Fraser-Jenk. & Jermy 퍼진고사리
Dryopteridaceae Dryopteris fragrans (L.) Schott 주저리고사리
Dryopteridaceae Dryopteris gymnophylla (Baker) C.Chr. 금족제비고사리
Dryopteridaceae Polystichum craspedosorum (Maxim.) Diels 낚시고사리
Polypodiaceae Lepisorus ussuriensis (Regel & Maack) Ching 산일엽초
Pinaceae Larix kaempferi (Lamb.) Carrière 일본잎갈나무
Cupressaceae Juniperus rigida Siebold & Zucc. 노간주나무
Juglandaceae Juglans mandshurica Maxim. 가래나무
Salicaceae Populus tremula L. var. davidiana (Dode) C.K.Schneid. 사시나무
Salicaceae Populus × tomentiglandulosa T.B.Lee 은사시나무
Betulaceae Alnus incana (L.) Moench subsp. hirsuta (Turcz. ex Spach) Á.Löve & D.Löve 물오리나무
Betulaceae Betula chinensis Maxim. 개박달나무
Betulaceae Carpinus cordata Blume 까치박달
Fagaceae Quercus aliena Blume 갈참나무
Fagaceae Quercus dentata Thunb. 떡갈나무
Moraceae Morus mongolica (Bureau) C.K.Schneid. 몽고뽕나무
Urticaceae Urtica thunbergiana Siebold & Zucc. 쐐기풀
Polygonaceae Fallopia dumetorum (L.) Holub 닭의덩굴
Caryophyllaceae Dianthus chinensis L. 패랭이꽃
Caryophyllaceae Pseudostellaria palibiniana (Takeda) Ohwi 큰개별꽃
Amaranthaceae Amaranthus patulus Bertol. 가는털비름
Ranunculaceae Aconitum alboviolaceum Kom. 줄바꽃
Ranunculaceae Actaea bifida (Nakai) J.Compton 세잎승마
Ranunculaceae Clematis patens C.Morren & Decne. 큰꽃으아리
Ranunculaceae Clematis trichotoma Nakai 할미밀망
Ranunculaceae Thalictrum tuberiferum Maxim. 산꿩의다리
Lardizabalaceae Akebia quinata (Houtt.) Decne. 으름덩굴
Paeoniaceae 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백작약
Paeoniaceae Paeonia obovata Maxim. 산작약
Actinidiaceae Actinidia arguta (Siebold & Zucc.) Planch. ex Miq. 다래
Actinidiaceae Actinidia kolomikta (Maxim. & Rupr.) Maxim. 쥐다래
Papaveraceae Corydalis pauciovulata Ohwi 선괴불주머니
Papaveraceae Corydalis speciosa Maxim. 산괴불주머니
Brassicaceae Barbarea orthoceras Ledeb. 나도냉이
Brassicaceae Barbarea vulgaris W.T.Aiton 유럽나도냉이
Brassicaceae Cardamine flexuosa With. 황새냉이
Crassulaceae Hylotelephium viviparum (Maxim.) H.Ohba 새끼꿩의비름
Crassulaceae Orostachys minuta (Kom.) A.Berger 좀바위솔
Crassulaceae Phedimus aizoon (L.) ’t Hart 가는기린초
Crassulaceae Phedimus kamtschaticus (Fisch. & C.A.Mey.) ’t Hart 기린초
Crassulaceae Sedum polytrichoides Hemsl. 바위채송화
Crassulaceae Sedum sarmentosum Bunge 돌나물
Saxifragaceae Mukdenia rossii (Oliv.) Koidz. 돌단풍
Grossulariaceae Ribes mandshuricum (Maxim.) Kom. 까치밥나무
Grossulariaceae Ribes maximowiczianum Kom. 명자순
Rosaceae Agrimonia pilosa Ledeb. 짚신나물
Rosaceae Aria alnifolia (Siebold & Zucc.) Decne. 팥배나무
Rosaceae Malus baccata (L.) Borkh. 야광나무
Rosaceae Malus mandshurica (Maxim.) Kom. ex Skvortsov 털야광나무
Rosaceae Potentilla chinensis Ser. 딱지꽃
Rosaceae Potentilla dickinsii Franch. & Sav. 돌양지꽃
Rosaceae Prunus choreiana Nakai ex H.T.Im 복사앵도나무
Rosaceae Rosa acicularis Lindl. 인가목
Rosaceae Rosa davurica Pall. 생열귀나무
Rosaceae Spiraea chinensis Maxim. 당조팝나무
Fabaceae Caragana fruticosa (Pall.) Besser 참골담초
Fabaceae Indigofera kirilowii Maxim. ex Palib. 땅비싸리
Fabaceae Maackia amurensis Rupr. 다릅나무
Euphorbiaceae Euphorbia sieboldiana Morren & Decne. 개감수
Rutaceae Phellodendron amurense Rupr. 황벽나무
Rutaceae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 Zucc. 산초나무
Aceraceae Acer triflorum Kom. 복자기
Balsaminaceae Impatiens noli-tangere L. 노랑물봉선
Celastraceae Euonymus alatus (Thunb.) Siebold f. ciliato-dentatus (Franch. & Sav.) Hiyama 회잎나무
Celastraceae Euonymus oxyphyllus Miq. 참회나무
Vitaceae Vitis amurensis Rupr. 왕머루
Tiliaceae Tilia amurensis Rupr. 피나무
Violaceae Viola collina Besser 둥근털제비꽃
Violaceae Viola tokubuchiana Makino var. takedana (Makino) F.Maek. 민둥뫼제비꽃
Violaceae Viola variegata Fisch. ex Link 알록제비꽃
Araliaceae Aralia cordata Thunb. var. continentalis (Kitag.) Y.C.Chu 독활
Araliaceae Aralia elata (Miq.) Seem. 두릅나무
Apiaceae Angelica polymorpha Maxim. 궁궁이
Ericaceae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진달래
Ericaceae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var. ciliatum Nakai 털진달래
Ericaceae Vaccinium hirtum Thunb. var. koreanum (Nakai) Kitam. 산앵도나무
Ericaceae Vaccinium vitis-idaea L. 월귤
Primulaceae Lysimachia clethroides Duby 큰까치수염
Oleaceae Forsythia saxatilis (Nakai) Nakai 산개나리
Oleaceae Fraxinus sieboldiana Blume 쇠물푸레나무
Oleaceae Syringa pubescens Turcz. subsp. patula (Palib.) M.C.Chang & X.L.Chen 털개회나무
Oleaceae Syringa villosa Vahl subsp. wolfii (C.K.Schneid.) Y.Chen & D.Y.Hong 꽃개회나무
Gentianaceae Gentiana zollingeri Fawc. 큰구슬붕이
Rubiaceae Galium odoratum (L.) Scop. 선갈퀴
Rubiaceae Galium pogonanthum Franch. & Sav. 산갈퀴
Verbenaceae Callicarpa japonica Thunb. 작살나무
Lamiaceae Isodon inflexus (Thunb.) Kudô 산박하
Lamiaceae Lamium album L. subsp. barbatum (Siebold & Zucc.) Mennema 광대수염
Lamiaceae Lycopus lucidus Turcz. ex Benth. 쉽싸리
Lamiaceae 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 벌깨덩굴
Lamiaceae Scutellaria indica L. 골무꽃
Solanaceae Solanum japonense Nakai 좁은잎배풍등
Scrophulariaceae Mazus stachydifolius (Turcz.) Maxim. 선주름잎
Scrophulariaceae Melampyrum roseum Maxim. 꽃며느리밥풀
Caprifoliaceae Viburnum carlesii Hemsl. 분꽃나무
Caprifoliaceae Viburnum opulus L. var. calvescens (Rehder) H.Hara 백당나무
Valerianaceae Valeriana fauriei Briq. 쥐오줌풀
Asteraceae Aster ageratoides Turcz. 까실쑥부쟁이
Asteraceae Aster tataricus L.f. 개미취
Asteraceae Atractylodes ovata (Thunb.) DC. 삽주
Asteraceae Bidens bipinnata L. 도깨비바늘
Asteraceae Crepidiastrum chelidoniifolium (Makino) J.H.Pak & Kawano 까치고들빼기
Asteraceae Crepidiastrum denticulatum (Houtt.) J.H.Pak & Kawano 이고들빼기
Asteraceae Dendranthema zawadskii (Herbich) Tzvelev 산구절초
Asteraceae Erechtites hieraciifolius (L.) Raf. ex DC. 붉은서나물
Asteraceae Lactuca raddeana Maxim. 산씀바귀
Asteraceae Saussurea gracilis Maxim. 은분취
Asteraceae Stemmacantha uniflora (L.) Dittrich 뻐꾹채
Asteraceae Syneilesis palmata (Thunb.) Maxim. 우산나물
Asteraceae Taraxacum officinale F.H.Wigg. 서양민들레
Liliaceae Disporum smilacinum A.Gray 애기나리
Liliaceae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백운산원추리
Liliaceae Lilium amabile Palib. 털중나리
Liliaceae Lilium tsingtauense Gilg 하늘말나리
Liliaceae Polygonatum odoratum (Mill.) Druce var. pluriflorum (Miq.) Ohwi 둥굴레
Dioscoreaceae Dioscorea nipponica Makino 부채마
Poaceae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털새
Poaceae Calamagrostis arundinacea (L.) Roth 실새풀
Poaceae Eragrostis ferruginea (Thunb.) P.Beauv. 그령
Poaceae Muhlenbergia hakonensis (Hack. ex Matsum.) Makino 선쥐꼬리새
Poaceae Setaria faberi R.A.W.Herrm. 가을강아지풀
Poaceae Setaria viridis (L.) P.Beauv. 강아지풀
Cyperaceae Carex breviculmis R.Br. 청사초
Cyperaceae Carex lanceolata Boott 그늘사초
Cyperaceae Carex pediformis C.A.Mey. 넓은잎그늘사초
Cyperaceae Carex polyschoena H.Lév. & Vaniot 가지청사초
Cyperaceae Carex ussuriensis Kom. 싸라기사초

zA: Hongcheon-gun Bangnae-ri Punghyeol,

yB: Jeongseon-gun Yeotan-ri Punghyeol,

xC: Jeongseon-gun Unchi-ri Punghyeol,

wD: Yeoncheon-gun Dongmak-ri Punghyeol,

vE: Jecheon-si Geumsusan Punghyeol,

uF: Boeun-gun Gubyeongsan Punghyeol.

한반도 특산식물

풍혈에서 특산식물은 29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전체 특산식물 목록의 약 7.3%에 해당한다. 풍혈별로 확인된 특산식물은 홍천 방내리 풍혈에서 키버들(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등 14분류군, 정선 여탄리 풍혈에서 산개나리(Forsythia saxatilis (Nakai) Nakai) 등 17분류군, 정선 운치리 풍혈에서 은사시나무(Populus × tomentig-landulosa T.B.Lee) 등 9분류군, 연천 동막리 풍혈에서 무늬족도리풀(Asarum chun-gbuensis (C.S.Yook & J.G.Kim) B.U.Oh) 등 10분류군, 제천 금수산 풍혈에서 진범(A-conitum pseudolaeve Nakai) 등 10분류군, 보은 구병산 풍혈에서 세잎승마(Actaea bifida (Nakai) J.Compton) 등 9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5).

Table 5.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in algific talus slope

Scientific name / Korean name Az By Cx Dw Ev Fu
Int Exs Int Exs Int Exs Int Exs Int Exs Int Exs
Populus × tomentiglandulosa T.B.Lee 은사시나무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키버들
Broussonetia × hanjiana M.Kim 닥나무
Aconitum pseudolaeve Nakai 진범
Actaea bifida (Nakai) J.Compton 세잎승마
Clematis brachyura Maxim. 외대으아리
Clematis trichotoma Nakai 할미밀망
Berberis koreana Palib. 매자나무
Asarum chungbuensis (C.S.Yook & J.G.Kim) B.U.Oh
무늬족도리풀
Asarum mandshuricum (Maxim.) M.Kim & S.So var.
seoulense (Nakai) M.Kim & S.So 서울족도리풀
Corydalis maculata B.U.Oh & Y.S.Kim 점현호색
Prunus choreiana Nakai ex H.T.Im 복사앵도나무
Angelica amurensis Schischk. 지리강활
Angelica reflexa B.Y.Lee 강활
Sillaphyton podagraria (H.Boissieu) Pimenov 덕우기름나물
Forsythia saxatilis (Nakai) Nakai 산개나리
Asperula lasiantha Nakai 갈퀴아재비
Paulownia coreana Uyeki 오동나무
Lonicera subsessilis Rehder 청괴불나무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병꽃나무
Aster koraiensis Nakai 벌개미취
Cirsium setidens (Dunn) Nakai 고려엉겅퀴
Saussurea macrolepis (Nakai) Kitam. 각시서덜취
Saussurea seoulensis Nakai 분취
Heloniopsis koreana Fuse, N.S.Lee & M.N.Tamura 처녀치마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백운산원추리
Carex fusanensis Ohwi 부산사초
Carex okamotoi Ohwi 지리대사초
Trichophorum polygamum D.C.Son & K.S.Chang 동강고랭이

zA: Hongcheon-gun Bangnae-ri Punghyeol,

yB: Jeongseon-gun Yeotan-ri Punghyeol,

xC: Jeongseon-gun Unchi-ri Punghyeol,

wD: Yeoncheon-gun Dongmak-ri Punghyeol,

vE: Jecheon-si Geumsusan Punghyeol,

uF: Boeun-gun Gubyeongsan Punghyeol,

tIn: Internal area,

sEx: External area.

희귀식물

풍혈에서 IUCN지정 희귀식물은 2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전체 희귀식물 목록의 약 4.0%에 해당한다. 풍혈별로 확인된 희귀식물은 홍천 방내리 풍혈에서 백작약(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등 8분류군, 정선 여탄리 풍혈에서 토끼고사리(Gymnocarpium dryopteris (L.) Newman) 등 11분류군, 정선 운치리 풍혈에서 백부자(Aconitum coreanum (H.Lév.) Rapaics) 등 6분류군, 연천 동막리 풍혈에서 공작고사리(Adiantum pedatum L.) 등 7분류군, 제천 금수산 풍혈에서 두루미천남성(Arisaema heterophyllum Blume) 등 2분류군, 보은 구병산 풍혈에서 태백제비꽃(Viola albida Palib) 등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6).

Table 6.

The list of rare plants in algific talus slope

Scientific name / Korean name degree Az By Cx Dw Ev Fu
Int Exs Int Exs Int Exs Int Exs Int Exs Int Exs
Cystopteris fragilis (L.) Bernh. 한들고사리 CR
Gymnocarpium dryopteris (L.) Newman 토끼고사리 DD
Adiantum pedatum L. 공작고사리 VU
Asplenium trichomanes L. subsp. quadrivalens D.E.Mey.
차꼬리고사리
CR
Athyrium spinulosum (Maxim.) Milde 두메개고사리 VU
Aconitum coreanum (H.Lév.) Rapaics 백부자‡r CR
Actaea bifida (Nakai) J.Compton 세잎승마 VU
Clematis brevicaudata DC. 좀사위질빵 DD
Aristolochia contorta Bunge 쥐방울덩굴 LC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등칡 LC
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백작약 VU
Paeonia obovata Maxim. 산작약‡r CR
Rodgersia podophylla A.Gray 도깨비부채 LC
Prunus choreiana Nakai ex H.T.Im 복사앵도나무 EN
Rosa koreana Kom. 흰인가목 EN
Viola albida Palib. 태백제비꽃 LC
Vaccinium vitis-idaea L. 월귤 CR
Forsythia saxatilis (Nakai) Nakai 산개나리 EN
Syringa villosa Vahl subsp. wolfii (C.K.Schneid.)
Y.Chen & D.Y.Hong 꽃개회나무
LC
Gentiana triflora Pall. var. japonica (Kusn.) H.Hara 과남풀 LC
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old & Zucc. 지치 LC
Arisaema heterophyllum Blume 두루미천남성 LC

zA: Hongcheon-gun Bangnae-ri Punghyeol,

yB: Jeongseon-gun Yeotan-ri Punghyeol,

xC: Jeongseon-gun Unchi-ri Punghyeol,

wD: Yeoncheon-gun Dongmak-ri Punghyeol,

vE: Jecheon-si Geumsusan Punghyeol,

uF: Boeun-gun Gubyeongsan Punghyeol,

tIn: Internal area,

sEx: External area,

r‡: Endangered plants.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풍혈에서 확인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68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홍천 방내리 풍혈에서 도깨비부채(Rodgersia podophylla A.Gray) 등 72분류군, 정선 여탄리 풍혈에서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 Hance) 등 78분류군, 정선 운치리 풍혈에서 한들고사리(Cystopteris fragilis (L.) Bernh.) 등 70분류군, 연천 동막리 풍혈에서 매자나무(Berberis koreana Palib.) 등 71분류군, 제천 금수산 풍혈에서 가는잎개고사리(Athyrium iseanum Rosenst.) 등 38분류군, 보은 구병산 풍혈에서 당조팝나무(Spiraea chinensis Maxim.) 등 4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등급별로는 V등급은 월귤(Vaccinium vitis-idaea L.) 등 4분류군, IV등급은 흰인가목(Rosa koreana Kom.) 등 27분류군, III등급은 바위손(Selaginella tamariscina (P.Beauv.) Spring) 등 4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II등급은 회목나무(Euonymus pauciflorus Maxim.) 등 39분류군, I등급은 일엽초(Lepisorus thunbergianus (Kaulf.) Ching) 등 50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7).

Table 7.

The list of the V~IV degree taxa of Korean floristic target plants on algific talus slope

Scientific name / Korean name degree Az By Cx Dw Ev Fu
Int Exs Int Exs Int Exs Int Exs Int Exs Int Exs
Aconitum coreanum (H.Lév.) Rapaics 백부자 V
Paeonia obovata Maxim. 산작약 V
Vaccinium vitis-idaea L. 월귤 V
Asperula lasiantha Nakai 갈퀴아재비 V
Cystopteris fragilis (L.) Bernh. 한들고사리 IV
Asplenium trichomanes L. subsp. quadrivalens D.E.Mey.
차꼬리고사리
IV
Athyrium iseanum Rosenst. 가는잎개고사리 IV
Ulmus macrocarpa Hance 왕느릅나무 IV
Morus mongolica (Bureau) C.K.Schneid. 몽고뽕나무 IV
Laportea cuspidata (Wedd.) Friis 큰쐐기풀 IV
Actaea bifida (Nakai) J.Compton 세잎승마 IV
Anemone reflexa Steph. ex Willd. 회리바람꽃 IV
Clematis serratifolia Rehder 개버무리 IV
Thalictrum ichangense Lecoy. ex Oliv. 꼭지연잎꿩의다리 IV
Berberis koreana Palib. 매자나무 IV
Rodgersia podophylla A.Gray 도깨비부채 IV
Deutzia grandiflora Bunge var. baroniana (Diels) Rehder
바위말발도리
IV
Rosa davurica Pall. 생열귀나무 IV
Rosa koreana Kom. 흰인가목 IV
Spiraea trichocarpa Nakai 갈기조팝나무 IV
Caragana fruticosa (Pall.) Besser 참골담초 IV
Rhamnus davurica Pall. 갈매나무 IV
Sillaphyton podagraria (H.Boissieu) Pimenov 덕우기름나물 IV
Forsythia saxatilis (Nakai) Nakai 산개나리 IV
Syringa fauriei H.Lév. 버들개회나무 IV
Syringa villosa Vahl subsp. wolfii (C.K.Schneid.)
Y.Chen & D.Y.Hong 꽃개회나무
IV
Mazus stachydifolius (Turcz.) Maxim. 선주름잎 IV
Patrinia rupestris (Pall.) Juss. 돌마타리 IV
Festuca rubra L. 왕김의털 IV
Poa nemoralis L. 선포아풀 IV
Trichophorum polygamum D.C.Son & K.S.Chang 동강고랭이 IV

zA: Hongcheon-gun Bangnae-ri Punghyeol,

yB: Jeongseon-gun Yeotan-ri Punghyeol,

xC: Jeongseon-gun Unchi-ri Punghyeol,

wD: Yeoncheon-gun Dongmak-ri Punghyeol,

vE: Jecheon-si Geumsusan Punghyeol,

uF: Boeun-gun Gubyeongsan Punghyeol,

tIn: Internal area,

sEx: External area.

북방계식물

풍혈에서 확인된 북방계식물은 총 129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홍천 방내리 풍혈에서 주저리고사리(Dryopteris fragrans (L.) Schott) 등 32분류군, 정선 여탄리 풍혈에서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Ser.) 등 23분류군, 정선 운치리 풍혈에서 거미고사리(Asplenium ruprechtii Sa.Kurata) 등 38분류군, 연천 동막리 풍혈에서 산괴불주머니(Corydalis speciosa Maxim.) 등 27분류군, 제천 금수산 풍혈에서 퍼진고사리(Dryopteris expansa (C.Presl) Fraser-Jenk. & Jermy) 등 20분류군, 보은 구병산 풍혈에서 노랑제비꽃(Viola orientalis (Maxim.) W.Becker) 등 26분류군이 확인되었다(Appendix 3).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 식물 300의 북방계식물 100종 중 총 2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홍천 방내리 풍혈에서 검종덩굴(Clematis fusca Turcz.) 등 9분류군, 정선 여탄리 풍혈에서 노랑투구꽃(Aconitum barbatum Patrin ex Pers.) 등 15분류군, 정선 운치리 풍혈에서 조선현호색(Corydalis turtschaninovii Besser) 등 10분류군, 연천 동막리 풍혈에서 야광나무(Malus baccata (L.) Borkh.) 등 9분류군, 제천 금수산 풍혈에서 주저리고사리 1분류군, 보은 구병산 풍혈에서 주저리고사리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반도에서 관찰되는 북방계식물 616분류군의 약 21%,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 식물 300의 북방계식물 100종의 22%가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8).

한반도 내 북방계식물은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은 지역에서 서식하여 주로 북한과 인접한 접경지역 등 일부 지역에서만 관찰되며(Yun et al., 2022), 기온이 상승하거나 개발 등의 이유로 점차 북방계식물의 서식지 훼손 및 개체수가 감소되고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취약한 북방계식물의 보전 및 절멸 방지를 위해 기후변화에 민감한 식물들의 피난처로서 중요하다고 알려진 풍혈에 대한 적극적인 보전 및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Table 8.

The list of the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of algific talus slope in study area

Scientific name / Korean name 300z Ay Bx Cw Dv Eu Ft
Ins Exr Ins Exr Ins Exr Ins Exr Ins Exr Ins Exr
Dryopteris fragrans (L.) Schott 주저리고사리 NP
Aconitum barbatum Patrin ex Pers. 노랑투구꽃 NP
Aconitum coreanum (H.Lév.) Rapaics 백부자 NP
Anemone reflexa Steph. ex Willd. 회리바람꽃 NP
Clematis fusca Turcz. 검종덩굴 NP
Clematis serratifolia Rehder 개버무리 NP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등칡 NP
Corydalis turtschaninovii Besser 조선현호색 NP
Mukdenia rossii (Oliv.) Koidz. 돌단풍 NP
Rodgersia podophylla A.Gray 도깨비부채 NP
Malus baccata (L.) Borkh. 야광나무 NP
Rosa acicularis Lindl. 인가목 NP
Rosa koreana Kom. 흰인가목 NP
Spiraea salicifolia L. 꼬리조팝나무 NP
Spiraea trichocarpa Nakai 갈기조팝나무 NP
Acer triflorum Kom. 복자기 NP
Gentiana triflora Pall. var. japonica (Kusn.) H.Hara 과남풀 NP
Brachybotrys paridiformis Maxim. ex Oliv. 당개지치 NP
Zabelia biflora (Turcz.) Makino 털댕강나무 NP
Patrinia rupestris (Pall.) Juss. 돌마타리 NP
Artemisia codonocephala Diels 참쑥 NP
Artemisia rubripes Nakai 덤불쑥 NP

z30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yA: Hongcheon-gun Bangnae-ri Punghyeol,

xB: Jeongseon-gun Yeotan-ri Punghyeol,

wC: Jeongseon-gun Unchi-ri Punghyeol,

vD: Yeoncheon-gun Dongmak-ri Punghyeol,

uE: Jecheon-si Geumsusan Punghyeol,

tF: Boeun-gun Gubyeongsan Punghyeol,

sIn: Internal area,

rEx: External area.

침입외래식물

풍혈에서 확인된 외래식물은 애기수영(Rumex acetosella L.) 등 4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홍천 방내리 풍혈에서 일본잎갈나무(Larix kaempferi (Lamb.) Carrière) 등 11분류군, 정선 여탄리 풍혈에서 유럽나도냉이(Barbarea vulgaris W.T.Aiton) 등 20분류군, 정선 운치리 풍혈에서 소리쟁이(Rumex crispus L.) 등 34분류군, 연천 동막리 풍혈에서 가시박(Sicyos angulatus L.) 등 4분류군, 제천 금수산 풍혈에서 좀명아주(Chenopodium ficifolium Sm.) 등 4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보은 구병산 풍혈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Kang et al. (2020)은 침입외래식물의 분포와 확산 정도를 고려하여 광분포종(Wide spread, WS), 심각한 확산종(Serious spread, SS), 우려되는 확산종(Concerned spread,CS), 경미한 확산종(Minor spread,MS), 잠재적 확산종(Potential spread, PS) 등의 5가지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풍혈에서 파악된 35분류군의 침입외래식물 중 광분포종(WS)은 족제비싸리(Amorpha fruticosa L.) 등 16분류군, 심각한 확산종(SS)은 붉은토끼풀(Trifolium pratense L.) 등 5분류군, 우려되는 확산종(CS)은 흰명아주(Chenopodium album L.) 등 3분류군, 경미한 확산종(MS)은 잔개자리(Medicago lupulina L.) 등 7분류군, 잠재적 확산종(PS)은 유럽전호(Anthriscus caucalis M.Bieb.) 등 4분류군 등이 확인되었다(Appendix 3).

풍혈의 전체 귀화율은 6.8%로 나타났으며, 홍천 방내리 풍혈에서 3.7%, 정선 여탄리 풍혈에서 6.0%, 정선 운치리 풍혈에서 7.9%, 연천 동막리 풍혈에서 1.5%, 제천 금수산 풍혈에서 2.1%, 보은 구병산 풍혈에서 0%로 나타났다. Kim et al. (2000)에 따르면 귀화율이 4% 이상이면 생태계에 교란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정선 여탄리 풍혈과 정선 운치리 풍혈에서 교란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므로 두 풍혈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방안이 필요하며, 홍천 방내리 풍혈의 생태계가 교란되는 것에 대비해야 한다.

산림생물다양성특정지역(풍혈) 보전 및 관리방안

위협요인

풍혈의 분석과 관속식물상을 확인한 결과 풍혈지 내에 발생된 문제로 침입외래식물의 유입, 인공적인 구조물의 설치, 답압 등을 확인하였다(Table 9). 홍천 방내리 풍혈의 경우 언론을 통해 희귀식물인 월귤의 자생지로 알려짐으로써 외부인의 불법 채취 등으로 인한 자생지와 풍혈의 훼손이 심각하여(Kim et al., 2006)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철망으로 둘렀지만 풍혈 인근에 경작지가 존재하여 추가적인 침입외래식물의 유입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정선 여탄리 풍혈의 경우 침입외래식물 확산 등급이 광분포종(WS)인 족제비싸리 등이 관찰되었으며, 인근의 도로가 위치하여 침입외래식물이 추가적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존재하여 자생식물에 대한 피압이 우려된다. 정선 운치리 풍혈의 경우 마을 주민들의 여름철 피서지로 알려져 있으며, 풍혈 인근에 양봉장, 도로 등이 있어 민간인의 출입에 의한 답압 및 침입외래식물의 추가적인 유입에 의한 풍혈의 훼손과 침입외래식물에 의한 자생식물의 피압이 우려된다. 연천 동막리 풍혈의 경우 사유지로 등록되어 있어 보호지역으로 지정이 어려우며, 인근에 경작지가 존재하여 민간인의 출입에 의한 답압 및 침입외래식물의 추가적인 유입에 의한 풍혈의 훼손과 침입외래식물 확산 등급이 광분포종(WS)인 미국가막사리(Bidens frondosa L.), 붉은서나물(Erechtites hieraciifolius (L.) Raf. ex DC.)뿐만 아니라 생태계교란식물인 가시박,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 등에 의해 자생식물이 피압될 우려가 있다. 제천 금수산 풍혈의 경우 관광지로 널리 알려져 잦은 관광객들의 출입으로 인한 답압과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설치된 인공구조물이 관광객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되어 원식생이 거의 남아있지 않을 정도로 파괴되었다(Kim et al., 2006). 보은 구병산 풍혈의 경우 문헌에 기록되어 있는(Korea National Arboretum, 2013) 풍혈이 시멘트와 파이프의 설치로 인해 훼손된 것을 확인하였고 등산로 인근의 풍혈조차 등산로와 가까이 있을 뿐만 아니라 관광객들의 답압으로 인해 훼손이 진행되고 있었다.

Table 9.

The threats to algific talus slope in Korea

Location Invasive
species
Artificial
structure
damage caused by
stamping
Accessibility Private land
registration
Management of
government
Az × × Good ×
By × × Bad × ×
Cx × Good × ×
Dw × Good ×
Ev × Good × ×
Fu × Good × ×

zA: Hongcheon-gun Bangnae-ri Punghyeol,

yB: Jeongseon-gun Yeotan-ri Punghyeol,

xC: Jeongseon-gun Unchi-ri Punghyeol,

wD: Yeoncheon-gun Dongmak-ri Punghyeol,

vE: Jecheon-si Geumsusan Punghyeol,

uF: Boeun-gun Gubyeongsan Punghyeol.

보전방안

6곳에 대한 풍혈의 조사결과 대다수의 풍혈이 보호지역으로 지정되지 않고 방치되어 침입외래식물의 침입, 사람의 출입에 의한 답압, 관광화로 인한 인공적인 구조물의 설치 등의 이유로 훼손되어 가고 있었으며, 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더라도 관리가 미흡하여 풍혈 내에 침입외래식물이 침입해 월귤 등의 희귀식물의 자생지가 위협받고 있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더 이상 풍혈이 훼손되지 않도록 풍혈을 보호지역으로의 지정 및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현지 내·외 보전대책 및 풍혈을 등급화하여 적극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풍혈의 등급화는 풍혈 내부의 희귀식물의 존재 유뮤, 침입외래식물의 등급을 기준으로 하여 등급을 1~5등급으로 구분하여 등급을 책정한다. 1등급은 희귀식물과, 침입외래식물이 없는 경우로 관광객들에게 풍혈과 관련된 기후, 식생, 필요성 등을 교육을 할 수 있는 지오사이트 또는 생태관광지로 이용하는 등급(Kim et al., 2016)이다. 2등급은 희귀식물은 없지만 침입외래식물은 있는 경우로 풍혈과 관련된 교육을 할 수 있는 지오사이트 또는 생태관광지로 활용하지만 민간인의 일일 입장 인원수에 제한을 두어 침입외래식물의 확산을 방지하는 등급이다. 3등급은 희귀식물이 자생하고 침입외래식물이 없는 경우로 풍혈 주변에 안내문을 설치하고 철망을 둘러 4~5년에 한 번씩 일정 기간 동안 민간인이 출입할 수 있고 일일 입장 인원수에 제한을 두어 관리하는 등급이다. 4등급은 희귀식물과 경미한 확산종(MS) 이하인 침입외래식물이 같이 자생하고 있는 경우로 희귀식물의 보전과 침입외래식물의 제거 및 추가적인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철망과 경고문을 두어 민간인의 출입을 완전히 제한하며, 풍혈을 핵심지역과 완충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는 등급이다. 5등급은 희귀식물과 우려되는 확산종(CS) 이상인 침입외래식물이 같이 자생하고 있는 경우로 4등급과 마찬가지로 민간인의 출입을 완전히 제한하고 풍혈을 핵심지역, 기초연구 및 응용연구 등의 제한적인 활동만 가능한 완충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는 등급이다. 이에 따라 조사된 풍혈 6곳에 대한 등급을 지정한다면 홍천 방내리 풍혈은 5등급, 정선 여탄리 풍혈은 5등급, 정선 운치리 풍혈은 4등급, 연천 동막리 풍혈은 4등급, 제천 금수산 풍혈은 2등급, 보은 구병산 풍혈은 3등급으로 지정해야 한다(Table 10).

Table 10.

Conservaion grade of algific talus slope

Degree Location Rare plant in the internal area of algific talus slope Invasive species degree
1 × × ×
2 Ev × PS, MS, CS, SS, WS
3 Fu ×
4 Cx, Dw PS, MS
5 Az, By CS, SS, WS

zA: Hongcheon-gun Bangnae-ri Punghyeol,

yB: Jeongseon-gun Yeotan-ri Punghyeol,

xC: Jeongseon-gun Unchi-ri Punghyeol,

wD: Yeoncheon-gun Dongmak-ri Punghyeol,

vE: Jecheon-si Geumsusan Punghyeol,

uF: Boeun-gun Gubyeongsan Punghyeol.

그러나 풍혈은 사유지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아 모든 풍혈을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정부가 풍혈과 주변 토지를 매수하여 국유화하거나 OECMs를 활용하여 지정해야 한다. OECMs는 보호지역이 아닌 지리적으로 정의된 지역으로, 관련 생태계 기능 및 서비스와 함께 생물다양성의 현지 보존을 위해 긍정적이고 지속적인 장기적 결과를 달성하는 방식으로 관리되며, 문화적, 영적, 사회적, 경제적과 관련된 지역을 보전하는 방법이다(CBD, 2018; Hong et al., 2017b). 따라서 기후변화에 취약한 식물 또는 희귀식물이 자생하는 풍혈 내부를 보호지역으로 그 외 풍혈 외부지역은 보호지역을 확대하는 방안인 OECMs로 지정하여 풍혈에 대한 일종의 완충지대로 활용해야 된다고 판단된다.

고 찰

본 연구는 산림생물다양성특정지역(풍혈)을 대상으로 기상정보와 관속식물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풍혈에 대한 보전 및 관리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여름철 풍혈의 기온은 홍천 방내리 풍혈 20.8℃, 정선 여탄리 풍혈 22.2℃, 정선 운치리 풍혈 3.6℃, 연천 동막리 풍혈 17.5℃, 제천 금수산 풍혈 20.9℃, 보은 구병산 풍혈 21.2℃로 풍혈이 위치하는 지역과 각각, 약 5.5℃, 약 3.0℃, 약 21.6℃, 약 8.7℃, 약 4.2℃, 약 4.1℃정도 낮게 나타났다. 겨울철 풍혈의 기온은 홍천 방내리 풍혈 –8.3℃, 정선 여탄리 풍혈 –7.0℃, 정선 운치리 풍혈 –5.9℃, 연천 동막리 풍혈 –7.4℃, 제천 금수산 풍혈 –7.3℃, 보은 구병산 풍혈 –5.3℃ 로 풍혈이 위치하는 지역과 각각, 약 3.8℃, 약 3.0℃, 약 1.9℃, 약 2.5℃, 약 2.7℃, 약 1.6℃ 정도 낮게 나타났다.

보은 구병산 풍혈을 제외한 5곳의 풍혈은 여름철 찬 공기가 불어나오는 냉혈로 판단된다. 보은 구병산 풍혈은 겨울철 따뜻한 공기가 불어나오는 온혈형 풍혈이다. 하지만 본 조사에서 보은 구병산 풍혈 내부의 온도가 풍혈 외부보다는 높게 나타났지만 보은 지역의 온도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조사 당시 선행 연구된 풍혈에 시멘트, 파이프 설치 등의 인위적인 흔적과 풍혈을 구경하고자 풍혈 위로 지나가는 등산객의 답압으로 인한 풍혈의 훼손이 심각하게 진행되어 온혈의 기능이 약해진 것으로 판단된다.

여름철에 온도차가 약 3℃ ~ 약 21.6℃까지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여름에도 저온을 유지하는 풍혈의 미기상학적 현상을 관찰하였으며, 조사한 풍혈 면적인 78,621 ㎡ (국내 산림면적의 0.0001% (Korea National Arboretum, 2022b)에서 국내 관속식물 중 약 14.9%, 특산식물 중 약 7.3%, 희귀식물 중 약 4.0%,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약 11.4%, 북방계식물은 약 21%,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 식물 300의 북방계식물 100종의 22%가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합하면 풍혈의 미기상학적 가치와 식물지리학적 가치가 뛰어나므로 보전해야 할 이유와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이러한 중요도에도 불구하고 풍혈을 보호지역으로 지정하지 않거나 지정하더라도 관리가 미흡하여 풍혈 내의 희귀식물의 자생지가 위협받고 있다. 따라서 풍혈을 OECMs를 활용한 보호지역으로의 지정 및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현지 내·외 보전대책 및 풍혈을 등급화하여 적극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적 요

본 연구는 온실효과로 인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고자 산림생물다양성특정지역(풍혈)에 대한 생물학적 가치와 환경요인을 분석하여 풍혈에 대한 기초자료를 작성하고 이를 통해 산림생물다양성 보전 및 관리를 위한 방안을 수립하고자 수행되었다. 국내 분포하는 풍혈 25개소 중 지형학적 유형에 따라 분류한 애추형, 동굴형, 함몰형 풍혈 6개소를 선정하여, 지하에서 바람이 불어나오는 전석지를 경계로 구분하여 풍혈 내·외부로 나누어 2020년부터 2021년까지 계절별로 기상정보와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였다. 여름철에 6곳의 풍혈 모두 풍혈이 위치하는 지역보다 기온이 낮게 나타났다. 6곳의 풍혈의 관속식물은 101과 350속 621종 18아종 57변종 7품종 703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29분류군, IUCN 지정 희귀식물은 위급종(CR) 5분류군, 위기종(EN) 3분류군, 취약종(VU) 4분류군 등 총 2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 4분류군, IV등급 27분류군, III등급 48분류군 등 총 168분류군, 북방계식물은 129분류군,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 식물 300의 북방계식물 100종 중 총 2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48분류군, 생태계교란식물은 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6.8%로 나타났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산림청 국립수목원의 연구과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생물다양성 보전 및 관리기반 구축”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습니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y have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Amarsanaa, G., S.Y. Jung, W.B. Cho, E.K. Han, S.K. So and J.H. Lee. 2020. Definition and species list of northern lineage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Herb. Med. Inf. 8(2):183-204.
2
CBD. 2018. Protected areas and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 (Decision 14/8). https://www.cbd.int/doc/decisions/cop-14/cop-14-dec-08-en.pdf
3
Herron, P.M., C.T. Martine, A.M. Latimer and S.A. Leicht-Young. 2007. Invasive plants and their ecological strategies: Prediction and explanation of woody plant invasion in New England. Divers. Distrib. 13(5):487-662.
4
Hong, J.P., Y.J. Shim, and H.Y. Heo. 2017a. A study on Aichi biodiversity target 11 - Focused on quantitative expansion goals and qualitative improvement goals of protected areas-. J. Korean Env. Res. Tech. 20(5):43-58 (in Korean).
5
Hong, J.P., Y.J. Shim, and H.Y. Heo. 2017b. Identifying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 for expanding national protected areas. J. Korean Env. Res. Tech. 20(6):93-105 (in Korean).
6
Iokawa, Y. and S. Ishizawa. 2003. Vascular plants of wind-hole areas in Japan (1). J. Phyogeogr. Taxon. 51:13-26 (in Japanese).
7
Kang, E.S., S.R. Lee, S.H. Oh, D.K. Kim, S.Y. Jung and D.C. Son. 2020. Comprehensive review about alien plants in Korea. Korean J. Pl. Taxon. 50(2):89-119 (in Korean). 10.11110/kjpt.2020.50.2.89
8
Kim, J.M., Y.J. Yim and E.S. Jeon. 2000. Invasive Alien Plants in Korea. Science Books Publishing, Seoul, Korea. pp. 1-368 (in Korean).
9
Kim, J.S., J.M. Chung, B.C. Lee and J.H. Park. 2006. The plant species composition and phytogeographical significance on algific talus slope in Korea. Korean J. Pl. Taxon. 36:61-90 (in Korean).
10
Kim, J.S., J.M. Chung, J.H. Kim, W. Lee, B.Y. Lee and J.H. Pak. 2016. Floristic study and conservation management strategies of algific talus slope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6(2):213-246 (in Korean). 10.11110/kjpt.2016.46.2.213
11
Kim, S.Y. and S.H. Lee. 2011. The Impact of climate changes on highland agriculture region in Taeback mountainous. Journal of Climate Research 6(2):100-109 (in Korean).
12
Ko, J.W., H.J. Baek, W.T. Kwon and J.Y. Park. 2006.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of temperature and regionalization in Korea. Journal of Climate Research 1(1):3-14 (in Korean).
13
Kong, W.S., G.O. Kim, S.G. Lee, H.N. Park, H.H. Kim and D.B. Kim. 2017. Vegetation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at the peaks of Mts. Seorak, Jiri and Halla. J. Climate Change Res. 8(4):401-414 (in Korean). 10.15531/ksccr.2017.8.4.401
14
Kong, W.S., K.H. Yoon, I.T. Kim, Y.M. Lee and S.H. Oh. 2012. Spatial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wind-hole and governance strategy. JEIA. 21(3):431-443 (in K-orean).
15
Kong, W.S., S.G. Lee, K.H. Yoon and H.N. Park. 2011.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wind-hole and phytogeographical values. JEIA 20(3):381-395 (in Korean).
16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21. https://www.law.go.kr/%EB%B2%95%EB%A0%B9/%EC%95%BC%EC%83%9D%EC%83%9D%EB%AC%BC%EB%B3%B4%ED%98%B8%EB%B0%8F%EA%B4%80%EB%A6%AC%EC%97%90%EA%B4%80%ED%95%9C%EB%B2%95%EB%A5%A0%EC%8B%9C%ED%96%89%EA%B7%9C%EC%B9%99 (2021. 09. 16)
17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22. https://law.go.kr/%ED%96%89%EC%A0%95%EA%B7%9C%EC%B9%99/%EC%83%9D%ED%83%9C%EA%B3%84%EA%B5%90%EB%9E%80%EC%83%9D%EB%AC%BC%EC%A7%80%EC%A0%95%EA%B3%A0%EC%8B%9C (2022. 10. 28)
18
Korea National Arboretum.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Pocheon, Korea. pp. 1-492 (in Korean).
19
Korea National Arboretum. 2013. Air holes in Korea. GeoBook, Seoul, Korea. pp. 1-357 (in Korean).
20
Korea National Arboretum. 2020.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ve Plants). Pocheon, Korea. p. 1,006. (in Korean).
21
Korea National Arboretum. 2022a. https://kna.forest.go.kr/ (2022.04.05)
22
Korea National Arboretum. 2022b. https://www.forest.go.kr/kfsweb/kfi/kfs/cms/cmsView.do?mn=NKFS_01_02_03_01&cmsId=FC_000097 (2022. 06. 29) 10.56804/Avishkara.2022.1202
23
Lee, J.W., H.G. Yun, D.H. Kim, J.H. Song, S.J. Kim and H.Y. Gil. 2022a. A study on the flora and its naturalized plants of Mt. Teomo · Hyeolgu (Incheon, Ganghwa-gun) in the Western part of DMZ, Korea. Korean J. Environ. E-col. 36(1):1-29 (in Korean). 10.13047/KJEE.2022.36.1.1
24
Lee, J.W., H.G. Yun, T.Y. Hwang and J.B. An. 2022b. Floristic study of algific talus slope (Yeotan-ri, Jeongseon-gun) in a specific area of forest biodiversity. Korean J. Plant Res. 35(2):317-345 (in Korean).
25
Lee, T.B. 2014a.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Hyangmunsa, Seoul, Korea. pp. 1-916 (in Korean).
26
Lee, T.B. 2014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 Hyangmunsa, Seoul, Korea. pp. 1-912 (in Korean).
27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lin, Germany. pp. 1-666.
28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Floristic target species (FT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pp. 1-728 (in Korean).
29
Park, S.U., K.A. Koo and W.S. Kong. 2019. Climate-related range shifts of climate-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 species in the Korean Peninsula: A role of dispersal capacity. J. Climate Change Res. 10(3):185-198 (in Korean). 10.15531/KSCCR.2019.10.3.185
30
Yun, H.G., S.J. Kim, J.W. Lee. 2022.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plan of vascular flora in Gyodong Island. JEIA. 31(1):11-46 (in Korean).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