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언
본 연구 대상지인 비룡산(1,129 m)과 배바위산(967 m)은 경위도상 북위 36° 55´~37° 06´, 동경 129° 03´~129° 09´ 사이에 속하며, 행정구역상으로는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과 소천면에 걸쳐 위치하고 있다.
비룡산은 용이 하늘로 날아오르는 모습의 산세에서 유래하였으며, 백두대간의 태백산과 구룡산 사이 깃대배기봉에서 뻗은 남동쪽 지능선에 솟구친 마지막 산봉우리로서 산줄기는 청옥산(1,277 m)을 지나고 비룡산을 마지막으로 그 맥이 낙동강에서 끝이 난다. 산 정상에서는 강원도 태백시의 백병산에서부터 면산을 지나 통고산으로 이어지는 낙동정맥의 마루금을 볼 수 있다. 또한 배바위산은 비룡산과 인접하고 있으며, 산의 형태가 배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북쪽으로는 멀리 태백산과 문수산, 동쪽으로는 비룡산, 서쪽으로는 진조산, 남쪽으로 장군봉과 일월산을 바라볼 수 있다(Bonghwa-gun, 2017).
비룡산과 배바위산은 식물구계지리학적으로 중부아구에 속하고(Lee and Yim, 2002), 그동안 험준한 지형과 울창한 산림 등으로 인해 인위적 훼손이 없이 자연이 잘 보존된 지역이었으나 최근 백두대간 협곡열차 운행과 분천역 산타마을 조성, 봉화와 울진 간 도로정비 등으로 인해 관광산업 활성화에 따른 탐방객 유입과 등산로 개방과 임도 개설 등으로 인한 등산객들의 증가에 따라 자생지 파괴 및 환경 훼손, 자생식물 감소 등이 우려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백산, 선달산, 구룡산, 청옥산 등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여러 산들에 비해 식물상 연구가 전무한 비룡산과 배바위산 일대를 대상으로 관속식물의 분포를 파악하고, 자생식물의 유용성 분석과 희귀 및 특산식물 등의 분포 조사를 통해 자연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와 자연생태계 보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비룡산과 배바위산 일대의 관속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9년 4월 12일부터 2022년 8월 26일까지 13회의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Table 1). 주요 조사경로는 비룡산과 배바위산으로 이어지는 등산로 구간을 중심으로 주요 봉우리와 임도, 마을 입구, 등산로 시작 구간 등을 조사하였으며(Fig. 1), 정확한 동정을 위해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를 우선하여 채집하였다. 채집된 식물은 석엽 또는 액침표본으로 제작한 후 Lee (1996)와 Lee (2003), 그리고 Lee (2006) 등의 도감을 이용하여 동정하였고 증거표본은 안동대학교 표본실(ANH)에 보관하였다.
Table 1.
조사된 관속식물의 목록은 Engler의 분류체계(Melchior, 1964)를 따라 작성하였고, 학명과 국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22a, 2022b)을 기준으로 기재하였으며, 과 내에서는 알파벳순으로 속명과 종명을 정리하였다(Appendix 1). 작성된 목록을 바탕으로 특산식물은 Chung et al. (2023), 희귀식물은 Korea National Arboretum (2022a),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귀화식물은 Korea National Arboretum (2022b)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유용성은 Korea Forest Service (2014)에 근거하여 구분하였다.
결과 및 고찰
관속식물상
비룡산과 배바위산에서 채집된 관속식물을 취합한 결과, 양치식물이 10과 14속 24종 1변종 25분류군, 나자식물이 3과 4속 5종 5분류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이 80과 267속 391종 17아종 38변종 2품종 448분류군, 단자엽식물이 15과 49속 86종 5변종 1품종 92분류군으로 총 108과 334속 506종 17아종 44변종 3품종 570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두 지역에 공통으로 분포하고 있는 분류군은 64과 141속 169종 8아종 15변종 19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2, Appendix 1). 비룡산과 배바위산에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된 570분류군은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22a, 2022b)의 한반도 관속식물 4,724분류군의 12.06%에 해당되며, 전체 분류군의 구성비는 4.4(양치식물) : 0.9(나자식물) : 78.6(쌍자엽식물) : 16.1(단자엽식물)로 나타났다.
Table 2.
Taxa | Fam. | Gen. | Sp. | Subsp. | Var. | For. | Taxa | Ratio(%) |
Pteridophyta |
10 (3)z |
14 (5) |
24 (8) | - |
1 (0) | - |
25 (8) | 4.4 |
Gymnospermae |
3 (1) |
4 (2) |
5 (2) | - | - | - |
5 (2) | 0.9 |
Angiospermae |
95 (60) |
316 (134) |
477 (159) |
17 (8) |
43 (15) |
3 (0) |
540 (182) | 94.7 |
Dicotyledons |
80 (53) |
267 (118) |
391 (142) |
17 (8) |
38 (14) |
2 (0) |
448 (164) | 78.6 |
Monocotyledons |
15 (7) |
49 (16) |
86 (17) | - |
5 (1) |
1 (0) |
92 (18) | 16.1 |
Total |
108 (64) |
334 (141) |
506 (169) |
17 (8) |
44 (15) |
3 (0) |
570 (192) | 100 |
특산식물
비룡산과 배바위산에서 분포하는 한국 특산식물은 할미밀망(Clematis trichotoma Nakai), 꽃황새냉이(Cardamine amariformis Nakai), 새며느리밥풀[Melampyrum setaceum var. nakaianum (Tuyama) T.Yamaz.], 처녀치마(Heloniopsis koreana Fuse, N.S.Lee & M.N.Tamura) 등을 포함하여 총 12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Table 3), 이는 Chung et al. (2023)의 한반도 특산식물 373분류군의 3.21%에 해당한다. 본 지역의 소산식물중 특산식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2.1%로서 주변지역인 선달산의 638분류군중 20분류군으로 3.13%(An et al., 2022), 문수산의 571분류군중 17분류군으로 2.97%(Lee et al., 2021)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비룡산과 배바위산의 공통 분류군은 할미밀망, 노랑갈퀴(Vicia chosenensis Ohwi), 점현호색(Corydalis maculata B.U.Oh & Y.S.Kim), 백운산원추리(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등 6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선현호색(Corydalis ohii Lidén), 꽃황새냉이(Cardamine amariformis Nakai), 강활(Angelica reflexa B.Y.Lee) 등 5분류군은 비룡산에만, 새며느리밥풀 1분류군은 배바위산에만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중, 두 지역의 공통분류군인 할미밀망은 비룡산의 비룡폭포 주변과 배바위산의 배바위고개에서 승부역 구간에서, 노랑갈퀴는 비룡산의 분천1리에서 홍제암 임도 구간과 배바위산의 배바위고개에서 승부역 구간에서 생육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비룡산에만 자생하는 것으로 조사된 분류군 중 꽃황새냉이는 비룡폭포 주변에서, 강활은 다닥골에서 홍제사로 향하는 임도 주변에서 소수의 개체가 생육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Table 3.
No. | Taxa / Korean name | Biryongsan Mt. | Baebawhisan Mt. |
1 | Clematis trichotoma Nakai 할미밀망 | ○ | ○ |
2 | Clematis urticifolia Nakai ex Kitag. 병조희풀 | ○ | ○ |
3 | Corydalis maculata B.U.Oh & Y.S.Kim 점현호색 | ○ | ○ |
4 | Corydalis ohii Lidén 선현호색 | ○ | - |
5 | Cardamine amariformis Nakai 꽃황새냉이 | ○ | - |
6 | Vicia chosenensis Ohwi 노랑갈퀴 | ○ | ○ |
7 | Angelica reflexa B.Y.Lee 강활 | ○ | - |
8 |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개나리z | ○ | ○ |
9 | Melampyrum setaceum var. nakaianum (Tuyama) T.Yamaz. 새며느리밥풀 | - | ○ |
10 | Lonicera subsessilis Rehder 청괴불나무 | ○ | - |
11 | Heloniopsis koreana Fuse, N.S.Lee & M.N.Tamura 처녀치마 | ○ | - |
12 |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백운산원추리 | ○ | ○ |
희귀식물
희귀식물은 자생지에서 식물 개체군의 크기가 극히 작거나 급격히 감소하여 보전 및 복원이 필요한 식물로 Korea National Arboretum (2022a)에 따라 조사한 비룡산과 배바위산의 희귀식물은 총 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4). 이중 위기종(EN)은 두메닥나무[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Nakai) Hamaya] 1분류군, 취약종(VU)은 백작약[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꼬리진달래(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산토끼꽃(Dipsacus japonicus Miq.) 등 3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약관심종(LC)은 너도바람꽃(Eranthis stellata Maxim.), 도깨비부채(Rodgersia podophylla A.Gray), 금강제비꽃(Viola diamantiaca Nakai), 덩굴꽃마리[Trigonotis icumae (Maxim.) Makino] 등 4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두 지역에 공통으로 분포하는 분류군은 너도바람꽃 1분류군으로 비룡산의 홍제사에서 능선부 구간과 배바위산의 배바위고개에서 승부역 구간에서 확인되었으며, 꼬리진달래, 산토끼꽃, 금강제비꽃, 덩굴꽃마리 등 4분류군은 비룡산에만, 두메닥나무, 백작약, 도깨비부채 등 3분류군은 배바위산에만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중 꼬리진달래는 비룡산의 능선부에서 정상부 구간에 다수의 개체가 산생하고 있었으며, 산토끼꽃은 분천1리에서 다락재 임도 구간에서 소수의 개체가 자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Table 4.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비룡산과 배바위산의 관속식물 중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04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Appendix 1). 극히 일부 지역에만 고립되어 있거나 불연속적으로 분포하는 분류군인 V등급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1개의 아구에만 분포하는 Ⅳ등급은 우산물통이[Elatostema umbellatum (Siebold & Zucc.) Blume], 회리바람꽃(Anemone reflexa Steph. ex Willd.), 참바위취(Saxifraga oblongifolia Nakai) 등 10분류군, 2개의 아구에 분포하는 Ⅲ등급은 물박달나무(Betula davurica Pall.), 왕팽나무(Celtis koraiensis Nakai), 노루삼(Actaea asiatica H.Hara), 금강제비꽃(Viola diamantiaca Nakai) 등 28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5).
Table 5.
Grade | No. | Taxa / Korean name |
Ⅳ | 1 | Elatostema umbellatum (Siebold & Zucc.) Blume 우산물통이 |
2 | Anemone reflexa Steph. ex Willd. 회리바람꽃 | |
3 | Rodgersia podophylla A.Gray 도깨비부채 | |
4 | Saxifraga oblongifolia Nakai 참바위취 | |
5 | Schizopepon bryoniifolius Maxim. 산외 | |
6 |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Nakai) Hamaya 두메닥나무 | |
7 |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꼬리진달래 | |
8 | Lonicera chrysantha Turcz. ex Ledeb. 각시괴불나무 | |
9 | Carex appendiculata (Trautv. & C.A.Mey.) Kük. 뚝사초 | |
10 | Carex remotiuscula Wahlenb. 층실사초 | |
Ⅲ | 1 | Equisetum hyemale L. 속새 |
2 | Betula chinensis Maxim. 개박달나무 | |
3 | Betula davurica Pall. 물박달나무 | |
4 | Betula schmidtii Regel 박달나무 | |
5 | Celtis koraiensis Nakai 왕팽나무 | |
6 | Actaea asiatica H.Hara 노루삼 | |
7 | 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ala (Trautv. & C.A.Mey.) Kitam. 매발톱 | |
8 | Eranthis stellata Maxim. 너도바람꽃 | |
9 | Corydalis maculata B.U.Oh & Y.S.Kim 점현호색 | |
10 | Cardamine amariformis Nakai 꽃황새냉이 | |
11 | Potentilla cryptotaeniae Maxim. 물양지꽃 | |
12 | Spiraea fritschiana C.K.Schneid. 참조팝나무 | |
13 | Vicia chosenensis Ohwi 노랑갈퀴 | |
14 | Acer mandshuricum Maxim. 복장나무 | |
15 | Acer palmatum Thunb. 단풍나무z | |
16 | Corchoropsis tomentosa var. psilocarpa (Harms & Loes. ex Gilg & Loes.) C.Y.Wu & Y.Tang 까치깨 | |
17 | Viola diamantiaca Nakai 금강제비꽃 | |
18 | Cnidium monnieri (L.) Cusson 벌사상자 | |
19 | Sanicula tuberculata Maxim. 애기참반디 | |
20 | 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Nakai) Kitam. 산앵도나무 | |
21 | Lysimachia vulgaris var. davurica (Ledeb.) R.Knuth 좁쌀풀 | |
22 | Syringa reticulata (Blume) H.Hara 개회나무 | |
23 | Galium odoratum (L.) Scop. 선갈퀴 | |
24 | Brachybotrys paridiformis Maxim. ex Oliv. 당개지치 | |
25 | Melampyrum setaceum var. nakaianum (Tuyama) T.Yamaz. 새며느리밥풀 | |
26 | Dipsacus japonicus Miq. 산토끼꽃 | |
27 | Veratrum nigrum var. ussuriense O.Loes. 참여로 | |
28 | Agrostis scabra Willd. 긴겨이삭 |
귀화식물
Korea National Arboretum (2022b)의 자료에 따라 비룡산과 배바위산의 귀화식물을 조사한 결과 비룡산과 배바위산에 분포하고 있는 귀화식물은 애기수영(Rumex acetosella L.), 소리쟁이(Rumex crispus L.), 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 L.) 등 총 4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6). 비룡산과 배바위산의 귀화율(귀화식물의 분류군수/출현식물의 전분류군수×100)은 7.36%로 Koh et al. (1995)의 입지별 귀화율 조사에서 보고된 산지지역 평균 귀화율 10.3%에 비해 귀화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변지역인 선달산의 638분류군중 30분류군인 4.7%(An et al., 2022), 문수산의 571분류군중 25분류군인 4.37%(Lee et al., 2021)보다 높게 나타났다. Yim and Jeon (1980)이 언급한 인간간섭에 의한 자연의 파괴도 정도를 표시하는 지수인 도시화지수 또는 자연파괴도(UI=일정지역에서 나타나는 귀화식물 종수/남한의 귀화식물 총 종수 ×100)의 산출식을 Korea National Arbotrtum (2022b)의 귀화식물 총 종수 365분류군에 본 지역의 귀화식물 42분류군을 대입한 결과 11.50%로 나타나 Jang et al. (2011)이 조사한 소백산국립공원의 귀화식물 53분류군을 대입한 14.52%에 비해서도 비룡산과 배바위산의 도시화지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달산의 8.21%(An et al., 2022), 문수산의 6.84%(Lee et al., 2021)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를 비교해 본 결과, 본 조사지역은 주변지역보다 백두대간협곡열차의 탐방객과 등산객의 증가에 따른 귀화식물의 유입이 급격히 일어나고 있으며 지속적인 모니터링 등 적절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6.
유용성 구분
비룡산과 배바위산에서 채집된 관속식물을 유용성별로 크게 식용, 약용, 공업용, 관상용으로 구분한 결과, 약용이 461분류군, 식용이 403분류군, 관상용이 306분류군, 공업용이 221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은 17분류군이었다(Table 7). 이들 분류군 수를 비율로 나누어 보면 약용이 80.9%, 식용이 70.7%, 관상용이 53.7%, 공업용이 38.8%,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것들이 3.0%로 나타났다. 이는 비룡산과 배바위산에 분포하고 있는 자생식물들의 경우 유용성이 비교적 잘 알려진 분류군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음에 기인하며, 특히 약용자원 식물이 80.9%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약용자원 식물의 유전자원 확보 관점에서 비룡산과 배바위산 지역을 집중적으로 관리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적 요
본 연구는 봉화군에 위치한 비룡산(1,197 m)과 배바위산(967 m)의 관속식물 분포를 파악하고 특산식물, 희귀식물, 귀화식물 등의 분포를 파악하여 자연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와 자연생태계 보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19년 4월부터 2022년 8월까지 총 13회에 걸쳐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비룡산과 배바위산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총 108과 334속 506종 17아종 44변종 3품종 57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한국 특산식물은 할미밀망(Clematis trichotoma Nakai), 새며느리밥풀[Melampyrum setaceum var. nakaianum (Tuyama) T.Yamaz.], 처녀치마(Heloniopsis koreana Fuse, N.S.Lee & M.N.Tamura) 등 12분류군이었다. 또한 국립수목원에서 적색목록에 포함한 희귀식물은 위기종(EN)인 두메닥나무[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Nakai) Hamaya] 1분류군, 취약종(VU)인 백작약[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꼬리진달래(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산토끼꽃(Dipsacus japonicus Miq.) 등 3분류군, 약관심종(LC)인 너도바람꽃(Eranthis stellata Maxim.), 도깨비부채(Rodgersia podophylla A.Gray), 금강제비꽃(Viola diamantiaca Nakai), 덩굴꽃마리[Trigonotis icumae (Maxim.) Makino] 등 4분류군으로 총 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은 총 104분류군으로, 이중 Ⅳ등급에 우산물통이[Elatostema umbellatum (Siebold & Zucc.) Blume], 회리바람꽃(Anemone reflexa Steph. ex Willd.), 참바위취(Saxifraga oblongifolia Nakai) 등 10분류군, Ⅲ등급에 물박달나무(Betula davurica Pall.), 왕팽나무(Celtis koraiensis Nakai), 노루삼(Actaea asiatica H.Hara), 금강제비꽃(Viola diamantiaca Nakai) 등 2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애기수영(Rumex acetosella L.), 소리쟁이(Rumex crispus L.), 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 L.) 등 42분류군으로 조사 되었으며, 분류군의 유용성에 따른 구분에 의하면 약용이 461분류군, 식용이 403분류군, 관상용이 306분류군, 공업용이 221분류군이었으며,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은 17분류군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