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 August 2022. 471-501
https://doi.org/10.7732/kjpr.2022.35.4.471

ABSTRACT


MAIN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연구대상지

  •   평가 방법 및 분석 방법

  • 결 과

  •   식생 및 경관 요소가 산림습원의 유형 구분 및 등급에 미치는 관계

  •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 요소가 산림습원의 유형 구분 및 등급에 미치는 관계

  •   인문・사회경관 요소가 산림습원의 유형 구분 및 등급에 미치는 관계

  •   교란 정도 요소가 산림습원의 유형 구분 및 등급에 미치는 관계

  •   산림습원 가치평가 요소가 통합점수에 미치는 상관성

  • 고 찰

  •   산림습원 가치평가 요소가 산림습원 유형 및 등급에 미치는 상관성

  •   산림습원 유형 구분 및 등급 개선 방안

  •   고유성・희소성

  •   야생동물서식지

  •   식생 및 경관

  •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

  •   인문・사회경관

  • 적 요

서 언

습지는 전 세계적으로 연안으로부터 산정에 이르기까지 공간 분포 범위가 매우 다양하고, 전 지구의 면적 중에서 습지는 약 6.4%를 차지하고 있다(Dahl, 2011). 습지는 기후변화에 가장 취약한 생태계 중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Johnson et al., 2010; Zedler and Kercher, 2005), 적설량 감소 등의 기후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산간 및 고산지역의 습지에서 더 잘 나타난다(Burkett and Kusler, 2000; Carpenter et al., 1992; Erwin, 2009). 습지는 기본적으로 물기가 있는 축축한 땅으로 물이 환경과 동식물의 서식을 결정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지역이다(Ahn et al., 2016a; Ahn et al., 2016b; Tiner, 1993). 습지는 영구적 또는 계절적으로 수원이 공급되어 유지되면서, 특별히 그 상태에 적응된 식생이 서식하는 곳이며(Cylinder and Bogdan, 1995), 육지 특성이 있는 내륙(upland: terrestrial system)과 수생태계(deep water: aquatic system) 사이의 일종의 전이지대로서(Cowardin et al., 1979), 종다양성이 높은 생태계(Mitsch and Gosselink, 2000)를 말한다. 이러한 습지의 구성요소로서는 습지 수문, 습지 식생 그리고 습윤토양을 이야기할 수 있다(Gu, 2002) 또한, 습지는 국제협약과 법적 차원에서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습지보전법(Ministry of Environment, 2022)에서는 『담수, 기수 또는 염수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지역으로 내륙습지와 연안습지를 말한다.』라고 정의되며, 람사르협약(Ramsar, 2022)에서는 『자연 또는 인공이든, 영구적 또는 일시적이든, 정수 또는 유수이든, 담수, 기수, 혹은 염수이든, 간조시 수심 6 m를 넘지 않는 곳을 포함하는 늪, 습지, 이탄지』로 규정하여 19개의 습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다(Table 1).

Table 1.

Wetland Definitions and Types

Division Type Contents
Definition of
Wetland 
Ministry of
Environment (2022)
Wetlands are areas where water covers the soil, or is present either at or
near the surface of the soil all year or for varying periods of time during
the year, including during the growing season (Inland or Coastal Wetlands)
Ramsar (2022) In natural or artificial, permanent or temporary, purified or running water,
fresh water, brackish water or salt water, swamps, wetlands, and peat
areas including areas not exceeding 6 m at low tide.
Category of
Wetlands
Inlands /
Non-tidal Wetlands
Inland wetlands include marshes and wet meadows dominated by herbaceous
plants, swamps dominated by shrubs, and wooded swamps dominated by trees.
Coastal /
Tidal Wetlands
They are closely linked to our nation’s estuaries where sea water mixes
with fresh water to form an environment of varying salinities.
Forest Wetlands It refers to an area where marshland plants, such as marshlands, swamps,
and peatlands, grow naturally in forests or in areas adjacent to forests.

산지습지는 특정 식물종의 독특한 서식지를 구성하고(Omar et al., 2016; Son et al., 2014), 생물다양성의 피난처 역할을 하고 있다(Chatterjee et al., 2010). 산지습지는 산지라는 지형적 환경에서 발달하는 습지의 총칭으로 습지의 분류를 지형이라는 기준에 적용하여 보면 산지와 하천, 그리고 독립적인 소택형 습지로 분류해볼 수 있고, 산지습지 발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조건은 수원이 지하수로부터 공급되는 것이다(Moon, 2006). 산지습지는 특수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생물 유전자의 저장소로서 하천 최상류에 수분을 공급하고 홍수조절 역할을 하고 있다(Tarnocai, 2006). 산지습지는 접근성이 비교적 어려운 곳에 분포하는 경우가 많아 습지 자체의 보전성도 높다(Kwon, 2006).

우리나라의 경우 1997년 강원도 대암산에 있는 용늪이 람사르습지로 등재되면서, 람사르협약에 가입하였으며, 1999년 습지보전법(Ministry of Environment, 2022)이 제정되어 습지의 공익기능을 위한 법적인 토대가 마련되었다. 이후 이러한 법적 근거를 바탕으로 습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습지 구분 및 등급화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제1차 습지보전기본계획은 제1차 전국내륙습지조사 및 자연환경조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내륙습지와 연안습지로 구분하였다(Kim et al., 2013). 습지보전 및 복원・재생을 위한 습지유형 분류에서 습지 유형을 연안습지, 내륙습지 및 인공습지로 나누었다. 특히 내륙습지 중에서 산지형의 경우는 강우 및 지중수 등을 기초로 고층습원(이탄습원 및 산성습원), 저층습원(알카리습원) 및 소택지(묵논 등)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제2차 습지보전기본계획은 내륙습지의 평가항목을 산지, 하천, 호수 및 공통 항목으로 구분하였으며, 습지 등급을 총 4단계로 구분되었다(Ministry of Environment, 2020). 하지만 전국적으로 내륙의 산지에 다양하게 위치한 산림습원은 유형 구분은 물론이고, 등급화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산림습원은 산림습지를 포함하며 과거에 화전, 경작 등의 활동으로 형성된 산림 내 수분을 다량 함유한 지형 및 수분이 공급되는 지점으로 산림생태계의 유지와 생물다양성의 증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지역을 지칭하는 확장된 범위의 개념이다. 산림청에서 정의한 산림습원의 개념은 지적상 산림으로 지정되어 있는 지역에서 나타나는 소택지, 늪원 및 이탄지 등의 모든 습지와 지적상 산림이 아니더라도 교목, 관목, 덤불림과 같은 목본성 식물이 나타나는 소택지를 지칭한다(Korea Forest Service, 2006). 우리나라는 국토의 약 63.3% (62,860 ㎢)가 산지로 구성되어 있으며(Korea Forest Service, 2021), 생태적 영향권이 넓어 다양한 산림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한 예로, Lee et al. (2022a)는 산림습원 1,264개소 전체 면적의 단지 5.3%를 차지하는 전남동부지역 산림습원 13개소에서 전체 산림습원 식물상 1,260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16)의 약 28.7%가 출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산림습원은 기후변화에 대한 완충지대로 탄소 저장고, 동・식물의 피난처 등 다양한 기능이 있어 가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산림습원의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다. 산림습원은 한반도 생물다양성 중요지점으로 반드시 보전되고 잘 관리되어야 할 생태계이다. 따라서 이러한 산림습원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평가체계를 개선해야 하고 평가항목의 차별성과 실효성이 얼마나 있느냐 정확하게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2006년 GIS 기법을 활용한 신규 산림습원 발굴연구를 통해 국유림 712개소, 공・사유림 2,645개소 총 3,357개소를 발굴하였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발굴된 3,357개소를 대상으로 2006부터 2014년까지 제1차 전국 산림습원 조사를 통해 산림습원의 조건에 부합하는 소택지, 이탄지 등으로 분포하는 산림습원 국유림 275개소와 공・사유림 989개소 총 1,264개소(3.9 ㎢)를 발굴하였다. 발굴된 산림습원 1,264개소의 면적은 국토면적의 약 0.004%이고, 국내 내륙습지 면적의 약 0.1%에 해당된다. 제1차 전국 산림습원 조사로 도출된 1,264개소를 바탕으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2차 전국 산림습원 조사 “산림습원 정밀조사 및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이 중에서 HGM 방식을 바탕으로 Hybrid 접근방법을 개발하여 산림습원의 기능을 하고 가치가 있는 산림습원은 455개소(2.76 ㎢)로 도출하고 인벤토리를 구축하였다.

하지만 인벤토리가 구축된 산림습원의 자연형, 묵논형, 인공형 및 변형습원 4가지 유형 구분은 어떠한 가치평가 항목들과 크게 상관성을 가지고 있고, 어떠한 항목이 유형 결정을 크게 좌우하는지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더욱이 평가된 점수는 단순하게 수치화하고 추정치에 대한 가중치를 고려하지 않아 환경부에서 추진 중인 “전국내륙습지조사”와 크게 차별성을 부각하는 것에는 한계가 뒤따를 수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산림습원은 산지 내 특수한 환경에서 각종 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고 초본류와 수목이 어우러져 다양한 경관 형태를 나타내기 때문에 생태적인 측면과 인문・사회적인 측면에서 가치가 높고, 더욱이 산림습원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평가항목을 두루 고려해야 하며, 안정적인 ‘수준(level)’으로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3개의 평가항목이 산림습원의 유형 구분 또는 등급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산림습원의 기능 및 가치를 가장 잘 평가될 수 있는 새로운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연구대상지

본 연구는 전국 산림에 분포하는 소택지, 늪원, 이탄지 등 인벤토리가 구축된 산림습원 455개소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Fig. 1). 국내 산림습원 지역별 분포는 강원 132개소, 경북 68개소, 전남 56개소, 경기 37개소, 경남과 충북 각각 34개소, 전북 32개소, 제주 29개소, 충남 16개소 순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습원을 국유림과 사유림으로 구분하면 국유림 내 습원은 132개소이고 사유림 내 습원은 323개소로 파악되었다(Table 2).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2-035-04/N0820350408/images/kjpr_35_04_08_F1.jpg
Fig. 1.

The map showing the current status of forest wetlands by region (left),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forest wetlands in Korea (right).

Table 2.

Regional distribution of forest wetlands in Korea

Division National Forest Personal Forest Total
No. of Wetlands Area No. of Wetlands Area No. of Wetlands Area
Gangwon 64 329,139 68 546,183 132 875,322
Gyeonggi 4 16,786 33 147,981 37 164,768
Gyeongnam 8 15,411 26 88,829 34 104,240
Gyeongbuk 19 126,561 49 585,231 68 711,792
Gwangju 2 68,808 2 68,808
Daegu 3 9,577 3 9,577
Busan 3 7,654 3 7,654
Ulsan 8 40,420 8 40,420
Incheon 1 1,796 1 1,796
Jeonnam 5 18,927 51 197,983 56 216,910
Jeonbuk 19 82,811 13 65,201 32 148,012
Jeju 5 54,139 24 23,693 29 77,832
Chungnam 16 119,726 16 119,726
Chungbuk 7 102,017 27 113,719 34 215,736
Total 132 747,588 323 2,015,004 455 2,762,592

Lee et al. (2022b)에 따르면, 국내에 분포하는 산림습원 455개소를 단계별로 습지의 유형분류를 최소화하여 구분한 결과, 1단계는 내륙, 2단계는 산지, 3단계는 자연형, 묵논형, 인공형 및 변형습원 등 4개의 유형, 4단계는 산지경사습원 등 11개의 세부적인 습지유형, 5단계는 숲, 초지 및 숲-초지(초지-숲)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고, 6단계는 습지 내 우점군락을 기록하고 1순위와 2순위의 군락이 차지하는 면적과 비율로 구분하였다(Table 3).

Table 3.

Classification of forest wetlands (Lee et al., 2022b)

Level 1 Inland
Level 2 Mountain
Level 3 Natural Abandoned paddy field Man-made Modified
Level 4 Open peat bog/Fen,
A fountainhead-Freshwater spring,
Mountain slope (High/Middle/Low),
Limestone sedimentation,
Volcanic rock,
Crater
Abandoned paddy field slope (High/Middle/Low),
Abandoned paddy field depression
Reservoir,
Canal
Level 5 Forested (Dominant simple-space wetland above shrub layer),
Emergent (simple-space wetland with the herbaceous layer),
Forested-emergent (Multi-space wetland with forest and emergent)
Level 6 Name of plant community

평가 방법 및 분석 방법

본 연구는 가치평가로 유형 구분 및 등급화로 인벤토리가 구축된 산림습원 455개소를 대상으로 산림습원 보전 및 복원에 필요한 주요 요소 무엇인지 알아내기 위한 목적으로 유형 구분 및 등급화에 대한 상관성이 얼마나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는 산림청 국립수목원에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실시하여 확보한 산림습원 가치평가 평가항목 식생 및 경관,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 인문・사회경관, 교란 정도 4가지에 대한 23개의 평가항목(Table 4) 및 평가 점수(Appendix 1)와 각각의 항목을 5점 척도로 구분하여, 총 50점, 20점, 25점 및 20점을 100점을 만점으로 환산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4가지 카테고리에 대해 각각 40%, 40%, 10% 및 10%의 가중치를 부여해서 통합점수에 반영하고, 산출된 점수를 기준으로 71점 이상(A등급), 61점~70점(B등급), 51점~60점(C등급) 및 50점 이하(D등급) 4가지 등급으로 나누었다. 4가지 항목과 23개의 요소에 대해 차별적으로 등급화하고 가중치를 부여하였다(Table 4). 이러한 결과로 도출된 등급과 가중치가 산림습원의 가치 및 평가에 적절하게 적용되었는지에 알아보기 위해서 산림습원의 4가지 총 23개 가치평가항목, 통합점수 및 가중치의 값들 사이에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SPSS 21을 통해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통계의 상관계수는 유의 수준 p≦0.05와 p≦0.01에서 유의한 경우 * 1개와 2개로 나누어 설정하였다. 한편, 새로운 평가 방법은 산림청 국립수목원 산림습원 보전사업 ‘산림습원 습지식물 분류 및 기준마련을 통한 유형 재분류’의 연구 결과를 참고하였다.

Table 4.

Classification according forest wetland by grade in Korea (Lee et al., 2022b)

Item
(Weights)
Contents Grade
1 2 3 4 5
Vegetation
& landscape
(40%)
Species
diversity
5 species less 6~25 species 26~45 species 46~65 species 66 species more
Dominant
ratio of
wetland plant
5.0% below 5.1~35.0% 35.1~65.0% 65.1~95.0% 95.1% over
Vegetation
cross-sectional
diagram
if only the
herbaceous
layer appears
if the herbaceous
layer and the
shrub layer
appear together
but the
sequence is not
if the herbaceous
layer and the
shrub layer
appear together,
and the
herbaceous layer
appears in
the order of the
shrub layer
if herbaceous
layer, shrub
layer,
and arboreous
layer appear
together, but the
order does
not match
if it appears in
the order of the
herbaceous layer -
the shrub layer -
the arboreous
layer
Proportion of
obligate
upland plant
80.1% over 60.1~80.0% 40.1~60.0% 20.1~40.0% 20% below
Occurring
rare plants
Not appearing
(grade 1)
- - - Appearing
(grade 5)
Presence of
alien plants
7.6% over 5.1~7.5% 2.6~5.0% 1.1~2.5% 1.0% below
Wetland scale
(㎡)
100.0 ㎡ below 100.1~
2,100 ㎡
2,100.1~
4,100.0 ㎡
4,100.1~
6,100.0 ㎡
6,100.1 ㎡ over
Landscape
shape
0.37 over 0.27~0.36 0.17~0.26 0.07~0.16 0.06 over
Integrity of
wetland
0% 0~30% 30~60% 60~90% 90% over
Ratio of
wildlife
damage area
50.1% over 25.1~50.0% 5.1~25.0% 5.0% below nothing
Material
cycle &
hydraulic・
hydrologic
(40%)
Thickness of
peat layer (㎝)
0 ㎝ 0.1~7.0 ㎝ 7.1~14.0 ㎝ 14.1~21.0 ㎝ 21.1 ㎝ over
Depth of water
(㎝)
0 ㎝ 0.1~13.0 ㎝ 13.1~26.0 ㎝ 26.1~39.0 ㎝ 39.1 ㎝ over
Water quality Stink + cloudy
and no waters
Stink Cloudy Little cloudy Purity
Slope 9.1˚ over 6.1~9.0˚ 3.1~6.0˚ 0.1~3.0˚
Humanities
& social
landscape
(10%)
Accessibility Very bad Bad Normal Good Very good
Surrounding
landscape
Bare land Arable land Plantation Natural forest Natural
forest+valley
Designation of
protected areas
If there is no
protected area
within 3 ㎞
radius of the
wetland boundary
(grade 1)
- - - If there is a
protected area
within 3 ㎞ of
the boundary of
the wetland
(grade 5)
Cultural
properties and
monuments
If there are no
cultural properties
or monuments
within a 3 ㎞
radius of the
wetland boundary
(grade 1)
- - - In the case of
cultural properties
and monuments
within a radius
of 3 ㎞ from
the boundary
of the wetland
(grade 5)
Distance
between
man-made
structure
0.5 ㎞ within 0.6~1.0 ㎞ 1.1~3.0 ㎞ 3.1~5.0 ㎞ Nothing
Degree of
disturbance
(10%)
Distance
between
man-made
facility
Penetrate Adjacency 100.0 m within 100.1~500.0 m 500.1 m over
Logging and
wildfires
Massive
logging,
wildfires
Medium-scale
logging, wildfires
Small-scale
wildfires
small-scale
logging
Nothing
Ratio of soil
inflow, scour,
and landslide
area
50.1% over 25.1~50.0% 5.1~25.0% 5.0% below nothing
Invasion of
vines and
upland plants
50.1% over 25.1~50.0% 5.1~25.0% 5.0% below nothing
Division Weights Item
Vegetation &
landscape
40% 10 items (5 points per item)
(Species Diversity, Dominant ratio of wetland plant,
Vegetation cross-sectional diagram,
Proportion of obligate upland plant, Occurring rare plants,
Presence of alien plants,
Wetland scale (㎡), Landscape shape, Integrity of wetland,
Ratio of wildlife damage area)
Material cycle &
hydraulic・hydrologic
40% 4 items (5 points per item)
(Thickness of peat layer, depth of water,
water quality, slope)
Humanities & social
landscape
10% 5 items (5 points per item)
(Accessibility, surrounding landscape,
designation of protected areas;
cultural properties and monuments,
Distance between man-made structure)
Degree of disturbance 10% 4 items (5 points per item)
(Distance between man-made facility,
Logging and wildfires,
Ratio of soil inflow, scour, and landslide area,
Invasion of vines and upland plants)
Total
(Above all Division)
Grade
A B C D
71 points more 61~70 points 51~60 points 50 points below

결 과

식생 및 경관 요소가 산림습원의 유형 구분 및 등급에 미치는 관계

식생 및 경관 요소가 산림습원의 유형 구분 및 등급에 미치는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가중치가 부여된 식생 및 경관 요소 점수를 비롯하여 종 다양성, 습지식물 우점 군락 비율(Choung et al., 2020), 식생단면도, 절대육상식물 비율(Choung et al., 2020), 희귀식물 출현 여부(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외래종 출현 종 수 비율(Jung et al., 2017; Korea National Arboretum, 2019), 습원 규모, 경관 형태, 습지의 온전성, 야생동물 흔적 비율 총 11가지와 산림습원 유형 및 등급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가중치가 부여된 식생 및 경관 요소 점수와 10가지 평가항목 사이에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상관분석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습원의 규모는 산림습원의 유형과 r = 0.332 (p = 0.0001)로 매우 유의한 양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외래종 출현 종 수 비율, 경관 형태, 가중치가 부여된 식생 및 경관 요소 점수, 희귀식물 출현 여부, 절대육상식물 비율, 습지의 온전성과 산림습원의 유형은 각각 r = -0.358 (p = 0.0001), r = -0.252 (p = 0.0001), r = -0.242 (p = 0.0001), r = -0.181 (p = 0.0001), r = -0.145 (p = 0.002) 및 r = -0.129 (p = 0.006)로 유의한 음의 상관이 있음이 나타났다(Fig. 2, Table 5).

산림습원 등급은 가중치가 부여된 식생 및 경관 요소 점수와 r = -0.698 (p = 0.0001)로 매우 강한 음의 상관이 있었고, 더욱이 나머지 10가지 항목 중에서 야생동물 흔적 비율을 제외하고 희귀식물 출현 여부와 절대육상식물 비율 등 9가지도 음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식생 및 경관에 해당하는 희귀식물 출현여부(r = 0.662, p = 0.0001) 등의 10가지 평가 요소들은 야생동물 흔적 비율(r = -0.121, p = 0.009)을 제외하고, 가중치가 부여된 식생 및 경관 요소 점수와 모두 양의 상관을 나타내서 평가항목에는 크게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2-035-04/N0820350408/images/kjpr_35_04_08_F2.jpg
Fig. 2.

The scatter plots that visualizes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two variables of vegetation and landscape factors.

Table 5.

The Correlation between vegetation and landscape factors on type classification and grading

Contents AZ BY CX
Species Diversity 0.026 -0.273** 0.438**
Dominant ratio of wetland plant -0.052 -0.348** 0.463**
Vegetation cross-sectional diagram 0.013 -0.042 0.271**
Proportion of obligate upland plant -0.145** -0.410** 0.368**
Occurring rare plants -0.181** -0.437**0.662**
Presence of alien plants -0.358** -0.168** 0.230**
Wetland scale (㎡) 0.332** -0.026 0.159**
Landscape shape -0.252** -0.271** 0.245**
Integrity of wetland -0.129** -0.276** 0.303**
Ratio of wildlife damage area -0.081 0.013 -0.121**
Weighted score of vegetation and landscape -0.242**-0.698** 1

*0.01 < p ≤ 0.05, **0.001 < p ≤ 0.01. ZA: Type, YB: Grades, XC: Weighted score of vegetation and landscape.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 요소가 산림습원의 유형 구분 및 등급에 미치는 관계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 요소가 산림습원의 유형 구분 및 등급에 미치는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가중치가 부여된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 요소 점수를 포함하여, 이탄층 두께, 수심, 수질 및 경사도 총 5가지와 산림습원 유형 및 등급 사이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가중치가 부여된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 요소 점수와 5가지 평가항목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분석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중치가 부여된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과 산림습원의 유형 및 등급에 각각 r = -0.228 (p = 0.0001)과 r = -0.706 (p = 0.0001)로 가장 높은 유의한 음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심은 산림습원의 유형과는 r = -0.102 (p = 0.029)로 약한 음의 상관이 있고, 산림습원의 등급과는 r = -0.504 (p = 0.0001)로 높은 음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각각 나타났다. 이탄층 두께를 제외한 나머지 수질 및 경사도 또한 산림습원의 유형과 등급과 음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탄층 두께는 산림습원 등급과 r = -0.285 (0.0001)로 음의 상관이 나타났지만, 산림습원의 유형과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Fig. 3, Table 6). 한편 가중치가 부여된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과 해당 평가 요소 사이에는 모두 높은 양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2-035-04/N0820350408/images/kjpr_35_04_08_F3.jpg
Fig. 3.

The scatter plots that visualizes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two variables of material cycle and hydraulic·hydrologic factors.

Table 6.

The Correlation between material cycle and hydraulic・hydrologic factors on type classification and grading

Contents AZ BY CX
Thickness of peat layer (㎝) -0.040 -0.285** 0.507**
Depth of water (㎝) -0.102* -0.504**0.645**
Water quality -0.156** -0.364** 0.459**
Slope -0.152** -0.362** 0.541**
Weighted score of material cycle and hydraulic・hydrologic -0.228**-0.706** 1

*0.01 < p ≤ 0.05, **0.001 < p ≤ 0.01. ZA: Type, YB: Grades, XC: Weighted score of material cycle and hydraulic・hydrologic.

인문・사회경관 요소가 산림습원의 유형 구분 및 등급에 미치는 관계

인문・사회경관 요소가 산림습원 유형 구분 및 등급에 미치는 관계를 알아보고자, 가중치가 부여된 인문・사회경관 요소 점수, 접근성, 주변 경관, 보호지역 지정, 문화재 및 기념물, 인공구조물 이격거리 총 6가지와 산림습원의 유형 및 등급 간에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가중치가 부여된 인문・사회경관 요소 점수와 접근성 등 5가지 항목 사이의 상관성 분석도 하였다.

상관분석 결과는 산림습원의 유형에는 보호구역 지정 요소가 r = -0.144 (p = 0.002)로 가장 높은 음의 상관을 보였다. 반면에 접근성 항목은 r = 0.142 (p = 0.002)로 산림습원 유형과 가장 높은 양의 상관을 보였다. 산림습원의 등급은 가중치가 부여된 인문・사회경관 요소 점수와 가장 높은 음의 상관(r = -0.299, p = 0.0001)을 보였고, 접근성과는 낮은 음의 상관(r = -0.130, p = 0.005)을 보였다. 인공구조물 이격거리는 산림습원의 유형 및 등급과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중치가 부여된 인문・사회경관 요소 점수는 보호구역 지정 요소 등 5가지와 모두 높은 양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Fig. 4, Table 7).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2-035-04/N0820350408/images/kjpr_35_04_08_F4.jpg
Fig. 4.

The scatter plots that visualizes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two variables of humanities and social landscape factors.

Table 7.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ities and social landscape factors on type classification and grading

Contents AZ BY CX
Accessibility 0.142** -0.130** 0.357**
Surrounding landscape -0.103** -0.053 0.259**
Designation of protected areas -0.144** -0.282**0.694**
Cultural properties and monuments -0.103* -0.202** 0.582**
Distance between man-made structure 0.088 0.019 0.413**
Weighted score of humanities and social landscape -0.073 -0.299** 1

*0.01 < p ≤ 0.05, **0.001 < p ≤ 0.01. ZA: Type, YB: Grades, XC: Weighted score of humanities and social landscape.

교란 정도 요소가 산림습원의 유형 구분 및 등급에 미치는 관계

교란 정도 요소가 산림습원의 유형 구분 및 등급에 미치는 관계를 파악해 보기 위해 가중치가 부여된 교란요소 점수, 인공시설과의 이격거리, 벌채 및 산불, 토사유입, 세굴, 산사태 면적비율 및 덩굴 및 육상식물 침입 면적비율 총 5가지와 산림습원의 유형 및 등급 사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가중치가 부여된 교란 정도 요소 점수와 벌채 및 산불 등 4가지 항목 간에 상관성도 분석하였다.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산림습원 유형에는 가중치가 부여된 교란 정도 요소 점수와 r = -0.094 (p = 0.046)로 낮은 음의 상관을 보였다. 하지만 접근성 등 나머지 4가지 항목은 산림습원 유형과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림습원 등급은 덩굴 및 육상식물 침입 면적비율과 r = -0.284 (p = 0.0001)로 가장 높은 음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산림습원 등급은 인공시설물 이격거리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Fig. 5, Table 8). 그리고 가중치가 부여된 교란 정도 요소 점수와 덩굴 및 육상식물 침입 면적 비율(r = 0.610, p = 0.0001) 등 4가지 평가항목과 높은 양의 상관을 보여주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jpr/2022-035-04/N0820350408/images/kjpr_35_04_08_F5.jpg
Fig. 5.

The scatter plots that visualizes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two degree of disturbance factors.

Table 8.

The Correlation between degree of disturbance factors on type classification and grading

Contents AZ BY CX
Distance between man-made facility -0.011 0.058 0.590**
Logging and wildfires -0.077 -0.162** 0.596**
Ratio of soil inflow, scour, and landslide area -0.059 -0.149** 0.447**
Invasion of vines and upland plants -0.060 -0.284**0.610**
Weighted score of degree of disturbance -0.094* -0.187** 1

*0.01 < p ≤ 0.05, **0.001 < p ≤ 0.01. ZA: Type, YB: Grades, XC: Weighted score of degree of disturbance.

산림습원 가치평가 요소가 통합점수에 미치는 상관성

가중치가 부여된 식생 및 경관 요소 점수 등 4가지, 산림습원 가치평가 요소 종 다양성 등 23가지, 산림습원의 유형 및 등급이 통합점수에 미치는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가중치가 부여된 식생 및 경관 요소 점수와 가중치가 부여된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 요소 점수는 통합점수와 각각 r = 0.766 (p = 0.0001)과 r = 0.768 (p = 0.0001)로 매우 높은 양의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가중치가 부여된 인문・사회경관 요소 점수와 가중치가 부여된 교란 정도 요소 점수와는 r = 0.307 (p = 0.0001)과 r = 0.225 (p = 0.0001) 조금 더 낮은 양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Table 9).

산림습원 가치평가 요소 23가지와 통합점수와의 상관분석 결과, 수심과 통합점수는 r = 0.538 (p = 0.0001)로 가장 높은 양의 상관을 보였다. 뒤를 이어 희귀식물 출현 여부(r = 0.473, p = 0.0001)와 절대육상식물 비율(r = 0.429, p = 0.0001) 순으로 높은 양의 상관을 보였다. 하지만 식생단면도, 습원 규모, 야생동물 흔적 비율, 인공구조물 이격거리 및 인공시설물 이격거리 총 5가지 평가 요소는 통합점수와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림습원 유형 및 등급과 통합점수와의 상관분석 결과는 r = -0.305 (p = 0.0001)과 r = -0.919 (p = 0.0001)로 각각 유의하게 높은 음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가지의 평가항목이 통합점수와 양의 상관이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통합점수와 유형 구분 및 등급화에는 음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able 9.

The Correlation between integrated score and valuation factors of forest wetlands

Contents AZ Contents AZ
Species Diversity 0.272** Weight. material cycle and hydraulic・hydrologic 0.768**
Dominant ratio of wetland plant 0.396** Accessibility 0.125**
Vegetation cross-sectional diagram 0.092 Surrounding landscape 0.104*
Proportion of obligate upland plant 0.429** Designation of protected areas 0.302**
Occurring rare plants 0.473** Cultural properties and monuments 0.197**
Presence of alien plants 0.210** Distance between man-made structure -0.043
Wetland scale (㎡) 0.031 Weight. humanities and social landscape 0.307**
Landscape shape 0.271** Distance between man-made facility -0.034
Integrity of wetland 0.282** Logging and wildfires 0.204**
Ratio of wildlife damage area -0.030 Ratio of soil inflow, scour, and landslide area 0.177**
Weight. vegetation and landscape 0.766** Invasion of vines and upland plants 0.304**
Thickness of peat layer (㎝) 0.320** Weight. degree of disturbance 0.225**
Depth of water (㎝) 0.538** Types of forest wetlands -0.305**
Water quality 0.393** Grades of forest wetlands -0.919**
Slope 0.387** Integrated score 1

*0.01 < p ≤ 0.05, **0.001 < p ≤ 0.01. Weigt.: Weighted score of. ZA: Integrated score.

고 찰

산림습원 가치평가 요소가 산림습원 유형 및 등급에 미치는 상관성

산림습원 유형 및 등급이 식생 및 경관 요소와의 상관분석을 통해서 산림습원의 규모가 산림습원의 유형과 크게 양적 상관하는데, 산지에 개간을 통한 묵논형 산림습원이 자연형 산림습원보다 넓은 면적을 차지하기 때문으로 예측해볼 수 있다. 그러나 외래종 출현 종 수 비율 등 6가지 항목은 평가 기준에 부합하는 결과로 분석되어 평가 기준을 조금 더 세분화하는 등의 대책이 요구된다. 또한 식생 및 경관의 요소들의 값들은 등급을 결정할 때 평가 기준값을 낮추는 것으로 분석되어 가중치에 대한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산림습원 유형 및 등급이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 요소, 인문・사회경관 요소 그리고 교란 정도 요소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가중치가 부여된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은 산림습원의 유형과 등급의 가치평가 요소들의 값들은 유형 및 등급을 결정할 때 평가 기준값을 낮추는 것으로 분석되어 가중치에 대한 조정이 불가피해 보인다. 특히 이탄층 두께는 자연형 산림습원을 결정할 때 높은 상관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어 이탄층 두께에 대한 정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인문・사회경관 요소에 대한 평가 기준을 전체적으로 수정해서 재평가가 진행되어야 한다. 특히 보호구역과의 거리를 3 ㎞에서 재조정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접근성은 묵논형 산림습원이 자연형 산림습원보다 접근성이 뛰어난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교란정도와 관련된 요소도 또한 가중치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평가항목에 대한 재조정이 불가피해 보인다.

산림습원의 가치평가 항목 등과 산림습원에서 평가된 통합점수 사이의 상관성 분석을 진행하여, 가중치가 부여된 평가점수 4가지의 사이 상관성은 두 가지 항목의 가중치는 각각 40%이고, 뒤의 두 가지 항목의 가중치는 10%로 차이가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산림습원 가치평가 요소 23가지와 통합점수와의 상관분석 결과는 5가지를 제외한 18가지의 평가 요소가 통합점수에는 일정 부분 평가 기준이 반영된 결과로 생각해 볼 수 있는데, 평가항목에 대한 전반적인 수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산림습원 유형 구분에 있어, 산림습원 가치평가 항목이 크게 좌우되지 않음을 시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산림습원 유형 구분에 필요한 평가항목을 추가하여 현장에서 조사자의 주관이나 정성적인 방법이 아닌 객관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정량적인 요소를 추가하고 정성적인 방법과 정량적인 방법 두 가지에 대해 가중치를 효과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더불어 산림습원 등급은 가중치에 대한 개선이 대대적으로 필요하고, 또한 평가항목 및 기준에서 항목의 세분화와 기준을 현장 조사에 맞게 조정하여 산림습원 등급화에서도 객관성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개선된 자료를 이용하여보다 더 온전성이 있는 한국의 산림습원의 인벤토리 구축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한편, 산림습원의 유형과 산림습원 등급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산림습원 유형과 등급은 r = 0.265 (p = 0.0001)로 양의 상관을 보였다. 이는 산림습원 등급은 대부분 B등급과 C등급에 편중되어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산림습원 유형 구분 및 등급 개선 방안

산림습원 유형 구분 및 가치평가로 인한 등급화에 관한 연구의 시작은 2005년부터인데, 환경부는 1999년 ‘습지보전법’ 제정 이후 2000년부터 ‘전국산림습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한강 등 대부분 수계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대암산 용늪 등 습지보호지역 중에서 산림습원으로 볼 수 있는 지역은 통합된 보전관리와 같은 체계적인 접근이 거의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특히 수계와 산림의 관리 주체가 나누어져 있는 국낸 현실을 반영하여 산림 내 있는 습지에 대한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산림습지의 유형분류 및 가치평가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산림청(2006)에서는 HGM 방식을 바탕으로 Hybrid 접근방식을 개발하였고, 2006년부터 2014년까지 제1차 산림습원 보전사업에 적용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Hybrid 접근방식은 토양의 특성에 따라 습지 유형분류를 할 수 있고, 지형적 특성이 잘 반영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토양분석 없이는 습지 유형분류에 어려움이 있고 일반적인 습지의 유형분류에는 적합하지 않고, 특히 Hybrid 접근방법은 습원 유형이 많아져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단점도 수반하였다. 그리하여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제2차 산림습원 보전사업에서는 수문과 지형을 기본으로 유형을 분류하고 관리가 용이한 HGM (Hydrogeomorphic) 접근방법을 기반한 산림습원 유형을 재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형 구분 및 가치평가를 수행하였다. Lee et al. (2022b)는 제2차 산림습원 보전사업을 토대로 산림습원의 기능을 하는 산림습원 455개소에 대해 기존의 level 3을 인공 정도에 따라 자연형, 묵논형, 인공형 및 변형습원으로 구분하고 level 4를 수문 등 습원에 따라 개선된 방식을 적용하여 산림 유형을 재구분하여 인벤토리를 구축하였다. 하지만 Lee et al. (2022b)의 연구는 평가항목 요소, 평가 방법, 평가 기준, 가중치를 부여 등에 있어 일부 오류가 있음을 확인하고 개선안을 제안하는 바이다. 특히 산림습원의 경우 생물다양성으로 인한 생태계서비스 기능이 가장 크므로 이를 고려하여 5개로 평가항목을 나누었다. 평가항목은 고유성・희소성, 야생동물서식지, 식생 및 경관,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 그리고 인문・사회경관으로 크게 5개 카테고리로 나눌 수 있다.

고유성・희소성

고유성・희소성은 자연형 여부, 습원의 규모, 습원의 온전성, 습원의 해발고도 위치, 보호구역 지정 여부와 보호구역이나 생태축 상의 위치 총 5가지 항목으로 구성된다. 자연형 여부는 자연형의 점수가 5등급으로 가장 높지만, 복원사업이 진행된 자연형 습원은 4등급으로 평가한다. 그리고 묵논형은 3등급으로 평가하고 복원된 묵논형 습원은 2등급, 인공형은 1등급을 부여하고 변형습원은 평가에서 제외한다. 습원의 규모는 본 연구에서 유형 구분에는 양의 상관을 보였으나, 등급에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Lee et al. (2022b)의 연구에서 파악된 산림습원 455개소 평균 면적은 6,071 ㎡였으나, 자연형 습원(4,461 ㎡)과 묵논형 습원(7,170 ㎡) 각각의 평균은 큰 차이를 보였다. 그래서 1번 항목과 모순되는 등급을 부여해야 한다. 따라서 습원의 규모는 습원의 자연형 여부를 파악하고 습원의 유형에 따라 전체 면적을 산출하여 평가하고, 습원의 규모가 클수록 점수가 높게 평가된다. 자연형(복원조치 포함) 습원은 1등급은 100 ㎡ 미만, 2등급은 100 이상~1,500 ㎡ 미만, 3등급은 1,500 이상~3,000 ㎡ 미만, 4등급은 3,000 이상~4,500 미만 ㎡, 5등급은 4,500 ㎡ 이상으로 평가를 제안한다. 묵논형(복원조치 포함)과 인공습원은 기존과 같은 100.0㎡ 미만은 1등급, 100 이상~2,100 ㎡ 미만은 2등급, 2,100 이상~4,100 ㎡ 미만은 3등급, 4,100 이상~6,100 ㎡ 미만은 4등급 그리고 6,100 ㎡ 이상은 5등급으로 평가를 제안한다. 습원의 온전성 식생도 상에서 습원지표종으로 구성된 군락과 수공간의 합계 면적비율로 평가하고 습원지표종 군락과 수공간의 합계 면적 비율이 클수록 높게 평가된다. 평가 등급은 1등급은 20% 미만, 2등급은 20% 이상~30% 미만, 3등급은 30% 이상~40% 미만, 4등급은 40% 이상~50% 미만, 5등급은 50% 이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습원의 해발고도 위치는 습원의 해발고도상 위치로 평가되는데 해발고도가 높을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한다. 1등급은 100 m 미만, 2등급은 100 m 이상~400 m 미만, 3등급은 400 m 이상~700 m 미만, 4등급은 700 m 이상~1,000 m 미만, 5등급은 1,000 m 이상으로 평가를 고려해야 한다. 보호구역 지정여부와 보호구역이나 생태축 상의 위치는 보호구역(국립공원,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백두대간보호구역, 자연환경보전지역, 습지보전지역, 야생생물보호구역, 야생동물특볇호구역, 천연보호구역, 천연기념물 등 법정ㅂ호구역) 지정여부 또는 보호구역과 생태축(백두대간보호구역, DMZ, 도서지역, 4대강 본류 등)과의 거리로 평가되고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에 있거나 생태축에 위치할수록 점수를 높게 부옇고, 그곳으로부터 거리가 멀수록 낮게 부여한다. 1등급은 4 ㎞ 이상, 2등급은 2 ㎞ 이상~4 ㎞ 미만, 3등급은 0.5 ㎞ 이상~2 ㎞ 미만, 4등급은 0.5 ㎞ 미만, 5등급은 보호구역이나 생태축 내부에 위치한 습원을 대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고유성・희소성 카테고리는 자연성 및 생물종다양성 보전상의 지리적 위치로 평가하였고, 대부분의 자료가 정량적인 자료에 근거하고 있기에 15%의 가중치를 부여하였다(Table 10).

Table 10.

Classification by endemism and scarcity according to grades of forest wetland

Item
(Wights)
Contents Grades
1 2 3 4 5
Endemism

Scarcity
(15%)
Natural type
(Forest wetland type
classification Level 3)
Man-made Abandoned
paddy field
(Restoration
measures)
Abandoned
paddy field
Nature
(Restoration
measures)
Nature
Wetland scale by
the nature (㎡)
100 ㎡
below
100 ㎡ over~
1,500 ㎡ below
1,500 ㎡ over~
3,000 ㎡ below
3,000 ㎡ over~
4,500 ㎡ below
4,500 ㎡
over
Endemism

Scarcity
(15%)
Wetland scale by the
abandoned paddy field
(㎡)
100 ㎡
below
100 ㎡ over~
2,100 ㎡ below
2,100 ㎡ over~
4,100 ㎡ below
4,100 ㎡ over~
6,100 ㎡ below
6,100 ㎡
over
Integrity of wetland 20%
below
20% over~
30% below
30% over~
40% below
40% over~
60% below
60%
over
Position above altitude 100 m
below
100 m over~
400 m below
400 m over~
700 m over
700 m over~
1,000 m below
1,000 m
over
Designation of protected
areas and their location
on the ecological axis
4 ㎞ over 2 ㎞ over~
4 ㎞ below
0.5 ㎞ over~
2 ㎞ below
0.5 ㎞ below Located
within

야생동물서식지

야생동물서식지는 소생태공간 서식지의 다양성(현존식생도 상 군락으로 구한 종다양성 지수), 둠벙과 물웅덩이 수(최소크기 4 ㎡), 개방 수면의 비율 및 양생 동물의 흔적 비율 총 4가지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소생태공간 서식지의 다양성은 얼마나 다양한 소생태공간을 가지는지로 평가되고 현존식생도 상에 나타낸 조각 유형의 면적비율로 구한 종다양성지수(H’)가 클수록 높은 점수 부여한다. 1등급은 0.0, 2등급은 0.0 초과~ 0.5 미만, 3등급은 0.5 이상~1.0 미만, 4등급 1.0 이상~ 1.5 미만, 5등급은 1.5 이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둠벙과 물웅덩이 수는 둠벙과 상시 축축한 물웅덩이 수로 평가되고 둠벙과 물웅덩이 수가 많을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한다. 1등급은 둠벙과 물웅덩이가 없으면, 2등급은 1개 또는 최소크기 이하 2개 이상, 3등급은 2개 또는 100 ㎡ 이상 1개, 4등급은 3개 또는 100 ㎡ 이상 2개, 5등급은 4개 이상으로 평가된다. 개방 수면의 비율은 개방 수면의 비율로 평가되고, 개방 수면의 비율이 클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한다. 1등급은 10% 미만, 2등급은 10% 이상~20% 미만, 3등급은 20% 이상~ 30% 미만, 4등급은 30% 이상~40% 미만, 5등급은 40% 이상으로 평가된다. 야생동물 흔적 비율은 습원 내 야생동물의 흔적 비율로 평가되고, 야생동물의 흔적이 나타난 면적비율이 높을 경우 점수가 높게 평가된다. 본 연구에서는 경관 및 식생 카테고리로 포함되어 평가되어 등급화에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1등급은 야생동물 흔적 비율이 없으면, 2등급은 습원 전체면적의 5% 미만, 3등급은 습원 전체면적의 5% 이상~10% 미만, 4등급은 습원 전체면적의 10% 이상~ 15% 미만, 5등급은 습원 전체면적의 15% 이상으로 평가된다. 소생태공간의 서식지 다양성과 개방수면의 비율은 비교적 정량적인 조사자료에 근거하고 있고, 둠벙과 물웅덩이 수는 2단계 조사에서 파악이 되기는 했으나 모든 산림습원에서 정밀조사 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향후 정밀조사에서는 상세한 내역이 파악되어 평가에 반영이 될 필요성이 있다. 야생동물 흔적비율도 현장에서 조사되기는 하였지만, 조사시기 마다 달라질 수 있는 요인이다. 따라서 많은 전문가들이 야생동물 서식지로서의 산림습원의 기능에 중요성을 동감하지만 이런 점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15%의 가중치를 부여하였다(Table 11).

Table 11.

Classification by wildlife habitat according to grades of forest wetland

Item
(Wights)
Contents Grades
1 2 3 4 5
Wildlife
habitat
(15%)
Diversity of
microecospace habitats
0.0 0.0 over~
0.5 below
0.5 over~
1.0 below
1.0 over~
1.5 below
1.50 over
Number of small scale
pond and puddles
(minimum 4m2)
none 1 or 2 or more below
the minimum size
2 or 1 over
100 ㎡
3 or 2 over
100 ㎡
4
Percentage of open
water (%)
10% below 10 over~20% below 20 over~
30% below
30 over~
40% below
40% over
Ratio of wildlife
damage area
None 5% below 5~10% 10~15% 15% over

식생 및 경관

식생 및 경관은 자생식물 종밀도(종수/ha), 습원지표종 다양성, 현존식생도에 표시한 습워지표종 군락의 개수, 현존식생도에 표시한 습원지표종 군락의 우점 비율, 식생단면도, 절대육상식물 비율, 희귀식물 출현 여부, 외래종 출현 종 수 비율, 덩굴식물, 외래종 및 조림 면적비율, 습원 둘레의 경관과 토지이용, 경관 형태, 토사 유입, 세굴, 벌채, 산사태, 경작지, 등산로 면적 비율 총 11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자생식물 종밀도는 단위 면적당 습원 내에 출현한 총 자생식물 종수로 평가되고, 단위 면적당 출현 자생식물 종수가 많을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한다. 1등급은 20분류군 미만, 2등급은 20분류군 이상~50분류군 미만, 3등급은 50분류군 이상~90분류군 미만, 4등급은 90분류군 이상~130분류군 미만, 5등급은 130분류군 이상으로 평가된다. 습원지표종수는 절대습지식물, 임의습지식물 및 양생식물로서 습원 내에 출현한 습원지표종수로 평가되고 출현 종수가 많을수록 점수가 높게 평가된다. 1등급은 1분류군 이하, 2등급은 2분류군~5분류군, 3등급은 6분류군~9분류군, 4등급은 10분류군~14분류군, 5등급은 15분류군 이상으로 평가된다. 현존식생도에서 표시한 습원 지표종 군락의 개수는 현존식생도에서 출현한 습원 지표종 군락의 개수로 평가된다. 평가 기준은 습원 지표종의 군락 수가 많을수록 높게 평가된다. 1등급은 습원지표종 군락 수가 1개 이하, 2등급은 습원지표종 군락 수가 2개, 3등급은 습원지표종 군락 수가 3~4개, 4등급은 습원지표종 군락 수가 5~6개, 5등급은 습원지표종 군락 수가 7개 이상이면 평가된다. 현존식생도 상 습원지표종인 식물의 우점 군락 비율은 현존식생도에 출현한 전체 식물 군락 중에서 습원지표종이 우점하는 군락이 차지하는 비율로 평가되고 습원지표종 우점 군락 비율이 높을수록 높은 평가된다. 1등급은 습지지표종 우점 군락 비율이 5% 미만, 2등급은 습지지표종 우점 군락 비율이 5% 이상~35% 미만, 3등급은 습지지표종 우점 군락 비율이 35% 이상~65% 미만, 4등급은 습지지표종 우점 군락 비율이 65% 이상~95% 미만, 5등급은 습지지표종 우점 군락 비율이 95% 이상으로 평가된다. 식생단면도는 조사지역의 식생을 대표하는 구간으로 선정하여 도식화한 식생단면도로 평가되고, 식생단면도 상에 식생이 다층구조이고 층위별 순서가 있을 경우 점수가 높게 부여된다. 1등급은 초본층만 출현하는 경우, 2등급은 초본층과 관목층이 함께 출현하나 서열이 불일치 하는 경우, 3등급은 초본층과 관목층이 함께 출현하고 초본층-관목층 순으로 나타나는 경우, 4등급은 초본층, 관목층 및 교목층이 함께 출현하나 서열이 불일치 하는 경우, 5등급은 초본층, 관목층, 교목층이 순서대로 나타나는 경우로 평가된다(Table 12).

Table 12.

Classification by vegetation and landscape according to grades of forest wetland

Item
(Wights)
Contents Grades
1 2 3 4 5
Vegetation
and
Landscape
(35%)
Density of native
plant species
10 species
below
10 species over~
50 species below
50 species over~
90 species below
90 species over~
130 species below
130 species
over
Diversity of wetland
indicator species
1 species
below
2~5 species 6~9 species 10~14 species 15 species
Number of wetland
indicator species colonies
indicated on the existing
vegetation map
1 below 2 3~4 5~6 7 over
Dominance ratio of
wetland indicator species
communities indicated
on the Existing
Vegetation map
5% below 5% over~
35% below
35% over~
65% below
65% over~
95% below
95% over
Vegetation
sectional view
If only the
herbaceous
layer
appears
If the
herbaceous layer
and the shrub
layer appear
together but the
sequence is not
If the herbaceous
layer and the
shrub layer appear
together, and the
herbaceous layer
appears in the
order of the
shrub layer
If herbaceous
layer, shrub layer,
and arboreous
layer appear
together, but
the order does
not match
If it appears
in the order
of the
herbaceous
layer - the
shrub layer -
the arboreous
layer
Proportion of
obligate upland plant
80% over 60% over~
80% below
40% over~
60% below
20% over~
40% below
20% below
Occurring rare plants Not
appearing
Appearing only
LC grades
Appearing
including
VU grades
Appearing
including
EN grades
Appearing
including
CR grade
Presence of alien plants 7.5% over 5% over~
7.5% below
2.5% over~
5% below
1% over~
2.5% below
1% below
Percentage of vines,
exotic species and
planted area
50% over 25% over~
50% below
5% over~
25% below
5.0% below None
Landscape and land
use around wetlands
Natural
forest 20%
below
Natural forest
20~40%
Natural forest
40~80%
Natural forest
80% over
Over 90%
of natural
deciduous
broadleaf
forests
Landscape 0.37 over 0.27 over~
0.37 below
0.17 over~
0.27 below
0.07 over~
0.17 below
0.07 below
Ratio of soil inflow,
scouring, logging,
landslides, cultivated
land, and hiking trails
50% over 25% over~
50% below
5 over~
25% below
5% below None

절대육상식물 비율은 전체 출현 식물종 중에서 절대육상식물이 차지하는 비율로 절대육상식물의 비율이 낮을수록 높게 평가된다. 1등급은 절대육상식물 비율이 80% 이상, 2등급은 절대육상식물 비율이 60% 이상~80% 미만, 3등급은 절대육상식물 비율이 40% 이상~60% 미만, 4등급은 절대육상식물 비율이 20% 이상~40% 미만, 5등급은 20% 미만으로 평가된다. 희귀식물 출현 여부는 전체 출현 식물종 중 희귀식물의 포함 여부로 평가되고 희귀식물이 IUCN의 등급(CR, EN, VU, LC)에 따라 평가에 적용되어 평가된다. 1등급은 희귀식물이 출현하지 않을 경우, 2등급은 LC등급만 출현할 경우, 3등급은 LC등급과 VU등급이 출현할 경우, 4등급은 LC등급, VU등급, EN등급이 출현할 경우, 5등급은 CR등급이 출현할 경우로 평가된다. 외래종 출현종수 비율은 전체 출현 식물종 중에서 외래종의 출현 비율로 외래종의 비율이 낮을수록 높게 평가된다. 1등급은 외래종 출현 종수 비율 7.5% 이상, 2등급은 5% 이상~7.5% 미만, 3등급은 2.5% 이상~5% 미만, 4등급은 1% 이상~2.5% 미만, 5등급은 1% 미만으로 평가된다. 덩굴식물, 외래종 및 조림면적 비율은 조사지역 내 덩굴식물과 외래종이 확산한 면적과 조림면적의 비율로 평가되며, 조사지역 내 덩굴식물과 외래종의 확산면적과 조림면적 비율이 낮을수록 높게 평가된다. 1등급은 비율이 50% 이상, 2등급은 25% 이상~50% 미만, 3등급은 5% 이상~25% 미만, 4등급은 5% 미만, 5등급은 덩굴식물과 외래종 확산면적과 조림면적이 없으면 평가된다. 습원둘레의 경관과 토지이용은 습원둘레의 경관의 자연성과 토지이용 유형으로 평가되고 습원 경계를 100으로 했을 때, 자연낙엽활엽수림과 자연침엽수림이 높을수록 점수를 높게 부여하고 교란, 벌목, 인공식재림 및 개발지가 높을수록 낮은 점수를 부여한다. 1등급은 자연림이 20% 미만, 2등급은 자연림이 20%~40%, 3등급은 자연림이 41%~80%, 4등급 자연림이 81% 이상, 5등급은 자연낙엽활엽수림이 90% 이상으로 평가된다. 경관형태는 식생도 상에 표시된 습원의 면적과 둘레의 비율(경관형태 = 둘레/면적)로 평가되고 면적에 대한 둘레의 비율이 낮을 경우 높게 평가된다. 1등급은 0.37 이상, 2등급은 0.27 이상~0.37 미만, 3등급은 0.17 이상~0.27 미만, 4등급은 0.07 이상~0.17 미만, 5등급은 0.07 미만으로 평가된다. 토사유입, 세굴, 산사태, 벌채, 경작지, 등산로 면적비율은 습원 내 토사유입, 세굴, 산사태, 경작지 및 등산로가 나타난 면적의 비율로 평가되며, 토사유입, 세굴, 산사태, 경작지 및 등산로 면적 비율이 낮을 경우, 높은 등급으로 평가된다. 1등급은 50% 이상, 2등급은 25% 이상~50% 미만, 3등급은 5% 이상~25% 미만, 4등급은 5% 미만, 5등급은 토사유입 등 면적비율이 없으면 부여받게 된다.

12개 모든 항목이 정량적인 조사결과에 근거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경관요소에 교란요인까지 포함하였고, 기존의 평가에서 면적을 고려하지 않은 단순한 종수에 의한 기준을 면적과 자생종수만의 밀도만으로 판정하는 항목을 반영하였다. 또한 산림습원 지표종수와 지표종의 식생 면적을 고려한 요소들을 추가하였고, 식생단면도에서 수직적인 서식지 다양성을 고려하였다. 희귀식물은 IUCN 등급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였고, 외래종, 덩굴식물, 조림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반영하였다. 습원의 형태와 주변 토지이용을 반영하였다. 교란요소를 식생 및 경관요소에 모두 반영하였고, 다른 많은 산림습원의 기능이 식생 및 경관 기능으로부터 2차로 파생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식생 및 경관의 가중치는 가장 높은 35%를 부여하였다.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은 이탄층 두께, 수로의 수와 형태, 수원공급, 침수주기와 침수기간, 지하수 유지 및 보충, 경사도 총 6가지 항목이 포함되어있다. 이탄층 두께는 토양 다면에서 이탄층의 두께로 측정되는데, 이탄층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점수가 높게 평가된다. 1등급은 이탄층의 두께가 0 ㎝, 2등급은 0 ㎝ 초과~7 ㎝ 미만, 3등급은 7 ㎝ 이상~14 ㎝ 미만, 4등급은 14 ㎝ 이상~21 ㎝ 미만, 5등급은 21 ㎝ 이상으로 평가된다. 수로의 수와 형태는 산림습원으로 유입되는 수로의 개수와 수로의 형태로 평가되고, 평가 기준은 수로의 수가 많고 그물망으로 구성된 것일수록 높게 평가된다. 1등급은 수로가 없거나 습원 외부에 수로가 형성된 경우, 2등급은 1개 수로가 존재할 경우, 3등급은 2개의 수로가 존재할 경우, 4등급은 2개의 수로가 망상 형태로 존재할 경우, 5등급은 3개 이상의 수로가 망상 형태로 존재할 경우로 평가된다. 수원공급은 강수, 지하수 및 지표수에 의한 수원공급 여부로 평가되며, 안정적인 수원공급인 지하수의 의존도가 높을수록 높게 평가된다. 1등급은 강수로만 공급될 경우, 2등급은 강수와 지표수로 공급될 경우, 3등급은 강수와 지표수 그리고 지하수 5% 이상~ 20% 미만으로 공급될 경우, 4등급은 강수와 지표수, 그리고 지하수 20% 이상~ 50% 미만으로 공급될 경우, 5등급은 강수와 지표수 그리고 지하수 50% 이상 공급될 경우로 평가된다. 침수주기와 침수 기간은 침수주기와 침수 기간에 대한 정성 평가로 수면 개방면적과 수생 식물 군락의 면적으로 물에 젖은 지역을 산출하여 평가하고, 침수 기간이 오랫동안 유지될수록 높은 점수가 부여된다. 1등급은 육상식생이 우점한 육화습지, 2등급은 상시 물에 젖은 지역은 없으나 습지지표종 군락이 분포할 경우, 3등급은 상시 물에 젖은 지역이 10% 이상~ 30% 미만, 4등급은 상시 물에 젖은 지역이 30% 이상~ 50% 미만, 5등급은 상시 물에 젖은 지역이 50% 이상인 경우로 평가된다. 지하수 유지 및 보충은 습원 내부 토양의 배수특성(토성)으로 평가된다. 평가 기준은 자갈, 모래, 사질양토가 많을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식질양토와 점토일수록 나은 점수를 부여한다. 1등급은 점토질, 2등급은 식질양토, 3등급은 미사질양토, 4등급은 사질양토, 5등급은 자갈이나 모래로 평가된다. 경사는 조사지역 내 경사가 급한 곳과 완만한 곳 등을 포함하여 5곳의 경사를 측정하여 평균 경사도로 평가되며 경사도가 낮을수록 저수가 높게 평가된다. 1등급은 9°, 2등급은 6° 이상~9° 미만, 3등급은 3° 이상~6° 미만, 4등급은 0° 초과~3° 미만, 5등급은 0°로 평가된다.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도 습지를 다루는 전문가들은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다. 일부 산림습원에서는 수리・수문에 관한 정밀조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 실정에서는 수리・수문 현황이 모든 산림습원에 대하여 조사된 상황이 아니다. 따라서 향후 정밀조사 계획을 잘 수립하고 조사를 수행한다면 의미 있는 정량적인 자료가 축적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수리・수문은 산림습원의 유지에 기본 중의 기본이고, 식생 및 경관과 동물생육지 기능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정밀조사자료가 확보된다는 전제하여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의 가중치를 30%를 부여하였다(Table 13).

Table 13.

Classification by material circulation and hydrosluice according to grades of forest wetland

Item
(Wights)
Contents Grades
1 2 3 4 5
Material
circulation
and
Hydrosluice
(30%)
Thickness of
peat layer (㎝)
0 ㎝ 0 ㎝ over~
7 ㎝ below
7 ㎝ over~
14 ㎝ below
14 ㎝ over~
21 ㎝ below
21 ㎝ over
Number and
type of
waterways in
the marsh
No waterways
or formation
of waterways
outside of
wetlands
1 channel 2 channels Two channels
in the form
of a network
3 or more
channels in
the form of
a network
Water source Precipitation Precipitation
/surface water
5% over ~
20% below of
groundwater
20% over ~
50% below of
groundwater
5% over of
groundwater
Immersion cycle
and submersion
period
Wetland
dominated
by upland
vegetation
There is no area
that is always
wet with water,
but a community
of wetland
indicator species
is distributed
10% over~
30% below of
the area always
wet with water
30% over~
50% below of
the area always
wet with water
50% over of
the area always
wet with water
Groundwater
maintenance and
replenishment
Clayey Clay loam Silt loam Sandy loam Gravel or sand
Slope 9˚ over 6˚ over~9˚ below 3˚ over~6˚ below 0˚ over~3˚ below

인문・사회경관

인문・사회경관은 접근성, 활용가능성, 인공구조물 이격거리 총 3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접근성은 습원에 대한 접근성을 평가한 가치로 습원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으면 점수가 높고, 사유지나 울타리가 쳐져 있어 접근이 불량하면 낮음으로 평가된다. 1등급은 접근성이 매우 불량인 경우, 2등급은 불량인 경우, 3등급은 보통인 경우, 4등급은 양호인 경우, 5등급은 매우 양호인 경우로 평가된다. 활용가능성은 활용가능성의 개수로 평가되고 활용가능성의 개수가 많을수록 높게 평가된다. 1등급은 활용가능성이 1개 이하, 2등급은 활용가능성이 2개, 3등급은 활용가능성이 3개, 4등급은 활용가능성이 4개, 5등급은 활용가능성이 5개 이상으로 평가된다. 인공구조물 이격거리는 철탑, 송전탑과 같은 인공구조물이 습원 경계로부터 이격된 거리로 평가되며, 습원 경계로부터 인공구조물의 이격거리가 멀수록 높은 점수가 부여된다. 1등급은 0.5 ㎞ 미만, 2등급은 0.5 ㎞ 이상~1 ㎞ 미만. 3등급은 1 ㎞ 이상~ 3 ㎞ 미만, 4등급은 3 ㎞ 이상~5 ㎞ 미만, 5등급은 5 ㎞ 이상으로 평가된다. 사실 산림습원별 인문 사회경관의 구성요소는 매우 달라질 수 있고, 정책적인 요소가 많으면 앞선 모든 요소의 우수성 여부가 관계되는 부분으로 우수성은 다른 요소 평가에서 반영되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다소 추상적인 요소인 인문・사회경관요소는 가중치를 5%로 최소한으로 부여하였다(Table 14).

Table 14.

Classification by humanities・society landscape according to grades of forest wetland

Item
(Wights)
Contents Grades
1 2 3 4 5
Humanities

Society
Landscape
(5%)
Accessibility Very bad Bad Normal Good Very good
Availability 1 2 3 4 5 over
Distance between
man-made structure
0.5 ㎞ below 0.5 ㎞ over~
1 ㎞ below
1 ㎞ over~
3 ㎞ below
3 ㎞ over~
5 ㎞ below
5 ㎞ over

개선안의 주요 방향과 원칙은 Lee et al. (2022b)의 내용과 기존 평가 안에서 합리적인 부분은 최대한 받아들여 개선에 따른 혼란을 최소화하고, 부분별 가중치에 대한 부분은 본 연구와 같은 검증을 통해 개선해 나가야 한다. 또한, 가중치 반영에 있어 최대한 현장에서 정량적으로 확보한 자료에 근거한 것의 가중치를 높게 반영하고, 추정치에 대한 가중치는 최소한으로 반영해야 한다. 산림습원의 존재가치에 대한 부분을 평가 개선안을 반영하고, 특히 국가 생태축상의 위치, 보호구역 및 동물의 생물다양성 부분을 평가개선안에 적절하게 반영한다. 게다가 산림습원의 유형구분 3단계(Level)에서 구분된 자연형, 묵논형 및 인공형에대한 차별적인 평가점수와 합리적인 가중치가 부여되어야 한다. 인공구조물 이격거리와 인공시설물 이격거리처럼 기존 평가 안에서 별 의미가 없거나 중복되는 부분을 검토해야 한다. 절대육상식물 비율 및 습지식물비율 등 평가 안에서 모순되는 부분을 고려하여 개선해야 한다. 습원의 기능 평가에 생태계서비스 기능 평가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공급, 조절, 유지 및 문화적 기능을 고르게 포함하여 가중치 부분에 대한 합리적 판단이 필요하다. 이에 고유성・희소성(15%), 야생동물서식지(15%), 식생 및 경관(35%),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30%) 그리고 인문・사회경관(5%)으로 크게 5개 카테고리로 나누고 각각의 가중치를 부여하였다(Table 15).

Table 15.

The weight of each evaluation item of forest wetland value and evaluation improvement.

Evaluation items Assessment methods Weights
Endemism・Scarcity Conversion of 100 points for 5 items out of 5 15%
Wildlife habitat Conversion of 100 points for 4 items out of 5 15%
Vegetation and landscape Converted out of 100 points for 12 items out of 5 35%
Material circulation and hydrosluice Converting out of 100 points for 6 items out of 5 30%
Humanities, Society, Landscape Conversion of 100 points for 3 items out of 5 5%
Integrated score Calculation out of 100 points weighted by 5 items 100%・

적 요

본 연구는 산림습원의 가치평가 및 등급화로 인벤토리가 구축된 산림습원 455개소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산림습원 가치평가 항목인 식생 및 경관,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 인문・사회경관 및 교란정도 4가지 카테고리의 23개 평가 요소가 산림습원의 유형 구분 및 등급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산림습원의 유형 구분 및 가치평가의 개선을 통하여 향후 산림습원 보전 및 복원에 필요한 기준안을 마련하여 보전대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할 수 있고, 체계적인 모티터링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선 산림습원 유형 구분과 규모와 접근성은 양적 상관을 보였으나, 나머지 항목은 음의 상관이나 상관성이 없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산림습원 등급과는 음의 상관이나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중치가 부여된 4가지 상위 카테고리 요소와 아주 큰 음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가치평가 항목의 평가 기준치를 조정하거나 객관성을 높일 수 있는 항목을 추가하거나 가중치에 대한 오류가 있는 것으로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특히 산림습원의 경우 생물다양성으로 인한 생태계서비스 기능이 가장 크므로 이를 고려하여 평가항목을 개선해야 한다. 따라서 고유성・희소성(15%), 야생동물서식지(15%), 식생 및 경관(35%),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30%) 그리고 인문・사회경관(5%) 5가지 카테고리로 구분해볼 수 있고,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가중치를 제안하는 바이다.

Supplementary Material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y have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Ahn, K.H., J.C. Lim, Y.K. Lee, T.B. Choi, K.S. Lee, M.S. Im, Y.H. Go, J.H. Suh, Y.K. Shin and M.J. Kim. 2016a. Vegetation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al pattern in Damyang river in wetland. J. Environ. Impact Assess. 25(2):89-102 (in Korean). 10.14249/eia.2016.25.2.89
2
Ahn, K.S., H.S. Kim and J.G. Kim. 2016b. Wetlands. Life Science, Seoul, Korea. pp. 1-604 (in Korean).
3
Burkett, V. and J. Kusler. 2000. Climate change: potential impacts and interactions in wetlands of The United States 1. JAWARA. 36(2):313-320. 10.1111/j.1752-1688.2000.tb04270.x
4
Carpenter, S.R., S.G. Fisher, N.B. Grimm and J.F. Kitchell. 1992. Global change and freshwater ecosystems. Annu. Rev. Ecol. Evol. S. 23(1):119-139. 10.1146/annurev.es.23.110192.001003
5
Chatterjee, A., E. Blom, B. Gujja, R. Jacimovic, L. Beevers, J. O’Keeffe, M. Beland and T. Biggs. 2010. WWF initiatives to study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Himalayan high-altitude wetlands (HAWs). Mountain Res. Dev. 30(1):42-52. 10.1659/MRD-JOURNAL-D-09-00091.1
6
Choung, Y.S., B.M. Kim, K.S. Lee, K.H. Cho, K.Y. Joo, J.O. Hyun, H.R. Na, H.K. Oh, G.H. Nam and J.S. Kim. 2020. Wetland Preference and Life Form of the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p. 1-235 (in Korean). 10.1186/s41610-021-00183-0
7
Cowardin, L.M., V. Carter, F.C. Golet and E.T. LaRoe. 1979. Classification of Wetlands and Deep Water Habitats of the United States.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Washington D.C. (USA). pp. 1-104. 10.5962/bhl.title.4108
8
Cylinder, P.D. and K.M. Bogdan. 1995. Wetlands Regulation: a Complete Guide of Federal and California Programs. Solano Press Books, CA (USA). pp. 35-88.
9
Dahl, T.E. 2011. Status and Trends of Wetlands in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2004 to 2009.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Fish and Wildlife Service, Washington D.C. (USA). pp. 1-108.
10
Erwin, K.L. 2009. Wetlands and global climate change: the role of wetland restoration in a changing world. Wetl. Ecol. Manag. 17(1):71-84. 10.1007/s11273-008-9119-1
11
Gu, B.H. 2002.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Mapping Methods of Wetlands in Korea.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 Korea. pp. 1-161 (in Korean).
12
Johnson, W.C., B. Werner, G. Guntenspergen, R. Voldseth, R.A. Millett, B. Naugle, D.E. Tulbure, M. Carroll, R.W.H.J. Tracy and C. Olawsky. 2010. Prairie wetland complexes as landscape functional units in a changing climate. BioScience 60(2):128-140. 10.1525/bio.2010.60.2.7
13
Jung, S.Y., J.W. Lee, H.T. Shin, S.J. Kim, J.B. An, T.I. Heo, J.M. Chung and Y.C. Cho. 2017.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265 (in Korean)
14
Kim, T.S., J.W. Kim, S.K. Moon, H.S. Yang and B.G. Yang. 2013. Introduction to national mid-term fundamental plan for wetlands conservation and management. J. Wet. Res. 15(4):519-527 (in Korean). 10.17663/JWR.2013.15.4.519
15
Korea Forest Service. 2006. Report of Wetlands Research.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p. 1-491 (in Korean).
16
Korea Forest Service. 2021. Annual Report on Forestry and Forestry Trends in 2020.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p. 1- 692 (in Korean).
17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2016 Statistical of Forest Wetland.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p. 1-290 (in Korean).
18
Korea National Arboretum. 2019. Checklist of Alien Plants in Korea. Dooroo Happy Co., Ltd., Seoul, Korea. pp. 1-225 (in Korean).
19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1006 (in Korean).
20
Kwon, D.H. 2006. Results of the research on Korea’s wetlands and tasks.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13(1):25-34 (in Korean).
21
Lee, J.W., J.B. An, S.H. Kang and H.G. Yun. 2022a. A study on the flora of outstanding forest wetlands in the eastern part of Jeonnam province. Korean J. Plant Res. 35(1):134-167 (in Korean).
22
Lee, J.W., J.B. An, T.Y. Hwang and H.G. Yun. 2022b.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forest wetlands types and inventory establishment in Korea. J. Wet. Res. 24(1):1-24 (in Korean).
23
Ministry of Environment. 2020. The 4 Intensive Survey on National Inland Wetlands(’20).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pp. 1-516 (in Korean).
24
Ministry of Environment. 2022. The Wetlands Conservation Act. (accessed on 27 February 2022). https://www.law.go.kr.
25
Mitsch and Gosselink. 2000. Wetlands (3rd ed.), John Wiley & Sons. NY (USA). pp. 1-900.
26
Moon, H.S. 2006. The Identification and comprehension of the mountain wetlands.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74:67-71 (in Korean).
27
Omar, M.Y., A. Maroyi and J.J. Van Tol. 2016. Floral diversity,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in a montane wetland in Hogsback, the Eastern Cape Province, South Africa. Pak. J. Bot. 48(5):1861-1870.
28
Ramsar. 2022. Ramsar site and Convention Act. (accessed on 7 February 2022). https://www.ramsar.org/documents.
29
Son, H.J., Y.S. Kim, J.U. Yun, K.W. Chun and W.G. Park. 2014. The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of forest wetlands in Mt. Cheongok (Gyeongbuk Bonghwa). J. Korean Soc. For. Sci. 103(3):313-320 (in Korean). 10.14578/jkfs.2014.103.3.313
30
Tarnocai, C. 2006.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carbon in Canadian peatlands. Glob. Planet. Change 53(4):222-232. 10.1016/j.gloplacha.2006.03.012
31
Tiner, R.W. 1993. Using plants as indicators of wetland. Proc. Acad. Nat. Sci. Philadelphia 144:240-253.
32
Zedler, J. B. and S. Kercher. 2005. Wetland resources: status, trends, ecosystem services, and restorability. Annu. Rev. Environ. Resour. 30(1):39-74. 10.1146/annurev.energy.30.050504.144248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