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 October 2024. 475-526
https://doi.org/10.7732/kjpr.2024.37.5.475

ABSTRACT


MAIN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연구 방법

  • 결 과

  •   관속식물상

  •   IUCN 적색목록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   한반도 특산식물

  •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   한반도 북방계식물

  •   외래식물 및 생태계교란식물

  •   산림복원용 자생식물

  •   산림복원지 유형별 식물상

  •   산림복원지 권역별 식물상 및 식물분포 특성

  • 고 찰

  • 적 요

서 언

산림면적은 1961년 675만㏊ (68.1%)로 최고를 기록한 후, 61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해 2022년에는 629만㏊ (62.6%)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소한 산림면적은 약 46만㏊로, 백두대간, 정맥의 도로개설 등 단절 및 지형 식생, 경관 등의 훼손과 DMZ 일원 군사시설, 농경지 조성에 따른 훼손지가 발생하여 산림생태계 훼손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Korea Forest Service, 2023c). 이러한 국내 산림훼손을 비롯한 산림훼손은 국제적인 문제로 인식되어 2019년 UN총회에서는 생태계 복원에 대한 10개년 계획(The UN Decade on Ecosystem Restoration 2021-2030)을 선언하여 국제적인 산림복원 패러다임을 확산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10개년 계획에서 생태계복원은 기후변화, 빈곤 퇴치, 식량 안보, 물 및 생물다양성 보전과 같은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수적이라고 정의하고 있다(The UN Decade on Ecosystem Restoration, 2024). 또한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쿤밍-몬트리올 당사국총회(COP-15)에서는 ‘포스트-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가 채택되었는데, 특히 목표 D의 타겟 2에서는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기능 및 서비스, 생태학적 온전성 및 연결성을 강화하기 위해 2030년까지 훼손된 육상, 내수, 해양 및 연안 생태계 지역의 최소 30%를 효과적으로 복원하도록 권장하고 있다(CBD, 2022).

생태복원(Ecological restoration)은 서식처 쇠퇴, 훼손 및 파괴된 생태계의 회복을 돕는 과정이고(Society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ternational, 2004), 산림복원(Forest restoration)은 자연적·인위적으로 훼손된 산림의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이 원래의 상태에 가깝게 유지·증진될 수 있도록 그 구조와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을 말한다(Korea Forest Service, 2024). 본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42조의2(산림복원의 기본원칙)는 각호를 준수해야 하는데, 1호는 산림생태계가 보전·관리되고 지속가능하게 이용되어야 하고, 2호는 산림생물다양성이 유지·증진될 수 있어야 하며, 특히 3호는 지형 및 입지에 적합한 자생식물 등을 사용하여 식생을 복원하고, 4호는 산림생태계 균형을 유지하고 가치가 낮아지지 않도록 하며, 5호는 산림복원 시 계획, 모니터링 평가의 유기적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국내 산림복원 계획의 시작은 산림청에서 2001년 백두대간 자연생태계 보전 및 훼손지 복원방안 조사연구(Korea Forest Service, 2001a; 2001b) 등을 추진하면서부터이다. 그 후 2006년에는 본격적으로 백두대간 마산봉의 산림복원 사업 등 4개소에서 사업이 추진되었고, 2009년에는 산림복원 업무처리 지침을 제정하고(Korea Forest Service, 2009) 2018년 산림복원 법제화를 추진하여, 2019년 7월 산림자원법에는 산림복원을 포함해 개정 및 시행하였다. 2019년 12월에는 산림복원 기본계획 2020-2029를 수립하고(Korea Forest Service, 2019), 2020년 9월에는 산림복원용 자생식물 94종 및 자연재료의 공급 등에 관한 고시가 제정되었으며(Korea Forest Service, 2020a),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 2024년 7월 3일 시행되었다(Korea Forest Service, 2024). 하지만 산림복원용 자생식물 94종에 대한 산림생태복원용 기초재료로써 활용할 수 있는 실효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산림복원용 자생식물 94종에 대한 실효성을 제고해 볼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해보고자 하고, 또한 산림복원용 자생식물을 복원 대상지의 식물 분포자료를 통해 향후 산림복원 대상지의 산림복원용 자생식물 재선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기 위한 일환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전국에서 산림생태복원 사업이 진행된 후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사후 모니터링이 실시된 150개소를 대상으로 식물목록 작성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사후모니터링 대상지 150개소의 유형은 도로사면 30개소, 서식환경척박지 24개소, 채광/채석지 24개소, 시설부지 23개소, 등산/산책로 14개소, 산림습원/계류 10개소, 경작지 4개소, 산불피해지 4개소, 산사태피해지 4개소, 폐도 2개소로 구분되었다(Appendix 1, Fig. 1, Table 1). 150개소의 분포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특별시,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외한 11개의 행정구역에 위치하였다. 전체 대상지 5.7 ㎢ 중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지역은 강원도로 44개소(29.3%), 총 면적이 932,972 ㎡ (16.4%)였으며, 다음으로 전라남도에 21개소(14.0%), 총 면적은 1,814,381 ㎡ (31.8%), 충청북도에 20개소(13.3%), 총 면적은 193,987 ㎡ (3.4%), 충청남도에 17개소(11.3%), 총 면적이 326,131 ㎡ (5.7%), 경상북도에 15개소(10.0%), 총 면적이 331,745 ㎡ (5.8%), 경상남도에 12개소(8.0%), 총 면적이 243,370 ㎡ (4.3%), 경기도에 9개소(6.0%), 총 면적이 236,972 ㎡ (4.2%) 순으로 나타났다. 해발고도는 10 m (당진 난지도)부터 1,382 m (인제 구룡덕봉)까지 다양한 고도에 위치하였다. 고도별 현황을 살펴보면, 100 m 미만이 36개소로 가장 많았고, 101~200 m 21개소, 201~300 m 16개소 순으로 나타났다.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4-037-05/N0820370505/images/kjpr_2024_375_475_F1.jpg
Fig. 1.

The map showing the current status of forest restoration post-monitoring site in South Korea.

Table 1.

Distribution status by region according to type of forest restoration post-monitoring site.

Location AZ BY CX DW EV FU GT HS IR JQ KP Total
Gyeonggi . 3 . 1 . . . . 5 . . 9
Gangwon . 26 . . 4 . 1 1 10 . 2 44
Chungbuk 2 . 6 5 1 . . 1 5 . 20
Chungnam . . . . 3 . 1 2 1 10 . 17
Gyeongbuk 1 . 2 3 1 2 1 1 4 . 15
Gyeongnam 1 . . . 3 1 . 1 3 3 . 12
Jeonbuk . 1 1 2 . . . . . . . 4
Jeonnam . . . . . 1 . 17 1 2 . 21
Busan . . 2 . . . . 2 . . . 4
Incheon . . . . . . . . 1 . . 1
Ulsan . . 3 . . . . . . . . 3
Total 4 30 14 11 10 4 4 24 23 24 2 150

ZA: Farmland,

YB: Road slope,

XC: Trail,

WD: Ridge line,

VE: Forest wetland,

UF: Forest fire area,

TG: Landslide area,

SH: Infertile land,

RI: Facilities area,

QJ: Quarry area,

PK: Closed road.

관속식물상을 알아보기 위한 현지 조사는 2020년 3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계절별로 2회에서 6회 수행되었다. 현장에서 조사된 식물에 대한 동정은 대상지에서 주로 실시하였으나 일부 구별이 어려운 식물은 표본을 제작 후에 실험실에서 Lee (1996), Lee (2006)Lee (2014a; 2014b) 등의 도감을 참조하였다. 관속식물상은 Engler의 분류체계(Melchior, 1964)를 따라 양치식물, 나자식물, 피자식물 순으로 정리하였고, 식물목록은 과별로 정리, 속이하 계급은 알파벳순으로 나열하였다. 학명의 기재는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24b), 적색목록은 각각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1)을 따라 기재하였으며, 멸종위기야생식물은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24b), 특산식물은 Chung et al. (2017; 2023)과 Korea National Arboretum (2024c)을 참고하였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의 등급에 따라 기재하였다. 한반도 북방계식물은 Gantsetseg et al. (2020)에 따라 작성하였고, 외래식물과 침입외래식물은 Kang et al. (2020)Korea National Arboretum (2024a)을 참고하였다. 생태계교란식물은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24a)를 참고하였다. 산림복원용 자생식물 공급 목록은 산림복원용 자생식물 및 자연재료의 공급에 관한 고시 (Korea Forest Service, 2020b)를 참고하였다.

결 과

관속식물상

산림생태복원 사후모니터링 대상지 150개소에서 확인된 전체 관속식물은 139과 599속 1,171종 27아종 92변종 11품종 11잡종 5재배품종 총 1,317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Appendix 2, Table 2). 양치식물은 16과 25속 47종 1변종 48분류군(3.6%), 나자식물은 5과 16속 23종 1잡종 24분류군(1.8%), 피자식물은 쌍자엽식물이 103과 440속 855종 21아종 76변종 7품종 9잡종 5재배품종 973분류군(73.9%), 단자엽식물이 15과 118속 246종 6아종 15변종 4품종 1잡종 272분류군(20.7%)이었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724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24b)의 약 27.9%에 해당된다. 과별로 출현종 수가 많은 식물은 국화과가 145분류군(11.0%), 벼과가 113분류군(8.6%), 콩과 67분류군(5.1%), 장미과 66분류군(5.0%), 백합과 55분류군(4.2%), 사초과 53분류군(4.0%) 순으로 나타났다.

산림생태복원 사후모니터링 대상지 150개소에서 가장 빈번하게 출현한 종은 쑥(Artemisia indica Willd.) 142개소(94.7%), 개망초[Erigeron annuus (L.) Pers.] 132개소(88.0%), 산딸기(Rubus crataegifolius Bunge) 113개소(75.3%), 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L.) 110개소(73.3%), 망초[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109개소(72.7%),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L.) 108개소(72.0%), 환삼덩굴[Humulus scandens (Lour.) Merr.] 100개소(66.7%) 및 사위질빵(Clematis apiifolia DC.) 99개소(66.0%) 순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1,317분류군 중에서 조도만두나무(Glochidion chodoense C.S. Lee & H.T. Im) 등 901분류군이 10개소 이하에서만 관찰되었고, 끈끈이귀개[Drosera peltata var. nipponica (Masam.) Ohwi ex E.Walker] 등 300분류군은 단지 1개소에서만 출현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able 2.

The flora of forest restoration post-monitoring site in South Korea.

Taxa Fam. Gen. Sp. Subsp. Var. For. Hybrid Cv. Total Ratio (%)
Pteridophyta 16 25 47 . 1 . . . 48 3.6
Gymnospermae 5 16 23 . . . 1 . 24 1.8
Angiospermae 118 558 1,101 27 91 11 10 5 1,245 94.6
Dicotyledoneae 103 440 855 21 76 7 9 5 973 73.9
Monocotyledoneae 15 118 246 6 15 4 1 . 272 20.7
Total 139 599 1,171 27 92 11 11 5 1,317 100

IUCN 적색목록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산림생태복원 사후모니터링 대상지 150개소에서 출현한 산림청 평가 적색목록은 31과 39속 45종 2변종 4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3). 이는 국립수목원에서 세계자연보전연맹(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의 적목목록 평가기준으로 평가한 2,522분류군 중에서 비교적 위협이 있다고 판단되는 등급에 속하는 목록 705분류군(Korea Natioanl Arboretum, 2021)의 약 6.8%에 해당된다. 위급등급(Critically Endangered, CR)은 조도만두나무(Glochidion chodoense C.S.Lee & H.T.Im), 좀갈매나무[Rhamnus taquetii (H.Lév. & Vaniot) H.Lév.], 섬백리향[Thymus quinquecostatus Čelak. var. magnus (Nakai) Kitam.] 및 두메부추(Allium dumebuchum H.J.Choi) 4분류군 (6.3%), 위기등급(Endangered, EN)은 동강할미꽃(Pulsatilla tongkangensis Y.N.Lee & T.C.Lee), 미선나무(Lysimachia coreana Nakai), 울릉산마늘(Allium ulleungense H.J.Choi & N.Friesen), 작은황새풀(Eriophorum gracile Koch) 등 7분류군 (7.4%), 취약등급(Vulnerable, VU)은 끈끈이귀개[Drosera peltata var. nipponica (Masam.) Ohwi ex E.Walker], 황근(Hibiscus hamabo Siebold & Zucc.), 홍도까치수염(Lysimachia pentapetala Bunge) 등 5분류군 (4.3%), 준위협등급(Near Threatened, NT)은 물여뀌[Persicaria amphibia (L.) Delarbre], 공작고사리(Adiantum pedatum L.), 꼭지연잎꿩의다리(Thalictrum ichangense Lecoy. ex Oliv.), 염주사초(Carex ischnostachya Steud.) 등 13분류군 (11.2%), 정보부족등급(Data Deficient, DD)은 진퍼리사초(Carex arenicola F.Schmidt), 큰꿩의다리(Thalictrum kemense Fr.), 뚝사초[Carex appendiculata (Trautv. & C.A.Mey.) Kük.], 흰사초(Carex doniana Spreng.) 등 18분류군 (5.7%)이 확인되었다.

Table 3.

The red list of Red-list of forest restoration post-monitoring site in South Korea.

Family Scientific name/ Korean name DegreeZ Frequency
(KNA,
2022)
(NIBR,
2021)
Pteridaceae Adiantum pedatum L. 공작고사리 NT 3
Pinaceae Abies koreana E.H.Wilson 구상나무 ▼ EN EN 5
Cupressaceae Juniperus chinensis L. 향나무 ▼ VU NT 14
Cupressaceae 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측백나무 ▼ VU LC 5
Polygonaceae Persicaria amphibia (L.) Delarbre 물여뀌 NT NT 1
Magnoliaceae Magnolia kobus DC. 목련 ▼ DD NT 1
Illiciaceae Illicium anisatum L. 붓순나무 NT LC 3
Lauraceae Cinnamomum camphora (L.) J.Presl 녹나무 NT 3
Ranunculaceae Pulsatilla tongkangensis Y.N.Lee & T.C.Lee 동강할미꽃 EN VU 2
Ranunculaceae Thalictrum ichangense Lecoy. ex Oliv. 꼭지연잎꿩의다리 NT LC 1
Ranunculaceae Thalictrum kemense Fr. 큰꿩의다리 DD 1
Berberidaceae Epimedium koreanum Nakai 삼지구엽초 LC 2
Paeoniaceae Paeonia lactiflora Pall. 작약 ▼ EN NT 4
Droseraceae Drosera peltata Thunb. var. nipponica (Masam.)
Ohwi ex E.Walker 끈끈이귀개
VU NT 1
Droseraceae Drosera rotundifolia L. 끈끈이주걱 LC 1
Saxifragaceae Rodgersia podophylla A.Gray 도깨비부채 LC 1
Rosaceae Potentilla discolor Bunge 솜양지꽃 LC 1
Rosaceae Prunus salicina Lindl. 자두나무 ▼ DD 1
Rosaceae Prunus × yedoensis Matsum. 왕벚나무 ▼ EN 32
Rosaceae Rubus hongnoensis Nakai 가시딸기 DD LC 1
Rosaceae Rubus ribisoideus Matsum. 섬딸기 DD 2
Fabaceae Campylotropis macrocarpa (Bunge) Rehder 꽃싸리 DD 1
Fabaceae Medicago ruthenica (L.) Trautv. 노랑개자리 DD 1
Euphorbiaceae Glochidion chodoense C.S.Lee & H.T.Im 조도만두나무 ▼ CR EN 2
Anacardiaceae Toxicodendron succedaneum (L.) Kuntze 검양옻나무 DD 4
Aquifoliaceae Ilex cornuta Lindl. & Paxton 호랑가시나무 ▼ NT LC 3
Rhamnaceae Berchemia berchemiifolia (Makino) Koidz. 망개나무 ▼ NT LC 1
Rhamnaceae Rhamnus taquetii (H.Lév. & Vaniot) H.Lév. 좀갈매나무 CR EN 1
Malvaceae Hibiscus hamabo Siebold & Zucc. 황근 ▼ VU NT 1
Apiaceae Angelica reflexa B.Y.Lee 강활 DD 3
Apiaceae Peucedanum hakuunense Nakai 백운기름나물 NT NT 1
Ericaceae Rhododendron brachycarpum D.Don ex G.Don 만병초 NT LC 1
Ericaceae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꼬리진달래 ▼ NT 3
Primulaceae Lysimachia coreana Nakai 참좁쌀풀 LC 1
Primulaceae Lysimachia pentapetala Bunge 홍도까치수염 VU VU 1
Oleaceae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미선나무 ▼ EN VU 2
Oleaceae 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이팝나무 ▼ LC 11
Apocynaceae Cynanchum inamoenum (Maxim.) Loes. ex Gilg & Loes. 선백미꽃 LC 1
Rubiaceae Rubia hexaphylla (Makino) Makino 가지꼭두서니 DD 1
Boraginaceae 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old & Zucc. 지치 LC 2
Boraginaceae Trigonotis icumae (Maxim.) Makino 덩굴꽃마리 LC 1
Lamiaceae Mosla japonica (Benth. ex Oliv.) Maxim. 산들깨 LC 2
Lamiaceae Salvia chanryoenica Nakai 참배암차즈기 LC 1
Lamiaceae Thymus quinquecostatus Čelak. var. magnus (Nakai) Kitam. 섬백리향 CR NT 1
Orobanchaceae Orobanche coerulescens Stephan ex Willd. 초종용 LC 2
Caprifoliaceae Lonicera insularis Nakai 섬괴불나무 DD 1
Campanulaceae Adenophora grandiflora Nakai 도라지모시대 DD 1
Liliaceae Allium dumebuchum H.J.Choi 두메부추 CR NT 1
Liliaceae Allium ulleungense H.J.Choi & N.Friesen 울릉산마늘 EN 1
Liliaceae Lilium distichum Nakai ex Kamib. 말나리 LC 1
Liliaceae Polygonatum infundiflorum Y.S.Kim, B.U.Oh & C.G.Jang 늦둥굴레 DD 1
Liliaceae Tricyrtis macropoda Miq. 뻐꾹나리 LC 3
Iridaceae Iris domestica (L.) Goldblatt & Mabb. 범부채 LC 4
Iridaceae Iris setosa Pall. ex Link 부채붓꽃 EN VU 3
Commelinaceae Pollia japonica Thunb. 나도생강 NT 1
Poaceae Calamagrostis purpurea (Trin.) Trin. 산새풀 DD 4
Poaceae Festuca japonica Makino 산묵새 DD 1
Araceae Acorus calamus L. 창포 LC 1
Araceae Arisaema takesimense Nakai 섬남성 NT LC 1
Araceae Symplocarpus nipponicus Makino 애기앉은부채 LC 1
Typhaceae Sparganium glomeratum (Laest. Ex Beurl.) Beurl. 두메흑삼릉 DD 1
Cyperaceae Carex appendiculata (Trautv. & C.A.Mey.) Kük. 뚝사초 DD 3
Cyperaceae Carex arenicola F.Schmidt 진퍼리사초 DD 2
Cyperaceae Carex chungii Z.P.Wang 큰청사초 DD 1
Cyperaceae Carex doniana Spreng. 흰사초 DD 1
Cyperaceae Carex ischnostachya Steud. 염주사초 NT LC 2
Cyperaceae Eriophorum gracile Koch 작은황새풀 EN LC 1
Orchidaceae Cymbidium goeringii (Rchb.f.) Rchb.f. 보춘화 LC 5

ZKNA (2021): CR (Critically Endangered), EN (Endangered), VU (Vulnerable), NT (Near Threatened), DD (Data Deficient).

NIBR (2021): CR (Critically Endangered), EN (Endangered), VU (Vulnerable), NT (Near Threatened), LC (Least Concern).

★: Endangered wildlife, ▼: planted plant.

이와 비교하여,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에서 평가한 적색목록은 총 29과 44속 45종 2변종 총 47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위급종(CR: Critically Endangered)은 나타나지 않았고, 위기종(EN: Endangered)은 조도만두나무(Glochidion chodoense C.S.Lee & H.T.Im), 구상나무(Abies koreana E.H.Wilson) 등 4분류군 (4.7%), 취약종(VU: Vulnerable)은 동강할미꽃(Pulsatilla tongkangensis Y.N.Lee & T.C.Lee), 홍도까치수염(Lysimachia pentapetala Bunge), 부채붓꽃(Iris setosa Pall. ex Link) 등 4분류군 (3.6%)이 출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준위협종(NT: Near Threatened)은 끈끈이귀개[Drosera peltata var. nipponica (Masam.) Ohwi ex E.Walker], 황근(Hibiscus hamabo Siebold & Zucc.), 백운기름나물(Peucedanum hakuunense Nakai), 섬백리향[Thymus quinquecostatus Čelak. var. magnus (Nakai) Kitam.] 등 9분류군 (16.1%), 관심대상종(LC: Least Concern)은 꼭지연잎꿩의다리(Thalictrum ichangense Lecoy. ex Oliv.), 삼지구엽초(Epimedium koreanum Nakai), 끈끈이주걱(Drosera rotundifolia L.) 및 보춘화[Cymbidium goeringii (Rchb.f.) Rchb.f.] 등 28분류군 (28.9%), 정보부족종(Data Deficient, DD)은 도라지모시대(Adenophora grandiflora Nakai)와 늦둥굴레(Polygonatum infundiflorum Y.S.Kim, B.U.Oh & C.G.Jang) 2분류군(5.0%)이 파악되었다(Table 3, Fig. 2). 이는 국립생물자원관에서 평가된 적색목록 543분류군(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1)의 약 8.8%에 해당된다.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4-037-05/N0820370505/images/kjpr_2024_375_475_F2.jpg
Fig. 2.

The pictures showing red list plants on forest restoration post-monitoring site in South Korea.

이들 두 목록을 통합해서 살펴보면 적색목록 해당종은 38과 56속 66종 2변송 총 6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3). 이들 식물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출현한 적색목록은 왕벚나무(Prunus × yedoensis Matsum.)가 32회로 가장 많은 산림복원지에서 확인되었으며, 다음으로 향나무(Juniperus chinensis L.) 14회,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11회, 구상나무(Abies koreana E.H.Wilson)와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5회,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 검양옻나무[Toxicodendron succedaneum (L.) Kuntze] 및 산새풀[Calamagrostis purpurea (Trin.) Trin.] 4회, 공작고사리(Adiantum pedatum L.) 등 10분류군이 3회, 동강할미꽃(Pulsatilla tongkangensis Y.N.Lee & T.C.Lee) 등 10분류군이 2회, 물여뀌[Persicaria amphibia (L.) Delarbre] 등 40분류군이 1회 출현하였다.

각 기관별 적색목록의 등급별로 출현빈도를 살펴보면, 산림청 적색목록 중 위급등급종은 조도만두나무(Glochidion chodoense C.S. Lee & H.T. Im) 2회, 좀갈매나무[Rhamnus taquetii (H.Lév. & Vaniot) H.Lév.] 등 3분류군은 1회, 위기등급종은 구상나무(Abies koreana E.H.Wilson) 5회,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 4회, 부채붓꽃(Iris setosa Pall. ex Link) 3회, 동강할미꽃(Pulsatilla tongkangensis Y.N.Lee & T.C.Lee)과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2회 및 울릉산마늘(Allium ulleungense H.J.Choi & N.Friesen) 등 3분류군이 1회, 취약등급종은 향나무(Juniperus chinensis L.) 14회,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5회, 끈끈이귀개[Drosera peltata var. nipponica (Masam.) Ohwi ex E.Walker], 황근(Hibiscus hamabo Siebold & Zucc.) 및 홍도까치수염(Lysimachia pentapetala Bunge)이 각각 1회, 준위협등급종은 공작고사리(Adiantum pedatum L.) 및 꼬리진달래(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등 5분류군이 3회, 염주사초(Carex ischnostachya Steud.) 2회,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 D.Don ex G.Don) 및 망개나무[Berchemia berchemiifolia (Makino) Koidz.] 등 7분류군이 1회, 정보부족등급종은 검양옻나무[Toxicodendron succedaneum (L.) Kuntze]와 산새풀[Calamagrostis purpurea (Trin.) Trin.]이 4회, 강활(Angelica reflexa B.Y.Lee)과 뚝사초[Carex appendiculata (Trautv. & C.A.Mey.) Kük.]가 3회, 섬딸기(Rubus ribisoideus Matsum.)와 진퍼리사초(Carex arenicola F.Schmidt)가 2회, 큰꿩의다리(Thalictrum kemense Fr.) 등 12분류군이 1회 출현하였다. 환경부 적색목록 중 위급종은 출현하지 않았고, 위기종은 왕벚나무(Prunus × yedoensis Matsum.) 32회, 구상나무(Abies koreana E.H.Wilson) 5회, 조도만두나무(Glochidion chodoense C.S. Lee & H.T. Im) 2회, 좀갈매나무[Rhamnus taquetii (H.Lév. & Vaniot) H. Lév.] 1회, 취약종은 부채붓꽃(Iris setosa Pall. ex Link) 3회, 동강할미꽃(Pulsatilla tongkangensis Y.N. Lee & T.C. Lee)과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2회, 홍도까치수염(Lysimachia pentapetala Bunge) 1회, 준위협종은 향나무(Juniperus chinensis L.) 14회,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 4회, 물여뀌[Persicaria amphibia (L.) Delarbre] 등 7분류군이 1회, 관심대상종은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11회,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와 보춘화[Cymbidium goeringii (Rchb.f.) Rchb.f.] 5회, 붓순나무(Illicium anisatum L.) 등 4분류군이 3회, 초종용(Orobanche coerulescens Stephan ex Willd.) 및 삼지구엽초(Epimedium koreanum Nakai) 등 5분류군이 2회, 끈끈이주걱(Drosera rotundifolia L.) 등 16분류군이 1회, 정보부족종은 도라지모시대(Adenophora grandiflora Nakai)와 늦둥굴레(Polygonatum infundiflorum Y.S.Kim, B.U.Oh & C.G.Jang)가 각각 1회 출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은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인하여 개체 수가 현격하게 감소하거나 소수만 남아있어 가까운 장래에 절멸될 위기에 처해 있는 야생생물이다(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24b). 산림생태복원 사후모니터링 대상지 150개소에서 출현한 멸종위기 야생식물 Ⅱ급은 끈끈이귀개[Drosera peltata var. nipponica (Masam.) Ohwi ex E. Walker] 1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Table 3). 국내에는 전남의 해안가 산지의 들판이나 무덤에서 드물게 분포하는 끈끈이귀개는 전남 신안군 도초면 수항리에 위치한 산림복원지에서 출현하였다. 이곳은 2022년에 생달나무(Cinnamomum yabunikkei H.Ohba), 후박나무(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가시나무(Quercus myrsinifolia Blume), 구실잣밤나무[Castanopsis sieboldii (Makino) Hatus.] 등을 식재하여 완공한 지역으로 우점종은 곰솔(Pinus thunbergii Parl.)과 후박나무(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이고 생육지 지형은 사면 토양형은 갈색산림토양 등으로 파악되었다.

한반도 특산식물

한반도 특산식물은 자생식물 중 한반도라는 한정된 지역에서만 분포하고 있는 식물이다(Korea Forest Service, 2023a). 산림생태복원 사후모니터링 대상지 150개소에서 확인된 한반도 특산식물은 27과 47속 51종 1아종 3변종 총 55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4, Fig. 3). 이는 한반도 특산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24c) 380분류군의 14.5%에 해당한다. 산림생태복원 사후모니터링 대상지 150개소에서 가장 빈번하게 출현한 한반도 특산식물은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43개소에서 조사되었다. 그다음으로는 백운산원추리(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34개소, 오동나무(Paulownia coreana Uyeki) 24개소, 은사시나무(Populus × tomentiglandulosa T.B.Lee)가 21개소, 개나리[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식재) 21개소, 좀땅비싸리(Indigofera koreana Ohwi) 17개소, 벌개미취(Aster koraiensis Nakai) 16개소, 지리대사초(Carex okamotoi Ohwi)가 11개소 순으로 확인되었다.

Table 4.

The list of endemic plants on forest restoration post-monitoring site in South Korea.

Family Scientific name Korean name Frequency
Pinaceae Abies koreana E.H.Wilson 구상나무 5
Pinaceae Tsuga ulleungensis G.P.Holman, Del Tredici, Havill,
N.S.Lee & C.S.Campb.
울릉솔송나무 3
Salicaceae Populus × tomentiglandulosa T.B.Lee 은사시나무 21
Ranunculaceae Aconitum pseudolaeve Nakai 진범 3
Ranunculaceae Clematis brachyura Maxim. 외대으아리 8
Ranunculaceae Clematis fusca var. flabellata (Nakai) J.S.Kim 요강나물 1
Ranunculaceae Clematis trichotoma Nakai 할미밀망 7
Ranunculaceae Clematis urticifolia Nakai ex Kitag. 병조희풀 4
Ranunculaceae Pulsatilla tongkangensis Y.N.Lee & T.C.Lee 동강할미꽃 2
Ranunculaceae Thalictrum actaeifolium var. brevistylum Nakai 은꿩의다리 2
Berberidaceae Berberis koreana Palib. 매자나무 1
Aristolochiaceae Asarum chungbuensis (C.S.Yook & J.G.Kim) B.U.Oh 무늬족도리풀 1
Theaceae Stewartia koreana Nakai ex Rehder 노각나무 3
Crassulaceae Phedimus takesimensis (Nakai) 't Hart 섬기린초 3
Rosaceae Rubus hongnoensis Nakai 가시딸기 1
Rosaceae Rubus takesimensis Nakai 섬나무딸기 1
Fabaceae Indigofera koreana Ohwi 좀땅비싸리 17
Fabaceae Lespedeza maritima Nakai 해변싸리 7
Fabaceae Vicia chosenensis Ohwi 노랑갈퀴 3
Euphorbiaceae Glochidion chodoense C.S.Lee & H.T.Im 조도만두나무 2
Aquifoliaceae Ilex × wandoensis C.F.Mill. & M.Kim 완도호랑가시나무 2
Rhamnaceae Rhamnus taquetii (H.Lév. & Vaniot) H.Lév. 좀갈매나무 1
Apiaceae Angelica reflexa B.Y.Lee 강활 3
Apiaceae Dystaenia takesimana (Nakai) Kitag. 섬바디 4
Apiaceae Peucedanum hakuunense Nakai 백운기름나물 1
Primulaceae Lysimachia coreana Nakai 참좁쌀풀 1
Oleaceae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미선나무 2
Oleaceae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개나리 21
Oleaceae Ligustrum foliosum Nakai 섬쥐똥나무 2
Rubiaceae Asperula lasiantha Nakai 갈퀴아재비 3
Lamiaceae Salvia chanryoenica Nakai 참배암차즈기 1
Lamiaceae Thymus quinquecostatus var. magnus (Nakai) Kitam. 섬백리향 1
Solanaceae Scopolia parviflora (Dunn) Nakai 미치광이풀 3
Scrophulariaceae Paulownia coreana Uyeki 오동나무 24
Scrophulariaceae Scrophularia koraiensis Nakai 토현삼 3
Caprifoliaceae Lonicera insularis Nakai 섬괴불나무 1
Caprifoliaceae Sambucus racemosa subsp. pendula (Nakai) H.I.Lim & C.S.Chang 말오줌나무 2
Caprifoliaceae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병꽃나무 43
Valerianaceae Valeriana dageletiana Nakai ex F.Maek. 넓은잎쥐오줌풀 1
Campanulaceae Campanula takesimana Nakai 섬초롱꽃 3
Asteraceae Aster koraiensis Nakai 벌개미취 16
Asteraceae Aster pseudoglehnii Y.S.Lim, Hyun & H.Shin 섬쑥부쟁이 1
Asteraceae Cirsium setidens (Dunn) Nakai 고려엉겅퀴 4
Asteraceae Saussurea seoulensis Nakai 분취 1
Liliaceae Allium dumebuchum H.J.Choi 두메부추 1
Liliaceae Allium ulleungense H.J.Choi & N.Friesen 울릉산마늘 1
Liliaceae Heloniopsis koreana Fuse, N.S.Lee & M.N.Tamura 처녀치마 2
Liliaceae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백운산원추리 34
Liliaceae Hemerocallis hongdoensis M.G.Chung & S.S.Kang 홍도원추리 1
Liliaceae Hosta minor (Baker) Nakai 좀비비추 2
Liliaceae Polygonatum infundiflorum Y.S.Kim, B.U.Oh & C.G.Jang 늦둥굴레 1
Dioscoreaceae Dioscorea coreana (Prain & Burkill) R.Knuth 푸른마 6
Araceae Arisaema takesimense Nakai 섬남성 1
Cyperaceae Carex fusanensis Ohwi 부산사초 3
Cyperaceae Carex okamotoi Ohwi 지리대사초 11

▼: planted plant.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4-037-05/N0820370505/images/kjpr_2024_375_475_F3.jpg
Fig. 3.

The pictures showing endemic plants on forest restoration post-monitoring site in South Korea.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산림생태복원 사후모니터링 대상지 150개소에서 확인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94과 229속 305종 2아종 17변종 총 324분류군이었다(Appendix 2). 전체 출현식물 1,317분류군의 약 24.6%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Ⅰ~Ⅴ등급 전체 1,476분류군의 약 22.0%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V등급은 북방계 또는 남방계 식물들이 빙하기에 유입되거나 또는 생태적 환경 때문에 현재는 극히 일부 지역에서만 고립하여 분포하거나 불연속적으로 분포하는 특성을 갖는 식물(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로 목련(Magnolia kobus DC.), 끈끈이귀개[Drosera peltata var. nipponica (Masam.) Ohwi ex E.Walker], 조도만두나무(Glochidion chodoense C.S.Lee & H.T.Im), 황근(Hibiscus hamabo Siebold & Zucc.) 등 9분류군이 출현하였고, 전체 Ⅴ등급 258분류군의 3.5%가 출현하였다(Table 5, Fig. 4). Ⅴ등급 식물 중에서 출현빈도가 높은 종은 갈퀴아재비(Asperula lasiantha Nakai) 3회, 동강할미꽃(Pulsatilla tongkangensis Y.N.Lee & T.C.Lee) 등 3분류군은 2회, 목련(Magnolia kobus DC.) 및 작은황새풀(Eriophorum gracile Koch) 등 5분류군은 1회 순으로 확인되었다.

Table 5.

The list of floristic target plants at grade Ⅴ on forest restoration post-monitoring site in South Korea.

Family Scientific name Korean name Frequency
Magnoliaceae Magnolia kobus DC. 목련 ▼ 1
Ranunculaceae Pulsatilla tongkangensis Y.N.Lee & T.C.Lee 동강할미꽃 2
Droseraceae Drosera peltata var. nipponica (Masam.) Ohwi ex E.Walker 끈끈이귀개 1
Fabaceae Medicago ruthenica (L.) Trautv. 노랑개자리 1
Euphorbiaceae Glochidion chodoense C.S.Lee & H.T.Im 조도만두나무 ▼ 2
Malvaceae Hibiscus hamabo Siebold & Zucc. 황근 ▼ 1
Oleaceae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미선나무 ▼ 2
Rubiaceae Asperula lasiantha Nakai 갈퀴아재비 3
Cyperaceae Eriophorum gracile Koch 작은황새풀 1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4-037-05/N0820370505/images/kjpr_2024_375_475_F4.jpg
Fig. 4.

The pictures showing floristic target plants at grade Ⅴ on forest restoration post-monitoring site in South Korea.

IV등급은 중부아구, 제주아구, 남해안아구 및 남부아구 4개의 아구 중 1개의 아구에 분포하며, 산발적으로 생육하여 개체수가 적거나 혹은 무리지어 생육하여 개체수가 비교적 많은 분류군이 이에 속한다(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산림복원지 사후모니터링 대상지에서 출현한 구계학적 특정식물 IV등급은 36과 48속 53종 2아종 총 55분류군이 출현하였고, 전체 Ⅳ등급 440분류군의 약 12.5%가 관찰되었다. Ⅳ등급의 출현 빈도는 왕벚나무(Prunus × yedoensis Matsum.) 32회, 등[Wisteria floribunda (Willd.) DC.] 16회, 가시나무(Quercus myrsinifolia Blume) 11회,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5회, 왕호장근[Reynoutria sachalinensis (F. Schmidt) Nakai] 등 5분류군은 4회, 녹나무[Cinnamomum camphora (L.) J.Presl] 등 9분류군은 3회 등 순으로 나타났다(Table 6, Fig. 5).

Table 6.

The list of floristic target plants at grade Ⅳ on forest restoration post-monitoring site in South Korea.

Family Scientific name Korean name Frequency
Athyriaceae Athyrium iseanum Rosenst. 가는잎개고사리 1
Pinaceae Pinus parviflora Siebold & Zucc. 섬잣나무 2
Cupressaceae 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측백나무 5
Salicaceae Populus suaveolens Fisch. ex Poit. & A.Vilm. 황철나무 1
Fagaceae Quercus myrsinifolia Blume 가시나무 11
Urticaceae Laportea cuspidata (Wedd.) Friis 큰쐐기풀 1
Polygonaceae Persicaria amphibia (L.) Delarbre 물여뀌 1
Polygonaceae Reynoutria sachalinensis (F.Schmidt) Nakai 왕호장근 4
Lauraceae Cinnamomum camphora (L.) J.Presl 녹나무 3
Ranunculaceae Anemone reflexa Steph. ex Willd. 회리바람꽃 1
Ranunculaceae Thalictrum ichangense Lecoy. ex Oliv. 꼭지연잎꿩의다리 1
Berberidaceae Berberis koreana Palib. 매자나무 1
Berberidaceae Epimedium koreanum Nakai 삼지구엽초 2
Theaceae Ternstroemia gymnanthera (Wight & Arn.) Bedd. 후피향나무 4
Brassicaceae Arabidopsis thaliana (L.) Heynh. 애기장대 1
Crassulaceae Phedimus takesimensis (Nakai) 't Hart 섬기린초 3
Saxifragaceae Rodgersia podophylla A.Gray 도깨비부채 1
Hydrangeaceae Schizophragma hydrangeoides Siebold & Zucc. 바위수국 1
Rosaceae Prunus × yedoensis Matsum. 왕벚나무 32
Rosaceae Rubus hongnoensis Nakai 가시딸기 1
Rosaceae Rubus ribisoideus Matsum. 섬딸기 2
Rosaceae Rubus takesimensis Nakai 섬나무딸기 1
Fabaceae Campylotropis macrocarpa (Bunge) Rehder 꽃싸리 1
Fabaceae Wisteria floribunda (Willd.) DC. 16
Anacardiaceae Toxicodendron succedaneum (L.) Kuntze 검양옻나무 4
Aceraceae Acer tegmentosum Maxim. 산겨릅나무 1
Aquifoliaceae Ilex rotunda Thunb. 먼나무 4
Rhamnaceae Berchemia berchemiifolia (Makino) Koidz. 망개나무 1
Rhamnaceae Rhamnus davurica Pall. 갈매나무 3
Rhamnaceae Rhamnus taquetii (H.Lév. & Vaniot) H.Lév. 좀갈매나무 1
Apiaceae Dystaenia takesimana (Nakai) Kitag. 섬바디 4
Apiaceae Hydrocotyle sibthorpioides Lam. 피막이 2
Ericaceae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꼬리진달래 3
Primulaceae Lysimachia coreana Nakai 참좁쌀풀 1
Primulaceae Lysimachia pentapetala Bunge 홍도까치수염 1
Oleaceae Ligustrum foliosum Nakai 섬쥐똥나무 2
Lamiaceae Salvia chanryoenica Nakai 참배암차즈기 1
Scrophulariaceae Scrophularia koraiensis Nakai 토현삼 3
Caprifoliaceae Lonicera insularis Nakai 섬괴불나무 1
Caprifoliaceae Sambucus racemosa L. subsp. pendula (Nakai)
H.I.Lim & Chin S.Chang
말오줌나무 2
Valerianaceae Patrinia rupestris (Pall.) Juss. 돌마타리 1
Valerianaceae Valeriana dageletiana Nakai ex F.Maek. 넓은잎쥐오줌풀 1
Campanulaceae Campanula takesimana Nakai 섬초롱꽃 3
Asteraceae Artemisia littoricola Kitam. 갯제비쑥 1
Asteraceae Aster pseudoglehnii Y.S.Lim, Hyun & H.Shin 섬쑥부쟁이 1
Liliaceae Allium ulleungense H.J.Choi & N.Friesen 울릉산마늘 1
Liliaceae Hemerocallis middendorffii Trautv. & C.A.Mey. 큰원추리 1
Liliaceae Lilium leichtlinii Hook.f. subsp. maximowiczii (Regel) J.Compton 중나리 2
Iridaceae Iris setosa Pall. ex Link 부채붓꽃 3
Poaceae Festuca japonica Makino 산묵새 1
Poaceae Festuca rubra L. 왕김의털 3
Araceae Arisaema takesimense Nakai 섬남성 1
Cyperaceae Carex appendiculata (Trautv. & C.A.Mey.) Kük. 뚝사초 3
Cyperaceae Carex arenicola F.Schmidt 진퍼리사초 2
Cyperaceae Carex stipata Muhl. ex Willd. 양덕사초 1

▼: planted plant.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4-037-05/N0820370505/images/kjpr_2024_375_475_F5.jpg
Fig. 5.

The pictures showing floristic target plants at grade Ⅳ on forest restoration post-monitoring site in South Korea.

한반도 북방계식물

산림복원지 사후모니터링 대상지에서 출현한 한반도 북방계식물은 57과 116속 154종 3아종 5변종 총 162분류군으로 나타났다(Appendix, 2). 전체 북방계식물 615분류군의 약 26.3%가 조사되었다. 북방계식물의 출현 빈도는 산딸기(Rubus crataegifolius Bunge) 113회,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93회, 제비꽃(Viola mandshurica W.Becker) 80회, 양지꽃(Potentilla fragarioides L. var. major Maxim. ) 73회, 물오리나무[Alnus incana (L.) Moench subsp. hirsuta (Turcz. ex Spach) Á.Löve & D.Löve] 55회,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와 큰기름새(Spodiopogon sibiricus Trin.) 52회, 철쭉(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47회 순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 식물 300 (Korea National Arboretum, 2010) 중에서 북방계식물 100에 해당되는 식물은 17과 21속 22종 1변종 총 23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외래식물 및 생태계교란식물

외래식물은 외국으로부터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유입되어 그 본래의 원산지 또는 자생지를 벗어나 생육하는 종으로 국내에는 420분류군으로 파악되었고, 침입외래식물(380분류군)과 불확실종(40분류군)으로 구분된다. 침입외래식물은 10년 이상 자생종과 구분없이 융화되어 자리는 귀화식물(255분류군)과 임시정착식물(125분류군)로 구분된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24a). 산림복원지 사후모니터링 대상지에서 확인된 외래식물은 나도닭의덩굴[Fallopia convolvulus (L.) Á.Löve], 털여뀌[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하수오[Reynoutria multiflora (Thunb.) Moldenke] 등 24과 78속 119종 3아종 1변종 총 12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7, Fig. 6). 전체 외래식물 420분류군의 약 29.3%가 조사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121분류군(31.8%)이 확인되었고, 이중 귀화식물과 임시정착식물은 각각 115분류군(30.3%)과 6분류군(4.8%)으로 확인되었으며, 불확실종은 유럽큰고추풀(Gratiola officinalis L.)과 다닥냉이(Lepidium apetalum Willd.) 2분류군(5%)으로 확인되었다.

Table 7.

The list of alien plants on forest restoration post-monitoring site in South Korea.

Family name Scientific name / Korean name L-f Orig.Z Type IT. DegreeZ Fre.
Polygonaceae Fallopia convolvulus (L.) Á.Löve 나도닭의덩굴 1 Af, As, Eu IAP (NP) 3 MS 1
Polygonaceae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털여뀌 1 As, Oc IAP (NP) 2 CS 3
Polygonaceae Reynoutria multiflora (Thunb.) Moldenke 하수오 Pe. As IAP (NP) 1 PS 3
Polygonaceae Rumex acetosella L. 애기수영 Pe. As, Af, Eu IAP (NP) 3 WS 18
Polygonaceae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Pe. Af, As, Eu IAP (NP) 3 WS 61
Polygonaceae Rumex obtusifolius L. 돌소리쟁이 Pe. Af, As, Eu IAP (NP) 3 WS 8
Phytolaccaceae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Pe. nA IAP (NP) 3 WS 68
Molluginaceae Mollugo verticillata L. 큰석류풀 1 nA, sA, Af IAP (NP) 3 MS 3
Caryophyllaceae Cerastium glomeratum Thuill. 유럽점나도나물 2 As, Af, Eu IAP (NP) 3 WS 41
Caryophyllaceae Spergularia rubra (L.) J.Presl & C.Presl 유럽개미자리 1 Af, As, Eu IAP (NP) 3 PS 1
Caryophyllaceae Stellaria media (L.) Vill. 별꽃 1 Af, As, Eu IAP (NP) 1 WS 34
Chenopodiaceae Chenopodium album L. 흰명아주 1 As, Eu, nA, Af IAP (NP) 3 WS 62
Chenopodiaceae Chenopodium ficifolium Sm. 좀명아주 1 As, Eu, Af IAP (NP) 3 WS 14
Chenopodiaceae Chenopodium glaucum L. 취명아주 1 As, Eu, Oc IAP (NP) 2 CS 3
Chenopodiaceae Chenopodium hybridum L. 얇은명아주 1 As, Eu IAP (CAP) 2 PS 1
Amaranthaceae Amaranthus blitum L. subsp. oleraceus (L.) Costea 개비름 1 As IAP (NP) 2 WS 1
Amaranthaceae Amaranthus patulus Bertol. 가는털비름 1 nA, sA IAP (NP) 3 WS 2
Amaranthaceae Amaranthus retroflexus L. 털비름 1 nA IAP (NP) 3 SS 3
Brassicaceae Barbarea vulgaris W.T.Aiton 유럽나도냉이 Pe. As, Eu, Af IAP (NP) 3 MS 9
Brassicaceae Descurainia sophia (L.) Webb ex Prantl 재쑥 2 As, Eu, Af IAP (NP) 1 MS 1
Brassicaceae Lepidium apetalum Willd. 다닥냉이 2 As PIP (UN) 3 - 6
Brassicaceae Lepidium virginicum L. 콩다닥냉이 2 nA IAP (NP) 3 WS 31
Brassicaceae Thlaspi arvense L. 말냉이 2 As, Eu IAP (NP) 1 WS 13
Rosaceae Potentilla supina L. subsp. paradoxa (Nutt.) Soják 개소시랑개비 2 nA, As IAP (NP) 2 SS 8
Fabaceae Lespedeza davidii Franch. 큰잎싸리 Tr. As IAP (NP) 3 PS 1
Fabaceae Lespedeza lichiyuniae T.Nemoto, H.Ohashi & T.Itô 자주비수리 Pe. As IAP (NP) 3 PS 1
Fabaceae Lotus corniculatus L. 서양벌노랑이 Pe. Af, As, Eu IAP (NP) 3 PS 7
Fabaceae Medicago lupulina L. 잔개자리 2 Af, As, Eu IAP (NP) 3 MS 7
Fabaceae Medicago polymorpha L. 개자리 1 Af, As, Eu IAP (NP) 2 MS 1
Fabaceae Medicago sativa L. 자주개자리 Pe. As, Eu, Af IAP (NP) 3 WS 17
Fabaceae Melilotus albus Medik. 흰전동싸리 2 Af, As, Eu IAP (NP) 3 CS 1
Fabaceae Melilotus suaveolens Ledeb. 전동싸리 2 As IAP (NP) 3 SS 3
Fabaceae Trifolium pratense L. 붉은토끼풀 Pe. Af, As, Eu IAP (NP) 2 WS 7
Fabaceae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Pe. As, Af, Eu IAP (NP) 2 WS 70
Fabaceae Vicia dasycarpa Ten. 각시갈퀴나물 2 As, Af, Eu IAP (NP) 3 MS 2
Fabaceae Vicia villosa Roth 벳지 2 Af, As, Eu IAP (NP) 3 CS 4
Oxalidaceae Oxalis corniculata L. 괭이밥 Pe. nA, sA IAP (NP) 2 WS 81
Oxalidaceae Oxalis dillenii Jacq. 들괭이밥 Pe. nA IAP (CAP) 3 MS 31
Geraniaceae Geranium carolinianum L. 미국쥐손이 1 nA IAP (NP) 3 PS 10
Euphorbiaceae Euphorbia hypericifolia L. 큰땅빈대 1 nA, sA IAP (NP) 3 SS 3
Euphorbiaceae Euphorbia maculata L. 애기땅빈대 1 nA IAP (NP) 2 WS 13
Malvaceae Abutilon theophrasti Medik. 어저귀 1 As IAP (NP) 2 SS 2
Malvaceae Hibiscus trionum L. 수박풀 1 As, Af, Eu IAP (NP) 2 MS 1
Cucurbitaceae Sicyos angulatus L. 가시박 1 nA IAP (NP) 3 WS 3
Onagraceae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2 nA IAP (NP) 2 WS 108
Apiaceae Anthriscus caucalis M.Bieb. 유럽전호 1 Af, Eu, As, sA IAP (NP) 3 MS 1
Rubiaceae Diodia teres Walter 백령풀 1 nA, sA IAP (NP) 3 MS 2
Convolvulaceae Cuscuta campestris Yunck. 미국실새삼 1 nA, sA IAP (NP) 3 WS 10
Convolvulaceae Ipomoea lacunosa L. 애기나팔꽃 1 nA IAP (NP) 3 CS 2
Convolvulaceae Ipomoea nil (L.) Roth 나팔꽃 1 nA IAP (NP) 3 SS 1
Convolvulaceae Ipomoea purpurea (L.) Roth 둥근잎나팔꽃 1 sA, nA IAP (NP) 2 WS 2
Convolvulaceae Ipomoea hederacea Jacq. 미국나팔꽃 1 nA, sA IAP (NP) 2 WS 5
Convolvulaceae Quamoclit coccinea (L.) Moench 둥근잎유홍초 1 nA IAP (NP) 2 WS 3
Lamiaceae Lamium purpureum L. 자주광대나물 2 As, Eu, Af IAP (NP) 3 CS 1
Solanaceae Solanum americanum Mill. 미국까마중 1 nA, sA IAP (NP) 3 WS 16
Solanaceae Solanum carolinense L. 도깨비가지 Pe. nA IAP (NP) 3 CS 2
Solanaceae Solanum nigrum L. 까마중 Pe. Af, Eu, As IAP (NP) 2 WS 28
Scrophulariaceae Gratiola officinalis L. 유럽큰고추풀 Pe. As, Eu, Af PIP (UN) 3 - 1
Scrophulariaceae Veronica anagallis-aquatica L. 큰물칭개나물 Pe. As, Eu IAP (CAP) 3 MS 1
Scrophulariaceae Veronica arvensis L. 선개불알풀 1 Af, As, Eu IAP (NP) 3 WS 38
Scrophulariaceae Veronica hederifolia L. 눈개불알풀 2 nA, sA IAP (NP) 3 MS 1
Scrophulariaceae Veronica peregrina L. 문모초 2 nA, sA IAP (NP) 1 MS 7
Scrophulariaceae Veronica persica Poir. 큰개불알풀 2 As IAP (NP) 3 WS 13
Scrophulariaceae Veronica polita Fr. 개불알풀 1 Af, As, Eu IAP (NP) 1 CS 1
Plantaginaceae Plantago lanceolata L. 창질경이 Pe. As, Eu, Af IAP (NP) 2 MS 1
Asteraceae Ageratina altissima (L.) R.M.King & H.Rob. 서양등골나물 Pe. nA IAP (NP) 3 CS 5
Asteraceae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1 nA IAP (NP) 3 WS 70
Asteraceae Ambrosia trifida L. 단풍잎돼지풀 1 nA IAP (NP) 3 SS 25
Asteraceae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1 nA IAP (NP) 3 WS 60
Asteraceae Bidens pilosa L. 울산도깨비바늘 1 nA, sA IAP (NP) 3 SS 32
Asteraceae Carduus crispus L. 지느러미엉겅퀴 2 As, Eu IAP (NP) 2 SS 17
Asteraceae Conyza bonariensis (L.) Cronquist 실망초 2 nA, sA, As IAP (NP) 2 CS 8
Asteraceae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2 nA, sA IAP (NP) 2 WS 109
Asteraceae Crassocephalum crepidioides (Benth.) S.Moore 주홍서나물 1 Af IAP (NP) 3 SS 17
Asteraceae Eclipta thermalis Bunge 한련초 1 nA, sA IAP (NP) 1 WS 4
Asteraceae Erechtites hieraciifolius (L.) Raf. ex DC. 붉은서나물 1 nA, sA IAP (NP) 3 WS 43
Asteraceae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2 nA IAP (NP) 2 WS 132
Asteraceae Erigeron floribundus (Kunth) Sch.Bip. 큰망초 2 nA, sA IAP (NP) 3 WS 16
Asteraceae Erigeron philadelphicus L. 봄망초 Pe. nA IAP (NP) 3 MS 9
Asteraceae Erigeron strigosus Muhl. ex Willd. 주걱개망초 2 nA IAP (NP) 3 SS 5
Asteraceae Euthamia graminifolia (L.) Nutt. 미역취아재비 Pe. nA IAP (CAP) 3 PS 1
Asteraceae Galinsoga quadriradiata Ruiz & Pav. 털별꽃아재비 1 nA, sA IAP (NP) 3 WS 7
Asteraceae Gamochaeta calviceps (Fernald) Cabrera 선풀솜나물 2 nA, sA IAP (NP) 3 PS 1
Asteraceae Hypochaeris radicata L. 서양금혼초 Pe. As, Eu, Af IAP (NP) 3 MS 3
Asteraceae Lactuca serriola L. 가시상추 2 Af, As, Eu IAP (NP) 3 WS 18
Asteraceae Lapsana communis L. 서양개보리뺑이 1 As, Eu, Af IAP (NP) 3 PS 1
Asteraceae Senecio inaequidens DC. 가는잎금방망이 Pe. Af IAP (CAP) 3 PS 1
Asteraceae Senecio vulgaris L. 개쑥갓 1 As, Eu, Af IAP (NP) 2 WS 11
Asteraceae Sonchus asper (L.) Hill 큰방가지똥 1 Af, As, Eu IAP (NP) 3 WS 33
Asteraceae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1 Af, As, Eu IAP (NP) 2 WS 20
Asteraceae Symphyotrichum expansum (Poepp. ex Spreng.) G.L.Nesom 큰비짜루국화 1 nA, sA IAP (NP) 3 SS 2
Asteraceae 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L.Nesom 미국쑥부쟁이 Pe. nA IAP (NP) 3 WS 85
Asteraceae Tagetes minuta L. 만수국아재비 1 sA IAP (NP) 3 SS 4
Asteraceae Taraxacum erythrospermum Andrz. ex Besser 붉은씨서양민들레 Pe. As, Eu IAP (NP) 3 CS 7
Asteraceae Taraxacum officinale F.H.Wigg. 서양민들레 Pe. Af, As, Eu IAP (NP) 3 WS 88
Asteraceae Tragopogon dubius Scop. 쇠채아재비 2 Af, As, Eu IAP (NP) 3 MS 1
Asteraceae Xanthium orientale L. 큰도꼬마리 1 nA, sA IAP (NP) 3 WS 1
Asteraceae Xanthium strumarium L. 도꼬마리 1 As, Af, Eu IAP (NP) 3 CS 3
Poaceae Alopecurus pratensis L. 큰뚝새풀 Pe. As, Eu IAP (NP) 3 MS 1
Poaceae Andropogon virginicus L. 나도솔새 Pe. nA, sA IAP (NP) 3 MS 8
Poaceae Avena fatua L. 메귀리 2 Af, As, Eu IAP (NP) 2 CS 3
Poaceae Bromus catharticus Vahl 큰이삭풀 Pe. sA IAP (NP) 3 SS 8
Poaceae Bromus commutatus Schrad. 털큰참새귀리 2 Af, As, Eu IAP (CAP) 3 PS 3
Poaceae Bromus hordeaceus L. 털참새귀리 2 As, Af, Eu IAP (NP) 3 PS 1
Poaceae Bromus inermis Leyss. 좀참새귀리 Pe. As, Eu IAP (NP) 3 MS 2
Poaceae Bromus secalinus L. 큰참새귀리 2 As, Eu IAP (NP) 3 MS 2
Poaceae Bromus tectorum L. 털빕새귀리 2 As, Af, Eu IAP (NP) 3 SS 8
Poaceae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Pe. nA, sA IAP (NP) 3 WS 34
Poaceae Diplachne fusca (L.) P.Beauv. ex Roem. & Schult. subsp.
fascicularis (Lam.) P.M.Peterson & N.Snow 갯드렁새
1 nA, sA IAP (NP) 3 PS 1
Poaceae Elymus repens (L.) Gould 구주개밀 Pe. Af, As, Eu IAP (NP) 3 PS 2
Poaceae Eragrostis curvula (Schrad.) Nees 능수참새그령 Pe. Af IAP (NP) 3 SS 9
Poaceae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Pe. Af, As, Eu IAP (NP) 3 WS 81
Poaceae Festuca heterophylla Lam. 사방김의털 Pe. As, Eu IAP (NP) 3 MS 18
Poaceae Festuca pratensis Huds. 넓은김의털 Pe. As, Eu IAP (NP) 3 PS 2
Poaceae Lolium multiflorum Lam. 쥐보리 2 As, Af, Eu IAP (NP) 3 WS 36
Poaceae Lolium perenne L. 호밀풀 Pe. Af, As, Eu IAP (NP) 3 WS 26
Poaceae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미국개기장 1 nA, sA IAP (NP) 3 WS 15
Poaceae Paspalum dilatatum Poir. 큰참새피 Pe. nA, sA IAP (NP) 3 PS 3
Poaceae Phleum pratense L. 큰조아재비 Pe. As, Af, Eu IAP (NP) 3 CS 2
Poaceae Poa compressa L. 좀포아풀 Pe. As, Af, Eu IAP (NP) 3 CS 2
Poaceae Poa pratensis L. 왕포아풀 Pe. nA, As, Eu IAP (NP) 3 WS 16
Poaceae Poa trivialis L. 큰새포아풀 Pe. As, Af, Eu IAP (NP) 3 CS 4
Poaceae Vulpia myuros (L.) C.C.Gmel. 들묵새 1 As, Af, Eu IAP (NP) 3 SS 5

ZL-f: Life form (Tr.: Tree, 1: Annual, 2: Biennial, Pe.: Perennial), Orig.: Origins (Af: Africa, As: Asia, Eu: Europe, nA: North America), Type [IAP: Invasive alien plant (CAP: Casual alien plant, NP: Naturalized plant), UN: Uncertain plant], IT.: inflow timing (1: Before 1876, 2: 1876~1945, 3: After 1945), Degree (WS: Widespread, SS: Serious spread, CS: Concerned spread, MS: Minor spread, PS: Potential spread), Fre.: Frequency.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4-037-05/N0820370505/images/kjpr_2024_375_475_F6.jpg
Fig. 6.

The pictures showing alien plants on forest restoration post-monitoring site in South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2024a)에 따르면 국내에 분포하는 침입외래식물 380분류군은 확산 정도에 따라 광분포종(Widespread), 심각한 확산종(Serious spread), 우려되는 확산종(Concerned spread), 경미한 확산종(Minor spread), 잠재적 확산종(Potential spread) 5개의 등급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광분포종은 분포하는 지역이 101곳 이상인 종으로, 전체 380분류군 중에서 48분류군(12.6%)이 해당된다. 산림복원지 사후모니터링 대상지에서 출현한 광분포종은 돌소리쟁이(Rumex obtusifolius L.), 미국까마중(Solanum americanum Mill.) 등 48분류군(100%)으로 확인되었다. 심각한 확산종은 분포하는 지역이 75~100곳인 종으로, 전체 380분류군 중에서 18분류군(4.7%)이 해당된다. 산림복원지 사후모니터링 대상지에서 출현한 심각한 확산종은 전동싸리(Melilotus suaveolens Ledeb.), 애기나팔꽃(Ipomoea lacunosa L.) 등 17분류군(94.4%)으로 확인되었다. 우려되는 확산종은 분포하는 지역이 50~74곳인 종으로, 전체 380분류군 중에서 26분류군(6.8%)이 해당되고, 산림복원지 사후모니터링 대상지에서 확인된 우려되는 확산종은 벳지(Vicia villosa Roth), 자주광대나물(Lamium purpureum L.) 등 16분류군(61.5%)이 확인되었다. 경미한 확산종은 분포하는 지역이 25~49곳인 종으로, 전체 380분류군 중에서 41분류군(10.8%)이 포함되고, 산림복원지 사후모니터링 대상지에서 조사된 경미한 확산종은 큰석류풀(Lamium purpureum L.), 나도닭의덩굴[Fallopia convolvulus (L.) Á.Löve] 등 23분류군(56.1%)으로 확인되었다. 잠재적 확산종은 분포하는 지역이 24곳 미만인 종으로, 전체 380분류군 중에서 247분류군(65.0%)이 속하고, 산림복원지 사후모니터링 대상지에서 조사된 잠재적 확산종은 얇은명아주(Chenopodium hybridum L.), 털큰참새귀리(Bromus commutatus Schrad.) 등 17분류군(6.9%)으로 조사되었다.

산림복원지 사후모니터링 대상지 150개소에서 출현한 빈도는 외래식물은 개망초[Erigeron annuus (L.) Pers.] 132회, 망초[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109회, 그다음으로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L.) 108회,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F.H.Wigg.) 88회, 미국쑥부쟁이[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L.Nesom] 85회, 괭이밥(Oxalis corniculata L.)과 큰김의털(Festuca arundinacea Schreb.) 81회 순으로 출현하였다. 유럽점나도나물(Cerastium glomeratum Thuill.) 등 27분류군이 20회 이상, 큰망초[Erigeron floribundus (Kunth) Sch.Bip.] 등 17분류군이 10회 이상, 털빕새귀리(Bromus tectorum L.) 등 20분류군이 5회 이상 출현한 것으로 나타났고, 개비름[Amaranthus blitum L. subsp. oleraceus (L.) Costea ], 수박풀(Hibiscus trionum L.) 등 27분류군은 단지 1곳, 털여뀌[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서양금혼초(Hypochaeris radicata L.), 큰비짜루국화[Symphyotrichum expansum (Poepp. ex Spreng.) G.L.Nesom] 등 28분류군은 2~3곳에서 출현하였다. 123분류군 중에서 63분류군이 5회 미만 출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외래식물 생활형에 따른 구분은 수목이 큰잎싸리(Lespedeza davidii Franch.) 1분류군(0.8%), 일년생 초본은 개자리(Medicago polymorpha L.), 미국쥐손이(Geranium carolinianum L.), 큰땅빈대(Euphorbia hypericifolia L.) 등 49분류군(39.8%), 2년생 초본은 유럽점나도나물(Cerastium glomeratum Thuill.), 재쑥(Descurainia sophia (L.) Webb ex Prantl), 개소시랑개비[Potentilla supina L. subsp. paradoxa (Nutt.) Soják] 등 31분류군(30.7%), 다년생 초본은 자주비수리(Lespedeza lichiyuniae T.Nemoto, H.Ohashi & T.Itô), 서양벌노랑이(Lotus corniculatus L.), 붉은씨서양민들레(Taraxacum erythrospermum Andrz. ex Besser) 등 42분류군(34.1%)이 확인되었다. 외래식물의 기원은 아시아 72분류군, 유럽 61분류군, 아프리카 53분류군, 북아메리카 50분류군, 남아메리카 29분류군, 오세아니아 2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유입시기는 개항이전(1876년 이전)이 7분류군, 개항이후에서 분단이전까지(1876년~1945년)가 25분류군, 분단이후(1945년 이후)가 9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외래식물의 종수(123분류군) / 출현식물의 총 종수(1,317) × 100 비율로 계산되는 귀화율(Naturalized Index)은 9.3%, 조사지역 내 출현한 외래식물 식물종수(123분류군) / 한반도에 유입된 외래 식물의 수(420분류군) × 100으로 계산되는 도시화지수(Urbanized Index)는 29.3%로 조사되었다.

산림복원지 사후모니터링 대상지에서 출현한 생태계교란식물은 환삼덩굴, 애기수영, 가시박, 도깨비가지 등 5과 9속 총 1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8, Fig. 7). 전체 생태계교란 식물 17분류군의 약 59%가 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분류군별 출현빈도는 환삼덩굴 100회, 미국쑥부쟁이 85회, 돼지풀 70회, 단풍잎돼지풀 25회, 애기수영 18회, 가시상추, 18회, 서양등골나물 5회, 가시박 3회, 서양금혼초 3회, 도깨비가지 2회 순으로 확인되었다.

Table 8.

The list of ecological disturbance causing species on forest restoration post-monitoring site in South Korea.

Family Scientific name Korean name Frequency
Cannabaceae Humulus scandens (Lour.) Merr. 환삼덩굴 100
Asteraceae 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L.Nesom 미국쑥부쟁이 85
Asteraceae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70
Asteraceae Ambrosia trifida L. 단풍잎돼지풀 25
Polygonaceae Rumex acetosella L. 애기수영 18
Asteraceae Lactuca serriola L. 가시상추 18
Asteraceae Ageratina altissima (L.) R.M.King & H.Rob. 서양등골나물 5
Cucurbitaceae Sicyos angulatus L. 가시박 3
Asteraceae Hypochaeris radicata L. 서양금혼초 3
(Solanaceae Solanum carolinense L. 도깨비가지 2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4-037-05/N0820370505/images/kjpr_2024_375_475_F7.jpg
Fig. 7.

The pictures showing ecological disturbance causing species on forest restoration post-monitoring site in South Korea.

산림복원용 자생식물

Korea Forest Service (2023a)의 제42조의9 따르면 산림복원사업 시행 시 자생식물을 사용해야하는데, 자생식물의 원활한 수급을 위하여 94분류군의 산림복원용 자생식물종이 선정되었다. 산림복원지 사후모니터링 대상지에서 관찰된 산림복원용 자생식물은 38과 68속 79종 9변종 1품종 총 89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9, Fig. 8). 이들 중 목본 71분류군, 초본 18분류군 총 89분류군으로 파악되었으며, 산림복원용 자생식물 94분류군의 94.7%가 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현빈도는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93회, 싸리(Lespedeza bicolor Turcz.) 86회,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와 붉나무(Rhus chinensis Mill.) 85회, 참싸리(Lespedeza cyrtobotrya Miq.) 81회, 찔레꽃(Rosa multiflora Thunb.) 77회, 버드나무(Salix pierotii Miq.) 75회, 국수나무(Stephanandra incisa (Thunb.) Zabel) 74회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Hance) 73회,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ume) 72회,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Carruth.) 70회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9.

The list of alien plants on forest restoration post-monitoring site in South Korea.

Family name Scientific name / Korean name L-fZ Fre.
Pinaceae Abies koreana E.H.Wilson 구상나무 ▼ Tr. 5
Pinaceae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소나무 ▼ Tr. 93
Pinaceae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잣나무 ▼ Tr. 24
Pinaceae Pinus thunbergii Parl. 곰솔 ▼ Tr. 34
Cupressaceae Juniperus rigida Siebold & Zucc. 노간주나무 Tr. 17
Juglandaceae Platycarya strobilacea Siebold & Zucc. 굴피나무 Tr. 43
Salicaceae Salix pierotii Miq. 버드나무 Tr. 75
Betulaceae Betula costata Trautv. 거제수나무 Tr. 2
Betulaceae Betula schmidtii Regel 박달나무 Tr. 9
Betulaceae Carpinus laxiflora (Siebold & Zucc.) Blume 서어나무 Tr. 16
Betulaceae Carpinus tschonoskii Maxim. 개서어나무 Tr. 6
Betulaceae Carpinus turczaninovii Hance 소사나무 Tr. 6
Betulaceae Corylus heterophylla Fisch. ex Trautv. 개암나무 Tr. 41
Fagaceae Castanopsis sieboldii (Makino) Hatus. 구실잣밤나무 ▼ Tr. 6
Fagaceae Quercus acuta Thunb. 붉가시나무 ▼ Tr. 4
Fagaceae Quercus acutissima Carruth. 상수리나무 Tr. 70
Fagaceae Quercus dentata Thunb. 떡갈나무 Tr. 34
Fagaceae Quercus glauca Thunb. 종가시나무 ▼ Tr. 11
Fagaceae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신갈나무 Tr. 85
Fagaceae Quercus salicina Blume 참가시나무 ▼ Tr. 5
Fagaceae Quercus serrata Murray 졸참나무 Tr. 60
Fagaceae Quercus variabilis Blume 굴참나무 Tr. 61
Ulmaceae Celtis sinensis Pers. 팽나무 Tr. 36
Ulmaceae Zelkova serrata (Thunb.) Makino 느티나무 Tr. 23
Magnoliaceae Magnolia sieboldii K.Koch 함박꽃나무 Tr. 28
Lauraceae Cinnamomum yabunikkei H.Ohba 생달나무 ▼ Tr. 1
Lauraceae Lindera erythrocarpa Makino 비목나무 Tr. 35
Lauraceae Lindera obtusiloba Blume 생강나무 Tr. 72
Lauraceae 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후박나무 ▼ Tr. 16
Lauraceae 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참식나무 ▼ Tr. 9
Theaceae Camellia japonica L. 동백나무 ▼ Tr. 20
Theaceae Eurya japonica Thunb. 사스레피나무 Tr. 12
Hydrangeaceae Deutzia parviflora Bunge 말발도리 Tr. 4
Hydrangeaceae Philadelphus schrenkii Rupr. 고광나무 Tr. 2
Pittosporaceae Pittosporum tobira (Thunb.) W.T.Aiton 돈나무 ▼ Tr. 13
Rosaceae Aria alnifolia (Siebold & Zucc.) Decne. 팥배나무 Tr. 34
Rosaceae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 윤노리나무 Tr. 2
Rosaceae Rhaphiolepis indica (L.) Lindl. ex Ker var. umbellata (Thunb. ex Murray) H.Ohashi 다정큼나무 ▼ Tr. 11
Rosaceae Rosa multiflora Thunb. 찔레꽃 Tr. 77
Rosaceae Sanguisorba hakusanensis Makino 산오이풀 Tr. 4
Rosaceae Stephanandra incisa (Thunb.) Zabel 국수나무 Tr. 74
Fabaceae Lespedeza bicolor Turcz. 싸리 Tr. 86
Fabaceae Lespedeza cuneata (Dum.Cours.) G.Don 비수리 Tr. 68
Fabaceae Lespedeza cyrtobotrya Miq. 참싸리 Tr. 81
Fabaceae Lespedeza maximowiczii C.K.Schneid. 조록싸리 Tr. 67
Euphorbiaceae Mallotus japonicus (L.f.) Müll.Arg. 예덕나무 Tr. 18
Daphniphyllaceae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굴거리나무 ▼ Tr. 5
Anacardiaceae Rhus chinensis Mill. 붉나무 Tr. 85
Anacardiaceae Toxicodendron trichocarpum (Miq.) Kuntze 개옻나무 Tr. 49
Aceraceae Acer pictum Thunb. var. mono (Maxim.) Maxim. ex Franch. 고로쇠나무 Tr. 35
Aceraceae Acer pseudosieboldianum (Pax) Kom. 당단풍나무 Tr. 31
Sapindaceae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모감주나무 ▼ Tr. 7
Sabiaceae Meliosma pinnata (Roxb.) Maxim. var. oldhamii (Miq. ex Maxim.) Beusekom 합다리나무 Tr. 4
Aquifoliaceae Ilex rotunda Thunb. 먼나무 ▼ Tr. 4
Celastraceae Euonymus japonicus Thunb. 사철나무 Tr. 13
Staphyleaceae Euscaphis japonica (Thunb.) Kanitz 말오줌때 Tr. 5
Tiliaceae Grewia biloba G.Don 장구밥나무 Tr. 4
Tiliaceae Tilia amurensis Rupr. 피나무 Tr. 6
Cornaceae Cornus controversa Hemsl. 층층나무 Tr. 42
Cornaceae Cornus kousa Bürger ex Hance 산딸나무 Tr. 11
Araliaceae Kalopanax septemlobus (Thunb.) Koidz. 음나무 Tr. 22
Ericaceae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진달래 Tr. 52
Ericaceae Rhododendron yedoense Maxim. f. poukhanense (H.Lév.) Sugim. ex T.Yamaz. 산철쭉 Tr. 57
Ericaceae Vaccinium oldhamii Miq. 정금나무 Tr. 2
Styracaceae Styrax japonicus Siebold & Zucc. 때죽나무 Tr. 33
Styracaceae Styrax obassia Siebold & Zucc. 쪽동백나무 Tr. 36
Symplocaceae Symplocos sawafutagi Nagam. 노린재나무 Tr. 29
Oleaceae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물푸레나무 Tr. 73
Oleaceae Ligustrum japonicum Thunb. 광나무 Tr. 13
Convolvulaceae Calystegia soldanella (L.) R.Br. 갯메꽃 Tr. 9
Verbenaceae Vitex rotundifolia L.f. 순비기나무 Tr. 5
Lamiaceae Isodon inflexus (Thunb.) Kudô 산박하 2 63
Caprifoliaceae Viburnum erosum Thunb. 덜꿩나무 2 26
Caprifoliaceae Viburnum odoratissimum Ker Gawl. ex Rümpler var. awabuki (K.Koch) Zabel ex Rümpler 아왜나무 ▼ 1 5
Caprifoliaceae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병꽃나무 1 43
Asteraceae Ainsliaea acerifolia Sch.Bip. 단풍취 1 10
Asteraceae Aster spathulifolius Maxim. 해국 2 6
Asteraceae Aster yomena (Kitam.) Honda 쑥부쟁이 2 20
Asteraceae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Makino 산국 Pe. 42
Asteraceae Cirsium japonicum Fisch. ex DC. var. maackii (Maxim.) Matsum. 엉겅퀴 2 59
Asteraceae Dendranthema zawadskii (Herbich) Tzvelev var. latiloba (Maxim.) Kitam. 구절초 Pe. 64
Liliaceae Disporum smilacinum A.Gray 애기나리 1 29
Poaceae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var. ciliata (Thunb.) Koidz. 새 2 28
Poaceae Cymbopogon goeringii (Steud.) A.Camus 개솔새 Pe. 11
Poaceae Imperata cylindrica (L.) Raeusch. 띠 2 11
Poaceae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var. purpurascens (Andersson) Matsum. 억새 ▼ 1 67
Poaceae Zoysia japonica Steud. 잔디 ▼ Pe. 68
Cyperaceae Carex humilis Leyss. var. nana (H.Lév. & Vaniot) Ohwi 가는잎그늘사초 1 53
Cyperaceae Carex siderosticta Hance 대사초 1 42

ZL-f: Life form (Tr.: Tree, Pe.: Perennial, 2: biennial, 1: annual), Fre.: Frequency, ▼: planted plant.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jpr/2024-037-05/N0820370505/images/kjpr_2024_375_475_F8.jpg
Fig. 8.

The pictures showing native plants for forest restoration on forest restoration post-monitoring site in South Korea.

산림복원지 유형별 식물상

산림복원지 사후모니터링 대상지 150개소는 경작지 4개소, 도로사면(폐도 2개소 포함) 32개소, 등산·산책로 14개소, 마루금연결 11개소, 산림습원·계류 10개소, 산불피해지 4개소, 산사태피해지 4개소, 서식환경척박지 24개소, 시설부지 23개소, 채광·채석지 24개소 총 10개의 유형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식물상을 분석하였다.

유형별로 확인된 관속식물은 경작지 4개소에서 85과 244속 317종 12아종 24변종 2품종 355분류군, 도로사면(폐도 2개소 포함) 32개소에서 103과 329속 520종 13아종 42변종 6품종 581분류군, 등산·산책로 14개소에서 103과 296속 454종 12아종 39변종 6품종 511분류군, 마루금연결 11개소에서 93과 318속 496종 15아종 36변종 5품종 552분류군, 산림습원·계류 10개소에서 98과 320속 505종 15아종 46변종 6품종 572분류군, 산불피해지 4개소에서 91과 256속 337종 11아종 23변종 4품종 375분류군, 산사태피해지 4개소에서 72과 176속 212종 4아종 24변종 2품종 242분류군, 서식환경척박지 24개소에서 123과 438속 743종 21아종 52변종 7품종 823분류군, 시설부지 23개소에서 108과 378속 620종 17아종 49변종 9품종 695분류군, 채광·채석지 24개소에서 100과 347속 556종 14아종 40변종 4품종 614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단지 한 개의 유형에서만 출현한 식물은 경작지 4개소에서 망개나무, 왁살고사리 등 9분류군, 도로사면 32개소에서 공작고사리, 두메부추, 노랑개자리 등 38분류군, 등산·산책로 14개소에서 염주사초, 무늬족도리풀 등 22분류군, 마루금연결 11개소에서 좀갈매나무, 미선나무, 부채붓꽃 등 34분류군, 산림습원·계류 10개소에서 작은황새풀, 두메흑삼릉 등 37분류군, 산불피해지 4개소에서 꼭지연잎꿩의다리, 도루박이 등 11분류군, 산사태피해지 4개소에서 벌노랑이, 도랭이피 등 8분류군, 서식환경척박지 24개소에서 물여뀌, 끈끈이귀개, 조도만두나무 등 135분류군, 시설부지 23개소에서 백운기름나물, 만병초 등 51분류군, 채광·채석지 24개소에서 큰꿩의다리, 조아재비 등 3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전체 1,317분류군 중에서 376분류군(약 28.5%)이 단지 한 개의 유형에서만 출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산림복원지 권역별 식물상 및 식물분포 특성

산림복원지 사후모니터링 대상지 150개소를 수도권역(경기, 인천) 10개소, 강원권역 44개소, 충청권역 37개소, 경상권역 34개소, 전라권역 25개소 총 5개로 구분하여 권역별 식물상을 분석하였다. 수도권역 10개소는 85과 259속 357종 8아종 28변종 5품종 398분류군, 강원권역 44개소는 103과 387속 657종 15아종 58변종 6품종 736분류군, 충청권역 37개소는 113과 415속 708종 17아종 54변종 8품종 787분류군, 경상권역 34개소는 123과 440속 791종 22아종 58변종 12품종 883분류군, 전라권역 25개소는 120과 416속 694종 18아종 56변종 6품종 774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각 권역에서만 출현한 관속식물은 수도권역에서 호프, 백령풀 등 14분류군, 강원권역에서 작은황새풀, 강활 등 106분류군, 충청권역에서 미선나무, 큰쐐기풀 등 77분류군, 경상권역에서 섬백리향, 진퍼리사초 등 111분류군, 전라권역에서 홍도까치수염, 황근 등 120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전체 1,317분류군 중에서 428분류군(약 32.5%)이 1개의 권역에서만 출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림복원지 사후모니터링 대상지 150개소의 지역별 식물상을 분석하였다(Appendix, 1). 지역별 평균 식물상은 114분류군이고, 가장 많은 식물이 출현한 지역은 경남 창녕 화왕산 억새군락 복원지에서 276분류군, 경북 문경시 하늘고개 복원지에서 274분류군, 충북 제천시 산불피해지에서 245분류군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적은 식물이 출현한 지역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신불산 등산/산책로 복원지에서 26분류군,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도로사면 복원지에서 27분류군, 강원도 양구군 방산면 도로사면 복원지에서 37분류군 순으로 나타났다.

150개소 산림복원지에서 가장 많은 수의 특산식물이 출현한 대상지는 경북 영주시 철탄산 등산로/산책로 복원지 12분류군, 충북 괴산군 이화령 마루금연결 복원지 8분류군, 경북 문경시 벌재 마루금연결, 전남 진도군 가사도 채광/채석지 및 경남 거제시 채광/채석 복원지에서 각각 7분류군이 출현하였다. 하지만 특산식물이 출현하지 않은 복원지는 30개소로 파악되었다.

가장 많은 수의 적색목록이 출현한 복원지는 경북 영주시 철탄산 등산/산책로와 충북 괴산군 이화령 마루금연결 복원지에서 각각 5분류군, 경북 문경시 벌재 마루금연결 복원지에서 4분류군, 전남 진도군 가사도 채광/채석 복원지 등 9개 복원지에서 각각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산림복원지 93개소에서는 적색목록이 출현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150개소 산림복원지에서 가장 많은 수의 침입외래식물이 출현한 지역은 경북 김천시 어모면 작점고개 마루금연결 복원지에서 47분류군이 확인되었고, 뒤를 이어 충북 보은군 장안면 말티재 마루금연결 복원지, 전남 해남군 계곡면 채광/채석 복원지 및 충북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채광/채석 복원지 3곳에서 32분류군, 충남 아산시 영인면 채광/채석 복원지에서 30분류군순으로 나타났다. 침입외래식물이 출현하지 않은 복원지는 3개소로 등산/산책로 유형 2곳과 산림습원 1곳으로 파악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산림복원지 150개소에서 평균 15.6분류군이 출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150개소 산림복원지에서 가장 많은 수의 산림복원용 자생식물이 출현한 지역은 경남 밀양시 단장면 산림습원 복원지로 42분류군, 경북 포항시 비학산 등산/산책로 복원지 39분류군, 경북 문경시 하늘고개 경작지 및 경남 창녕군 창녕읍 서식환경척박지 유형의 복원지에서 각각 36분류군, 전북 장수군 장계면 도로사면 복원지 35분류군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적은 수이 산림복원용 자생식물이 출현한 지역은 경북 울릉군 서면 수층터널 산사태피해지 복원지로 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산림복원용 자생식물은 산림복원지 150개소에서 평균 18.5분류군이 출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 찰

전국의 산림복원지 150개소 약 5.7 ㎢에 대해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산림면적의 62,860 ㎢(Korea Forest Service, 2023b)의 약 0.009%에 해당되는 면적이다. 비교적 적은 면적임에도 불구하고, 산림생태복원 사후모니터링 대상지 150개소에서 확인된 전체 관속식물은 139과 599속 1,171종 27아종 92변종 11품종 11잡종 5재배품종 총 1,317분류군으로 한반도 관속식물 4,724분류군의 약 27.9%에 해당하는 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민북지역, 독도 등 섬숲 등 전국에서 다양한 유형의 산림복원지를 조사된 결과로 판단된다. 특히 산림복원지에 관한 식물상, 식생 등의 조사결과에 대해 조사지별 인벤토리를 구축하여 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산림복원지 권역별 관속식물상은 수도권역 10개는 398분류군, 강원권역 44개소는 736분류군, 충청권역 37개소는 787분류군, 경상권역 34개소는 883분류군, 전라권역 25개소는 774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각 권역에서만 출현한 관속식물은 수도권역에서 호프, 백령풀 등 14분류군, 강원권역에서 작은황새풀, 강활 등 106분류군, 충청권역에서 미선나무, 큰쐐기풀 등 77분류군, 경상권역에서 섬백리향, 진퍼리사초 등 111분류군, 전라권역에서 홍도까치수염, 황근 등 120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전체 1,317분류군 중에서 428분류군(약 32.5%)이 1개의 권역에서만 출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산림복원지의 자생식물 선정에 있어 권역별 식물 분포를 참고하여 종자수급 등이 원할한 식물을 선정하여 복원계획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림복원지의 유형별 관속식물은 경작지(4개소)에서 85과 244속 317종 12아종 24변종 2품종 355분류군, 도로사면(폐도 2개소 포함) 32개소에서 103과 329속 520종 13아종 42변종 6품종 581분류군, 등산·산책로(14개소)에서 103과 296속 454종 12아종 39변종 6품종 511분류군, 마루금연결(11개소)에서 93과 318속 496종 15아종 36변종 5품종 552분류군, 산림습원·계류(10개소)에서 98과 320속 505종 15아종 46변종 6품종 572분류군, 산불피해지(4개소)에서 91과 256속 337종 11아종 23변종 4품종 375분류군, 산사태피해지(4개소)에서 72과 176속 212종 4아종 24변종 2품종 242분류군, 서식환경척박지(24개소)에서 123과 438속 743종 21아종 52변종 7품종 823분류군, 시설부지(23개소)에서 108과 378속 620종 17아종 49변종 9품종 695분류군, 채광·채석지(24개소)에서 100과 347속 556종 14아종 40변종 4품종 614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10개 유형중에서 산림습원·계류의 식물분포 정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국의 산림습원 455개소의 관속식물은 1,388분류군(Lee et al., 2022b)이고 이중에서 한국의 묵논형 산림습원의 237개소의 관속식물은 1,146분류군(Lee et al., 2022a)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전체 산림습원 식물의 약 41.2%와 목논형 산림습원의 약 49.9%에 해당하는 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림습원·계류의 예시에서처럼, 각 유형별 식물분포 정보를 구체화하거나 고도화하여 매년 증가할 수밖에 없는 산림복원지에 대해, 이들 자료 등을 바탕으로 산림복원지를 유형에 따라 사후모니터링 전략방향을 제시하고 앞으로 시공되는 산림복원지에 대한 식재종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산림복원지에서 출현한 한반도 적색목록(68분류군), 한반도 특산식물(55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Ⅲ등급 이상(157분류군) 등 특기할만한 식물 203분류군에 대해 현재 실시되고 있는 산림복원지 사후모니터링 외에도 산림복원지만의 장기모니터링 계획을 세우고, 현지내·외 보전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한국의 산림복원지 인벤토리 구축에 필요한 기본 식물 DB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반도 북방계식물은 16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일부 분포역이 잘못된 분류군 등이 포함되어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전국의 다양한 유형의 산림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산림복원지 사후모니터링은 기후변화시대를 넘어 기후위기시대에 접어든 현재 식물의 계절성 연구를 장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좋은 대상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침입외래식물은 개망초 등 123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개망초(132개소), 망초(109개소), 달맞이꽃(108개소) 등 3분류군이 100개소 이상에서 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경북 김천 작점고개 산림복원지(2019년 준공)에서 47분류군, 충북 청주 계원리 산림복원지(2020년 준공) 등에서 3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개소당 평균 약 13.6분류군이 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복원지의 준공기간 및 면적 등이 침입외래식물 유입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우선 준공기간은 준공기간이 10년 이상, 준공한 기간이 5~9년, 4년 미만으로 구분하여 출현종수를 살펴보았다. 준공기한이 10년 이상 지난 곳의 침입외래식물은 개소당 평균 약 9.1분류군, 준공기한이 5~9년 지난 곳의 침입외래식물은 개소당 평균 13.2분류군, 준공기한이 4년 미만 지난 곳의 침입외래식물은 개소당 15.1분류군이 각각 출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면적은 300,000 ㎡ 이상, 100,000 ㎡ 이상 ~ 300,000 ㎡ 미만, 100,000 ㎡ 미만으로 구분하여 침입외래식물의 출현종수를 살펴보았다. 각각 12.2분류군, 13.7분류군, 14.7분류군으로 다소 좁은 면적에서 많은 종의 침입외래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침입외래식물이 훼손지에서 초기정착식물로 자라는 초본류임을 감안할 때, 면적보다는 준공기간이 출현종수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가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산림복원지 조성 후 점차 시간이 경과하면서 침입외래식물이 감소하는 분포패턴 등을 연구하여 산림복원지 사후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48조 7항(Korea Forest Service, 2024) 산림복원지의 사후 모니터링 절차에 따르면, 사후 모니터링은 1단계와 2단계로 나눠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1단계 모니터링은 1년차와 2년차에 수행되고 2단계 모니터링은 5년차와 10년차에 진행된다. 인공적으로 조성된 산림복원지의 유형별로 식물분포 양상 등이 크게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10년 이후 관리방안은 수립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산림복원지 유형에 따른 식물분포 연구를 통해 차후 산림복원 기본계획 등에 유형별 적용가능 식물 등을 세분화하여 정보를 고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적 요

본 연구는 산림생태복원 사후모니터링 대상지 150개소를 대상으로 산림생물다양성 유지·증진, 산림생태계의 보전·관리와 산림복원용 자생식물의 실효성을 제고해볼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는 2020년 4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계절별로 각 1~2회씩 수행하였다. 한국의 산림생태복원 사후모니터링 대상지 150개소의 관속식물상은 139과 599속 1,171종 27아종 92변종 11품종 11잡종 5재배품종 총 1,31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150개소 전체 조사 면적은 약 5.7㎢로 우리나라 전체 산림면적 62,860㎢의 0.009%에 불과하지만, 우리나라 관속식물의 4,724종 중에서 27.9%가 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기할만한 식물은 멸종위기야생생물은 끈끈이귀개 1분류군, 희귀식물과 적색목록은 조도만두나무, 홍도까치수염 등 47분류군, 한반도 특산식물은 병꽃나무 등 55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갈퀴아재비 등 총 32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외래식물은 나도닭의덩굴, 털여뀌 등 123분류군(불확실종 2분류군 포함) 등이 확인되었고, 광분포종(WS)은 돌소리쟁이 등 48분류군, 심각한 확산종(SS)은 전동싸리 등 17분류군, 우려되는 확산종(CS)은 벳지 등 16분류군, 경미한 확산종(MS)은 큰석류풀 등 23분류군, 잠재적 확산종(PS)은 털큰참새귀리 등 17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산림복원지의 평균 귀화율은 9.3%와 도시화지수는 29.3%로 산출되었다. 산림복원지 사후모니터링 대상지에서 산림복원용 자생식물은 분비나무, 너도밤나무, 병아리꽃나무, 갯보리, 통보리사초 5분류군을 제외한 8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산림복원은 자연적ㆍ인위적으로 훼손된 산림의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이 원래의 상태에 가깝게 유지·증진될 수 있도록 그 구조와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산림생태복원 모니터링 체계수립을 위해 1단계(1년, 2년) 및 2단계(5년, 10년)뿐만 아니라 영구적인 모니터링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Supplementary Material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산림청(한국임업진흥원) 산림분야 재난·재해의 현안해결형 연구개발 R&D사업의 스마트 산림복원 정보 구축 및 활용기술 연구(과제번호 2022426A00-2424-0801)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결과로 이에 감사드립니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y have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CBD. 2022. Kunming-Montreal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15/4). https://www.cbd.int/doc/decisions/cop-15/cop-15-dec-04-en.pdf.

2

Chung, G.Y., H.D. Jang, K.S. Chang, H.J. Choi, Y.S. Kim, H.J. Kim and D.C. Son. 2023.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Ⅱ. Korean J. Pl. Taxon. 53(2):79-101 (in Korean).

10.11110/kjpt.2023.53.2.79
3

Chung, G.Y., K.S. Chang, J.M. Chung, H.J. Choi, W.K. Paik and J.O. Hyun.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7(3):264-288 (in Korean).

10.11110/kjpt.2017.47.3.264
4

Gantsetseg, A., S.Y. Jung, W.B. Cho, E.K. Han, S. So and J.H. Lee. 2020. Definition and species list of northern lineage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Herb. Med. Inf. 8(2):183-204.

5

Kang, E.S, S.R. Lee, S.H. Oh, D.K. Kim, S.Y. Jung and D.C. Son. 2020. Comprehensive review about alien plants in Korea. Korean J. Pl. Taxon. 50(2):89-119.

10.11110/kjpt.2020.50.2.89
6

Korea Forest Service. 2001a. Forest Restoration Project Implementation Status.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 306 (in Korean).

7

Korea Forest Service. 2001b. Study on Natural Ecosystem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Damaged Areas on Baekdudaegan.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p. 1-306 (in Korean).

8

Korea Forest Service. 2009. Forest Restoration Work Processing Guidelines.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 32 (in Korean).

9

Korea Forest Service. 2019. (1st) Forest Restoration Basic Plan: 2020~2029. Daejeon, Korea. p. 76 (in Korean).

10

Korea Forest Service. 2020a. Forest Restoration Work Processing Guidelines(2nd). Daejeon, Korea. p. 167 (in Korean).

11

Korea Forest Service. 2020b. Notification on The Supply of Native Plants and Natural Materials for Forest Restoration. (accessed on 10 July 2024). https://www.law.go.kr/.

12

Korea Forest Service. 2023a. Act on The Creation And Furtherance of Arboretums and Gardens. (accessed on 10 February 2024). https://www.law.go.kr/.

13

Korea Forest Service. 2023b. Annual Report on Forests and Forestry Trends to 2022.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p. 1-714 (in Korean)

14

Korea Forest Service. 2023c.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15

Korea Forest Service. 2024. Cre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Resources Act. (accessed on 10 July 2024). https://www.law.go.kr.

16

Korea National Arboretum.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Pocheon, Korea. pp. 1-492 (in Korean).

17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The National Red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424 (in Korean).

18

Korea National Arboretum. 2024a. Alien Plants in South korea. (accessed on 10 July 2024). http://www.nature.go.kr.

19

Korea National Arboretum. 2024b.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accessed on 10 July 2024). http://www.nature.go.kr. Korea.

20

Korea National Arboretum. 2024c. Korea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accessed on 10 July 2024). http://www.nature.go.kr.

21

Lee, J.W., H.G. Yun and J.B. An. 2022a. Floristic study and conservation plan on Abandoned Paddy Field type of forest wetlands in Korea Korean J. Plant Res. 35(6):720-761(2022) https://doi.org/10.7732/kjpr.2022.35.6.720.

22

Lee, J.W., H.G. Yun, T.Y. Hwang and J.B. An. 2022b. Floristic inventory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forest wetlands of South Korea. Biodiversity Data Journal 10: e85848. https://doi.org/10.3897/BDJ.10.e85848.

10.3897/BDJ.10.e85848
23

Lee, T.B. 2014a.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Hyang- munsa, Seoul, Korea. pp. 1-916 (in Korean).

24

Lee, T.B. 2014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 Hyangmunsa, Seoul, Korea. pp. 1-912 (in Korean).

25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624 (in Korean).

26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pp. 1-1270 (in Korean).

27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rlin, Germany. pp. 1-666.

28

Ministry of Environment. 2024a. Act on The Conservation and Use of Biodiversity (accessed on 10 February 2024). https://www.law.go.kr/.

29

Ministry of Environment. 2024b. Wildlife Protection and Management Act (accessed on 10 July 2024). https://www.law.go.kr/.

30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1. Red Data Book of Republic of Korea Volume 5. Vascular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p. 1-525 (in Korean).

31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Floristic Target Species (FT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pp. 1-728 (in Korean).

32

Society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ternational. 2004. The SER International Primer on Ecological Restoration. https://cdn.ymaws.com/www.ser.org/resource/resmgr/custompages/publications/ser_publications/ser_primer.pdf.

33

The UN Decade on Ecosystem Restoration. 2024. The UN Decade on Ecosystem Restoration 2021-2030 (accessed on 10 July 2024). https://www.decadeonrestoration.org.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